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 식을 부정적분하면 (단,  는 적분상수)
            399. ②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가 이차함수 이므로,   도 이차함수이다.
또한,
396. ④          이므로

     ′ 는     를 미분한 도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의 양변에   를 대입하면 ′  는 일차함수 이고,   는       의 인수이므로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  이면         이다.
  을 대입하면 ⅱ)         이면      이다.
 ×         
∴    ⅰ) 의 경우에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에 모순이다.
397. ③
그러므로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   를 차 ≠   다항식이라 놓으면
  는    차≠ 차 다항식이고  ′   는    차         ,      이다.

다항식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에서 좌변은    차 다항식이고 우변은    차


다항식이고, 위 식은 항등식이므로 400.  
      , ∴  
함수   가 차식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놓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에 대입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들을    ′ 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최고차항의 계수를 비교해보면
   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이므로
 
일차항의 계수를 비교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을 대입하면   


따라서        401. ⑤

      ′   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 
398.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297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404.        
      
 
  가   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 ′  이다.
    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의해  ′   ′  이고,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일 때,   이다.
        
      
 
402. 
         
  , ′ 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      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   을 만족하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개가
 ′  이므로  ′    ′ 
되려면
따라서 ′    이다.

함수   는    에서 극솟값  을 가져야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405. (1)  (2)  ′       (3) 
한편,  의 도함수는  의 부정적분 중 하나이므로
 의 도함수는 차 이하의 함수,
406. ③
 는 차 이하의 함수이다.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      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적분상수)
          
위 등식의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는 다항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이므로
조건 (다)에서  ′         
403. ⑤
 ′     
  가 다항함수 이므로   의 최고차항  이 존재한다.
문제의 조건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는 적분상수)
 의 최고차항은    차 이고 최고차항의 계수는  

조건 (가)에 의하여     이므로   
이다.
    최고차항은    차 이고 최고차항의 계수는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407.       
∴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식을 미분하면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조건에서    이므로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298 ●
함수    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  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    이고,      에서   
408. [정답] ②
∴   
(가) 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다. 또,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에서   

(나)   을 대입하면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  을 대입하면     이고 (다)에서


    이므로 연립하면    이다.

409. [정답] ⑤
′ ′  의 양변에 를 곱한 후 부정적분하면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       을 만족하는 모든 실근  는
         이므로 합은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에서 412. 

 에 대한 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미분가능하고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410. 풀이참조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조건 ㈏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3. ③
조건㈎에 의하여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 를 기준으로 증감표를 작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위 증감표를 이용해 함수       를 얻으면 다음과


 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즉,   ≤  ≤ 에서 함수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9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7. ⑤

    
   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참
414. ②
ㄴ. 그림에서 직사각형들의 넓이와 그래프의 밑넓이를 비교해
     ≥  
보았을 때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ㄴ 참
   
  ≥  ㄷ. 그림에서  가 에 충분히 가까울 때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ㄷ 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8. ③
  

415.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로,   가 연속이라서 등호가 생김)    

    이고   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419. ⑤

420. ②

421. 
위의 그림과 같이    와    과의 교점은 3개이다.
함수   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함수     의 식은
416. [정답] ⑤
         
가 연속함수이므로    ,    에서 함숫값이 같아야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한다.
∴          
ⅰ)     일 때
 

       
 

또,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준식   
   ,       


ⅲ)   일 때 
   ∴   

300 ●
422.  425. ④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

방정식의 세 근은      이다.
   

 
  는 음 아닌 실수이므로       의 두 실근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다.
산술기하평균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426. ③
 
           이므로   이면서     을 만족하는 자연수  은
        라 할 수 있다.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고      이면 육차함수가    에서 중근을 갖기 때문에
따라서 극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     이다.
 ≤    ≤ 가 성립한다.          이고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의 범위는  ≤  ≤ 이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  의 427. ①
최솟값은     이고, 최대값은     이다.  

따라서     이다.        이므로  는   에 대하여


 

대칭이다.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3. ④
          
  의 적분함수를   라 두면 주어진 식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8. ⑤

  의 최고차항 계수가 이면        라고 두면


 
  의 최고차항 계수는 이 되므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를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4. ① 
       
    429.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301
 
433. ④
          ×   


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0.




   

          

  는 상수이므로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434. ②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1. ④
435. ①
ㄱ.          라 두면
조건 (가)에 의해 ′     이고 점   에 대해
 ′            ′   (참)
점대칭이다.
ㄴ.   가    에서 극값 을 가지면      ,
조건 (나)에 의해   에서 곡선     의 접선이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거짓) 
  
ㄷ.      에서  ′       
  는 열린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인 함수이고 
    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해  ′   인  ∴     
(   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참)
436. ①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이기 위해서는
432. ②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가 중근 및 허근을 갖거나  ≤   두 실근이 모두
음수이거나 한 개의 음수근과 을 근으로 가질 때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302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ⅱ)두 실근이 모두 음수이거나 한 개의 음수근과 을 근으로 가질   
때   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음수이고   
절편이 이상이므로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공통범위를 구하면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두 범위를 합치면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438. ①
       

 


   이므로
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①

조건 (나)에서
437.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함수   는   에 대하여 점대칭함수이고 증가함수이다.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이라는 것은 
    ⋯⋯②

    
  이거나      이다. 조건 (다)에서
  
즉,        이거나            

 
(ⅰ)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ⅱ)        일 때 자연수   에 대해 ①, ②, ③을 동시에 만족하는
   순서쌍   는  ,  
   그러므로   ,    일 때    의 최댓값은 

   
   439. ④

● 30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4.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0.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441. ②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445. ⑤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는 축 대칭이고,      는 원점대칭이다.



     

446. ⑤

 

447. ①
442. ①
ㄱ은 적분 끝값과 시작값이 같으므로 합쳐져서
  
448. ⑤
ㄱ.              
  

옳다. 449. ③

   
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축 대칭일 경우엔 두 배가 되기 때문에
 



   

 
   ⋯   
옳지 않다. 

ㄷ.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점 대칭일 경우엔 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ㄹ.
 

옳지 않다. 450. 
              

443.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4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ⅱ), ⅲ)에 의해서   ≤  ≤ 
 
∴ 
         

451. ①

(가)에 의해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라 하고 ㉠을 대입하면
         452. ①
ⅰ)   일 때     는 기함수,       는 우함수이므로 주어진

①  ≠ 인 경우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해서 계산할 수 있다.


    는 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난다.  

조건 (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  은 서로 다른 두 음의


(준식)            




  

실근을 가져야 한다.   


               이다.
  

453. ④
       이에서   는 축 대칭인 우함수이다.
1)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또는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또한,   는 원점 대칭인 기함수 이므로


∴      

②   인 경우      

⋯⋯  

조건 (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  

  의 두 실근을 , 라고 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야 한다.    ⋅    ∵     

454. ②
1)    :    또는    
2)       ,      는 원점 대칭이므로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 일 때  
    는 축과 한 점에서 접하고 다른 한점   을 지난다. 
         

이 경우 조건 (나)를 만족하므로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또는    455. ①
ⅲ)   일 때        에서    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    는 축과 한 점   에서 만난다. 그래프이고        에서     의 그래프는 축에
대하여 대칭인 그래프이다.    ′  의 그래프와

● 305
     ′   의 그래프는 모두 축에 대하여 대칭인 
(다)에 의하며    
그래프이다. 
또한,     에서    이고      에서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즉            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양수 가 존재하도록 의 값을
설정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좌변은   에서 극대,   에서 극소이므로 이   에서의
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항상 주어진 식을 만족하는 양수 값이
   ′         ′  
 존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 에서
   


   (적분구간이   에 대칭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최솟값은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9. ③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에서


   이고, 함수   의 그래프는 원점에
      대하여 대칭이다.

456. 
(가)로부터    는 기함수,      
(나)로부터    는 우함수이다.
따라서    는 기함수이므로  ′   는 우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는 같고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457. ②  

 
닫힌구간     에서     는 곡선
                에서 구간이



   

    와 축 및 두 직선  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모든 홀수차항의 정적분은 이다. 넓이이므로 함수     의 그래프와 구하는 영역을 그림으로
 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458.  
          
 ′        

306 ●
463. ①
  가 기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4. ②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를 만족시키므로
기함수이고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며     이다.
또한 F  는 우함수,       F  는 기함수, ′  는 우함수
′ 는 기함수이다.
      F   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 의      ′  


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 
     ′      ′  
그래프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  465. ②
그래프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가) 조건은 우함수(축대칭)을 의미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 조건에 의하면
        
460. ②
      
      인 다항함수이므로     이다.
 
따라서       의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    (∵ 는 정수)
   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고,
함수    ′   는 원점대칭인 기함수이다.
466. 

따라서  ′  임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1. 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462. 0

467. ②

● 307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는 기함수이고, ′  ′  는 우함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9. ②

에서  ′  는 우함수, ′는 기함수,  ′ 는 (나)에서    , ′  
우함수이다. 즉, (가)에서 구간       에서   는 이차함수이고 (나)에 의해서
 
  는     이 꼭짓점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에서     는 직선이고
      가   에서 극값 을 가지므로
 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는     의   에서의 접선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미적분 개념이 필요할 것으로    ′  ′
 
보임.) 
  ′

(다른풀이) 
∴   ≤  ′≤ ,   ≤ ′≤ 
 는 기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라고 하자.     는 실수전체에서 미분가능하고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최솟값을 갖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구간       에서 정적분의 값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상수함수가 되어야한다.
     
한편, 구간       에서 정적분의 값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   ′     


구간      에서 함수   가 감소해야 하는데 이때,   가
구간      에서 곡선 모양을 따라 감소하면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는  보다 작아지는 값이 생기게 되어 (다)조건에
모순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가 실수전체에서 미분가능하며 구간
      에서 정적분의 값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는   에서의 함수   의 접선을 따라가며
     
      감소해야 한다.

∴   구간       에서   의   에서의 접선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470. 

30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와    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474. ②
함수      이고, 그 함수의      의 그래프는

위의 그래프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다음과 같고   ≤  ≤ 의 범위에서 함수      의 최댓값을
  ≤  
 라 하면, 의 값을 까지로 생각하면 그 때의 최댓값은 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의 값인 이 최댓값이 되고, 의 값이 을 넘어서면
함수      의 따라가게 되므로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471. ⑤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는 상수, 차,

차식 중 오직 하나만을 선택한다.    가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     이차함수  ≤    

    

    일차함수  ≤   
를 만족해야 한다.


     상수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에 따라     =        = 
   

472. ⑤
475. ③
 
473. ④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일 때 극값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
 
 
47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7. ①
        에서  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
그래프와 같다.

● 309

 ′     [참]


  

  


  

ㄴ.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이때, ㉠은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조건 (가)에서 함수   는
    에서 극댓값,  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   ≤  이다. [거짓]

478.  
 ㄷ.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적분상수)
 
479. ②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나)에서 ㉡, ㉢이 같아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0. ③ 즉,            이므로
  
ㄱ.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    라 하면 극솟값은           [참]
  
구간    에서 ′   ≤ 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310 ●
 ′ 의 두 근은  이므로
 ′      

481. ② ∴        

조건 (가)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은 성립할 수 없다.
∴      
∴ ≤
그러므로 극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483.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4. ④

ㄱ.             

(참)

ㄴ.아래 그림과 같이

    

 
         이다.
 
(거짓)

 ㄷ.    M 이라고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M 
    M         (참)
∴         
  
 
 
 485. 
      라고 하면

482.   ′      이다.


이때 함수   는   에서 극솟값  을 가지므로
  이므로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이고     이다.
 ′     이고,

● 311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ㄱ.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ㄴ.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ㄷ.  ≠ 이면
 
486. ②     일 때,         ,
 
조건 (가)에 의해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라 하면 함수   의 그래프는 축대칭인


그래프를 가진다.
즉, 삼차함수    ′ 의 그래프는 점   에 대하여 대칭일
때     의 그래프가 위 조건을 만족하므로
 ′      ⋯⋯ ㉠
이고,  ″ 의 두 근의 합이 이므로
 ″          
    일 때,  와 마찬가지로        (참)
          
        
   490. ④
   or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는   ′   와 같으므로

이 조건을 ㉠에 대입하면
    ∴ 

즉,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7. ④

491.  
488. ④

(가), (나), (다)에서   는   에서 삼중근을 갖는


489. ⑤ 

   
삼차함수이다.      이라 하면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       

312 ●
492. ②

함수   가  ≤  ≤ 에서 증가함수이다.
    에 대하여
ㄷ)   가 최대가 되려면 역시    이어야 하고

 

   ≥   ≥ 이므로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이다. (참)
   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참이다.


 ′     ′       을 구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496. ①

따라서    ∵     
  
(i)   일 때, 함수   


493. ② (ii)  ≥ 일 때, 함수      이므로 함수     의

적분 구간   ≤  ≤  에서 항상    ≥ 이거나 항상 
그래프는 함수  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 만큼

 
 
   ≤ 이면

       이다.

평행이동시킨 그래프이다.
(가), (나)에 의하여 두 함수         의 그래프와 두
 
 


    
   이려면   가 양수인 구간과

직선       의 개형은 아래와 같다.

  가 음수인 구간이 모두 존재해야 한다.
 ′        이므로   에서 극대,   에서
극소이다.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면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이므로 정수 의 개수는 이다.

494.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   에서 극소이자 최소이므로
 
    이므로
 

  






495. ⑤ 497. ⑤
(나) 조건에 의해      ≦  일 때 ′         ≦  점 P   과 원           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이어야 하고,   가 원점을 지나므로   이어야 한다. 한편,

         이다.
닫힌구간    에서   ≦  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ㄱ)  
   이 최대가 되려면    이어야 하고, 이때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에서 극대,   에서 극소를 갖는다. (참)  



         

ㄴ)  
   이 최대가 되려면 역시    이어야 하고,




오직 한 개로 존재한다. (참)
            



● 3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8. [정답] ④
      이라 하면
그러므로   는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일 때, 극댓값    
   
  일 때, 극솟값    을 갖는다.        ≤  ≤ 

따라서,   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    에서
 ′        
닫힌구간       에서    의 최댓값은
(ⅰ)      일 때
  의 최댓값은     일 때 이므로
따라서,  ≤  ≤ 
 에서 함수 의 최댓값 는             
     ≤  ≤  (ⅱ   ≥  일 때

     ≤  ≤     과    의 대소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의 최댓값은    일 때 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ⅰ), (ⅱ)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고      이다.
501. 4, 1

502. ①
49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