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기하 교과서 정리문제[포물선] 1차시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유형01 포물선 정의
5)

(1) 정의 : 한 점과 한 직선에 점 A  를 지나고


이르는 거리가  축에 평행한 직선이
같은 점의 자취 포물선     와 만

         
나는 점을 B 라고 하
⇨  
자. 이 포물선의 초점
(2) 초점   
(3) 준선   
을 F 라고 할 때, 
AB 
BF 의 값을 구하시오.

(4) 꼭지점 

(5) 초점이 F    , 준선이    인 포물선의 방정


식은
유형02 포물선 정의 활용
    단   ≠ 
❶ 초점과 준선을 구하라
❷ 초점과 준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음을 활용하라

6. 다음 그림과 같이 포물선    위의 서


6)

1. 다음 이차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1)
로 다른 세 점 A B C 에 대하여 삼각형
⑴ 초점이 F   이고 준선이    인 포물선 ABC 의 무게중심이 포물선의 초점 F 와 일치
할 때, 
AF 
BF  
CF 의 값을 구하시오.
⑵ 꼭짓점이 원점이고 초점의 좌표가    
인 포물선

2. 다음을 구하시오.
2)


⑴ 포물선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

7. 포물선     의 초점 F 를 지나는 직선이


3. 꼭짓점이 원점이고 초점이  축 위에 있는 포
7)

3)

포물선과 두 점 A B 에서 만난다.
물선이 점    을 지날 때, 포물선의 방정

AF  
BF    일 때, 선분 AB 의 길이를 구하
식을 구하시오.
시오.

4. 꼭짓점이 원점이고 준선이    인 포물선


4)

이 점   를 지날 때, 상수 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끼끼샘 수학교실 [1차시-1]


기하 교과서 정리문제[포물선] 1차시

8. 8) 다음 그림과 같이 포물선     의 초점을 10. 10) 다음 그림과 같이 포물선 모양의 강변의 어


F 라고 하자. 제1사분면에 있는 포물선 위의 느 한 지점에 두 공장 P Q 로부터 거리의 합
점 P 에 대하여 
FP  이고, 
FP 의 연장선 위 이 최소가 되도록 하수 처리 시설을 설치하
에 
FP  
PQ 가 되도록 점 Q 를 잡을 때, 점 려고 한다. 공장 Q 가 포물선의 초점의 위치
Q 의 좌표를 구하시오. 에 있을 때, 하수 처리 시설을 설치할 적당한
지점은? |4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유형03 포물선 평행이동

   을  축으로  만큼,  축으로  만큼 평행이동


⇨       

9. 9)다음 그림과 같이 포물선       의


초점 F 를 지나는 직선이 포물선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 라 하고, 두 점 A B 에서 준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 라고 하자.

AP   
BQ  일 때, 
PQ 의 길이를 구하시오.
|3점|
11. 포물선        의 준선을  , 포물선
11)

          의 초점을 F 라고 할 때,
점 F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12. 두 포물선        ,


12)

         의 초점이 일치할 때,
두 상수   에 대하여 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끼끼샘 수학교실 [1차시-2]


기하 교과서 정리문제[포물선] 1차시

1) (1)      (2)      므로 준선  의 방정식은 

 

2) 초점:   , 준선:    



포물선         , 즉
       는 포물선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3) 풀이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   라고 하면
점    을 지나므로    ,  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 F의 좌표는

따라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4)   
 ,    따라서 점 F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이다.
 12) 
5) 풀이 점 B 에서 포물선    의 준선    에 내린
 풀이 포물선       은 포물선   를 축의 방향으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 BF
AB  AB BH  AH
 
      

 
 


   
6) 풀이 초점이 F  이므로 세 점 A B C 의  좌표를 또 포물선        는 포물선   를 축의 방향으로
각각  ,  ,  이라고 하면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세 점 A B C 에서 준선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C′ 이 
따라서    
라고 하면

AF 
BF 
CF 
AA′  BB′ CC′
         
         

7) 풀이 두 점 A B 에서 준선    에 내린 수선의 발
을 각각 A′ , B′ 이라 하고, 점 A 에서  축, 선분 B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H′ 이라고 하자.
  k    라고 하면 
AF k, BF AA′ k, 
BB′ k이므로

H′B k k  k
한편 두 삼각형 AHF AH′B 는 닮음이고 닮음비가   이므로

HF  
H′B   

즉,  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
AB k  

 의
8) 풀이 점 P에서 준선    에 이르는 거리는 FP

길이와 같으므로  이다.

 
따라서 점 P 의 좌표를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두 점 P Q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 이라고 하면

FP 
PQ 이므로 FQ′ 
FP′ , 
QQ′  
PP′

따라서 점 Q 의 좌표는

 


  

 
9) 풀이 AF AP BF BQ 이므로

AB AF 
 FB 
AP 
BQ     
점 B 에서 선분 A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 AP
AH  BQ
   

직각삼각형 AHB 에서 HB 


    
 
따라서 PQ HB 
10) 풀이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 H 에서 준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라고 하면

PH 
QH  ′
PH HH
 
이므로 PH QH 가 최소가 되려면 세 점 P H H′ 이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하수 처리 시설을 설치할 적당한 지점은 B 이
다.
11) 풀이 포물선        , 즉      은 포물
선    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끼끼샘 수학교실 [1차시-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