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역사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1

역사 수행(231012)

1. 임진왜란의 국외적 배경
16세기 후반 이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다이묘들의
불만을 밖으로 돌리고자 하였다. 이에 대륙 침략을 구실로 내세우며 조선을 침략하면
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2. 임진왜란의 국내적 배경
조선은 건국 이후 전쟁 없이 평화가 지속되면서 전쟁에 대한 준비들이 미흡했기 때
문에 조선군들은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의 침략을 막아 내지 못하였다.

3. 임진왜란 중 수군과 의병의 활약


연이어 패배하던 조선은 수군과 의병의 활약으로 전세를 뒤집기 시작했다. 이순신
이 이끄는 수군은 일본군보다 우수한 성능의 배와 무기를 이용해 옥포, 사천, 당포,
한산도 등에서 승리했다. 수군의 승리로 서남해의 제해권을 장악하여 곡창 지대인 전
라도 지방을 지키고 일본군의 보급로를 차단할 수 있었다. 한편, 전국 각지에서 의병
과 승병이 익숙한 지리를 활용해 적은 병력으로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4. 정유재란부터 전쟁 끝까지의 과정
전세가 불리해진 일본은 조선과 명에 휴전을 요청하였고 휴전이 지속되는 동안 조
선은 무기를 정비하고 훈련도감을 설치하는 등 군사 제도를 가다듬었다. 그러나 3년
에 걸친 휴전이 결렬되자 일본군은이 다시 조선을 침략하며 정유재란이 일어났다.이
순신이 이끈 수군이 명량에서 일본군을 대파하였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일본
군은 철수하였지만 이순신이 노량에서 철수하는 일본군을 크게 무찌르며 전쟁은 끝났
다.

5. 임진왜란의 국내적 영향
조선은 일본의 침략을 막았지만 전 국토가 전쟁터가 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7년
간의 전쟁으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토지가 황폐해졌다. 또한 많은 문화유산
들이 불타거나 일본에 약탈당했고, 수만 명이 일본에 포로로 잡혀갔다.

6. 임진왜란의 국외적 영향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정부가 무너지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막부를 열었다. 또
전쟁 중에 조선에서 포로로 끌고 간 도자기 기술자와 유학자의 영향으로 일본의 도자
기 문화와 성리학이 발전했다. 반면 무리하게 지원군을 파견한 명의 국력은 약화되었
고, 이를 틈타 만주의 여진족이 세력을 결집하여 후금을 건국하였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