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4.

Data & Results(실험에서 얻은 데이터와 결과)

〮 3 중고리추의 질량, m =0.20915 kg (209.15g)


〮 추(추걸이 포함) 질랭, M = 155.12g
(1) 회전반지름 r = 15cm
회 회전수(N) 회전시간(t) 주기(T) Fc Fg 오차율(%)
1 30 26.8
2 30 26.7
3
평균 X X

(2) 회전반지름 r = 17cm


회 회전수(N) 회전시간(t) 주기(T) Fc Fg 오차율(%)
1 30 28.2
2 28.3
3
평균 X X

(3) 회전반지름 r = 19cm


회 회전수(N) 회전시간(t) 주기(T) Fc Fg 오차율(%)
1 30 30.4
2 30 30.4
3
평균 X X

〮 회전반지름 r = 19cm
(1) 추(추걸이 포함)질량,M = 205.1 g
회 회전수(N) 회전시간(t) 주기(T) Fc Fg 오차율(%)
1 30 26.3
2 30 26.2
3
평균 X X

(2) 추(추걸이 포함)질량,M = 54.94g


회 회전수(N) 회전시간(t) 주기(T) Fc Fg 오차율(%)
1 30 46.8
2 30 47
3
평균 X X

5. Error Analysis(오차에 대한 분석)

1. 나무블록이 레일과 평형이 되지 않았을 수 있음. 음파가 나무블록에서 맞고 나오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기에 평형이 되어야 더 정밀한 관측이 진행됨.
2. 추의 흔들림; 추가 흔들리게 되면 운동 방향이 달라지게 되어 나무블록이 흔들릴 수도 있으며
연직방향으로의 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
3. 레일이 중력방향과 수직이 아닐 수 있음. 가속도 및 마찰계수에 영향을 줄 수 있음.

6. Discussion(고찰 및 실험에 대한 기타 사항 논의)

1. A 면과 B 면에 대한 표 1 의 실험 결과는 표면적이 다른 경우를 비교한 것이다. 실험 결과로부터


접촉 단면적의 크기가 달라질 때 운동 마찰계수는 어떻게 변하는가?
- 식을 통해서 봤을 때 , 이고 . M 과 M 이 고정이며
중력가속도는 일정하므로 가속도와 운동마찰계수는 반비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통해서 A 면일 때가 B 면일때보다 표면적이 더 큰데 가속도는 더 낮고 운동마찰계수가 더 높기
때문에 접촉 단면적이 커짐에 따라 운동마찰계수도 커짐을 알 수 있다.

2. A 면과 C 면은 표면적은 동일하지만 표면의 성질이 다른 경우이다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실험에서 A 면은 부직포가 있고, C 면은 좀 더 매끈한 나무도막의 면 그대로 되어있다. 실험


결과를 보면 C 면에서의 가속도가 더 높고 마찰계수가 낮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부직포가 마찰력을
높여 운동마찰계수가 증가하고, 가속도는 낮아지게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실험 절차의 (3)-(e) 실험과정의 결과 (표 2 의 오른쪽 열)로부터 운동마찰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는가?

-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나무블록위의 추 질량이 커질수록, 즉 M 값이 커질수록 가속도가


줄어든다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론상 마찰력은 수직항력과 비례하기에 나무도막 위의
추가 커질수록 증가하겠지만, 마찰계수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실험에서는 변하고 있기에
이는 실험에서의 오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고 매달린 추의 질량을 달리했을 때 어떤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예상하는가?

- 추의 질량(m)이 증가하게 되면 중력 mg 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장력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장력의 증가는 나무도막의 가속도 a 를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5.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고 나무 블록의 질량을 달리했을 때 어떤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예상하는가? (나무 블록의 질량(M 과 운동마찰력(fk)의 관계를 생각해보자)

- 운동마찰력은 마찰계수와 수직항력을 곱한 것이며, 수직항력은 물체의 질량과 비례하기 때문에


나무블록의 질량이 증가하게 되면 운동마찰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나무블록의 질량이
커지게 되면 동일한 크기의 장력이 영향을 미칠 때 더 적은 가속도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