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4

[연습문제 1.

1]

1.
    는 이하의 자연수 
   ∊   는 n의 배수 
라 하자.
(1) 구하는 수는 집합  
 ∩  의 원소의 수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구하는 수는 집합   
 ∩  ∩  의 원소의 수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A, B, C, D, E의 순서로 색칠한다면
A를 칠하는 방법의 수: k 가지
B를 칠하는 방법의 수: A의 색을 제외한 k-1 가지
C를 칠하는 방법의 수: A, B의 색을 제외한 k-2 가지
D, E도 비슷하게 생각하여 각각 k-2 가지가 있으므로 곱의 법칙에 의하여
k(k-1)(k-2)(k-2)(k-2)=

B C D E

3. 길이가 4인 단어를 ○○○○라 하자.


(1) (a) 각 ○에 a,b,c,d,e,f 중 어느 것도 좋으므로 6가지의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곱
의 법칙에 의해
(b) 전체에서 b가 없는 경우의 수 을 제외하면 되므로
(2) (a)○○○○:
(b) ⓑ○○○: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c) a, b가 이웃에 위치하며 a가 b의 왼쪽에 위치할 경우: 아래 그림처럼


ⓐⓑ○○:
○ⓐⓑ○:
○○ⓐⓑ:
비슷하게 a, b가 이웃에 위치하며 b가 a의 왼쪽에 위치할 경우: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d) ⓐⓑ○○, ⓐ○ⓑ○, ⓐ○○ⓑ, ○ⓐⓑ○, ○ⓐ○ⓑ, ○○ⓐⓑ의 6가지 경우가
있고 각각의 경우에 의 경우가 있으므로

4. 다음과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 보자.


① 영어책과 불어책을 뽑는 경우 : 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5×6=30
② 영어책과 한글책을 뽑는 경우 : 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5×8=40
③ 불어책과 한글책을 뽑는 경우 : 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6×8=48
위의 세 경우는 서로 공통이 없으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30+40+48=118 가지이다.

5. 먼저 1의 자리에 5가 나오는 수의 개수를 살펴보자.


한 자리 수: 5 뿐이므로 1
두 자리 수 ○⑤: 9가지
세 자리 수 ○○⑤: 9×10=90가지
네 자리 수 ○○○⑤: 9×10×10=900가지
다섯 자리 수 ○○○○⑤: 9×10×10×10=9000가지
따라서 1의 자리에 5가 나오는 수의 개수는 1+9+90+900+9000=10000가지이다.
마찬가지로 10의 자리, 100의 자리, 1000의 자리, 10000의 자리에 5가 나오는 수
의 개수도 각각 10000이므로 50000개이다.
다른 풀이: 1부터 100,000까지의 수에 나오는 5의 개수와 0부터 99999까지의 수
에 나오는 5의 개수는 같다. 이제 0=00000, 1=00001, 15=00015처럼 쓰면 0부터
99999까지의 수에 이용되는 모든 숫자의 개수는 5×100000이고 0부터 9까지 똑같
은 개수가 이용되므로 5의 개수는 (5×100000)÷10=50000이다.
6. 세 개의 서로 다른 주사위를 던질 때 나오는 수가 각각 a,b,c라 하면 (a,b,c)로
나타내자. 나오는 세 수 중 가장 큰 수가 가장 작은 수의 두 배가 되는 경우는
(1,2,2), (2,1,2), (2,2,1), (1,1,2), (1,2,1), (2,1,1)
(2,2,4), (2,4,2), (4,2,2), (2,4,4), (4,2,4), (4,4,2)
(2,3,4), (2,4,3), (3,2,4), (3,4,2), (4,2,3), (4,3,2)
(3,3,6), (3,6,3), (6,3,3), (3,6,6), (6,3,6), (6,6,3)
(3,4,6), (3,6,4), (4,3,6), (4,6,3), (6,3,4), (6,4,3)
(3,5,6), (3,6,5), (5,3,6), (5,6,3), (6,3,5), (6,5,3)
뿐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6이다.

7. (1) 첫 번째 바둑돌을 놓는 방법의 수는 64, 두 번째 바둑돌을 첫 번째 바둑돌


과 같은 행이나 같은 열에 오지 않도록 놓는 방법의 수는 64-(7+8)=49이므로 곱
의 법칙에 의하여 64×49=3136이다. 그러나 두 바둑돌을 바꾸어도 같은 것이 되므
로 실제로 구하는 수는 위에서 얻은 수를 2로 나눈 3136/2=1568이다.
(2) 처음 놓는 바둑돌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하자.
(a) 첫 번째 바둑돌을 맨 바깥에 놓는 경우: 첫 번째 바둑돌을 놓는 방법의 수는
28, 두 번째 바둑돌을 첫 번째 바둑돌과 같은 행이나 같은 열, 같은 대각선에 오지
않도록 놓는 방법의 수는 64-(8+7+7)=42이고 두 바둑돌을 서로 바꾸어도 같은

것이 되므로 구하는 수는 28×42×  =588이다.

(b) 첫 번째 바둑돌을 맨 바깥에서 두 번째 안에 놓는 경우: (a)와 비슷하게 생각하

(c) 첫 번째 바둑돌을 맨 바깥에서 세 번째 안에 놓는 경우:

(d) 첫 번째 바둑돌을 맨 바깥에서 네 번째 안에 놓는 경우:

위의 (a)-(d)로부터 구하는 수는 588+400+228+72=1288이다.

8. 3, 4, 4, 5, 5, 6, 7, 7, 7에서 한 개 이상의 수를 뽑아 곱하여 얻어지는 수는


꼴이다. 여기서 는 0이나 1, 는 0나 1, 2 중에서 하나, c는 0
나 1, 2 중에서 하나, 는 0이나 1, 는 0나 1, 2, 3중에서 하나이므로 모든 경우
의 수는 2×3×3×2×4=144이다. 여기서 이면 1이 되고 1은 위
의 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수가 아니므로 제외하면 구하는 수는 144-1=143이다.

9. 예를 들어 1,3,5를 뽑아 합하면 9가 되고 어떤 다른 수를 뽑아 더해도 9는 되지


않는다. 즉, 위의 수에서 한 개 이상의 수를 뽑아 더하여 생기는 수의 개수는 집합
{1, 3, 5, 10, 20, 50, 82}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고, 따라서 구하
는 수는 이다.

10. 4의 배수가 되려면 마지막 두 자리가 4의 배수가 되어야 하므로 ○12, ○24,
○32, ○44, ○52의 꼴 중 하나이고 ○에는 1, 2, 3, 4, 5 중 한 수이므로 4의 배
수의 개수는 5×5=25이다.

11. 과일 꾸러미에 들어가는 사과, 감, 배의 개수를 각각 a, b, c라 하자. 그러면


a는 0,1,2,…,n 중 하나이므로 n+1 경우가 있고 마찬가지로 b, c도 각각 n+1의 경
우가 있다. 여기서 이면 바구니에 아무런 과일도 없게 되어 제외해야
하므로 구하는 과일 꾸러미 종류의 수는                   
이다.

12. 다음과 같은 9가지 밖에 없다.


2143 2341 2413
3142 3412 3421
4123 4312 4321

13. 6=5+1=4+2=3+3=4+1+1=3+2+1=2+2+2
=3+1+1+1=2+2+1+1=2+1+1+1+1=1+1+1+1+1+1
이므로 11가지이다.

14. {1,2,3,4}={1}∪{2,3,4}={2}∪{1,3,4}={3}∪{1,2,4}={4}∪{1,2,3}
={1,2}∪{3,4}={1,3}∪{2,4}={1,4}∪{2,3}={1}∪{2}∪{3,4}
={1}∪{3}∪{2,4}={1}∪{4}∪{2,3}={2}∪{3}∪{1,4}
={2}∪{4}∪{1,3}={3}∪{4}∪{1,2} ={1}∪{2}∪{3}∪{4}
이므로 15가지이다.

15. (1) 50원짜리 동전을 모두 10원짜리 동전으로 바꾸어 10원짜리 22개로 생각하
면 이 동전으로 낼 수 있는 금액의 경우의 수는 22이다.
(2) 10원짜리 동전을 낼 수 있는 방법은 0,1,2,…,7 중에 하나이므로 8가지, 50원짜
리 동전을 낼 수 있는 방법은 0,1,2,3 중에 하나이므로 4가지이고 모두 0인 것은
제외해야 하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  이다.

16. A, B, C, D의 순서로 색칠한다면


A를 칠하는 방법의 수: k 가지
B를 칠하는 방법의 수: A의 색을 제외한 k-1 가지
C를 칠하는 방법의 수: A, B의 색을 제외한 k-2 가지
D를 칠하는 방법의 수: C의 색을 제외한 k-1 가지
따라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k(k-1)(k-2)(k-1)=

A
C D
B

17. 귤, 사과, 배의 수를 각각    라 하면        , 즉


     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이다.
①    인 경우             
②    인 경우          
③    인 경우       
④    인 경우      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7이다.

18.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여섯 자리 자연수를 ○○○○○○라고 하자. 그러면


첫째 자리는 ⋯ 중에 하나이므로 가지 경우가 있고 둘째 자리부터 다섯째
자리까지는 ⋯ 중에 하나이므로 각각 가지 경우가 있다. 앞 다섯 자리수
의 합이 짝수이면 여섯째 자리는 짝수이어야 하고, 그 합이 홀수이면 여섯째 자리
는 홀수이어야 하므로 항상 5가지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
이다.

19.  의 각 원소는 집합    셋 중에 정확
           라 하면
히 한 개에만 속하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의 원소를    에 분배하는 경우의
수인  이다.

  
20. 자연수 이      ⋯   (⋯ 는 서로 다른 소수)로 소인수분해된다고
하자. 그러면 의 약수의 개수는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홀수 ⇔       ⋯   : 모두 홀수
⇔   ⋯ : 모두 짝수
따라서 이 경우
  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이고      ⋯  는 자연수이다.
[연습문제 1.2]

1. 공에 1,2,3,4,5,6,7로 번호를 매기고 번호 순서대로 상자에 넣는다고 하자. 1번


공 넣는 방법은 8가지, 2번 공 넣는 방법은 7가지,…, 7번 공 넣는 방법은 2가지이
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이다.

2. aaa, aab, aac, aba, abb, abc, aca, acb, acc


baa, bab, bac, bba, bbb, bbc, bca, bcb, bcc
caa, cab, cac, cba, cbb, cbc, cca, ccb, ccc

3. ∏    

4. A에서 B로 가는 함수의 개수: ∏  

A에서 B로 가는 일대일 대응 함수의 개수:   ⋅⋅⋅⋅

5. aaabb aabab aabba abaab ababa


abbaa baaab baaba babaa bbaaa


6. D와 N을 같은 문자로 생각하여 이다.


7.

(1) 위의 그림에서 아래로 한 칸 가는 것을 a, 왼쪽으로 한 칸 가는 것을 b라 하자.


A에서 B로의 최단경로가 주어지면 A에서부터 차례로 길을 읽으면 a,a,a,a,b,b,b로
이루어진 순열이 된다. 분명히 이 대응은 역이 가능하므로 일대일대응이다. 예를 들
어 위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최단경로는 순열 abbabaa에 대응된다.
(2) 위의 (1)에 의하여 A에서 B로의 최단경로의 수는 a,a,a,a,b,b,b로 이루어진 순
  
열의 수와 같고 이런 순열의 수는 이다.

  
8. a, a, b, c로 이루어진 직순열은 이고 4개의 직순열이 하나의 원순열을

  
이루므로 a, a, b, c로 이루어진 원순열의 수는 이다.

9. 빨간색 구슬을 a, 파란색 구슬을 b, 노란색 구슬을 c라 하면 이 구슬로 만들 수


있는 원순열은 아래 그림처럼 3가지뿐이다. (연습문제 8번 참조)
a a a

b a a b c b

c c a

위의 원순열을 이용하여 목걸이를 만들 때 처음 두 원순열은 같은 것이 되므로 목


걸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은 2가지이다.

10. 첫째자리는 0이 아닌 숫자이므로 9가지 경우가 있고 다른 자리는 바로 앞자리


에 있는 숫자를 제외한 숫자가 나와야 하므로 각각 9가지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
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 ×  ×⋯×    이다.

11. 한 명의 심사위원이 10명의 신입사원의 순위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이다.


따라서 세 명의 심사위원이 10명의 신입사원의 순위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이다.

12. 1,2,3으로 이루어진 n자리 자연수의 개수에서 같은 숫자가 연속으로 나오지 않


는 수의 개수를 뺀다. 물론 1,2,3으로 이루어진 n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 이다. 이
제 같은 숫자가 연속으로 나오지 않는 n자리 자연수의 개수를 구해보자. 첫째자리
는 1,2,3 중의 하나이므로 3가지 경우가 있고 다른 자리는 바로 앞자리에 있는 숫
자를 제외한 숫자가 나와야 하므로 각각 2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같은 숫자가 연속
으로 나오지 않는 n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이다.

  
13. (1) 12명이 원탁에 앉는 방법의 수는 이다. (a)처럼 정사각형 모양의

책상에 앉는 방법의 수는 왼쪽, 가운데, 오른쪽에 앉는 것이 모두 다르므로 원탁에
앉는 방법의 수의 3배이고, 따라서 구하는 수는 ⋅ 이다.
  
(2) 10명이 원탁에 앉는 방법의 수는 이다. (b)처럼 직사각형 모양의 책상

에 앉는 방법의 수는 2명이 앉을 경우 왼쪽과 오른쪽, 3명이 앉을 경우 왼쪽, 가운
데, 오른쪽에 앉는 것이 모두 다르므로 원탁에 앉는 방법의 수의 5배이고, 따라서
구하는 수는 ⋅ 이다.

14. (1)    ×  이고    ×  이므로 과 의 최대공약수는
 ×  이다. 따라서 과 의 공약수의 개수는  ×  의 약수의 개수인
         이다.
(2) 의 약수의 집합을  , 의 약수의 집합을  라 하면 구하는 수는 ∪ 
이다. 따라서 합의 법칙과 위의 (1)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5자리 자연수에서


     는 5자리 자연수}
   ∊    는 0을 포함하지 않음}
   ∊    는 9를 포함하지 않음}
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16. (1) 사전식순서로 나열할 때 순열    보다 앞에 나오는 순열은 다음


세 형태 중에 하나이다. 여기서 는 앞에서 사용된 숫자를 제외하고는 어떤 숫자
를 사용해도 좋다.

1 :  가지
2 1 3 4 :  가지
2 1 3 5 :  가지
그러므로    는   ⋅     번째에 나열된다.
(2) 35번째에 나열되는 순열을  라고 하자.    이므로 순열  는 1부터 시작되
고,    이므로 12로 시작된다. 또 123으로 시작하는 마지막 순열 1236754는
   번째에 나열되고, 124로 시작하는 마지막 순열 1247653는 ⋅   번째
에 나열되므로  는 124로 시작된다. 1243로 시작되는 순열은 3!=6개이고 1245로
시작되는 순열도 3!=6개이므로 1245로 시작하는 맨 마지막의 순열 1245763은
24+6+6=36번째에 나열된다. 따라서 35번째에 나열되는 순열  은 순열 1245763
의 바로 앞에 나열되는 1245736이다.

17. (1)  ≤  ≤   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의 순열을


사전식순서로 나열하고 처음부터 ⋯로 번호를 붙여보자. 이럴 때 번호가  인
순열     ⋯    는 유일하게 결정된다. 한편,  ≤  ≤  인 각  에 대하여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         이다.  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2) 위 (1)에서 맨 마지막에 오는 순열       ⋯  이고 그 번호는
      이다. 한편,  앞에 나열되는 순열을 생각하여 보자.
① ⋯으로 시작되는 순열: 각각 씩 있고 모두 ⋅ 개이다.
②     ⋯   로 시작되는 순열: 각각  씩 있고
모두  ⋅  개이다.
③     ⋯   로 시작되는 순열: 각각  씩 있고
모두  ⋅  개이다.
위의 과정을 계속하면 ⋅  ⋅ ⋯ ⋅        이다.

18. 남자를 O, 여자를 X로 나타내자.


(1) OXOXOXOXOX 또는 XOXOXOXOXO의 형태이고 각 형태에서 남자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  , 여자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2) 모든 사람이 적어도 2명 이상 같은 성별끼리 붙어있게 배열해야 한다. 이런 조
건을 만족하며 남자가 맨 앞에 오도록 배열하면 다음의 7가지 형태 중 하나이고
OOXXXXXOOO, OOXXXOOOXX, OOXXOOOXXX, OOOXXXXXOO
OOOXXXOOXX, OOOXXOOXXX, OOOOOXXXXX
여자가 맨 앞에 올 때도 마찬가지이므로 모두 14가지 형태가 있다. 각각의 형태의
경우의 수는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19. 다음과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여 보자.
① 같은 문자의 개수가 5, 3, 2일 때: 문자의 개수가 5, 3, 2인 a, b, c를 결정하는
방법의 수는 6이고 10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방법의 수는
       
이므로 같은 문자의 개수가 5, 3, 2가 되는 10자리 수열의
 

수는 ⋅ 이다.

② 같은 문자의 개수가 4, 4, 2일 때: 4개인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이고
     
이런 10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방법의 수는   이므로
 

같은 문자의 개수가 4, 4, 2가 되는 10자리 수열의 수는 ⋅ 이다.

③ 같은 문자의 개수가 3, 3, 4일 때: 3개인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이고
       
이런 10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방법의 수는 이므로
 

같은 문자의 개수가 3, 3, 4가 되는 10자리 수열의 수는 ⋅ 이다.

위의 ①과 ②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이다.

20. 빨간 공을 R, 파란 공을 B로 나타내자. 4개의 R과 4개의 B를 일렬로 나열하는


직순열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원순열을 만들어 보자.
① RBRBRBRB와 BRBRBRBR은 원형으로 배열하면 같은 원순열이 된다.
② RRBBRRBB, RBBRBBR, BBRRBBRR, BRRBBRRB는 원형으로 배열하면 같은
원순열이 된다.
  
③ 4개의 R과 4개의 B로 만들 수 있는 개의 직순열 중 위의 ①과 ②를

제외하면 모두 8개의 직순열이 1개의 원순열이 된다.
      
따라서 구하는 원순열의 수는 ①의 1개, ②의 1개, ③의 개로 모두

10개이다.

21. 한 걸음에 한 계단 오르는 것을 a, 두 계단 오르는 것을 b로 나타내자. 예를 들


어 10개의 계단을 두 걸음, 한 걸음, 두 걸음, 두 걸음, 한 걸음, 두 걸음의 순서로
오르는 방법은 babbab로 나타내진다.
① b의 수가 5일 때: a의 수는 0이고, 구하는 수는 5개의 b를 일렬로 배열하는 방
  
법의 수이므로 이다.

② b의 수가 4일 때: a의 수는 2이고, 구하는 수는 2개의 a와 4개의 b를 일렬로

배열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  이다.

③ b의 수가 3일 때: a의 수는 4이고, 구하는 수는 4개의 a와 3개의 b를 일렬로

배열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  이다.

④ b의 수가 2일 때: a의 수는 6이고, 구하는 수는 6개의 a와 2개의 b를 일렬로
  
배열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이다.

⑤ b의 수가 1일 때: a의 수는 8이고, 구하는 수는 8개의 a와 1개의 b를 일렬로
  
배열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이다.

⑥ b의 수가 0일 때: a의 수는 10이고, 구하는 수는 10개의 a와 0개의 b를 일렬로
  
배열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이다.
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          이다.

22. (1) 각각의 공을 나누어 주는 방법은 2가지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2) 전체에서 n개의 공을 한 사람에게만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를 뺀다. 위의 (1)에
의하여 전체 경우의 수는  이고 한 사람에게만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이다.
(3) 각각의 공을 나누어 주는 방법은 3가지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4) 세 사람을    라 하자. 서로 다른 n개의 공을 세 사람    에게 나누어
주는 방법의 집합을  라 하고 이런 방법 중에서    가 각각 하나의 공도 받지
못하도록 나누어 주는 방법의 집합을    라 하자. 그러면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이다.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수   ∩ 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3. CD를 나누어 주는 방법의 수는  , DVD를 나누어 주는 방법의 수는  , 테이


프를 나누어 주는 방법의 수는  이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다.
24. (1) 한 색으로 정사면체의 한 면을 칠하여 밑면으로 고정시키면 구하는 수는
나머지 3색으로 옆면을 색칠하는 경우의 수와 같다. 이는 3개의 서로 다른 공을 원
형으로 배열하는 수이므로         이다.
(2) 정육면체의 한 면에 1을 써서 밑면으로 고정시키자. 윗면에 쓰는 방법 5가지,
옆면에 쓰는 방법       가지이므로 구하는 수는 ⋅   이다.
(3) 정육면체의 한 면에 1을 써서 밑면으로 고정시키면 윗면도 7로 고정된다. 나머
지 숫자로 옆면에 쓰는 방법은 시계방향으로 2, 3, 5, 4 또는 2, 4, 5, 3 두 가지
뿐이므로 구하는 수는  이다.

25. A는 일곱 명의 친구를 하루에 세 명씩 일주일 동안 저녁식사에 초대하려고 한


다. 일곱 명의 친구 모두가 정확히 한번만 다른 모든 친구와 저녁식사를 할 수 있
도록 초대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라.
초대할 사람을 B, C, D, E, F, G, H라 하고 다음과 같이 조건에 맞게 세 명씩 일
곱 그룹으로 나눈 후 날짜를 지정한다.
① B를 포함한 그룹을 결정: C, D, E, F, G, H를 둘씩 세 그룹으로 나눈 후 B를
각 그룹에 넣는다. 예를 들어 세 그룹 {C, D}, {E, F}, {G, H}로 나누었다면 각 그
룹에 B를 넣어 {B, C, D}, {B, E, F}, {B, G, H}가 된다. 이렇게 나누는 방법의
수는

이다.
② 위 ①의 각 경우마다 조건에 맞게 C나 D를 포함하는 그룹을 결정하는 방법의
수는 항상 2이다. 예를 들어 ①에서 {B, C, D}, {B, E, F}, {B, G, H}였다면 C, D
를 넣는 방법은 다음 2 가지뿐이다.
(i) {C, E, G}, {D, F, G}, {C, F, H}, {D, E, H}
(ii) {C, E, H}, {D, F, H}, {C, F, G}, {D, E, G}
③ 일곱 그룹에 날짜 지정하는 방법의 수의 수는  이다.
위의 ①, ②, ③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이다.
[연습문제 1.3]


1. 7 명의 여자 중 두 명을 뽑을 수 있는 방법의 수는    이고 4 명의 남자


중 두 명을 뽑을 수 있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이다.

2.
(1)    ×   
 ×   
(2)  

(3) ∏    
 ×   
(4)    

3. 먼저 x를 배열한 후 배열의 맨 앞이나 맨 뒤 또는 두 x의 사이 9곳에 다섯 개


의 모음을 끼워 배열한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  ×  ×  ×  이다.

4. (1) 전체에서 가장 큰 수가 20이하인 경우의 수를 뺀다. 전체는 1에서 n까지의


 
수에서 네 수를 뽑는 경우의 수이므로
   이고 가장 큰 수가 20이하가 되도록 네
   
수를 뽑는 경우의 수는  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이다.

(2) 20을 뽑고 1에서 19까지 수에서 나머지 세 수를 뽑으면 되므로 구하는 경우의

수는    이다.

5. (1) 세 그룹을    라 하고    의 차례로 그룹을 만든다고 하자.

 을 만드는 방법의 수는 15명 중에서 5명을 뽑는 방법의 수이므로    이고, 

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나머지 10명 중에서 5명을 뽑는 방법의 수인    이며, 나

머지 5명으로  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1이므로    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
곱의 법칙에 의해      이다. 이 문제의 경우 그룹 사이에 구별이 없으므로 구

    
하는 경우의 수는 위에서 구한 수를  로 나눈 이다.

(2) A,B를 먼저 뽑아 놓고 생각하면 13명을 3명, 5명, 5명의 세 그룹으로 나누는

    
경우이고 (1)처럼 생각하면 이다.



6. (1) 1에서 19까지 자연수 중 4개의 수를 선택하는 조합이므로    이다.

(2) 1에서 20까지 자연수 중 중복을 허락하여 4개의 수를 선택하는 조합이므로


    이다.

7. 1, 2, 3으로 이루어진 n자리 수를 ○○…○○라 하자. n개의 ○에 k개를 선택하


 
여 1로 채우는 방법의 수는
   이고 나머지 ○에 2나 3으로 채우는 방법의 수는
 
   이므로 구하는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이다.

8.
(1)      이라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    ( 는 음
이 아닌 정수)이 되므로 방정식의 해의 수는       이다.
(2)      이라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    ( 는 음
이 아닌 정수)이 되므로 방정식의 해의 수는       이다.
(3)        로 치환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    (각  는 음이 아닌 정수)
이 되고 이런 방정식의 해의 수는       이다.

(4) 주어진 방정식           에서 이 0, 1, 2, 3, 4 5, 6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① 인 경우
방정식 의 해의 개수는 1이고, 방정식       의 해의 개수는

      이므로 이 경우 위의 방정식의 해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이다.
② 인 경우
방정식     의 해의 개수는 2이고, 방정식       의 해의 개수는

      이므로 이 경우 위의 방정식의 해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이다.
③ 인 경우: 135가지

④ 인 경우: 112가지
⑤ 인 경우: 75가지
⑥ 인 경우: 36가지

⑦ 인 경우: 7가지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의 수는 91+132+135+112+75+36+7=588이다.

9. 주어진 부등식은
(각 는 음이 아닌 정수)
와 같고 여기서 라 하면 위의 부등식은
(각 는 음이 아닌 정수)
이 되어 구하는 해의 수는       이다.

 
10. (1) n가지 종류에서 한 종류를 제외하는 방법의 수는      이다. 또 나머지

n-1의 종류에서 k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방정식


   ⋯      ( 는 양의 정수)
의 해의 개수와 같으므로 문제8의 (1)에 의해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
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      이다.
 
(2) n가지 종류에서 m 종류를 제외하는 방법의 수는  이다. 또 나머지 n-m의

종류에서 k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방정식


   ⋯      ( 는 양의 정수)
의 해의 개수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 
수는  ×        이다.

11. (1) 다섯 모음 중에서 2개를 선택하고, 21개의 자음 중에서 6개를 선택하여 모


⋅⋅
두 합친 8개를 배열한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2) 위 (1)에서 8개를 배열할 때, 두 모음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배열하고 모음끼
⋅⋅⋅
리 바꾸는 경우의 수를 곱한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12. n 명을     ⋯   이라 하자.

(1) 각자는 k 종류 중에서 한 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이다.


(2)  은  가지,  는     가지, … ,  은       가지를 선택할 수 있으
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  ⋯       이다.

(3) k 종류 중에서 두 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이다. 선택한 카드가  이

었다면 이 두 카드를 합하여 장 사는 방법은   ⋯ 로  



가지 이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  
 이다.

(4) k 종류 중에서 두 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이므로 각자가 받을 수 있는
 
방법의 수는  이고,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이다.

13.  개의 똑같은 공을 뽑았다면 서로 다른 공에서    개를 뽑아야 하고 그런


  
방법의 수는    이다. 여기서  는    ⋯  중의 하나이므로 구하는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4.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이 되고 (*)와 (**)의 해의 개수는 각각 2H6, 3H15이므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


의 개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이다.

15. (1) 귤을 나누는 방법의 수는    이고 사과를 나누는 방법의 수는 이


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이다.
(2) ① 두 명이 각각 귤 2개씩을 가질 때
귤을 갖는 두 명을 고르는 방법의 수는 5C2=10, 나머지 3명이 6개의 서로 다른 사
과를 두 개씩 나누어 갖는 방법의 수는 6C2 4C2 2C2=90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
구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10 90=900이다.
② 귤 4개를 어느 한 명이 2개, 어느 두 명이 1개씩 가질 때
귤 2개 갖는 사람을 뽑는 경우의 수는 5C1=5, 남은 4명 중 귤 하나를 갖는 2사람
을 뽑는 경우의 수 4C2=6, 남은 사과 6개를 2개, 2개, 1개, 1개로 갈라 갖는 방법
의 수는 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 구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5 6 180=5400가지.
③ 4명이 귤을 1개씩 가질 때
귤을 갖는 4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5C4=5이고 6개의 남은 사과를 다섯 사람에게
(2, 1, 1, 1, 1)로 나누는 방법의 수는 6C2 4C1 3C1 2C1=360이다. 따라서 이 경
우에 구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360 5=1800이다.
위의 세 경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900+5400+1800=8100이다.

16. 주어진 방정식의 자연수의 해의 개수에서 해가 모두 홀수인 해의 개수를 뺀다.


이 방정식의 자연수해의 개수는           이다. 한편 각  가
홀수이면      로 치환하여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이 되고 이런 방정식의 해의 수는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이다.

17.  ≤  ≤  인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이 짝수이면   일 때의 값  가 최대이다. 한편  이 홀수이

     
면          이고 이 값이 최대가 된다.

18.      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정수이므로 분모에 있는 모든 수는 분자와 약분되어 없어진다. 이 때 분모의 모
든 수는  보다 작고  는 소수이므로 분자에 있는  는 그 어느 것과도 약분되지 않
   
는다. 즉,
 가 약분되어 정수가 될 때 분자의 는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 는
의 배수이다.

19. (1) 가로로 가는 것을 x, 세로로 가는 것을 y로


나타내면 A에서 B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는 6개의 x와 5개의 y를 일렬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그 수는 11C6=11!/6!5!=462이다.

(2) A에서 B로 가는 최단경로 중 점 C를 지나는 것은 A에서 C까지의 최단경로와


C에서 B까지의 최단경로를 이은 것이다. 점 A에서 점 C까지의 최단 경로의 수는
5C3=10이고 점 C에서 점 B까지의 최단 경로의 수는 6C3=20이므로 구하는 최단경
로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20 10=200이다.
(3) A에서 B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에서 길 e를 지나는 최단경로의 수를 뺀다. A에
서 B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는 462이고, 길 e를 지나는 A에서 B로 가는 최단경로
의 수는 A→P→Q→B로 생각하여 이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62-60=402이다.

P Q

20. (1) 순열      ⋯    은 서로 다른  개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 개를 뽑


아 일렬로 배열한 것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이다.
(2) 순열      ⋯    은 서로 다른  개에서  개를 뽑아 일렬로 배열한 것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    ⋯       이다.
(3)       ⋯    은 서로 다른  개의 수에서  개를 뽑은 조합이고 이런

조합의 수는         ⋯       이다.

(4)       ⋯    은 서로 다른  개의 수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 개를 뽑은
조합이고 이런 조합의 수는        이다.

21. 원 위의 한 점을 1이라 하고 나머지 점을 시계 방향의 순서대로   ⋯  이


라 하자. 이제 1이 뽑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여 보자.
① 1이 뽑히는 경우:  와  은 뽑힐 수 없으므로  부터    까지의 수에서 연속되
지 않게     개를 뽑는 방법의 수이고, 이는 예제1.3.10에 의해
이다.
② 1이 뽑히지 않는 경우:  부터  까지의 수에서 연속되지 않게  개를 뽑는 방법
의 수이고, 이는 다시 예제1.3.10에 의해

이다.
위의 두 경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2. 10=3+2+2+2+1이면 · 과 |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따라서 10을 몇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는· 사이에 |를 그어 10
개의 · 을 나누는 방법의 수와 같다. · 과 · 사이에는 9 군데가 있고 각각의 곳에
|를 끼워 넣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 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이다.

23. (1) 원의 내부에 만들어지는 교점은 원 위에 4개의 점을 선택하여 만든 사각형


의 대각선이 만난 점이므로 교점의 수는 n개의 꼭지점에서 네 개를 선택하는 방법
 
의 수    이다.

(2) 원의 내부에서 교점이 생길 때마다 원에서 부분이 하나씩 생기기 때문에 원의


 
내부에 있는 교점의 수
   만큼 부분이 생긴다. 또 원 위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을
그을 때마다 부분이 하나씩 생기므로 원 위에 n개의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선분의
 

   만큼 새로운 부분이 생긴다. 원에는 원래 하나의 부분이 있으므로 구하는
      
모든 부분의 수는 이다.
 
[연습문제 1.4]

   
1. ①    일 때 좌변=        =우변이므로 성립한다.

②  ≥  일 때 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고 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모든 자연수에 대하여 이항정리가 성립한다.


2.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4. (1)        에서  의 계수는       이고,       에서  의 계수

         
는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2)     에서  의 계수는    이고,        에서  의 계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5. (1) 예제1.4.5-(4)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예제1.4.7-(3)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예제1.4.5-(2)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예제1.4.1과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 ⋯ 
(2)       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    차 항은  를    번

선택하고   ⋯ 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곱한 것이므로    의 계수는


   ⋯  이다.
(3)       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    차 항은  를    번

선택하고   ⋯  중에서 둘을 선택하여 곱한 것이므로    의 계수는

   ⋯     


≤≤
  이다.

(4)       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    차 항은  를    번

선택하고   ⋯  중에서  개를 선택하여 곱한 것이므로    의 계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7. 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계수는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위 식의 맨 마지막 식에서  의 계수는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8.       명 중에  명을 뽑아 사탕을 주고 사탕 받은  명 중에  명을 뽑아
    
귤을 주는 방법의 수는      이다.       명 중에  명을 뽑아 사탕과
귤을 주고 나머지     중에 을 뽑아 사탕을 주는 방법의 수는
      
     이다. 위의 두 방법의 결과는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예제1.4.1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9. ①    일 때는 좌변=우변=1로 성립한다.
②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 위의 등식은 모든 음이 아닌 정수  에 대하여 성립한다.

    
10.        은 집합   ⋯       중에서       개의 원소를 뽑는

방법의 수이다. 이렇게 뽑혀진       개의 원소 중에서     번째로 작은 원


소가    라면 집합   ⋯   에서  개의 원소를,       ⋯      
    
에서  개의 원소를 뽑아야 하므로 그 경우의 수는     이다. 여기서
      ⋯      중에 하나이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11.  명 중에  명을 뽑아 사과나 배 둘 중에서 하나를 주는 방법의 수는  

이다. 한편, 이처럼 사과와 배를 나누어 주었을 때 사과와 배를 받은 사람이 각각


     
 명과    명이 되는 경우의 수는      이다. 여기서  는    ⋯  중

의 한 수이므로  명 중에  명을 뽑아 사과나 배 둘 중에서 하나를 주는 방법의


  
수   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이다.

12. 일반화된 이항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 의 계수는
     이다.

13. (1)  개의 원소를 갖는 A의 한 부분집합을 선택하고 선택한 부분집합에서 한


⋅
원소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이다.  는    ⋯  이 될 수 있으므로 구하
 
는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이다.
(2) A의 한 원소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이고 선택한 원소를 포함하는 A의 부분
집합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구하는 수는 ⋅   이다.
(3) 집합 A의 한 부분집합을 선택하고 선택한 부분집합에서 한 원소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A의 한 원소를 선택하고 선택한 원소를 포함하는 A의 부분집합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위의 (1)과 (2)에 의하여

이다.

14.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5.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위의 식에서  의 계수  은      일 때의 계수의 합이 된다. 한편,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16. 문제1.4.14-(2)에 의하여           이고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위의 두 식에서  의 계수를 비교하여


   
 


 

이다.

17. 이항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양변에 정적분  
을 취하면 좌변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우변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연습문제 1.5]

1. 7=7 → (7)
=6+1=5+2=4+3 → (6,1), (5,2), (4,3)
=5+1+1=4+2+1=3+3+1=3+2+2 → (5,1,1), (4,2,1), (3,3,1), (3,2,2)
=4+1+1+1=3+2+1+1=2+2+2+1 → (4,1,1,1), (3,2,1,1), (2,2,2,1)
=3+1+1+1+1=2+2+1+1+1 → (3,1,1,1,1), (2,2,1,1,1)
=2+1+1+1+1+1 → (2,1,1,1,1,1)
=1+1+1+1+1+1+1 → (1,1,1,1,1,1,1)
따라서
p(7,1)=1, p(7,2)=3, p(7,3)=4, p(7,4)=3, p(7,5)=2, p(7,6)=1, p(7,7)=1
이고 p(7)=1+3+4+3+2+1+1=15이다.

2. (1) (3,3,1), (3,2,2), (3,2,1,1), (3,1,1,1,1), (2,2,1,1,1)


(2,2,2,1), (2,1,1,1,1,1), (1,1,1,1,1,1,1)
(2) (7), (6,1), (5,2), (4,3), (5,1,1), (4,2,1), (3,3,1), (3,2,2)
(3) (3,3,1)↔(3,2,2) (3,2,2)↔(3,3,1) (3,2,1,1)↔(4,2,1)
(3,1,1,1,1)↔(5,1,1) (2,2,1,1,1)↔(5,2) (2,2,2,1)↔(4,3)
(2,1,1,1,1,1)↔(6,1) (1,1,1,1,1,1,1)↔(7)

3. (1) p(7,3)=4
(2) p(7,1)+p(7,2)+p(7,3)=1+3+4=8
(3) (4,3,0), (4,2,1), (3,3,1), (3,2,2)의 4개

4. (1) 방정식 (각 는 음이 아닌 정수)의


해의 개수는 7의 분할의 수와 같으므로 p(7)=15이다.
(2) 방정식 (각 는 음이 아닌 정수)의 해의 개수는 최대
부분이 4 이하인 7의 분할의 수와 같고 이는 부분의 수가 4 이하인 7의 분할의 수
와 같으므로 구하는 수는 p(7,1)+p(7,2)+p(7,3)+p(7,4)=1+3+4+3=11이다.

5. 의 분할       를 생각하여 보자.  의 페러다이어그램에서 3개의 부분


을 갖는 의 분할     의 페러다이어그램을 제거하면 나머지는 3개의 부
분을 갖고 각 부분이 보다 작은 의 분할     의 페러다이어그램
이다. 역으로  의 페러다이어그램에서 3개의 부분을 갖고 각 부분이 보다 작은
의 분할의 페러다이어그램을 제거하면 나머지는 3개의 부분을 갖는 의 분할의
페러다이어그램이다. 따라서 이런 대응은 일대일 대응이므로 두 분할의 수는 같다.
6.     를 2개의 부분을 갖는 n의 분할이라 하자. 그러면
      ≥ 
이다. 위의 두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   의 수는 ⌊ ⌋이므로
     ⌊ ⌋
이다. 여기서
 
 이 짝수)

⌊ ⌋    
 이 홀수)
 

한편, n-1개의 부분을 갖는 n의 분할은 (2,1,1,…,1) 하나뿐이므로 p(n,n-1)=1이다.

7. 예제1.5.6의 등식 p(n,r)=p(n-1,r-1)+p(n-r,r)을 연속 사용하여


p(n,r)=p(n-1,r-1)+p(n-r,r)
=p(n-2,r-2)+p(n-r,r-1)+p(n-r,r)
=p(n-3,r-3)+p(n-r,r-2)+p(n-r,r-1)+p(n-r,r)

=p(n-r,0)+p(n-r,1)+p(n-r,2)+…+p(n-r,r-2)+p(n-r,r-1)+p(n-r,r)
=p(n-r,1)+p(n-r,2)+…+p(n-r,r-2)+p(n-r,r-1)+p(n-r,r)

8. 각 부분이 모두 짝수인 의 분할  의 공액분할  은 각 부분이 짝수번씩 나오


는 의 분할이다. 역으로 각 부분이 짝수번씩 나오는 의 분할  의 공액분할  은
각 부분이 모두 짝수인 의 분할이다. 그러므로
A={  |  는 각 부분이 모두 짝수인 n의 분할}
B={  |  는 각 부분이 짝수번씩 나오는 n의 분할}
일 때
 ( )= = 의 공액분할
로 정의되는 함수  :A→B는 전단사함수이고, 따라서 두 집합 A와 B의 원소의 수
는 같다.

9. 문제7의 등식을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0. 문제7의 등식을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다.

11. 문제7의 등식을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   는 최대 부분이  인  의 분할의 수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는 각 부분이 이하인 의 분할의 수와 같다.

12.

A={  |  는 서로 다른 부분을 갖고 있는 의 분할}

B={  |  는 부분을 갖고 있는 의 분할}


이라 하자.       ⋯    가 집합 A의 원소라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의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은 집합 B의 원소이다. 이런 대응은 분명히 역대
응이 가능하므로 두 집합 A와 B의 원소의 수는 같다.

13.     ⋯   를 각 부분이 10을 넘지 않으며 7개의 부분을 갖는 20의 분


할이라 하고 분할     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공액분할
그러면  는 최대 부분이 10이고 8개의 부분을 갖는 30의 분할,  는 최대 부분이 9
이고 많아야 8개의 부분을 갖는 22의 분할,   은 각 부분이 8을 넘지 않고 9개의
부분을 갖는 22의 분할이다. 이제 다음과 같은 대응을 생각하여 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공액분할
위에 나타난 각각의 대응은 일대일대응이므로 분할  를 분할   으로 보내는 대응도
일대일대응이다. 따라서 각 부분이 10을 넘지 않으며 7개의 부분을 갖는 20의 분
할의 수는 각 부분이 8을 넘지 않으며 9개의 부분을 갖는 22의 분할의 수와 같다.
예를 들어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4. (1) 방정식         ≥  ≥  ≥   의 모든 정수해는


(7,0,0), (6,1,0), (5,2,0), (4,3,0), (5,1,1), (4,2,1), (3,3,1), (3,2,2)
이므로       이다.
(2) A={  |  는 개의 부분을 갖는  의 분할}
B={  ⋯   |   ⋯       ≥  ≥⋯≥  ≥   ,  는 정수}
라 하자.       ⋯    가 집합 A의 원소라면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로 정의하면
   ⋯       ≥  ≥⋯≥  ≥   ,  는 정수
이므로   ⋯   는 집합 B의 원소이다. 이런 대응은 분명히 역대응이 가능하므
로 두 집합 A와 B의 원소의 수는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이다.

15.
(1) 1 →     
2 →     
3=2+1 →     
4=3+1 →     
5=4+1=3+2 →     
6=5+1=4+2=3+2+1 →     
7=6+1=5+2=4+3=4+2+1 →     
(2) 1→     
1+1→     
3=1+1+1→     
3+1=1+1+1+1→     
5=3+1+1=1+1+1+1+1→     
5+1=3+3=3+1+1+1=1+1+1+1+1+1 →     
7=5+1+1=3+3+1=3+1+1+1+1=1+1+1+1+1+1+1→     
(3) 예를 통하여 전단사함수를 만들어 보자.    은 모든 부분이 홀수인
114의 분할이다.  의 지수식 표현에 나타난 각각의 지수를 2의 거듭제곱의 합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며 마지막 식에 나타난 수로 만든 분할           은 서로 다른
부분을 갖는 114의 분할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런 대응은 역이 가능하므로 일대일
대응이고 따라서        이다.
[연습문제 1.6]

1. (1) S(9,3)
 
(2) 에서
 가지 방법으로 세 원소를 뽑아 집합 A를 만들고, 나머지 원소에서

 가지 방법으로 세 원소를 뽑아 집합 B를 만들며, 남은 세 원소로 집합 C를 만든
다. 따라서 를 위처럼 세 집합 A, B, C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

하여
 이다. 이 문제에서는 세 집합 사이에 구별이 없으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
는 위의 수를  로 나눈



이다.

2. (1)
① 두 블록을 갖는 분할: {{1,2,3,4},{5}}
② 세 블록을 갖는 분할: {{1},{2,3,4},{5}}, {{2},{1,3,4},{5}}, {{3},{1,2,4},{5}},
{{4},{1,2,3},{5}}, {{1,2},{3,4},{5}}, {{1,3},{2,4},{5}}, {{1,4},{2,3},{5}}
③ 네 블록을 갖는 분할: {{1},{2},{3,4},{5}}, {{1},{3},{2,4},{5}},
{{1},{4},{2,3},{5}}, {{2},{3},{1,4},{5}}, {{2},{4},{1,3},{5}},
{{3},{4},{1,2},{5}}
④ 다섯 블록을 갖는 분할: {{1},{2},{3},{4},{5}}
(2)
{{1,5},{2},{3,4}}, {{1},{2,5},{3,4}}, {{1},{2},{3,4,5}},
{{1,5},{3},{2,4}}, {{1},{3,5},{2,4}}, {{1},{3},{2,4,5}},
{{1,5},{4},{2,3}}, {{1},{4,5},{2,3}}, {{1},{4},{2,3,5}},
{{2,5},{3},{1,4}}, {{2},{3,5},{1,4}}, {{2},{3},{1,4,5}},
{{2,5},{4},{1,3}}, {{2},{4,5},{1,3}}, {{2},{4},{1,3,5}},
{{3,5},{4},{1,2}}, {{3},{4,5},{1,2}}, {{3},{4},{1,2,5}}

3. 사람의 집합을 ={1,2,3,4,5,6,7,8}, 여관의 집합을 ={a,b,c}라 하면 구하는 방


법의 수는 에서 로 가는 전사함수의 개수와 같은     이다.

4. (1) 집합 A={2,3,5,7,11,13}라 하자. 30,030을 세수 (2×3×5), (7×11), 13의


곱으로 나타내었다면 {{2,3,5}, {7,11}, {13}}은 세 블록을 갖는 집합 A의 분할이
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6-집합을 세 블록으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인
    이다.
(2) 집합 A를 3개 이하의 블록을 갖도록 분할하고 각 블록에 있는 모든 수의 곱을
곱하여 30,030을 세 개 이하의 자연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의 수
가 3이 아니면 나머지를 1로 놓아 세 자연수의 곱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2,3,5}, {7,11,13}}은 두 블록을 갖는 A의 분할이며 이 경우 30,030을 세 수 1,
2×3×5, 7×11×13의 곱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집합 A를 3개
이하의 블록을 갖도록 분할하는 경우의 수
             
이다.
5.   ∪∪라 하면  의 각 원소는 집합     넷 중에 정확히 한 개
에만 속하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의 원소를    에 분배하는 경우의 수인
 이다.

6. 집합 라 하자.
(1)     는 집합  를  블록으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이다. 이런  의 분할 중
에서 원소  이 포함된 블록  의 원소의 수가  인 경우의 수는  의 나머지 원소를
     
뽑는 방법의 수           와  를 제외한  의 나머지 원소로     블록

을 만드는 방법의 수         을 곱한
         
   
이다.  는   ⋯  중에 하나이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이다.
(2)    은 집합  를 분할하는 모든 방법의 수이다.  를 분할할 때 원소  이 포
함된 블록  의 원소의 수가  인 경우의 수는  의 나머지 원소를 뽑는 방법의 수
      
         와  를 제외한  의 나머지 원소로 분할을 만드는 방법의 수
     을 곱한
      
   
이다.  는   ⋯  중에 하나이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이다.

7. (1) 먼저 에서       로 가는 전단사함수의 개수를 구하여


보자.
    →  는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에서  로 가는 전사함수의 개수는 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에서  로 가는 전사함수의 개수는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2)    라 하자 . 그러면 위의 (1)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은 항상 홀수이므로        은 짝수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는 3의 배수이므로        도 3의 배수이다. 따라서        는 6
      
의 배수가 되어      ⋅ 은 3의 배수이다.


8. 라 하자. 그러면       는     개의 블록을 갖는  의


분할의 수이다. 이런 분할은 블록의 형태에 따라 다음 두 경우가 있다.
경우1:           ⋯   의 형태인 경우

 에서  가지 방법으로 세 원소를 뽑아 한 블록을 만들면 나머지     블록



 
은 자동적으로 결정되므로 이런 경우의 수는
   이다.
경우2:           ⋯   의 형태인 경우
 
 에서    가지 방법으로 네 원소     를 뽑아 다음과 같이
                 
두 블록을 만들면 나머지     블록은 자동적으로 결정되므로 이런 경우의 수
 
는 ⋅   이다.

위의 두 경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이다.

9. 예제1.6.6의 등식

과 예제1.4.7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0. (1)    일 때 좌변은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는


우변과 같으므로 위의 등식이 성립한다. 이제    이고  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
수에 대하여 위의 등식이 성립한다고 하자. 정의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위의 등식은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성립한다.
(2)  을  보다 큰 자연수라고 하자. 그러면 예제1.6.6-(2)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차 방정식       

   은 무한히 많은 근을 가지므로

      

  

이다.

11. 다음과 같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조 π π π 를 만들어


보자.
① 1, 2, …, n을 일렬로 배열한다.
② 위의 배열된 숫자와 숫자 사이에    개의 |를 그어  무더기로 나누고 앞의
무더기부터 차례로 π π π 라 한다.
  
①의 경우의 수는  이고 ②의 경우의 수는    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이다.

12. (1) 1→       


11→       
12→       
(2)          :{1, 2, …, n+1}→{1, 2, …, k}는 전사인 RG함수 라 하면
     의 원소의 개수는        이다.    ⋯    를      의 임의의
원소라 하면    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경우로 나눌 수 있다.
①    가 처음으로  인 경우:    ⋯  는 {1, 2, …, n}→{1, 2, …, k-1}
인 전사 RG함수이고, 따라서 이런 RG함수의 개수는        이다.
②  가 처음으로  인 경우 ( ≠     :    의 값은   ⋯  중 하나이고
   ⋯  는 {1, 2, …, n}→{1, 2, …, k}인 전사 RG함수이기 때문에 이런
RG함수의 개수는      이다.
위의 두 경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이다.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초기조건이 같고 다음과 같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은 점화관계를 가지므로          이다.
(4)    ⋯  가   의 한 원소이면           ⋯      는   
의 원소이고 RG함수  를 분할           ⋯      로 보내는 함수는
   와    사이의 전단사함수이다. 예를 들어 RG함수    는 분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대응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이다.

13. ⋯라 하자.  블록을 갖는  의 분할 중에서 ⋯가 모두 다른


블록에 포함되는 분할을 생각하여 보자. 먼저 ⋯의 각 숫자 하나만 포함하는
 개의 블록을 만들고 나머지 숫자     ⋯ 은 이미 만들어진  블록 중의

한 곳에 넣으면 되므로 그 방법의 수는  이다. 즉,  블록을 갖는 의 분할 중
 
에서 ⋯가 모두 다른 블록에 포함되는 분할의 수는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다른 쪽 부등식   ≤


  
    
 을 증명하기 위해 에 관한 수학적 귀납

법을 이용한다.

①   일 때   이므로        ≤ 


 

 
② ≤ 인 모든 에 관하여 부등식  ≤
 
 
 
이 성립한다고 하자.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위 부등식은  일 때도 성립한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이다.

14.
2개, 3개, 4개를 2개, 2개, 5개를 3개, 3개, 3개를
넣을 때 넣을 때 넣을 때
공: 구별
① ② ③
상자: 비구별
공: 구별
④ ⑤ ⑥
상자: 구별

① 9개 중에서 2개를 뽑아 한 상자에 넣고, 나머지 7개 중에서 3개를 뽑아 다음 상


자에 넣으며, 마지막 남은 4개 중에서 4개를 뽑아 마지막 상자에 넣는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이다.

② 9개 중에서 2개를 뽑아 한 상자에 넣고, 나머지 7개 중에서 2개를 뽑아 다음 상


자에 넣으며, 마지막 남은 5개 중에서 5개를 뽑아 마지막 상자에 넣는다. 그러나
처음에 넣은 상자와 두 번째 넣은 상자는 구별되지 않으므로 바꾸어도 마찬가지이

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이다.

③ 위 ②와 마찬가지로 생각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이다.

④ 위 ①의 방법으로 공을 넣은 상자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구하는 수

는 이다.

⑤ 위 ②의 방법으로 공을 넣은 상자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구하는 수

는 이다.

⑥ 위 ③의 방법으로 공을 넣은 상자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구하는 수


는 이다.
[연습문제 1.7]

1. 전체에서 짝수로 시작하여 짝수로 끝나는 순열의 개수를 뺀다.   ⋯  를 일렬


로 배열한 순열의 수는  이고 이런 순열 중에서 짝수로 시작하여 짝수로 끝나는
순열의 개수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이다.

2.   ⋯  로 이루어진 모든 순열의 집합  라 하고  의 부분집합    를 다


음과 같이 정의하면
   ∊   는 을 포함  ,
   ∊   는 을 포함  ,
   ∊   는 를 포함 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이다. 이는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 집합 {1,2,…,n}에서 집합 {1,2}로 가는 전사함수의 개수를 구하라.


전체집합       → :함수 의 원소의 수   는  이다.  의 두 개의 부분
집합   를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구하는 전사함수의 수는  ∩  이다. 이는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4.    으로 이루어진 모든 n자리 수의 집합  라 하고  의 부분집합 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   ∊   는 을 포함하지 않음  ,
   ∊   는 를 포함하지 않음 
   ∊   는 을 포함하지 않음 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이다. 이는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 을 정 각형의 꼭지점이라 하자.
 
(1)  개의 꼭지점에서 세 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   이다.
(2) 한 변  를 포함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    이다. 정 각형에는 모두  개
의 변이 있으므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     이다.
(3) 두 변   를 포함하는 오직 하나이다. 정 각형에는 인접한 변이 모두
 쌍 있으므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 이다.
(4) 전체 삼각형의 수에서 (2)와 (3)에서 구한 삼각형의 수를 빼어
        

6. a, b, c, d의 수를 각각 라 하면 (각 는 정수
이며 )이다.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방정식의 해는 (각
는 음이 아닌 정수)의 해에서 또는 또는 또는 인 해를
제외하면 된다. 우선 방정식 (각 는 음이 아닌 정수)의 해의
수는 이다. 이제 방정식 (각 는 정
수이며 , )의 해를 생각해보자. 로 치환하면
( )이 되고 이 방정식의 해의 수는
이다. 또는 또는 일 때도 같으므로
구하는 해의 수는 - 이다.

7. 한 그룹만 결정되면 다른 그룹은 자동으로 결정된다. 한 그룹에 있는 a, b, c의


수를 각각 라 하면 (각 는 정수이며 )이다. 이
런 방정식의 해의 수는 전체 해의 개수에서 또는 또는 인 해
의 수를 제외하면 된다. 우선 (각 는 음이 아닌 정수)의 해의 수
는 이다. 이제 방정식 (각 는 정수이며
, )의 해를 생각해보자. 로 치환하면 위의 방정식은
( )가 되고 이런 방정식의 해의 수는
이다. 또는 일 때도 같으므로 2n개의
a, 2n개의 b, 2n개의 c로 개수가 3n인 한 그룹을 만드는 방법의 수는

이다. 한 그룹이 a가 n개, b가 n개, c가 n개일 때만 제외하고 두 그룹을 바꾸어도

같은 경우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다.


8. 천의 자리수를  , 백의 자리수를  , 십의 자리수를  , 일의 자리수를  라 하
면 구하는 경우의 수는 다음 방정식에서 각  가 9를 넘지 않는 음이 아닌 정수해
의 개수와 같다.
        
따라서  를 위의 방정식의 음이 아닌 정수해의 집합이라 하고 각   ≤  ≤  
에 대하여  를
       ∊    ≥  
로 정의하면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고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9.   ⋯  을 일렬로 배열할 때  ≤  ≤    인  에 대하여 어떠한    도 


바로 뒤에는 나오지 않는 경우의 수를 구하라.
전체집합      는   ⋯  을 일렬로 배열한 순열 의 원소의 수  이다. 이제
 ≤  ≤    인  에 대하여  의 부분집합  를
   ∊    는    이  바로 뒤에는 나오는 순열
라 하면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 이다.
한편,  는 1과 2를 한 묶음으로 생각하면     의 숫자를 일렬로 배열한 순열
이므로        이고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이다. 또 ∩ 는 1, 2, 3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면     의 숫자를 일렬로 배


열한 순열이므로 ∩       이고  ∩  는 1과 2, 3과 4를 각각 한 묶음으
로 생각하면     의 숫자를 일렬로 배열한 순열이므로 ∩       이다.
  
이런 두 집합의 교집합은    개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 ≤  ≤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이고 이런  집합의 교집합은    개 있으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0. 서로 다른  개의 편지를 서로 다른 n개의 편지봉투에 넣는 방법의 수는  이


고 모두 그 주소가 틀릴 경우의 수는 예제1.7.5에 의하여


      



이다. 따라서  은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Lim   Lim 
→∞   
이다.
  ⋯ 
11.           ⋯   이면  를   ⋯  으로 나타내자.
  
 
(1)        라 할 때    ≠       ⋯   인 일대일대응 함수를 다음과 같
이 두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여 보자.
①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과  만 제외하면  는    ≠  인 일대일대응 함수이고 이런 함수의 수는
   이다.
②  ≠  인 경우
   이라 하면  ≠   이다.  를 아래와 같이   으로 보내는 대응은 일대일대
응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런 경우의  의 개수는   의 개수와 같고   은     ≠      ⋯   인
일대일대응 함수이므로 그 수는    이다.
위의 ①과 ②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인 일대일대응 함수  의 개수는        이다. 한편 
는   ⋯  중에 하나이므로    ≠       ⋯   인 일대일대응 함수의 수 
은            이다.
(2) 점화식              을 변형하면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이다.

(3) 위의 점화식           ≥  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0 1 2 3 4 5 6 7 8
 1 0 1 2 9 44 265 1854 14833
12. 전체집합  ={1,2,…,n}이라 하고 인 에 대하여
   ∊   는 의 배수 ,
라 하면 구하는 수는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그림에서 행은 왼쪽부터 차례로   ⋯  으로 번호를 매기고, 열은 아래부터


순서대로   ⋯  으로 번호를 매기면 문제의 주어진 조건에 맞게  개의 바둑돌을
놓는 방법의 수는 아래와 같은 일대일대응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개수  과 같고 이는 예제1.7.5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4. 주어진 조건에 맞게 4개의 바둑돌을 놓는 방법의 수는 아래와 같은 일대일대응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개수와 같다.
          →      : 일대일대응 함수 라 하면  의 원소의 개수는
    이다.  의 부분집합     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면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구하는 전사함수의 수는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또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며, ∩∩∩   이

다. 따라서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5. 명의 부부를 각각 이라 하고 그들의 부인을 각각 이라 하자.


전체집합 를 위의 쌍의 부부가 원탁에 앉는 방법의 집합이라 하면  의 원소의
개수는        이다. 에 대하여 를 부부 가 이웃하여 원탁에
앉는 방법의 집합이라 하자. 그러면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이다.


한편,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또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일반적으로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포함배제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6. 앉아 있는  명의 부인을 시계반대방향으로 1부터  까지 번호를 붙이고 부인 
의 남편을  라 하자. 전체집합  를  명의 남편이 부인들 사이에 임의로 앉는 방
법의 집합이라 하면 그 원소의 수는     이다.  ≤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 를  부인 옆에 그 남편을 앉히는  의 부분집합이라 하자. 그러면  명의 남편
이 자기 부인의 좌우에는 앉지 않고 부인들 사이에 앉을 수 있는 방법의 수
   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이다. 그러나  ∩   ≤    ≤   의 값이
모두 같았던 지금까지의 예와는 달리 이 문제에서는  ∩   ≤    ≤   의 값
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   인 경우에 그림1처럼 남편  이 부인  의
왼쪽과 오른 쪽에 앉는 두 가지 경우가 있고 각각의 경우에 남편  이 부인  의 옆
에 앉는 방법의 수는 각각 ⋅ 과  이므로 ∩   ⋅     이다.
1 1

1' 4' 1'

2 4 2 4

4' 4'

3 3

그림1
그러나 ∩  는 그림2에서 알 수 있듯이  과  이 택할 수 있는 자리가 각각 2
이므로 ⋅   이다.
1

1' 1'

2 4

3' 3'

그림2

그러므로 모든  ∩  의 값을 구하여  를 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런 방


법으로   ⋯ 등을 구할 때도 똑같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직접

  
 ≤    ⋯  ≤ 
∩∩ ⋯ ∩  ≤  ≤  
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자.

 은  명의 남편을 각각 자기 부인 좌우에 앉히고 남은     명의 남편을 임의로


앉히는 방법의 수이므로  명의 남편을 각각 자기 부인 좌우에 앉히는 방법의 수  
과 남은     명의 남편을 임의로 앉히는 방법의 수     과의 곱이다.
이제  명의 남편을 각각 자기 부인 좌우에 앉히는 방법의 수   을 구하여 보자.
먼저 원탁의  개의 좌석 중 연속되지 않게  개를 뽑았다고 하자. 뽑힌 한 좌석에
부인이 앉아 있으면 시계반대방향의 옆 좌석에 그 남편을 앉히고, 뽑힌 좌석이 남
자의 좌석이면 시계반대방향의 옆 좌석에 앉아 있는 부인의 남편을 그 좌석에 앉히
면  명의 남편이 각각 자기 부인 옆에 앉게 된다. 그림3은    ,    이고 그림의
점선으로 표시된 5개의 좌석이 선택되었을 때 남편들의 좌석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1
2' 7'
2 7

3'
3 6

6'
4 5
4'

그림3
반대로  명의 남편이 각각 자기 부인 옆에 앉았다면 위에서 설명한 방법의 역으로
원탁의  개의 좌석 중 연속되지 않게  개를 뽑을 수 있다. 그러므로   은  개의
원탁 좌석 중 연속되지 않게  개를 뽑는 방법의 수이고 이런 방법의 수는
   
    
  
1 3 23 )
이다 (문제1.3.10 참조). (연습문제 .
.

따라서          이며 포함배제의 원리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참고로            에 대해서    의 값은 다음과 같다.


n 4 5 6 7 8
   2 13 80 579 4738
[연습문제 1.8]

1. 반대로 8명 모두 다른 요일에 태어났다면 8개 이상의 요일이 있어야 하므로 모


순이다.

2. 반대로 많아야 2명이 같은 요일에 태어났다면 7개 요일이 있으므로 사람의 수는


14 이하이고 이는 모순이다.

3. (1) 정수는 짝수 아니면 홀수이므로 세 점 중에서 적어도 두 점의 좌표는 모두


홀수이거나 모두 짝수이고 이런 두 점의 중점의 좌표는 정수이다.
(2) 평면 위에서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형태는 다음 네 가지 중에 하나이다.
(홀수, 홀수), (짝수, 홀수), (홀수, 짝수), (짝수, 짝수)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다섯 점이 주어지면 적어도 두 점은 그 형태가 같고 이
런 두 점의 중점의 좌표는 정수이다.
(3) 공간 위에서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형태는 다음 8 가지 중에 하나이다.
(홀수, 홀수, 홀수), (홀수, 홀수, 짝수), (홀수, 짝수, 홀수), (짝수, 홀수, 홀수)
(짝수, 짝수, 홀수), (짝수, 홀수, 짝수), (홀수, 짝수, 짝수), (짝수, 짝수, 짝수)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9 점이 주어지면 적어도 두 점은 그 형태가 같고 이런
두 점의 중점의 좌표는 정수이다.


4. 정삼각형을 한 변의 길이가 인  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누면 비둘기집의 원리


에 의하여 개의 점 중에서 적어도 두 점은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 안


에 있고 이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이하이다.


5. 월, 화, 수, 목, 금요일 중에서 하루를 선택하는 방법은    가지이고 이틀을

 
선택하는 방법은    이므로 적어도 이틀 수영을 할 수 있도록 요일을 선택하

는 방법의 수는      이다. 따라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16명 중 적어


도 두 명은 같은 요일에 수영하게 된다.

6. 6개의 원의 중심을   ⋯  라 하고 이들이 모두 지나는 점을  라 하자. 6


개의 각 ∠ ∠ ⋯ ∠ 의 합은  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 이하이다. 만약 ∠ ≤  라면 중심이
  인 원 중 반지름이 크거나 같은 원이 그렇지 않은 원의 반지름을 포함한다.

7.  의 임의의 부분집합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다.  의 부분집합은    개가 있으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인  의 서로 다른 부분집합   가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라 하면  와  는 서로 소인  의 부분집합이며   =   이다.
∊ ∊

8. { }에서 n+1 개의 원소를 뽑으면 반드시 인접한 두 수가 있고 그


두 수는 서로 소이다.

9. 작은 레코드판의 부채꼴 모양 중 빨갛게 색칠된 수를 a, 파랗게 색칠된 수를 b


라 하자. 이제 작은 레코드판을 한 번에 한 칸씩 돌려 200 번 돌리는 동안에 작은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깔이 빨간색으로 큰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깔과 일치하는
경우의 수는 100a이고 파란색으로 큰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깔과 일치하는 경우
의 수는 100b이므로 작은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깔과 큰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
깔이 일치하는 경우의 수는 100a+100b=100(a+b)=20000이다. 그러므로 한 위치

에서 두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깔이 일치하는 경우의 수의 평균은 이

고, 따라서 어떤 위치에서는 작은 레코드판의 부채꼴 중 적어도 100개 이상의 색깔


이 큰 레코드판의 부채꼴의 색깔과 일치한다.

10. 어느 세 점도 일직선에 있지 않은 6개의 점으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의


  
수는 이고 삼각형의 세 변에 빨강 또는 노랑으로 색칠할 수 있는 방법의

  
수는   이므로 일반화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같은 색을 가진 삼

  
각형은 적어도 개 있다.

11. 처음에 앉았던 자리에서 원탁을 한 자리씩 돌리자. 처음에 아무도 제자리에 앉
은 사람이 없으므로 (n-1)번 돌리는 동안에 모든 사람은 꼭 한 번만 자기 자리 앞
에 자기의 명찰이 돌아온다. 즉, (n-1)번 돌리는 동안 손님이 제자리에 앉은 경우는
n번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어느 시점에서는 적어도 한 번은 두 사람이 제
자리에 앉게 되는 경우가 있다.

12. 임의의 n+2 개의 정수들 중에는 차나 합이 2n의 배수가 되는 두 수가 있다.


주어진 n+2 개의 정수를   ⋯    라 하고 이 수들을 2n으로 나눈 나머지를
각각   ⋯    라 하자.
①   ⋯    중에서 어떤 두 수  와  가 같으면  와  의 차는 2n의 배수
이다.
②   ⋯    이 모두 다르면 이 수들은 모두 아래의 n+1 집합에 포함되고
            ⋯          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어떤 두 수  와  는 한 집합      에 속한다. 따
라서  와  의 합은 2n의 배수이다.

13. 를 ( )라 하고 을 m으로 나눌 때 그 나머
지를 각각 ( )이라 하자.
① 중 한 수 가 0이면 는 m의 배수이다.
② 중 어느 수도 0이 아니면 은 모두 1 에서 m-1까지의
수이고 그 개수는 m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중에는 적어도 같
은 두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이면

은 m의 배수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든 연속된 항의 합이 m의 배수가 된다.

14. 첫날부터 i째 날까지 치룬 게임의 총수를  라 하자. 10일 동안 매일 적어도


한 게임을 하였으므로

이다. 20개의 자연수

는 모두     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어떤 두 수는


같다. 한편, 은 모두 다르고 도 서로 다르므
로 중의 한 수 가 중의 한 수 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이고 (p+1)째 날부터 q째 날까지 치룬 게임의 총수
는 꼭 4회이다.

15. 첫날부터 i째 날까지 공부한 시간 수를  라 하자. 37일 동안 매일 적어도 한


시간 이상 공부하였으므로

이다. 74개의 자연수

는 모두     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어떤 두 수


는 같다. 한편, 은 모두 다르고 도 서로
다르므로 중의 한 수 가 중의 한 수
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이고 (p+1)째 날부터 q째 날까지 공부한
시간 수는 꼭 13시간이다.

16. 이 기사가 첫 날 둔 바둑 횟수를  , 둘째 날까지 둔 바둑 횟수를  , …, 20일


동안 둔 바둑 횟수를  이라 하자. 그러면 매일 바둑을 두었으므로
 ≤    ⋯    ≤  (*)
이고 또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40개의 수   ⋯        ⋯    는 모두 1부터 37까
지의 자연수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인 서로 다른   가 있다. 따라서  ⋯ 동안 바둑을 둔 횟수는 7이다. 또, 위
(*)에서  와    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많아야 36개의 자연수이므로 다시 같아지
는 두 쌍의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 기사가 연속으로 며칠 동안 둔 바둑 횟수의
합이 7인 기간이 적어도 3번 있다.

17. 아래와 같은     개의 수
         ⋯      ⋯ 
를 각각  으로 나눌 때 나머지   ⋯    은  개의 수    ⋯    중 어느
하나이다.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어떤 두 수    는 같고 따라서 차    는
 의 배수이다. 즉
       ⋯  ⋯    ⋯ ⋅
이다. 일의 자리수가 1, 3, 7, 9인 자연수는 10과 서로 소이므로    ⋯  이다.

18. 재배열한 후  번째 행과  번째 열에 있는 수를  라 하자. 만약 재배열한 행렬


의  번째 행에서
      
이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위의 식에 나타난 수들 중에서 적어도 두 수는 행
렬  에서 같은 행에 있다. 그런 두 수를  과      이라 하면
      
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재배열해도 각 행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19.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이므로    개의 수   ⋯    는 모두 아래의  개의 집합에 속한다.
          ⋯   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어느 두 수    는 위의 한 집합      에 속하고,
따라서  와  의 차는  의 배수이다.

20. 개의 서로 다른 실수로 이루어진 수열을    ⋯  라 하자. 이 수


열이 단조감소이고 항수가    인 부분수열을 갖지 않는다고 하자.  ≤  ≤  인
 에 대하여  부터 시작되는 단조감소 부분수열의 가능한 최대 길이를  라 하자.
가정에 의하여  ≤  ≤  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적어도    개의  에
대해  가 같은 값이 된다. 이러한  를 크기 순서대로    ⋯  라 하자. 만약
     이면  ≥      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     ⋯ 
이고 항수가    인 단조증가 부분수열이다.

21.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   ⋯ 중 어느 두 수        는  으


로 나눌 때 나머지가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는  의 배수이고 
과 10은 서로 소이므로       는  의 배수이다. 즉
     ⋯  ⋯  (단, 0의 개수는    개)
이다.

22. 일반성을 잃지 않고  ∞            ∞ 라고 가정할 수 있다.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       

인   ≤  ≤   가 있다. 예를 들어        이면 각각  를 취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다.

23. 먼저    이 되게 충분히 큰 자연수  을 잡자.   를  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의 정수라 하고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라 하면  가 무리수이므로  은 모두 다르고      이다.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구간    을  등분한  개의 구간

 

 

   ⋯       
   
중 어떤 한 구간에는 서로 다른 두 수    가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라 놓으면
       
이다.

24. (1) 이므로 와 가 동시에는 에 속할 수 없다.


(2) 를 의 부분집합이라 하면 와 중 많아야 1개가 에 포함되므로 의
원소의 수는 의 모든 부분집합의 수  의 절반인 
을 넘지 않는다.
(3)       ⊆    ∊   라 하자. 그러면는 문제에서 주어진 성질을 만족
하며    개의 원소를 갖는다.
[연습문제 2.1]

1. 원금  원을 연이율  로  년 동안 저금할 때 원리합계  는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2. 특별한 한 명과 한 쌍을 만드는 방법의 수는    이고 나머지  


사람으로   쌍을 만드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구하는 점화식  은
         ≥  
  
이다. 실제로 이 점화식을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3. 철수는 첫 걸음에 한 계단 또는 두 계단 또는 세 계단을 오를 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① 첫 걸음이 한 계단일 때: 나머지    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   
② 첫 걸음이 두 계단일 때: 나머지    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   
③ 첫 걸음이 세 계단일 때: 나머지    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분명히    이다.    일 때는  의 개수가 0 또는 2이기 때문에

     이다.
(2) 첫째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① 첫째자리가 1이 아닌 경우: 나머지에서 1의 개수가 짝수이고 그런 것의 개수는
  
② 첫째자리가 1인 경우: 나머지에서 1의 개수가 홀수이고 그런 것의 개수는
   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5. (1) 분명히       이다. 일반적으로 처음에 덮는 도미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경우로 나누어진다.
① 처음 도미노가  ×  인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나머지  ×     판을
도미노로 덮어야 하고 이런 방법의 수는   

② 처음 도미노가  ×  인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처음 도미노 바로 밑은  × 


도미노로 덮어야 하며,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나머지  ×     판을
도미노로 덮는 방법의 수는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2) 분명히        이다.
일반적으로 처음에 덮는 도미노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진다.
① 처음 도미노가  ×  인 경우: 나머지  ×     판을 도미노로 덮어야 하고
이런 방법의 수는   
② 처음 도미노가 흰 색  ×  인 경우: 나머지  ×     판을 도미노로 덮어야
하고 이런 방법의 수는   
③ 처음 도미노가 검은 색  ×  인 경우: 나머지  ×     판을 도미노로
덮어야 하고 이런 방법의 수는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6. (1) 분명히            
      일 때는 {1,3}, {1,4}, {2,4}의 세 개가 있으므로    
(2)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① 1이 뽑힐 경우:   ⋯  중에서 연속되지 않게     개를 뽑는 방법의 수
     
② 1이 뽑히지 않을 경우:   ⋯  중에서 연속되지 않게  개를 뽑는 방법의 수
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7. (1)    (3)
   (11, 22, 33)
   (113, 311, 131, 223, 232, 322, 333)
   (2)
   (23, 32)
   (112, 121, 211, 233, 323, 332, 222)
   (1)
   (13, 31)
   (122, 212, 221, 133, 313, 331, 111)
(2) 첫째자리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자.
① 1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홀수 개, 2가 짝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② 2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짝수 개, 2가 홀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③ 3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짝수 개, 2가 짝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3) 첫째자리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자.
① 1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홀수 개, 2가 홀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             
② 2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짝수 개, 2가 짝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③ 3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짝수 개, 2가 홀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첫째자리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자.
① 1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짝수 개, 2가 짝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② 2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홀수 개, 2가 홀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            


③ 3부터 시작하는 것: 나머지     자리에 1이 홀수 개, 2가 짝수 개가
있어야 하므로 구하는 수는   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위의 관계식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1) 초항이 3, 공차가 2, 항의 개수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2) 초항이 6, 공비가 2, 항의 개수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  ⋅
(3) 이 점화식의 특성다항식은      이고 그 근은       이므로
       ⋅ (  는 상수)
이다. 초기 조건      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단,  ≥  )
 
(4)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 점화식의 특성다항식은      이고 그 근은
   (중근),    (중근)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는 상수)
이다. 초기 조건             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이고               이다.
   
(5) 이 점화식의 특성다항식은      이고 그 근은    (중근)이므로
  ⋅  ⋅     (  는 상수)
이다. 초기 조건      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이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   이다. 따라서
   (단,  ≥  )
(6) 이 점화식의 특성다항식은      이고 그 근은    (중근)이므로
  ⋅  ⋅ (  는 상수)
이다. 초기 조건       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이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단,  ≥  )

10. (1) 점화식      의 특성다항식은   이고 그 근은    이므로


점화식        의 일반해  은

  
이다. 위 점화식의 특수해  을    라 하면
    
이 되어    이다. 따라서 주어진 점화식의 일반해  은

        
이다. 초기 조건    을 이용하면
      
이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이므로
  ⋅        
(2) 점화식      의 특성다항식은   이고 그 근은    이므로 점화식
       의 일반해  은
  
이다. 위 점화식의 특수해  을      이라 하면
       
이 되어      이고      이다. 따라서 주어진 점화식의 일반해  은

          
이다. 초기 조건    을 이용하면
      
이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이므로
    ⋅    
(3) 특수해는     ⋅  이고 일반해는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이므로    이고 따라서
  ⋅    ⋅
(4) 특수해는     ⋅      이고 일반해는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11. (1)    라 하면               이다. 이 점화식을 풀면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라 하고    ≥   라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  은 피보나치수열  이고, 따라서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값을 대입하면  을 구할 수 있다.


(3)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4)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이다.  을 풀면

      

이므로

       

12. (1) 각 자리에 1,2,3 세 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2)
(a) 한 자리 수: 1,2,3이므로 =3.
(b) 두 자리 수: 11, 13, 22, 23, 31, 32, 33이므로
(c) 세 자리 수: 111, 113, 131, 132, 133, 222, 223, 231, 232, 233, 311,
313, 322, 323, 331, 332, 333이므로
(3)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n자리 수는 다음 중 하나이다.
(a) ○○…○3: 이런 꼴의 수는 이다.
(b) ○…○11, ○…○22, ○…○31: 세 꼴을 한꺼번에 생각하면 끝에서 두 번째
자리가 1,2,3 중 하나이므로 마지막 자리만 결정된 것이다. 따라서 이런 꼴의
경우의 수는 이다.
(c) ○○…○32: 이런 꼴의 수는 이다.
따라서 (a),(b),(c)에 의하여 ( )이다. 이 식을 이용하
여 항을 차례로 구하면 이다.
(4) 오른쪽으로 갈 때는 1, 왼쪽으로 갈 때는 2, 위로 갈 때는 3으로 표시하면 이
조건을 만족하는 길의 수는 (3)의 1,2,3으로 이루어진 n자리 수 중 연속해서 12나
21은 나오지 않는 경우의 수 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수는    이다.

13. (1) 정수 와 의 최대공약수를  로 나타내면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양변을 더하여      ⋯      을 빼면
       ⋯             
(3) 위 (2)를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수학적귀납법
(i)   일 때: 좌변은   이고 우변은    이므로 성립
(ii)    ⋯   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위의 등식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한다.


(6) 수학적귀납법

(i)   일 때: 좌변은
 
   



이고 우변은
 



    
이므로 성립

(ii) 
   
 
   

 

라 하자. 그러면

Fn   F  F
     
        
n n 
   
 
 
 n  n  
  Fn  Fn   Fn Fn Fn       
따라서 위의 등식은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한다.

14. (1) 구하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자. 그러면, 분명히      이다. 이제


1이 연속으로 나오지 않는 1,2로 이루어진 n자리 자연수를 생각하여 보자.
① 첫째자리가 1: 둘째자리는 2이고 셋째자리부터는 1이 연속으로 나오지 않는 1,2
로 이루어진 n-2자리 자연수이므로 경우의 수는   이다.

② 첫째자리가 2: 둘째자리부터는 1이 연속으로 나오지 않는 1,2로 이루어진 n-1


자리 자연수이므로 경우의 수는    이다.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이 되어 피보나치수열과 점화식이 같
고, 초기조건을 고려하면      이다.

(2) 구하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자. 그러면, 분명히      이다.


① 처음 수가 1: 두 번째부터는 1,2의 합으로 되어 있으며 합이 n-1이므로 경우
의 수는    이다.
② 처음 수가 2: 두 번째부터는 1,2의 합으로 되어 있으며 합이 n-2이므로 경우
의 수는    이다.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이 되어 피보나치수열과 점화식이 같
고, 초기조건을 고려하면      이다.
(3) 구하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자. 그러면, 분명히      이다.
① 1을 포함하는 경우: 1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연속된 두 수를 포함하지 않는
⋯의 부분집합이므로 그 경우의 수는    이다.
② 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연속된 두 수를 포함하지 않는 ⋯의 부분집
합이므로 그 경우의 수는    이다.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이 되어 피보나치수열과 점화식이 같
고, 초기조건을 고려하면      이다.
(4) 구하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자. 그러면, 분명히      이다.
① 처음 수가 2: 두 번째부터는 2 이상의 자연수의 합으로 되어 있으며 합이 n-2
이므로 경우의 수는    이다.
② 처음 수가 2가 아닐 때: 처음 수에서 1을 빼고 나머지는 그대로 쓴 것은 2 이상
의 자연수의 합으로 되어 있으며 합이 n-1이므로 경우의 수는    이다.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이 되어 피보나치수열과 점화식이 같
고, 초기조건을 고려하면      이다.
(5) 구하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자. 그러면, 분명히      이다.
① 처음 수가 1: 두 번째부터는 홀수의 합으로 되어 있으며 합이 n-1이므로 경우
의 수는    이다.
② 처음 수가 1이 아닐 때: 처음 수에서 2를 빼고 나머지는 그대로 쓴 것은 홀수의
합으로 되어 있으며 합이 n-2이므로 경우의 수는    이다.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이 되어 피보나치수열과 점화식이 같
고, 초기조건을 고려하면    이다.
[연습문제 2.2]


1. (1)            ⋯


(2)        ⋯ 의 양변을 적분하면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의 양변을 세 번 미분하여  을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4) 위 (3)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2. (1)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       이고    는
            ⋯
에서 상수항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2)          이고    는
             ⋯
에서 일차이하의 다항식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3)          이고    는
                 ⋯
에서 일차이하의 다항식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4. (1)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3)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5. (1)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2) 세 상자에 넣은 공의 개수를 각각    라 하자. (단  ≥  ≥   그러면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의 생성함수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생성함수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주어진 방법의 수는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지수생성함수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지수생성함수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지수생성함수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  을 다음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자.


①  이 홀로 블록을 이룰 경우: 나머지 원소의 집합   ⋯     을 주어진
조건에 맞게 분할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다.
②  이 다른 원소와 함께 블록을 이룰 경우:    가 한 블록을 이루고 나머지
원소의 집합   ⋯       이 주어진 조건에 맞게 분할되어야 한다.  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   가지이고 나머지 원소를 분할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이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이다.
위 ①과 ②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2) 의 지수생성함수를 라고 하면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고    이다. 양변을 적분하면

 
  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9. 분명히       이다. 일반적으로  을 다음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


하자.
①      인 경우: 주어진 조건에 맞게 함수    ⋯  →   ⋯   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의 수와 같고, 이런 방법의 수는    이다.
②      ≠  인 경우:  ∘  가 항등함수이므로      이다.  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   가지이고 주어진 조건에 맞게 1과  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로
함수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이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이다.
위 ①과 ②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것은 문제 8번의 점화관계와 일치하므로 지수생성함수    는
 
 

    
이다.

10. (1)          라 하자. 볼록     각형의 한 변  를 고정시키고


교차하지 않는     개의 대각선을 그어 삼각형으로 분할하였을 때 변  를
포함하는 삼각형을  라 하자. 삼각형  에 의하여 나누어진 볼록     각형의 한
부분이     각형이면 다른 부분은       각형을 이룬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므로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한편     이다.

 ±   
(3)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 모든 전단사함수의 개수는  이다. 전단사함수  의 부동점의 집합을


         
라 하자. 전단사 함수의 개수를 집합  의 원소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하자.
①   ∅인 경우: 부동점을 갖지 않아야 하므로 이런 경우의 수는 정의에 의하여
 이다.

②    인 경우: 하나의 부동점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고 나머지가
부동점을 갖지 않도록 정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이런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이다.
    

③    인 경우: 두 개의 부동점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고 나머지가
부동점을 갖지 않도록 정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이런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이다.
    
일반적으로     인 전단사 함수의 개수는 개의 부동점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 
  이고 나머지가 부동점을 갖지 않도록 정하는 방법의 수는    이므로 이런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이다.
 
따라서 모든 전단사함수의 개수는

 
     



이다.

(2) 의 지수생성함수를 라 하자. 그러면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이다.
(3) 위 (2)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12. (1)  를 더피스퀘어의 크기가  이고 페러다이어그램이 주대각선에 대칭인 


의 분할이라 하자. 아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 의 페러다이어그램에서 더피스퀘
어를 제거하면 나머지는 부분의 크기가  이하인    의 분할  와 그것의 공액
분할  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더피스퀘어의 크기가  이고 페러다이어그램
이 주대각선에 대칭인  의 분할의 수는 방정식
    ⋯       ,   ⋯  ≥ 
의 정수해의 개수와 같고, 이 방정식의 정수해의 개수는 다항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   의 계수이다. 따라서  의 생성함수는


       ⋯    

이다.

 

(2) 부분이 모두 다르고 홀수인  의 분할의 수  은 방정식


     ⋯  각  는 0 또는 1
의 정수해의 개수이다. 따라서  의 생성함수는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 예제1.5.7에 의하여  을 서로 다른  개의 홀수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는 페러
다이어그램이 주대각선에 대칭이고 주대각선에  개의 칸을 갖는  의 분할의 수와
같다. 위 (1)에서  을 서로 다른  개의 홀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 ⋯    
에서  의 계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는  을 서로 다른 홀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의 생성함수이다. 따라서 (2)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연습문제 3.1]

1. 지원자  은 직종  에 지원하였으므로 두 꼭지점  과  는 인접하다. 그러나

 은 직종  에는 지원하지 않았으므로  과  는 인접하지 않는다. 이런 방법으

로 그래프를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A1
a1

a2 A2

A3
a3

A4
a4

a5 A5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그래프는 이분그래프이다.

2. L=    , M=   , N=    , O=   , P=   라 하자. 구간 L∩M≠ ∅

이므로 두 꼭지점 L과 M은 인접하다. 한편, L∩P ∅ 이므로 L과 P는 인접하지 않

는다. 이런 방법으로 그래프를 완성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L M

P O

3. 꼭지점의 집합 V={A, B, C, D, E, F}
변의 집합 E={{A, B}, {A, C}, {A, D}, {A, F}, {B, C}, {B, D}, {B, E}, {C, D},
{C, E}, {C, F}, {D, E}, {D, F}, {E, F}}
꼭지점의 차수: d(A)=4, d(B)=4, d(C)=5, d(D)=5, d(E)=4, d(F)=4.
4. (1)

변의 개수는

(2)

변의 개수는

5. 완전이분그래프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
c

d
b
e

6. 모든 사람이 악수를 한 번씩 했다면 차수의 합은 5이다. 그러나 모든 차수의 합


은 짝수이어야 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5명 각자가 악수한 횟수가 모두 한 번일
수는 없다.

7. 완전이분그래프   의 변의 개수는  이고, 꼭지점의 개수는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즉, 변의
개수와 꼭지점의 개수가 같은 완전이분그래프는   뿐이다.

8. 그래프 G에서 두 영역 a와 b 사이에 공통변이 있으므로 G의 쌍대그래프에서


두 꼭지점 a와 b는 인접하다. 한편, 그래프 G에서 두 영역 b와 f 사이에 공통변이
없으므로 G의 쌍대그래프에서 두 꼭지점 b와 f는 인접하지 않다. 이런 방법으로 G
의 쌍대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a b

f
e

9. 주어진 그래프의 꼭지점을 아래의 왼쪽 그림과 같이 부호를 붙이면 이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처럼 이분그래프로 그려질 수 있다. 사실 이 그래프는 완전이분그래프

  이다.

A C E
B F

C
D E

B D F

10. 꼭지점이 A,B,C인 단순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8가지가 있다.

A A A A

B C B C B C B C
A
A A
A

B C
B C B B C
C

11. 그래프에서 차수가 홀수인 꼭지점의 수가 홀수이면 모든 차수의 합은 홀수이


다. 이것은 모든 차수의 합은 짝수인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차수가 홀

수인 꼭지점의 수는 짝수이다.
12. (1) 꼭지점이 개인 그래프의 변의 수의 최대는 모든 꼭지점을 이은 완전그래

프  의 변의 수
 이다.
 
(2) 임의의 두 꼭지점에 대하여 그 두 꼭지점 사이에 변이 있든지 없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두 꼭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 이므로 개의 꼭지점을 갖는
 
 
그래프는   가지이다.

13. 꼭지점을   ⋯   ≥   라 하자. 그러면

이다.

① 어떤 꼭지점의 차수가 이면 차수가    인 꼭지점은 없다. 따라서

이고,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차수가 같은 두 꼭지점이 있다.

② 어떤 꼭지점의 차수도 이 아니라면

이다. 다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하여 차수가 같은 두 꼭지점이 있다.

14. ①  이 홀수인 경우: 완전이분그래프  


②  이 짝수인 경우:  이 짝수이므로  개의 점은 둘씩 짝지어 변으로 하고, 나머
지  개의 점은 차수가 모두 0이 되게 한다.

15. 영호의 어머님과 아버님을 각각 a, a'라 하고 초대 받은 여자를 각각 b와 c, 그


들의 남편을 각각 b'와 c'라 하자. 이제 여섯 명을 꼭지점으로 하고 두 사람이 악수

를 나누었으면 그에 해당하는 꼭지점이 인접한 그래프 G를 생각하여 보자. 그러면


자기 배우자를 제외한 사람들과 악수를 하였고 차수가 모두 다르므로
{d(a'), d(b), d(b'), d(c), d(c')}={0, 1, 2, 3, 4} (*)

이다. 그래프 G의 모든 차수의 합은 짝수이므로 꼭지점 a의 차수는 0, 2, 4 중 하


나이다.
① d(a)=0인 경우: 차수가 0인 꼭지점이 둘 이상이므로 차수가 4인 꼭지점은 존재
하지 않고 이는 (*)에 모순이다.
② d(a)=4인 경우: 배우자 사이에는 변이 없으므로 d(a')=0이다. b, b', c, c' 중에
서 한 꼭지점은 차수가 4인데 이럴 경우 차수가 1인 꼭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③ d(a)=2인 경우:
(i) d(a')=0이면 차수가 4인 꼭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ii) d(a')=1이면 b, b', c, c' 중 차수가 4인 꼭지점이 있다. d(b)=4라고 하자.
그러면 d(b')=0이다. 이럴 경우 차수가 3인 꼭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iii) d(a')=2이면 아래 그림과 같이 가능하다.

a a'

b
c'

b' c

(iv) d(a')=3이면 b, b', c, c' 중 차수가 4인 꼭지점이 있다. d(b)=4라고 하자.


그러면 d(b')=0이다. 이럴 경우 차수가 1인 꼭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v) d(a')=4이면 차수가 0인 꼭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영호의 어머님과 아버님이 악수한 횟수는 각각 2이다.
[연습문제 3.2]

1. 다음과 같이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동형이다.

2. 오른쪽 그래프에는 길이가 5인 회로가 있으나 왼쪽에는 그런 회로가 없으므로


동형이 아니다.

3. 쌍대그래프를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원래 그래프와 같으므로 원래 그래프와


그것의 쌍대그래프는 동형이다.

4. 왼쪽 그래프에는 차수가 2인 꼭지점 5가 있으나 오른쪽에는 차수가 2인 꼭지점


이 없으므로 두 그래프는 동형이 아니다.

5. 왼쪽 그래프는 완전그래프이나 오른쪽 그래프는 완전그래프가 아니므로 동형이


아니다.

6. 오른쪽 그래프에는 변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이 있으나 왼쪽 그래프에는 변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두 그래프는 동형이 아니다.

7. 오른쪽 그래프에는 차수가 4인 꼭지점 7이 있으나 왼쪽 그래프에는 차수가 4인


꼭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두 그래프는 동형이 아니다.
8. (1) ① 그래프 (2, a)에는 차수가 2인 꼭지점이 있으나 그래프 (2, b)에는 그런
꼭지점이 없다.
② 세 그래프 (3, a), (3, b), (3, c)에는 차수가 1인 꼭지점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
③ 두 그래프 (4, a)와 (4, b)에는 차수가 1인 꼭지점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변의 수가 같은 그래프는 서로 동형이 아니다.
(2) 주어진 순서대로 여그래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위의 여그래프와 동형인 것은 차례대로 (6,a), (5,a), (4,a), (4,b), (3,a),

(3,c), (3,b), (2,b), (2,a), (1,a), (0,a)이다.


(3) 위 (2)에 의하여 여그래프가 원래 그래프와 동형인 것은 그래프 (3, a) 뿐이다.

9. 꼭지점의 수가 5인 그래프 의 변의 수가 라면 의 여그래프  ′의 변의 수는


⋅
      

이다. 와  ′이 동형이라면 그 변의 개수가 같아야 하므로     이고, 따라서


의 변의 수는 5이다. 변의 수가 5이며 여그래프와 동형인 그래프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가 있다.
10.  의 변의 개수는 15개이다. 꼭지점인 6개인 그래프 의 변의 개수를  라 하

면 그 여그래프  ′의 변의 개수는 15- 개이다. 따라서 꼭지점이 6개인 그래프가

그것의 여그래프와 동형이라면      가 되어 모순이다. 그러므로 꼭지점인 6

개이며 여그래프와 동형인 그래프는 없다.


[연습문제 3.3]

1. A에서 C로 가는 방법의 수는 2, C에서 D로 가는 방법의 수는 3, D에서 B로 가


는 방법의 수는 2이므로 A에서 B로 가는 경로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이다.

C D
A B
2. 차수가 홀수인 꼭지점이 있으므로 오일러회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차수가 홀수인
꼭지점이 둘 뿐이므로 오일러경로는 존재한다. 실제로 아래 그래프에서 번호를 따

라 변을 이으면 주어진 그래프의 오일러경로가 된다.

3 15 5
1 12
14 13
2 10 11 6
9 7

3. 차수가 홀수인 꼭지점이 둘 뿐이므로 오일러경로는 존재한다. 따라서 오일러경


로를 따라 자르면 용접기를 철판에서 떼지 않고 원하는 모든 조각을 자를 수 있다.

4. (1) 해밀턴회로 C가 있다면 C는 차수가 2인 꼭지점의 모든 근접한 변을 포함하


므로 아래 그래프의 실선으로 되어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실선으로 되어있
는 부분은 해밀턴회로 C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회로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이
그래프에는 해밀턴회로가 없다.
(2)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3) 해밀턴회로 가 있다면 는 차수가 2인 꼭지점의 모든 근접한 변을 포함하고

에 포함된 두 변을 제외하고 다른 변은 지워도 무방하므로 는 아래 그래프의 실


선으로 되어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A B

또 실선으로 되어있는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A는 B나 D와 연결되어야


C 그림처럼D 살펴보면 어떤 경우에도 해밀턴회
하고 연결하는 각 경우를 아래 나머지
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A B A B A B

C D C D C D

A B A B A B

C D C D C D

5.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6. (1) 정사면체: 홀수점이 존재하므로 오일러회로는 없다. 그러나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2) 정육면체: 홀수점이 존재하므로 오일러회로는 없다. 그러나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3) 정팔면체: 모든 꼭지점의 차수가 짝수이므로 오일러회로가 존재한다. 실제로


아래 그림은 주어진 그래프의 오일러회로이다.

3
12
8
4 11 9 7
1 10 2
5 6

또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4) 정12면체: 홀수점이 존재하므로 오일러회로는 없다. 그러나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5) 정20면체: 홀수점이 존재하므로 오일러회로는 없다. 그러나 아래 그림과 같은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7. 완전그래프  의 꼭지점을 ⋯ 이라 하자. 그러면

→→ ⋯ →→

는 완전그래프  의 해밀턴회로이다.

8. 완전이분그래프   에서 각 꼭지점의 차수는  이고 서로 인접하지 않는 두 꼭

지점의 차수의 합은  이므로 정리 3.3.6에 의해 해밀턴회로가 존재한다.

9. 완전이분그래프   의 꼭지점의 집합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  로 분할할 수 있다.

(i)   ⋯,   ⋯

(ii)  의 꼭지점 사이에는 변이 없고  의 꼭지점 사이에도 변이 없다.

(iii)  의 각 꼭지점은  의 어떤 꼭지점과도 인접하다.

완전이분그래프   의 해밀턴회로 C가 존재한다면 C에는  의 꼭지점과  의 꼭

지점이 번갈아 나타나야 하므로   이고, 이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

이면   에는 해밀턴회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10.    이면 이는 분명 연결그래프이다.

   일 때 연결그래프가 아니면, 꼭지점의 집합은 공집합이 아닌 두 부분집합

  로 분할되고,  의 꼭지점과  의 꼭지점은 인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꼭지점  ∊   ∊  에 대해

   ≤       ≤   

이다. 이 부등식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이고, 이는 주어진 가정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프는 연

결그래프이다.

11. 오일러회로는 있으나 해밀턴회로는 존재하지 않는 연결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2. 해밀턴회로는 있으나 오일러회로는 존재하지 않는 연결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3. (1) 그래프 의 오일러회로 를

   →→→ ⋯ →→

라 하자. 에서 임의의 한 변   을 제거하여도 남은 그래프에는 오일러경로


   →  → ⋯ →→→→ ⋯ →  →

가 존재하므로 임의의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로가 있다. 즉, 에서 임의의 한 변

을 제거해도 남은 그래프는 여전히 연결그래프이다.

(2) 그래프 에 오일러회로가 존재하므로 의 모든 꼭지점의 차수는 짝수이다. 이

제 여기서 한 변 을 제거하면 와 근접한 두 꼭지점의 차수는 홀수가 되어 남은


그래프에는 더 이상 오일러회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14. 정리 3.3.4의 증명과정과 같다.

15. 서로 인접하지 않는 두 꼭지점의 차수의 합은 항상  이상이므로 정리 3.3.6에

의하여 이 연결그래프에는 해밀턴회로가 있다.

16. 밖과 방을 꼭지점으로 하고 방과 방 사이에 문이 있으면 변이 있는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 그래프와 같다.

A B

C F
D
E

그러면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모든 문을 오직 한번 통과한 후에 출발점으로 돌아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위의 그래프의 오일러회로가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와 같다.


그러나 위의 그래프에는 차수가 홀수인 꼭지점이 B, C, E, F로 넷이므로 오일러회
로가 없다.
한편,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모든 지점을 오직 한번 통과한 후에 출발점으로 돌아
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위의 그래프의 해밀턴회로를 찾는 문제와 같으며, 이 그

래프에는 해밀턴회로 A→B→D→E→C→F→A가 존재한다.

17. 그래프 가 이분그래프이면 꼭지점의 집합은 서로 소인 두 집합   로 분할

된다. 꼭지점  ∊  에서 시작하여 에서 끝나는 회로에는  의 꼭지점과  의 꼭

지점이 번갈아 나타나므로 회로의 길이가 짝수이다. 같은 방법으로  의 꼭지점에

서 시작하는 회로의 길이도 짝수임을 보일 수 있다.

역으로 의 모든 회로의 길이가 짝수라고 하자. 가 연결그래프가 아니라도 의

각 연결부분그래프가 이분그래프이면 도 이분그래프이며 각 연결부분그래프의 회

로의 길이도 짝수이다. 따라서 연결그래프 에 대해서 위의 성질이 만족함을 보이

면 된다. 연결그래프 의 모든 회로의 길이가 짝수이면 한 고정된 꼭지점  에서

각 꼭지점에 이르는 경로의 길이는 항상 짝수이든가 항상 홀수이다. 왜냐하면, 만약

 에서 다른 꼭지점 에 이른 경로가   이고  의 길이는 짝수,  의 길이는 홀

수라면 아래 그림과 같이  에서  를 따라 로 갔다가  를 따라  로 돌아오는 회

로는 길이가 홀수이므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

 



이제  에서 길이가 짝수인 경로에 끝나는 꼭지점의 집합을  , 길이가 홀수인 경로

에 끝나는 꼭지점의 집합을  라 하면   는 꼭지점의 집합의 분할이고  의

두 꼭지점 사이에는 변이 없고  의 두 꼭지점 사이에도 변이 없다. 따라서 는

이분그래프이다.

18.   이면 해밀턴회로는 없다. 이제  ≥ 이라 하고 완전그래프  의 꼭지점을

⋯ 이라 하면 해밀턴회로의 개수는 ⋯ 으로 이루어진 원순열의 개수


와 같으므로     이다. 참고로 역방향의 회로를 같은 회로로 생각할 경우에는

 
해밀턴회로의 개수는  이다.

19. 그래프 에 해밀턴회로    →→→ ⋯ →→ 가 존재한다면 한 점 

와 그것에 근접한 변을 모두 제거하여도 남은 그래프에는 아래와 같은 경로가 있으


므로 여전히 연결그래프이다.

   →  → ⋯ →→→→ ⋯ →  

그러므로 한 꼭지점과 그것에 근접한 변을 모두 제거하였을 때 남은 그래프가 연결

그래프가 아니면 에는 해밀턴회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20. (1) 의 해밀턴회로는 또한   의 해밀턴회로이므로 에 해밀턴회로가

있으면   에도 해밀턴회로가 있다.


(2) 정리 3.3.6의 증명과 같다.
[연습문제 3.4]

1.

2. (1) 그래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부분그래프  를 가지므로 Kuratowski의


정리에 의하면 평면그래프가 아니다.
(2) 문제 오류: 삭제 바람
(3) 주어진 그래프는 아래의 왼쪽 그래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오른쪽과 같이
  의 부분분할그래프이므로 주어진 그래프는 평면그래프가 아니다.

A F
A B C

D C

D E F
E
B

3. 연결된 평면그래프의 꼭지점의 수를  라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고   이다.

4. 오일러공식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꼭지점의 수와 변


의 수가 같은 평면그래프는 회로가 오직 하나인 평면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평면그래프는 모두 꼭지점의 수와 변의 수가 같다.
5. 교과서 그림3.4.21에 있는 정이십면체를 평면에 나타낸 그래프 또는 아래 그림
의 그래프

6. 완전그래프  에서 두 변을 제거한 그래프에는       이다. 만약 이 그래


프가 연결그래프라면 정리3.4.3에 의하여  ≤    이다. 그러나
            
이므로  에서 두 변을 제거한 그래프는 평면그래프가 아니다.

7. (1)  의 면의 수를  라 하면 오일러공식에서        이다. 한편, 길이 


미만인 회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한 면은 적어도 개의 변을 포함하고, 한 변은
두 면에서 이용되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즉,  ≤    

이다.
(2) 주어진 그래프  에서       이다. 만약  가 평면그래프라면  는 길
이가 5 미만인 회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위 (1)에 의하여

 ≤          
 
이다. 그러나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그래프  는 평면그래프가 아니다.

8. 꼭지점의 차수가 적어도 3인 어떤 연결평면그래프의 모든 면이 6개 이상의 변을


갖고 있다고 하자. 그러면  ≤  이고,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즉,    ≤ 
이다. 그러나 오일러공식에서        이므로    ≤  가 되어 모순이다. 따
라서 꼭지점의 차수가 적어도 3인 어떤 연결평면그래프의 한 면의 변의 수는 5이
하이다.
9. 꼭지점의 수가 11이하이고 모든 꼭지점의 차수가 5이상인 연결된 평면그래프를
 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이고 이 부등식을 풀면  ≥  가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꼭지점의 수가 11이하인
연결평면그래프의 적어도 한 꼭지점의 차수는 많아야 4이다.

10.  의 꼭지점의 수, 변의 수, 면의 수를 각각 라 하자. 또, 연결부분그래프


  ⋯  의 변의 수를 각각   ⋯  , 꼭지점의 수를 각각   ⋯  , 면
의 수를 각각   ⋯  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 역으로 차수가 5 이하인 꼭지점이 많아야 하나라면 꼭지점의 차수의 합은
적어도    이므로     ≤ 이다. 한편, 평면그래프에서는  ≤   
이므로
    ≤  ≤   
이 되어 모순이다.
(2) (꼭지점의 수에 대한 수학적귀납법)
(i)     인 경우에는 모든 꼭지점의 차수가  이하이므로 분명히 성립한다.
(ii) 이제  ≥ 이라 하고 꼭지점의 수가   이하인 평면그래프에는 차수가  이
하인 꼭지점이 적어도 4개 있다고 하자.
(iii)  를 꼭지점의 수가 인 연결평면그래프라고 하자. 모순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 에서 차수가  이하인 꼭지점이 많아야 3개라고 하자.
① 차수가 5 이하인 꼭지점이 많아야 둘인 경우: 연결그래프이므로 차수가 5 이하
인 꼭지점의 차수는 1 이상이고 나머지  개의 꼭지점의 차수는 적어도 6이므
로        ≤  이다. 한편,  는 평면그래프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이 되어 모순이다.
② 차수가 5 이하인 꼭지점이 셋인 경우: 차수가 5 이하인 꼭지점의 차수를 각각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고  ≤  ≤ 이다. 차수가 인 꼭지점을 A라 하자.
∙    인 경우:  에서 꼭지점 A와 A의 근접한 한 변을 제외한 그래프  ′는
여전히 연결평면그래프이고 차수가  이하인 꼭지점이 오직 셋이므로 (ii)에 모순이
다.
∙    인 경우: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이다.
적어도 한 면이 4개 이상의 변을 가지면 오일러공식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모든 면은 3개의 변을 갖는다. 즉, 모든 면은 삼각형이
되어야 한다.
꼭지점 A와 인접한 두 꼭지점을 B, C라 하자.
(가) B와 C의 차수가 모두 차수가 2이면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연결된 그래프가
아니므로 모순이다.

B C

(나) B나 C의 차수가 6 이상이라 하자. 모든 면은 삼각형이 이어야 하므로 그래프


는 삼각형을 여러 개의 삼각형으로 나눈 꼴이고 내부에 차수가 2인 꼭지점을 포함
할 수 없다. 그러나  는 차수가 2인 꼭지점이 셋이므로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차
수가 2인 꼭지점을 포함하여야 하기에 모순이다.
A

B C

따라서 꼭지점의 수가 인 연결평면그래프에는 차수가 5 이하인 꼭지점이 적어도


네 개 있다.

12. 평면그래프에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있으므로  ≥ 이다. 오일러공식에 의하여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다.

13. 평면그래프  의 꼭지점의 집합을  , 꼭지점의 수를  , 변의 수를  라 하면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이고, 평면그래프의 꼭지점의 평균 차수는

    ≤     
∊
 
이다.

14.  는 아래와 같은 완전그래프  이다.

 는 평면그래프가 아니므로  도 평면그래프가 아니다.


[연습문제 3.5]

1. (1) 연결그래프가 아니므로 수형도가 아니다.


(2) 회로가 없는 연결그래프이므로 수형도이다.

(3) 회로가 있으므로 수형도가 아니다.

2. 원래 수형도의 꼭지점의 개수를 라 하자. 그러면 변의 수는   이다. 삭제한

꼭지점의 차수를 라 하면 삭제하고 남은 그래프의 꼭지점의 수는   이고 변의

수는      이다. 이 그래프가 수형도이므로 변의 수는 꼭지점의 수보다 1만큼

작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이고   이다.

3. (1) 집합  안에 있는 어느 두 꼭지점도 인접하지 않다. 거꾸로 집합  안에

있는 두 꼭지점 b와 c가 인접하다고 하자. a에서 b에 이르는 유일한 경로  를

a→→→ ⋯ →→b

라 하면 경로  : a→→→ ⋯ →→b→c는 a에서 c에 이르는 유일한 경로이다.

 의 길이가 짝수이면  의 길이는 홀수이므로 모순이다.

마찬가지로 집합  안에 있는 어느 두 꼭지점도 인접하지 않다.

(2) 수형도에서 한 꼭지점에서 다른 꼭지점에 이르는 경로는 유일하므로 집합  와


는 공통부분이 없다. 위의 수형도에는 적어도 한 변이 있으므로 수형도의 꼭지점
의 집합  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 와 로 분할된다. 위 (1)에 의하여  안에

있는 어느 두 꼭지점도 인접하지 않고,  안에 있는 어느 두 꼭지점도 인접하지 않


으므로 수형도는 이분그래프이다.

4. 그래프 의 변의 개수를 라 하자. 수형도  의 꼭지점의 수를  라 하면  의

변의 수는  -1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5. 수형도 가 평면그래프가 아니라면 Kuratowski 정리에 의하면 는  나 

의 부분분할그래프와 동형인 부분그래프를 포함해야하므로 반드시 회로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수형도는 회로를 갖지 않으므로 평면그래프이다.

6. 56명 각 사람을 꼭지점으로 하고 두 사람이 경기를 하면 그에 해당하는 두 꼭지


점이 인접한 그래프를 생각하면 그런 그래프는 수형도가 되어야 한다. 총 경기의

수는 수형도의 변의 수와 같으므로 모두 55게임이 필요하다.


다른 방법: 토너먼트 경기에서는 한 경기 할 때마다 한 명이 탈락한다. 그러므로 한
명의 우승자가 남을 때까지는 55명이 탈락하게 되고, 따라서 55게임이 필요하다.

7. 조건에 맞게 주어진 연결그래프 의 꼭지점의 수와 변의 수를 각각 와 라 하

자. 정리3.5.5에 의하여 의 생성수형도 가 존재하고 는 수형도이므로

   ≤  이다. 가정에서  ≤    이므로      이고, 정리 3.5.3에 의하여 이


연결그래프는 수형도이다.

8. 그래프 가 수형도이면 정의에 의해 연결그래프이다. 또, 모든 꼭지점의 차수의

합은 변의 수의 2배이므로



        

이다.

역으로 가 연결그래프이고 

       이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정리 3.5.3에 의하면 이 그래프는 수형도이다.

9.  를 수형도 의 가장 긴 경로 중 하나라고 하자. 만약  의 양 끝점의 차수가 1


보다 크면 끝점에 인접한 꼭지점을 첨가하여 더 긴 경로를 만들 수 있으므로 모순
이다. 따라서 가장 긴 경로의 양 끝점의 차수는 1이다.
수형도에서 가장 긴 경로의 양 끝점은 적어도 둘이므로 수형도에는 차수가 1인 꼭
지점이 적어도 두 개 있다.

10. 꼭지점인   ⋯  인 수형도에서 차수가 1인 꼭지점의 수를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11. (1) 주어진 그래프는 완전그래프  이고  의 생성수형도는 5개의 꼭지점으로

이루어진 수형도의 개수와 같으며, 이는 Cayley의 공식에 의하여     이다.

(2) 주어진 그래프의 생성수형도는 A,B,C,D,E 중 하나만이 F와 G 모두에 인접하고


나머지는 F와 G 중에서 하나와만 인접해야 한다. F와 G 모두에 인접한 꼭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 5이고, 나머지가 F와 G 중에서 하나와만 인접하게 하는 방

법의 수는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 이다.

12. 변  를 포함하는 그래프 의 생성수형도   에 대해  의 생성수형도  

을 대응시키면 이는 일대일대응이다. 따라서 변  를 포함하는 그래프 의 생성수

형도의 개수는    이다.

한편, 변  를 포함하지 않는 그래프 의 생성수형도는    의 생성수형도이므로

변  를 포함하지 않는 그래프 G의 생성수형도의 개수는      이다.

따라서 의 생성수형도의 개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이다.

13. (1) 깊이 우선 탐색: A,B,C,D,F,G,E,H,I,J,K


(2) 너비 우선 탐색: A,B,H,I,C,D,E,J,K,F,G
14.

A A
B
B
C
C E
D
E D G

G F J
F
H I
H
K
I

J K

깊이 우선 탐색 너비 우선 탐색

15. (1) 10리터, 7리터, 4리터 용량의 양동이에 물이 각각 리터, 리터, 리터 들

어 있다면 로 나타내자. 그러면 물을 비우고 채울 때 각 경우에 나타나는 물


의 양은 아래와 같이 수형도로 나타낼 수 있다.

(0,7,3)
(3,7,0)
(3,3,4)
(10,0,0)

(6,0,4) (0,6,4) (4,6,0) (4,2,4)

(6,4,0)

따라서 →→→→의 순서로 작업하면 네 번 만에

7리터 용량의 양동이에 2리터의 물을 남길 수 있다.


(2) 이 경우 너비 우선 탐색이 깊이 우선 탐색보다 더 효율적이다.

16. 깊이 우선 탐색이 너비 우선 탐색보다 더 효율적이다.


17.

9
3
1 2
2 1
8
9 5
1 8
4
8

5
6

18.

2 2 1
1 1
1
B C D
1 1
3 5 3 5
3 2 3 2
E
F

4 4

2 1
1 2 1
1
1
5 1
3 2 5
3 3
3 2

4
4

2 1
1

1
3 5
3 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