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R E P O R T

힘의 평형
=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03.24
1. 측정값
표1   g일 때의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cms
  
  (°)  (°)     오차율(%)
  cos   cos
질량( g )     
추걸이
  
질량( g )
총질량( g )   
힘 dyn        

표2   g일 때의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
  (°)  (°)    오차율(%)
  sin   sin
질량( g )     
추걸이
  
질량( g )
총질량( g )   
힘 dyn        

※ 힘벡터의 합성과 평형에 대한 간단한 분석


표1과 표2는 축의 양의 방향에 dyn의 힘이 작용하면서,    인 상황이다. 따라서 A와 B
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같으므로 힘의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축과 A, B지점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하지만 실험 결과   의 값이 다소 크게 측정되었고, 이에 따라 오차율 역시
높게 측정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필자가 직접 실험하지는 못했으며, 영상의 실험 결과를 참고하
였다.)
①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 cos    cos   
②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 sin    sin
③ 
표3   g일 때의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cms
  
  (°)  (°)     오차율(%)
  cos   cos
질량( g )     
추걸이
  
질량( g )
총질량( g )   
힘 dyn        

표4   g일 때의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
        오차율(%)
  sin   sin
질량( g )     
추걸이
  
질량( g )
총질량( g )   
힘 dyn        

※ 힘벡터의 합성과 평형에 대한 간단한 분석


표3과 표4 역시 표1 및 표2와 마찬가지의 상황이다. 다만, C에서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축의 양
의 방향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커진 것이 달라진 점이다. 따라서 각 방향의 힘의 평형에 대한 관
계식은 표1과 표2에서 분석했던 ①, ②와 더불어 ③까지 동일하다.
지금까지 진행했던 두 가지의 실험을 통해 A, B지점의 질량이 같다면, 축의 양의 방향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커질수록 힘의 평형에 도달하기 위한 와 의 값은 작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단, 는 상수이고 ′과 ′은 각각 와 를 rad 단위로 변환시킨 것이다.)
표5   g일 때의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cms
  
  (°)  (°)     오차율(%)
  cos   cos
질량( g )     
추걸이
  
질량( g )
총질량( g )   
힘 dyn        

표6   g일 때의 축 방향으로의 힘의 평형
  
  (°)  (°)    오차율(%)
  sin   sin
질량( g )     
추걸이
  
질량( g )
총질량( g )   
힘 dyn        

※ 힘벡터의 합성과 평형에 대한 간단한 분석


표5와 표6은 세 지점에 서로 다른 힘이 작용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전 실험과는 전제가 바뀌었으
므로 각 방향의 힘의 평형에 대한 관계식은 표1과 표2에서 분석했던 ①, ②와 같겠지만 ③은 적용되
지 않는다.
2. 영상 속의 질문
(1) 세 힘의 평형에서 평형이 되게 하기 위해서 변화시켜야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또 각각은 벡터
의 성분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 세 힘의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힘이 나타내는 벡터와 각 벡터들 사이의 각을 고려해야
한다. 위의 실험에 대한 분석에서 하나의 힘의 방향을 축의 양의 방향으로 설정한 후 나머지 두
힘을 축과 축으로 나누어 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따라서 이번에는 다른 관점에서 힘의 평형
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 [그림 1]과 같이 한 점에서 작용하는 서로 다른 세 힘 
, 
, 
이 있   

다고 하자. 이때, 세 힘은 평형을 이룬다고 가정한다.

1)

[그림 1] [그림 2]


 이므로


 벡터의 평행이동에 의하여 
, 
, 
를 [그림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이다. (라미의 정리)
sin′ sin′ sin′ sin sin sin
따라서 굳이 힘에 대한 벡터를 모르더라도 각각의 사잇각과 그 크기만 안다면 세 힘이 평형에
도달하기 위한 조건을 유도할 수 있다.

(2) 평형판을 수평으로 하지 않고, 실험을 하게 되었을 때 변화가 있을까? 그렇다면 이유가 무엇인
가?
→ 평형판을 수평으로 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하면 변화가 생길 것이다. 평형판을 수평으로 한다면,
그 위에 놓인 물체는 오직 연직 아래 방향으로 중력가속도()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평형판
을 수평으로 하지 않는다면, 그 위에 놓인 물체는 평형판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 sin의 가
속도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1) “라미의 정리(Lami’s theory)”, JW MATHidea, 2019년 04월 19일 수정, 2022년 03월 24일 접속,
https://jwmath.tistory.com/25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