You are on page 1of 10

<2024학년도 3학년 1학기 수행평가 학습지> 학번: 이름:

[기하, 확통 1차시]

1. 초점이 F인 포물선     위의 제1사분면에 있는 점 A에 대하여 


AF  이다. 중심이 A이고 점 F를 지나는

  
원 위의 점 P와 점 B     에 대하여 선분 PB의 길이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점 P의 개수를 구하시오.

(풀이)

- 1 -
 
2. 그림과 같이 두 초점이  ′ 인 타원      위의 제 1사분면에 있는 점  에 대하여 선분  ′의 중점을
 
 이라 하자. 직선  가 이 타원과 만나는 점 중에서  가 아닌 점을  라 하고, 직선  와 직선 ′  가 만나
는 점을  라 하자. 사각형  의 둘레의 길이가 일 때, 선분  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 는 원점이고,
점  의 좌표는 양수이다.)

(풀이)

- 2 -
<2024학년도 3학년 1학기 수행평가 학습지> 학번: 이름:

3. 원 모양의 탁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놓인 같은 종류의 바구니 4개가 있다. 이 4개의 바구니에 1부터
5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힌 흰 공 5개와 1부터 3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힌 검은 공 3개를 다음 조건을 만
족시키도록 남김없이 나누어 담는 경우의 수를 구하시오. (단, 회전하여 일치하는 것은 같은 것으로 본다.)

(가) 각 바구니에 공을 2개씩 담는다.


(나) 검은 공만 담는 바구니는 없다.
(다) 한 바구니에 담는 두 공에 적힌 수의 곱이 짝수인 바구니의 개수는 3이다.

(풀이)

- 3 -
4. 수직선의 원점에 점 P가 있다. 한 개의 주사위를 사용하여 다음 시행을 한다.

주사위를 한 번 던져
나온 눈의 수가 홀수이면 점 P를 양의 방향으로 나온 눈의 수만큼,
나온 눈의 수가 짝수이면 점 P를 음의 방향으로 나온 눈의 수만큼 이동시킨다.

이 시행을 4번 반복하였을 때, 이동된 점 P가 다시 원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시오.

(풀이)

- 4 -
<2024학년도 3학년 1학기 수행평가 학습지> 학번: 이름:

5. <기하 정석 문제 : 1. 포물선의 방정식>



자연수 에 대하여 포물선    의 초점 F 를 지나는 직선이 포물선과 만나는 두 점을 P  Q 라고 하자. 
P F 

이고 
Q F   이라고 할 때,    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    

(풀이)


또, 
FH    이므로
 
 
포물선   에서 초점 F    , 준선   
 

  

FT  
FH   
TH        ,
  
   FH
FS SH    
   
∆FP T∾∆FQ S이므로

FT  
FS  FP  
FQ

  



∴         

위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H 
PF  , 
Q H 
Q F  

       ⋯  
 

6. <기하 정석 문제 : 1. 포물선의 방정식>


오른쪽 그림과 같이 축 위에 두 점 A  B 가 있다. 포물선  의 꼭짓점은 A , 초점은 B 이고,
포물선  의 꼭짓점은 B , 초점은 원점 O 이며, 두 포물선은 축 위의 점 C  D 에서 만난다.

AB  일 때, 사각형 AD BC 의 넓이를 구하여라.

(풀이)


BC  
CH  ′  
O H 
OA 
AH 
          

OC 
CH  ′  O H   
이때, 직각삼각형 O BC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포물선  ,  의 준선을 각각  ,  라 하고,  ,  가 축과 
만나는 점을 각각 H   H  , 점 C 에서  ,  에 내린 수선의 ∴ ⃞ AD BC  ∆ABC

발을 각각 H  ′, H  ′이라고 하자.   ×  ×  × 


O B  라고 하면  O A    이고, 
AH   
AB  ,  

BH   BO  이므로

- 5 -
7. <기하 정석 문제 : 1. 포물선의 방정식>
  
포물선     (단,   )의 초점 F 를 지나는 직선이 포물선과 두 점 A , B 에서 만난다. 이때, 

  

AF BF 
이 성립함을 보여라.

(풀이)

AF  , 
BF  로 놓으면
(ⅰ) 직선 AB 가 축에 수직이 아닌 경우 : 점 A 의
좌표가 보다 작고 점 B 의 좌표가 보다 크다고 해도 
AA′  
AF  , 
BB′  
BF  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 
∴ CF    , D B    
∆AFC∆FBD 이므로

AF  
FB  
CF  
DB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리하면     
  
(ⅱ) 직선 AB 가 축에 수직인 경우

AF  
BF  이므로
점 A  B 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 B′이라
    
하고, 점 A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 점 F 에서      

AF 
BF   
직선 BB′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라고 하자.   
(ⅰ), (ⅱ)에서    

AF 
BF 

8. <기하 정석 문제 : 2. 타원의 방정식>


 
오른쪽 그림에서 축 위의 두 점 F  F ′은 타원 
  의 초점이고, 점 A
 
는 이 타원의 꼭짓점이다. 또, 제 1사분면에 있는 타원 위의 점 P 에 대하여
∠ F ′P A  °이고, 점 F 에서 선분 F ′P 에 내린 수선의 발 H 는 선분 F ′P 를
  로 내분한다.

F ′H  일 때, 양수  의 값을 구하여라.

(풀이)

F    F′     (단,   )이라고 하면 


F′F   
      이므로     ⋯⋯ ③
이고, 
       ⋯⋯ 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 PF  P F′   이므로

A     이므로 F′A     
P F    
P F′    
점 H 가 선분 F′P 를   로 내분하고, 한편 ∆ F′FH 와 ∆ P FH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F′H  이므로  HP    
FH  

F′F  

F′H  

PF  
PH

∆F′FH∆F′AP 이므로  O  A ∴            



F′F  
F′A  F′H  F′P ②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그런데   이면 
P F   이므로 ∆ P FH 가 만들어지지

①에 대입하면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③에 대입하면   

- 6 -
<2024학년도 3학년 1학기 수행평가 학습지> 학번: 이름:

[기하, 확통 2차시]

1. 그림과 같이 모든 도로가 정사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도로망이 있다. 갑은 이 도로망을 따라  지점에서 출발하여
 지점까지 최단 거리로 이동하고, 을은 이 도로망을 따라  지점에서 출발하여  지점까지 최단 거리로 이동한다.

이때 을의 속력이 갑의 속력의 배일 때, 갑과 을이 만나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자.  의 값을 구하시오.


(풀이)

- 7 -
2. 그림과 같이 두 초점이 F , F′      이고 장축의 길이가
 인 타원이 있다. 점 F 가 초점이고 직선        이 준선인 포
물선이 타원과 제  사분면의 점 P 에서 만난다. 점 P 에서 직선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할 때, 두 점 P , Q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
다.


(가) cos ∠F′FP 

 
(나) FP F′Q 
PQ 
FF′

   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 8 -
<2024학년도 3학년 1학기 수행평가 학습지> 학번: 이름:

3. 그림과 같이 두 점      ′      를 초점으로 하는 쌍곡선


     
     (  ,   )의 점근선 중 기울기가 양수인 직
 
선을 , 기울기가 음수인 직선을 이라 하고, 선분  ′ 을 지름으로 하
는 원이 직선 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 직선 과 만나는 두 점을
   
각각 C, D라 하자. cos (∠AFD)=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
(단, 두 점 A, C의 좌표는 -2보다 크고, 와 는 상수이다.)

(풀이)

- 9 -
4. <확률 정석 문제 : 1. 경우의 수>
오른쪽 정육면체 ABCD  EFGH 에서
(  ) 임의로 세 꼭짓점을 택하여 만들 수 있는 직각삼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
(  ) 점 A 에서 출발하여 모서리를 따라 점 B에 도달하는 길은 몇 가지인가? 단, 모서리
AB를 지나는 길은 제외하고, 같은 꼭짓점은 한 번만 지난다.

(풀이)

(2) (i) 점 A 를 출발하여 점 D를 지나는 경우와 점 E


를 지나는 경우가 있다. 점 D 를 지나는 경우는

(  ) (i) 정육면체의 모서리  개를 변으로 하는 경우 : B


C F  B
∆ABC 와 합동인 직각삼각형이 한 면에  개씩 있
G
으므로 H  E  F  B
 ×   (개)
A  D B
(ii) 정육면체의 모서리를  개만 변으로 하는 경우:
E  F
선분 AB 를 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은 ∆ABG G  C  B
∆ABH 의  개이고, 이와 같이 각 모서리를 변으 H C  B
로 하는 직각삼각형이  개식 있으므로
G
 ×  (개) F  B
따라서 구하는 직각삼각형의 개수는     
의  가지이다.
점 E를 지나는 경우도 가지이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은      (가지)

5. <확률 정석 문제 : 1. 타원의 방정식>


, , , ,  를 모두 사용하여 만든 다섯 자리 문자열 중에서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의 개수를 구하여라.
(가) 첫째 자리에는  가 올 수 없다.
(나) 셋째 자리에는 도 올 수 없고  도 올 수 없다.
(다) 다섯째 자리에는  도 올 수 없고 도 올 수 없다.

(풀이)

, , 가 올 수 없는 자리는 다음에서 ×표 한 곳이
i 가 ⑤의 자리에 올 때, 가 올 수 있는 자리는
다.
곳
① ② ③ ④ ⑤ ii 가 ⑤가 아닌 자리에 올 때, 가 올 수 있는
 × 자리는 곳이고, 이 각각에 대하여 가 올 수 있
 × × × 는 자리는  곳이므로  × 곳
 × 따라서 , 를 나열하는 경우는
   ×   (가지)
(가)  는 ②의 자리나 ④의 자리에만 올 수 있으므로 
(다) 와  를 나열하는 경우는  가지
를 나열하는 경우는  가지
따라서 구하는 개수는 (가), (나), (다)에서
(나) 는 ③의 자리와  가 온 자리만 빼고 올 수 있다.
 × ×  
그런데  는 ② 또는 ④의 자리에 있으므로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