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R E P O R T

마찰 계수 측정
=======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04.04
실험 측정 결과 및 실험 결과 분석
1) 시료 1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밑면이 넓은 나무 재질의 시료)
시료 1 질량 = g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1  

시료1 2  

3  

평균 -  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시료1 1  

질량추가 2  


(g) 3  

평균 -  

시료 1 최대 정지 마찰계수 계산
 sin
    tan(은 시료의 질량, 는 중력가속도, 는 빗면이 지면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
 cos
이므로 상기의 표를 참고할 때, 시료 1의 평균 최대 정지 마찰계수는 이다.
2) 시료 2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밑면이 넓은 플라스틱 재질의 시료)
시료 2 질량 = g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1  

시료2 2  

3  

평균 -  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시료2 1  

질량추가 2  


(g) 3  

평균 -  

시료 2 최대 정지 마찰계수 계산
 sin
    tan(은 시료의 질량, 는 중력가속도, 는 빗면이 지면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
 cos
이므로 상기의 표를 참고할 때, 시료 2의 평균 최대 정지 마찰계수는 이다.
3) 시료 3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밑면이 넓은 금속 재질의 시료)
시료 3 질량 = g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1  

시료3 2  

3  

평균 -  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시료3 1  

질량추가 2  


(g) 3  

평균 -  

시료 3 최대 정지 마찰계수 계산
 sin
    tan(은 시료의 질량, 는 중력가속도, 는 빗면이 지면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
 cos
이므로 상기의 표를 참고할 때, 시료 3의 평균 최대 정지 마찰계수는 이다.
4) 시료 4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밑면이 좁은 플라스틱 재질의 시료)
시료 4 질량 = g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1  

시료4 2  

3  

평균 -  

시료 측정횟수 각도(°, deg) 마찰계수( )

시료4 1  

질량추가 2  


(g) 3  

평균 -  

시료 4 최대 정지 마찰계수 계산
 sin
    tan(은 시료의 질량, 는 중력가속도, 는 빗면이 지면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
 cos
이므로 상기의 표를 참고할 때, 시료 4의 평균 최대 정지 마찰계수는 이다.
5) 실험 결과 분석
본 실험은 세 가지 변수인 시료의 재질, 질량, 빗변과의 접촉 면적 중 두 가지의 변수를 고정시
키고 나머지 하나의 변수를 비교하며 해석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대한 자료와 이에 대한 세 가
지 해석은 다음과 같다.

[그림 1]은 상기 실험에서 시료 1~4의 질량 변화에 대한 정지 마찰 계수가 최대일 때의 빗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 3의 경우 같은 값이 기록되어, 점의 크기에 차이를
주었다.)

[그림 1]

① 시료의 재질과 접촉 면적이 일정할 때, 질량 변화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미치는 영향


→ [그림 1]을 보면 질량 변화에 대한 정지 마찰 계수가 최대일 때의 빗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
의 차이가 시료 1~4 모두 이내에서 나타나므로 질량의 변화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미
치는 영향은 없다고 보는 것이 적합한 해석이다.
② 시료의 재질과 질량이 일정할 때, 접촉 면적 변화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미치는 영향
→ 시료 2와 시료 4의 경우, 시료의 재질과 질량은 같으나 빗면과의 접촉 면적에 변화가 있다.
[그림 1]을 보면 시료 2와 시료 4의 빗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거의 유사한 값을 기록하였
다. 따라서 시료의 접촉 면적 변화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보는 것이
적합한 해석이다.

③ 시료의 질량과 접촉 면적이 일정할 때, 재질 변화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미치는 영향


→ 사실상 본 실험에서 질량과 접촉 면적이 일정한 경우를 실현할 수 없다. 접촉 면적은 일정하
지만 실질적 질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①에서 시료의 재질이 같을 때 질량 변화
는 무의미하다는 결과로부터 질량에 대한 변수는 무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그림 1]을 보
면 접촉 면적이 일정한 시료 1~3의 빗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다. 각도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당연하다. 따라서 최
대 정지 마찰 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시료의 질량과 접촉 면적이 아닌 재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코로나19로 인하여 필자가 직접 실험하지는 못했으며, 영상의 실험 결과를 참고하였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