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과학 중3

7.별과 우주

진민규 (kharia965@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2-08-18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3. zb3 ) 연주 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1. zb1 ) 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두 고른 것은? <보기>
<보기> 
ㄱ. 단위는 초″  이고, ″ 는   이다.
가. 시차의 크기는 두 관측지점과 물체가 이루는 거리로 
나타낸다. ㄴ. 연주 시차를 이용하여 비교적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나. 연주시차를 측정하면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있다. 를 구할 수 있다.

다. 연주시차의 크기는 지구에서 가까운 별일수록 크다. ㄷ. 어떤 별에 대해 금성에서 측정한 연주 시차는 지구에
서 측정한 연주 시차보다 작다.
가 나
ㄱ ㄴ
다 가, 나
ㄱ, ㄴ ㄴ, ㄷ
나, 다
ㄱ, ㄴ, ㄷ

4. zb4 ) 다음은 시차를 측정하는 탐구 과정을 나타낸 것


이다.
2. zb2 ) 시차와 연주 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탐구 과정]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왼쪽 구멍으로 물체의 위치를 관찰하였다.
<보기> (나) 오른쪽 구멍으로 물체의 위치를 관찰하였다.
ㄱ. 두 관측 지점의 거리가 멀수록 시차가 작다. (다) 관찰 결과를 각각 선으로 표시하였다.
ㄴ. 연주 시차는 매우 작아서 초″  단위로 나타낸다.
ㄷ. 연주 시차를 이용하여 모든 별의 거리를 구할 수 있
다.
ㄹ. 연주 시차는 지구에서 먼 별일수록 작고, 가까운 별
일수록 크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ㄷ, ㄹ 고른 것은?

<보기>
ㄱ. 두 관측 지점과 물체가 이루는 각을 연주 시차라고
한다.
ㄴ. 시차는 관측 지점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작아진다.
ㄷ. 물체의 시차를 측정하면 관측 지점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ㄴ ㄷ
ㄱ, ㄴ ㄱ,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1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5. zb5 ) 그림은 훈이가 연주 시차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 7. zb7 ) 그림은 지구에서  개월 간격으로 별 S를 관측한
해 (가)에서 (나)로 위치를 옮겨서 선생님을 보는 모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
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별 S의 연주시차는  이다.

<보기> ㄴ. 목성에서 측정하면  값이 더 작아진다.

ㄱ. (가)와 (나) 두 위치의 훈이와 선생님이 이루는 각을 ㄷ. 연주 시차가 ″ 인 별까지의 거리는 pc이다.
연주 시차라 한다. ㄹ. 연주 시차가 나타나는 것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
ㄴ. 훈이가 (가)에서 (나)로 이동한 이유는 지구의 자전을 다.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ㅁ. 연주 시차를 이용하면 pc보다 가까이 있는 별까
ㄷ. 훈이가 현재 위치보다 뒷자리에 앉았다면 A 와 B 사 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ㄱ, ㄴ ㄱ, ㅁ
ㄷ ㄱ, ㄴ ㄱ, ㄴ, ㅁ ㄴ, ㄷ, ㄹ
ㄱ, ㄷ ㄴ, ㄷ ㄷ, ㄹ, ㅁ
ㄱ, ㄴ, ㄷ

8. zb8 ) 표는 전등으로부터 거리에 다른 밝기 변화를 나


6. zb6 ) 그림은 지구에서 별 S를  개월 간격으로 관측하 타낸 것이다.
여 측정한 시차  를 나타낸 것이다.
전등으로부터의 거리 m    
빛의 밝기(상댓값) 약  약  약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전등의 밝기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ㄴ. m 거리에서 빛의 밝기는 약  이다.


고른 것은? ㄷ. 전등에서 멀어지면 단위 면적당 받는 빛의 양은 감소
한다.
<보기>
ㄱ ㄴ

ㄱ. 별 S의 연주 시차는  이다. ㄱ, ㄷ ㄴ, ㄷ

ㄴ. 별 S보다 멀리 있는 별은 연주 시차가 별 S보다 크 ㄱ, ㄴ, ㄷ
다.
ㄷ. 목성의 공전 궤도에서 가장 먼 두 지점을 이용하여
별 S의 시차를 측정하면 그 값이  보다 작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2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 <탐구>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표는 별들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탐구> 답하시오.

(1) 그림과 같이 활동지의 양쪽 끝부분을 접어 세우고 아 별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래쪽에 관측지점 A B 구멍을 뚫는다. A   
(2) ㉠에 세워진 물체를 A B 구멍에서 각각 관찰하면 B   
숫자  와  에 겹쳐 보인다. C   
(3) ㉡에 세워진 물체를 A B 구멍에서 각각 관찰하면 D   
숫자  과  에 겹쳐 보인다.
(4) 관측 지점 A B 와 겹쳐 보이는 숫자를 각각 선으로 11.
zb1 1 ) 위 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연결한다. 있는 대로 고른 것은?
(5) ㉠과 ㉡의 시차를 측정한다.
<보기>
ㄱ. A 는 pc보다 멀리 있는 별이다.
ㄴ. 눈으로 관찰할 때 가장 밝은 별은 C 이다.
ㄷ. 눈으로 볼 때 C 는 D 보다 약  배 밝다.
ㄱ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9. zb9 ) 위 <탐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시차는 ㉠이 ㉡보다 작게 측정된다.


관측 지점에서 거리는 ㉠이 ㉡보다 가깝다. 12.
zb1 2 ) 위 표에서 실제로 방출하는 에너지가 가장 많은
㉡의 시차는 겹쳐 보이는 숫자의 차이며  이다. 별과 지구에서 가장 먼 별을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
한 것은?
관측 지점에서 가까울수록 겹쳐 보이는 숫자의 차가 작
아진다. A B A C
관측 지점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시차는 작 C C C D
아진다. D C

10. zb1 0 ) 관측 지점 A 와 B 사이의 거리를 더 멀리한다면 13.


zb1 3 ) 별의 밝기와 등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달라지는 점은?
 등급은  등급보다 약  배 밝다.
시차가 커진다.

별에서 거리가  배,  배로 멀어질수록 밝기는  배,
시차가 작아진다. 
시차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
 배로 밝아진다.

관측 지점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실제 밝기가 같아도 가까이 있는 별은 멀리 있는 별보
관측 지점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없게 된다.
다 어둡게 보인다.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별의 겉보기 등급
으로 비교해야 한다.
별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이 다른 이유는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 때문이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3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14.
zb1 4 ) 표는 별 A ∼ D 의 거리와 겉보기 등급을 나타낸
※ 다음 성운들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것이다.

구분 A B C D
거리 pc    
겉보기 등급    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절대등급이 가장 큰 별은 D 이다.
실제밝기가 가장 밝은 별은 B 이다.
17.
zb1 7 ) 다음 세 개의 그림은 각각 다른 종류의 성운들이
다. 각각의 성운 종류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연주시차가 가장 작은 별은 A 이다.
A - 암흑성운, B - 반사성운, C - 방출성운
실제로 가장 어두운 별은 C 이다.
A - 방출성운, B - 반사성운, C - 암흑성운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은 B 이다.
A - 반사성운, B - 방출성운, C - 암흑성운
A - 암흑성운, B - 방출성운, C - 반사성운
A - 방출성운, B - 암흑성운, C - 반사성운

15.
zb1 5 ) 표는 여러 별들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을 나
타낸 것이다.

별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18.
zb1 8 ) 다음 성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
리겔   
서 모두 고른 것은?
시리우스   
<보기>
아크투루스    
가. A 는 주변의 밝은 별에서 오는 별빛을 반사하여 밝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보인다.
고른 것은?
나. B 는 주로 파란색의 빛을 반사시켜 푸르게 보인다.
<보기> 다. C 는 뒤에서 오는 별빛을 차단하여 검게 보인다.
ㄱ. 리겔은 pc보다 멀리 있다. 라. A 는 주변의 고온의 별에서 에너지를 얻어 주로 푸르
ㄴ. 실제로 가장 밝은 별은 시리우스이다. 게 보인다.
ㄷ. pc 거리에 가장 가까이 있는 별은 아크투르스이다. 가, 나 나, 다
ㄱ ㄴ 다, 라 가, 나, 다
ㄷ ㄱ, ㄴ 나, 다, 라
ㄱ, ㄷ

19.
zb1 9 ) 은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16.
zb1 6 ) 겉보기 등급이  등급이고 절대등급이   등급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인 별까지의 거리가 현재보다  배 멀어지다면 겉 
<보기>
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ㄱ. 우리은하를 옆에서 본 모양이다.
겉보기 등급 절대등급 ㄴ. 우리나라 여름철에는 폭이 넓고 밝게 보인다.
  등급   등급 ㄷ. 먼지와 가스가 엷게 퍼져 있어 밤하늘에서 구름처럼
 등급   등급 보인다.
 등급  등급 ㄴ ㄱ, ㄴ
 등급   등급 ㄱ, ㄷ ㄴ, ㄷ
 등급   등급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4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20.
zb2 0 ) 우리은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 23.
zb2 3 ) 그림의 (가)는 성단 M (나)는 성단 M 이다.
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옆에서 보면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모양이다.
ㄴ. 나선 모양의 중심부와 막대 모양의 팔로 이루어져 있
다.
ㄷ. 약  천개의 별들이 있고, 많은 성단과 성운을 포함
한다.
ㄹ. 반지름은 약 pc이며, 태양계는 중심에서 약 <보기>
pc 떨어진 곳에 있다. ㄱ. 별 개수는 (가)보다 (나)가 더 많다.
ㄱ ㄱ, ㄷ ㄴ. (가)는 주로 표면온도가 높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ㄴ, ㄷ ㄱ, ㄷ, ㄹ ㄷ. (나)는 주로 우리은하의 나선팔에 분포한다.
ㄴ, ㄷ, ㄹ ㄹ. 성단은 많은 수의 행성들이 좁은 공간에 집단을 이루
고 있는 천체이다.
ㄴ ㄷ
ㄱ, ㄴ ㄷ, ㄹ

21.
zb2 1 ) 우리 은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ㄱ, ㄴ, ㄹ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막대 나선 은하에 속한다.
ㄴ. 우리 은하의 반지름은 약 pc이다. 24.
zb2 4 ) 다음 중 여러 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ㄷ. 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에서 약 pc 떨어진 나선 우리은하 -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로 정상 나선 은하
팔에 위치한다. 이다.
ㄱ ㄴ 은하수 -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뚜렷하
ㄱ, ㄷ ㄴ, ㄷ 게 관측된다.
ㄱ, ㄴ, ㄷ 성운 - 성간 물질이 모여 구름처럼 보이는 것으로 스스
로 빛을 내지 못한다.
22.
zb2 2 ) 그림은 우리은하를 옆에서 본 모습이다. 이에 관 성간 물질 - 수소, 헬륨 등의 가스나 작은 티끌과 같은
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물질이 모여 빛을 낸다.
고른 것은? 성단 - 수십에서 수십만 개의 별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
는 것으로 붉은색과 푸른색을 띠는 것이 있다.

<보기> 25.
zb2 5 ) 다음의 천체들 중 우리은하를 구성하는 천체이면
ㄱ. 지구는 A , 태양은 B 에 위치한다. 서 그 중 가장 규모가 큰 천체와 작은 천체를 순서
대로 나열한 것은?
ㄴ. 산개 성단은 주로 C 에 분포한다.
ㄷ. 우리은하는 지름이 약 pc이다. <보기>

ㄹ. 우리은하는 중심부에 막대 모양의 구조가 있고 나선 ㄱ. 구상성단 ㄴ. 안드로메다은하


팔이 휘감고 있다. ㄷ. 태양계 ㄹ. 산개성단
ㄱ, ㄴ ㄴ, ㄷ ㅁ. 지구
ㄷ, ㄹ ㄴ, ㄹ 구상 성단, 지구 태양계, 산개 성단
ㄱ, ㄷ 태양계, 구상 성단 안드로메다은하, 지구
산개 성단, 안드로메다은하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5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 그림은 어두운 방에서 비커 속에 향 연기를 피우고 파란색 셀로


29. 그림 (가)와 (나)는 인류가 사용 중인 우주 탐사
판지를 놓아 손전등으로 비추면서 관찰한 것이다.
zb2 9 )

장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6.
zb2 6 ) 이 실험과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천체는? <보기>
구상 성단 산개 성단 ㄱ. (가)와 (나)는 탐사 대상이 동일하다.
반사 성운 방출 성운 ㄴ. (가)가 있는 곳은 유인 탐사가 이루어진 행성이다.
암흑 성운 ㄷ. (나)는 지구 주위를 돌면서 천체를 탐사한다.
ㄱ ㄴ
ㄷ ㄱ, ㄷ
ㄴ, ㄷ

27.
zb2 7 ) 이 실험과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천체에 대한 설
명으로 옳은 것은?

수많은 별이 모여 있는 것이다.
뒤쪽에서 오는 별빛을 차단하여 어둡게 보인다. 30.
zb3 0 ) 다음 중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대한민국 최초
고온의 별에서 에너지를 받아 스스로 빛을 낸다. 의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용 로켓인 한국형발사체는
가스나 티끌이 주위의 별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인다. 어느 것인가?

수만 개~수십만 개의 붉은색 별들이 공 모양으로 빽빽 우리별  호 누리호


하게 모여 있다. 나로호 무궁화호
아폴로호

28.
zb2 8 ) 다음은 우주를 탐사하는  가지 장비를 나타낸 것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전파망원경은 천체가 방출하는 전파를 관측한다.


우주탐사선은 행성 표면의 성분 물질을 조사할 수 있다.
우주망원경은 대기권밖에서 지구 주위를 돌며 우주를
관측한다.
 가지 장비는 태양계 밖에 있는 별들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우주망원경과 우주탐사선은 비용이 많이 들고 고장이
날 경우 수리하기 어렵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6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다. 따라서 2.0m 거리에서 빛의 밝기는 100이다.

9) [정답]
1) [정답] [해설] 2) 관측 지점에서 거리는 ㉡이 더 가깝다. 3)
 ㉡의 시차는 두 관측지점 A, B와 ㉡이 이루는 각
[해설] 거리   이다. 거리가 가까운 별일수
연주시차 이다. 4) 관측 지점에서 가까울수록 겹쳐 보이는
록 연주시차가 크다. ㄱ) 시차는 두 관측지점과 숫자의 차가 커진다. 5) 관측 지점과 물체 사이의
물체가 이루는 각도이다. ㄴ) 연주시차를 이용해 거리가 가까울수록 시차는 커진다.
별과 지구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10) [정답]
2) [정답] [해설] 관측 지점의 사이가 멀어지면 두 관측지점과
[해설] ㄱ) 두 관측 지점의 거리가 멀수록 시차가 크 물체가 이루는 각이 커진다. 그러므로 시차가 커
다. ㄷ) 연주 시차는 지구에서 거리가 100pc 이 진다.
하의 별의 거리를 구할 때 이용한다.
11) [정답]
3) [정답] [해설] ㄱ) A는 절대 등급보다 겉보기 등급이 어두우
[해설] ㄱ) 연주 시차의 단위는 ″(초)이고, °  ″ 므로 10pc보다 멀리 있다. ㄴ) 눈으로 볼 때 가
이다. ㄴ) 연주 시차는 비교적 가까운 별(100pc 장 밝게 보이는 별은 겉보기 등급이 가장 낮은 D
이내)까지의 거리를 구할 때 이용한다. ㄷ) 금성 이다. ㄷ) C의 겉보기 등급이 D보다 크기 때문에
은 지구보다 태양과 거리가 가까우므로 금성에서 C가 더 어둡게 보인다. 두 별의 등급차이가 2.6
측정한 연주 시차가 더 작다. 이다. 밝기는        ≒  이
므로 6.25배 보다 더 어둡고, 16배 보다 덜 어둡
4) [정답]
다.
[해설] 두 관측 지점에서 물체가 이루는 각을 시차라
고 한다. 시차는 관측 지점과 물체 사이의 거리 12) [정답]
가 가까울수록 커진다. [해설] 실제로 방출하는 에너지양이 가장 많은 것은
절대 등급이 가장 낮은 C이다. (겉보기 등급-절
5) [정답]
대 등급)이 클수록 멀리 있는 별로 A는 5.8, B는
[해설] ㄱ) (가)와 (나) 두 위치와 선생님이 이루는 각
1.7, C는 8.5, D는 –2.7이므로 C가 가장 먼 별
을 시차라고 하고 그 절반을 연주 시차라고 한
이다.
다. ㄴ) 훈이가 위치를 이동한 이유는 지구의 공
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ㄷ) 훈이와 선생님의 거 13) [정답]
리가 멀어질수록 시차는 작아진다. [해설] 1) 1등급은 2등급보다 2.5배 밝다. 2) 거리가
멀어질수록 밝기는 어두워진다. 3) 실제 밝기가
6) [정답]
같아도 가까이 있는 별이 멀리 있는 별보다 더
[해설] ㄴ) 별 S보다 멀리 있는 별은 연주 시차가 별
밝게 보인다. 4)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하기 위해
S보다 작다. ㄷ) 목성은 지구보다 공전궤도의 반
서는 별의 절대 등급으로 비교해야 한다.
지름이 크다. 그러므로 목성이 지구보다 두 관측
지점 사이의 거리가 크므로 연주 시차가 더 크 14) [정답]
다. [해설]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이 10pc거리에 있을 때
밝기이다. 별 A를 10pc에 위치시키면 거리가 10
7) [정답]

[해설] ㄴ) 목성의 공전 궤도가 더 크기 때문에  값 배 멀어져 밝기는  이므로, A의 절대 등급은

은 더 크다. ㄷ) 연주 시차가 0.2″인 별까지의 거  등급  등급  등급 이다. 별 B의 경우 10pc
 에 위치하므로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이 1등급
리는   pc이다. ㄹ) 연주 시차는 지구의 공
″
으로 같다. 별 C를 10pc에 위치시키면 거리가
전 때문에 생긴다. ㅁ) 100pc 이상 멀리 있는 별

들은 연주 시차가 매우 작아서 측정하기 어렵다.  배, 밝기가 100배 밝아지므로, 절대 등급은

따라서 100pc 이하의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때  등급  등급  등급 이다. 별 D의 경우
사용한다. 
10pc에 위치시키면 거리가 10배, 밝기가  이

8) [정답]
므로, 절대 등급은 등급  등급  등급 이다.
[해설] ㄱ) 전등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ㄴ) 거리가 두 배 멀어지면 밝기는  배 감소한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7 -
2022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최다오답] 7.별과 우주

구분 A B C D [해설] ㄱ) 지구와 태양은 태양계로써 같은 곳인 A에


위치한다. ㄴ) 산개 성단은 주로 우리은하의 나선
거리 pc    
팔인 A에 분포한다.
겉보기 등급    
절대 등급     23) [정답]
2) 실제 가장 밝은 별은 절대 등급이 가장 작은 [해설] (가)는 산개 성단, (나)는 구상성단이다. (가)는
C이다. 3) 연주시차가 가장 작은 별은 가장 거리 주로 우리 은하의 나선팔에 분포하고, (나)는 우
가 멀어야 하므로 별 C이다. 4) 실제로 가장 어 리 은하의 중심이나 은하 밖 공간에 분포한다.
두운 별은 절대 등급이 가장 큰 별 D이다. 5) 가 성단은 별(항성)들이 모여 있는 천체이다.
장 밝게 보이는 별은 겉보기 등급이 가장 작은
24) [정답]
별 A와 C이다.
[해설] 수십~수만 개의 젊은 별이 듬성하게 모인 별의
15) [정답] 집단을 산개성단, 수만~수십만 개의 늙은 별이
[해설] (겉보기 등급-절대 등급)이 클수록 멀리 있는 구형으로 빽빽하게 모인 별의 집단을 구상성단이
별이고, 10pc 거리에 있는 별은 겉보기 등급과 라 한다. 1) 우리은하는 막대나선은하이다. 2) 우
절대 등급이 같다. 리겔은 6.9, 시리우스는 –2.9, 리나라에서 여름철에 은하의 중심을 바라보게 되
아크투루스는 0.2이므로 가장 가까이 있는 별은 므로, 여름철에 더 뚜렷하게 보인다. 3) 성운 중
아크투르스이다. 에서는 주위 별빛을 흡수하여 가열된 후, 스스로
빛을 방출하는 방출성운이 있다. 4) 성간 물질은
16) [정답] 별 사이에 존재하는 티끌이나 가스를 말하며, 스
[해설] 절대 등급은 변하지 않으므로 그대로 –0.5등급 스로 빛을 내지 않는다.

이다. 거리가  배 멀어지면 밝기는  배,
  25) [정답]
 [해설] 보기 중 천체의 크기가 큰 것부터 나열하면 은
 배가 된다. 40배 어두워지는 상황이므로
  하-성단-별-행성의 순서이다. 안드로메다은하는
등급은 4등급 커지게 되므로, 6등급이 된다. 우리은하 밖에 있는 외부은하이다. 태양계는 별
에, 지구는 행성에 해당한다.
17) [정답]
[해설] A) 주위의 별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빛을 방출 26) [정답]
하는 방출성운이다. B) 주위의 별빛을 반사하는 [해설] 실험은 성간 물질이 주변의 별빛을 반사하여
반사성운이다. C) 별빛을 막아 어둡게 보이는 암 밝게 보이는 성운인 반사성운에 대한 것이다.
흑성운이다.
27) [정답]
18) [정답] [해설] 반사 성운은 가스나 티끌이 주위의 별볓을 반
[해설] 가) 장미성운은 주위의 별을 흡수한 뒤 다시 사해 밝게 보인다.
빛을 방출한다. 라) 장미성운은 붉게 보이는 성운
28) [정답]
이다.
[해설] 전파망원경은 지상에 설치하여 천체가 방출하
19) [정답] 는 전파를 관측하므로 태양계 밖의 별들을 쉽게
[해설] 은하수는 지구에서 우리 은하의 일부를 바라본 관찰할 수는 없다.
모습이다. 먼지와 가스가 구름처럼 보이는 것은
29) [정답]
성운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 (가)는 화성 탐사에 이용된 탐사 로봇이다.
20) [정답] (나)는 지구 대기 밖 우주에서 관측을 수행하는
[해설] ㄴ) 막대 모양의 중심부와 나선팔로 이루어져 망원경이다.
있다. ㄷ) 약 2000억 개의 별들이 있다. ㄹ) 지름
30) [정답]
이 약 30kpc이다.
[해설] 누리호는 2021년 발사하였지만 궤도 안착에는
21) [정답] 실패하였고, 2022년 2차 발사에 성공하였다. 누
[해설] 우리은하는 막대 나선은하에 속한다. 우리은하 리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용
의 지름은 35kpc(10만 광년)이고, 태양계는 우리 로켓으로 순수 국내 기술로 자체 개발에 성공하
은하 중심에서 약 8.5kpc(3만 광년) 떨어진 나선 였다.
팔에 위치한다.

22) [정답]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