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R E P O R T

등전위선
=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09.17
1. 측정값
실험 1 (직사각형 모양 전극)
다음 [그림1]은 등전위선 측정 장치와 직사각형 모양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위차가 인 지점을 찾아
연결한 곡선(1~4)을 나타낸 것이다. ①~④는 각 곡선에 해당하는 고정 검침 봉의 위치이다.

[그림1]
실험 2 (링 모양 전극)
다음 [그림2]는 등전위선 측정 장치와 링 모양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위차가 인 지점을 찾아 연결한
곡선(1~4)을 나타낸 것이다. ①~④는 각 곡선에 해당하는 고정 검침 봉의 위치이다.

[그림2]
2. 분석 및 고찰
① 실험 1의 결과와 이론값의 비교
다음 [그림3]은 실험 1의 이론값을 Java Simulation을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직사각형 모양의
전극이 형성하는 전기장에서 형성되는 등전위선을 나타낸 것이다. 화살표의 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의 크기는 전기장의 크기와 무관하다.

[그림3]
실험 1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림1]과 [그림3]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정확
한 비교를 위하여 [그림1]과 [그림3]을 중첩시킨 그림이 필요하다. 다음 [그림4]는 [그림1]과 [그림3]
을 중첩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은 각 등전위선의 명칭이다.

[그림4]
실험 1의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요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가. 첫 번째는 실험에
의한 등전위선과 실제 등전위선의 일치 여부(전기장의 방향과 측정한 등전위선의 접선 방향이 서로
수직인지 여부)이고, 나. 두 번째는 고정 검침 봉이 각각의 등전위선 위에 위치하는지 여부이다. 이
두 가지 요소(가, 나)를 고려하여 실험 결과(곡선 1~4)를 다음 표와 같이 평가하였다.

- 가 나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①의 위치가 다소 등전위선 ㉡쪽으로 치우쳐


에 나란히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있지만 고정 검침 봉의 크기와 1-가를 고려할
1
수직인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 때, 실험의 신뢰도를 낮출 정도의 오차는 아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닌 것으로 판단됨.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②의 위치 역시 곡선 2와 일부 겹쳐진 것을


에 나란히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보아, ㉢과 ㉣ 사이의 전위를 가지는 등전위
2
수직인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 선을 찾은 것임을 알 수 있음. 이는 2-가의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신뢰도를 높여주는 결과임.

③의 위치 역시 두 등전위선 ㉤과 ㉥ 사이에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위치하는 것으로 보아, ㉤과 ㉥ 사이의 전위
에 나란히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3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임을 알 수 있
수직인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
음. 곡선 3의 연장선과 겹쳐질 것으로 판단되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며, 이는 3-가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결과임.

곡선의 대부분이 등전위선 ㉦ 근처에 나란히 ④의 위치가 다소 등전위선 ㉦보다 바깥쪽으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수직인 것을 로 치우쳐 있지만 고정 검침 봉의 크기와 4-
4
고려할 때, ㉦과 유사한 전위를 가지는 등전 가를 고려할 때, 실험의 신뢰도를 낮출 정도
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의 오차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② 실험 2의 결과와 이론값의 비교
다음 [그림5]는 실험 2의 이론값을 Java Simulation을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링 모양의 전극이
형성하는 전기장에서 형성되는 등전위선을 나타낸 것이다. 화살표의 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의 크기는 전기장의 크기와 무관하다.

[그림5]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실험 2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림2]와 [그림5]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그림2]와 [그림5]를 중첩시킨 그림이 필요하다. 다음 [그림6]
은 [그림2]와 [그림5]를 중첩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은 각 등전위선의 명칭이다.

[그림6]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실험 2의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요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가. 첫 번째는 실험에 의한 등전위선과 실제 등전위선의 일치 여부(전기장의 방향과 측정한 등전위
선의 접선 방향이 서로 수직인지 여부)이고, 나. 두 번째는 고정 검침 봉이 각각의 등전위선 위에 위
치하는지 여부이다. 이 두 가지 요소(가, 나)를 고려하여 실험 결과(곡선 1~4)를 다음 표와 같이 평
가하였다.

- 가 나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에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수직인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를 가지
①의 위치 역시 ㉠과 ㉢ 사이에 위치하는 것
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과 ㉢ 사
으로 보아, ㉠과 ㉢ 사이의 전위를 가지는 등
1 이의 간격이 넓지만 곡선의 절반 정도는 ㉠
전위선을 찾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과 ㉡ 사이를 지나고, 나머지 절반 정도는 ㉡
1-가의 신뢰도를 높여줌.
과 ㉢ 사이를 지나므로 실험 결과에 대한 신
뢰도는 다소 떨어질지라도 상기와 같이 결론
내는 것이 타당해 보임.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②의 위치 역시 곡선 2와 일부 겹쳐진 것을


에 나란히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보아, ㉣과 ㉤ 사이의 전위를 가지는 등전위
2
수직인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 선을 찾은 것임을 알 수 있음. 이는 2-가의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신뢰도를 높여주는 결과임.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③의 위치 역시 두 등전위선 ㉥과 ㉦ 사이에


에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수직인 위치하는 것으로 보아, ㉥과 ㉦ 사이의 전위
3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를 가지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임을 알 수 있
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음. 이는 3-가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결과임.

곡선의 대부분이 두 등전위선 ㉧과 ㉨ 사이


에 위치하며, 전기장의 방향과 거의 수직인 ④의 위치 역시 두 등전위선 ㉧과 ㉨ 사이에
것을 고려할 때, ㉧과 ㉨ 사이의 전위를 가지 위치하는 것으로 보아, ㉧과 ㉨ 사이의 전위
4 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으로 보임. 곡선의 일 를 가지는 등전위선을 찾은 것임을 알 수 있
부가 ㉨보다 안쪽으로 그려진 것은 이동 검 음. 곡선 4의 연장선과 겹쳐질 것으로 판단되
침 봉에 의한 실험 결과를 촘촘하게 기록하 며, 이는 4-가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결과임.
지 않은 점에서 나타난 오차라 판단됨.
③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
→ 이동 검침 봉으로 찾은 곡선의 불완전성
실험 1과 실험 2의 주요 내용은 각각 ‘유한한 길이의 선전하 2개에 의한 등전위선 그리기’, ‘균일하
게 대전된 링 2개에 의한 등전위선 그리기’이다. 따라서 각 실험에서 형성된 전기장 내의 임의의 점
P 에서의 전위는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다음표는 전위의 정의와 중첩의 원리를 활
용하여 실험 1과 실험 2에서 생성되는 전기장 내의 임의의 점 P 에서의 전위 공식을 정리한 것이다.

- 전 위 공 식

길이가 인 직사각형 모양의 전극에 전하량  가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을 때,


  

전극으로부터의 최소거리가 인 점 P 에서의 전위는      로
 
  
 
 
나타낼 수 있다. (대학물리학Ⅱ 예제 24.7 참고,  는 진공상태의 유전율이다.) 하지만
실험 1 실험 1의 경우, 직사각형 모양의 전극이 2개인 상황이므로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여
전위 공식을 재정의 해야한다. 실험 1의 전기장 내의 임의의 점 P 와 +전극과 –전극
사이의 최소거리를 각각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ln   이다.
     
 

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링모양의 전극에 전하량  가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을 때,


전극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인 점 P 에서의 전위는
  
  


 

    cos
 
로 나타낼 수 있다. (2007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물리 15번문제 참고)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실험 2 역시 링 모양의 전극이


실험 2 2개인 상황이므로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여 전위 공식을 재정의 해야한다. 실험 2의
전기장 내의 임의의 점 P 와 +전극과 –전극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각각  ,  라
 

 
 
하면,   

 

  이다. (는 링의

     cos      cos
   

중심 및 점 P 를 지나는 직선과 링의 중심 및 링 위의 임의의 점을 지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이다.)

실험 1의 등전위선을 찾기 위해서는 실험 1의  을 일정하게 만드는 순서쌍  를 모두 찾아야


하고, 실험 2의 등전위선을 찾기 위해서는 실험 2의  을 일정하게 만드는 순서쌍  를 모두

찾아야 한다. 심지어 함수   는 실수범위에서 에 대한 일반적인 부정적분을

    cos
가지지 않으므로 등전위선을 결정하는 것은 더욱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등전위선을 그리기 위해서
는 등전위선을 구성하는 모든 점들을 찾은 후, 연결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전위차가 인
지점을 불연속적으로 찾았으며, 이런점들의 경로를 유추하여 곡선을 만드는 것 자체가 상기 식과는
상이한 결과가 나올 것이다. 따라서 불연속적인 점들로 연결한 등전위선의 불완전성은 본 실험의 오
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 고정 검침 봉 및 전극의 위치 변화
실험을 진행하면서 고정 검침 봉 및 전극의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자연현상(에어컨 바람, 주변 질량체간 만유인력, 실험 테이블의 기울어짐, 실험실 인
근에서 발생한 진동 등)에 의하여 고정 검칭 봉 및 전극의 미세한 위치 변화가 생겼을 가능성을 배
제할 수 없다. 따라서 실험자가 통제할 수 없는 미세한 고정 검침 봉 및 전극의 위치 변화 역시 작
게나마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 미세 검침 봉의 결과 위치와 실험자의 표시 위치의 상이함


미세 검침 봉에 의하여 전위차가 인 지점을 찾은 후 실험자가 해당 지점에 표식을 남기는 형식으
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실험자가 남긴 표식은 완전히 정확한 좌표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따
라서 미세 검침 봉의 결과 위치와 실험자의 표시 위치의 상이함은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미세 검침 봉에 좌표를 표식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
되어야 한다.

④ 전극의 모양에 따른 등전위선의 모양 변화 분석


다음 [그림7]~[그림9]는 여러 가지 전극의 모양에 대한 등전위선과 전기장의 방향을 Java Simulation
을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림7]
[그림8]

[그림9]
여러 가지 모양의 전극을 가정한 등전위선을 살펴보면서 공통적인 특징을 알 수 있다. 전극으로부터
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전위가 높아질수록), 등전위선의 모양이 전극의 모양과 유사해지는 모습을
알 수 있다. 반면, 전극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전위가 낮아질수록), 등전위선의 모양이 전극의
모양과 관계없이 대부분 유사해지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전극과의 거리가 가까운 등전위
선의 경우, 전극의 모양에 급격한 변화가 없는 부분(각이 없는 직선 형태나 부드러운 곡선 모양)에서
는 등전위선이 전극과 멀어지는 형태를 띄며, 급격한 변화가 있는 부분(각이 있는 부분이나 급격히
변하는 곡선 모양)에서는 전극과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그림3], [그림5], [그림7]~[그림9]
모두 각각의 전극의 모양은 다르지만, 전하가 같은 두 개의 전극이 있기에 등전위선의 대칭적인 분
포가 나타나며, 전기장의 방향과 등전위선의 접선 방향은 서로 수직이라는 기본 성질에는 변함이 없
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