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R E P O R T

옴의 법칙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10.03
1. 측정값
1) 저항이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전압 전류 전압 전류 전압 전류 전압 전류 전압 전류
[V] [mA] [V] [mA] [V] [mA] [V] [mA] [V] [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그림1]은 상기 표의 데이터를 LMS(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전압-전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 우측의 표는 각 그래프의 관계식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규모를 줄이기 위하여 축을 전
류의 배로 설정하였다.

저 항 관계식

     mA


     mA

     mA


     mA
     mA

[그림1]
2) 전압이 일정할 때
  V   V   V
저항 전류 저항 전류 저항 전류
[ ] [mA] [ ] [mA] [ ] [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그림2]는 상기 표의 데이터를 지오지브라 프로그램의 적합방정식을 이용하여 저항-전류 그래


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 하단의 표는 각 그래프의 관계식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규모를 줄
이기 위하여 축을 전류의 배로 설정하였다.

[그림2]

전 압 관계식

V     mA


V     mA


V     mA

3) 전류가 일정할 때
  mA   mA   mA
저항 전압 저항 전압 저항 전압
[ ] [V] [ ] [V] [ ] [V]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그림3]은 상기 표의 데이터를 LMS(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저항-전압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 우측의 표는 각 그래프의 관계식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규모를 줄이기 위하여 축을 저
항의 배로 설정하였다.

전 류 관계식

mA     V


mA     V

mA     V

[그림3]
2. 분석 및 고찰
① 고전류, 고저항 상황에서 전압 측정이 불가한 이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모든 물체에는 허용전류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이는 물체의 소재 및 모양에
따라 달라지며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물체의 저항 때문에 도입된 개념이다. 즉, 본 실험에서
사용한 전선에도 허용전류 및 내부저항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선에서 전압에 의한 전류가 흐를 때,
전자들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인 저항에 의하여 내부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선에 가해지는 전
류가 허용전류를 초과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기가 직류공급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 [그림4]는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 회로에서 두 소자 Op-Amp(I), Mosfet(Ⅱ)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4]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기에서 과부하는 [그림4]의 소자I(Op-Amp, Operational Amplifiers)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Op-Amp의 과부하 여부 판단에 따라서 [그림4]의 소자Ⅱ(Mosfet)가 이 전류를 전
원 공급 장치와 분리 혹은 연결시키는 원리로 작동된다. 따라서 본 실험의 ‘전류가 일정할 때, 전압
과 저항의 관계를 따지는 실험’에서 전류가 mA이고, 저항이  일 때, 전압이 측정되지 않은
이유는 직류전원장치 내부의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기의 Op-Amp가 해당 수치의 전류와 저항이 과
부하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류의 고정상태(CC)를 해체하고 전압의 고정상태(CV)로 바뀌
는 것이다.
② 그래프 분석
(1) 저항이 일정할 때, 전압-전류 그래프
옴의 법칙    에 의하여 저항이 일정할 때, 전압-전류 그래프의 기울기의 역수는 저항값이다.
각각의 저항에 따른 그래프의 기울기의 역수를 기반으로 실험의 오차율을 계산하면 다음 표와 같다.
(기울기 역수에  을 곱한 것은 전류의 단위가 mA이기 때문이다.)

저 항 기울기의 역수(× ) 오차율

  

  

  

  

  

(2) 전압이 일정할 때, 저항-전류 그래프


옴의 법칙    에 의하여 전압이 일정할 때, 저항-전류 그래프 상의 모든 점들의 두 좌표를 곱하
면 일정한 값을 갖는다. 즉, 전압과 전류는 서로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 각각의 전압에 따른 그래프
의 관계식에서 저항의 역수에 곱해진 상수를 기반으로 실험의 오차율을 계산하면 다음 표와 같다.
(저항의 역수에 곱해진 상수에   을 곱한 것은 전류의 단위가 mA이기 때문이다.)

전 압 저항의 역수에 곱해진 상수(×  ) 오차율

V  

V  

V  

(3)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전압 그래프


옴의 법칙    에 의하여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전압 그래프의 기울기는 전류값이다. 각각의
전류에 따른 그래프의 기울기를 기반으로 실험의 오차율을 계산하면 다음 표와 같다. (기울기 역수
에 을 곱한 것은 그래프의 축을  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전 류 기울기(× ) 오차율

mA  

mA  

mA  
③ 오차 발생 요인
②에 의하여 본 실험의 평균 오차는 로 비교적 이론값과 유사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실험
데이터에 의한 추세선의 관계식 뒤에 상수값이 추가되는 점은 본 실험의 오차가 보다 더 높아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부 저항
[그림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직류공급장치 내부에 있는 회로를 살펴보면 수많은 저항들이 존재한다.
뿐만아니라 옴의 법칙 실험 장치 및 연결된 전선 내부에도 저항이 존재한다. 이러한 저항들이 전자
들의 흐름을 설정한 값 이상으로 방해할 것이다. 따라서 실험 장치의 내부 저항은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2)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 장치
상기의 실험 데이터와 같이, 직류공급장치 내부의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 장치에 의하여 전류가
mA이고, 저항이  일 때, 전압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이는 LMS(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저항-
전압 그래프를 그렸을 때 자료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따라서 과부하 보호 전류 조절 장치에 의한
실험 데이터의 부재는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3) 불가항적 요소
직류공급장치에서 발생시킨 전압의 대기 중의 방전, 인근 자연환경에 의한 떨림 등 실험실 내부에
서 조절할 수 없는 불가항적 요소는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