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R E P O R T

포사체의 포물선 운동
=======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03.22
A. 발사체의 강도 1단 실험

발사 각도에 따른 이동거리의 변화
회수
1 2 3 4 5 평균

각도 거리 거리 거리 거리 거리 거리
시간(s ) 시간(s ) 시간(s ) 시간(s ) 시간(s ) 시간(s )
(°) (m m ) (m m ) (m m ) (m m ) (m m ) (m m )

0            

15            

30            

45            

60            

75            

여기서 시간은 광센서 통과 시간을 의미한다.


광센서 통과 시간을 평균내어, 이론치 초기속도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 두 광센서 사이의 거리 = mm  m , 바닥에서 발사체까지의 높이 = mm  m

두광센서사이의거리
· 이론치 초기속도 → 이론  
광센서통과시간

초기속도
(m s ) 이론 (ms) 실험 (ms) 실험오차(%)
각도(°)

0   
15   
30   
45   
60   
75   

※ 두 광센서 사이의 거리와 광센서 통과시간 모두 유효숫자가 개로 측정되었고, 중력가속도를


ms 으로 계산하였기에 실험 과 이론 의 유효숫자를 각각 개, 개로 계산하였음.
B. 분석

1. 결과로부터 각도의 변화에 따라 탄환이 떨어지는 거리의 변화를 살펴보자. 얼마의 발사 각도를 가질 때
탄환이 가장 멀리 날아가는가?
→ 의 각도를 가질 때, 탄환이 가장 멀리 날아간다.

2. 이론값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차이가 크다면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 비교적 이론값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실험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오
차를 계산한 결과, 우리팀의 평균 오차는 였다.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다른 두 팀의 평균오차를
참고한 결과, 한 팀(a)의 평균 오차는 이었고 다른 한 팀(b)의 평균 오차는 이었다. 우리팀 및
b팀과 a팀의 평균오차 차이가 생각보다 크게 나타났기에, 우리팀 및 b팀과 a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
다. 그 결과, A팀은 각도를 바꿀 때마다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였다는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실험 전에
우리팀도 이에 대한 변수를 생각하였으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의 회전 중심이 초기 공의 무게
중심과 일치한다고 생각하여 초기의 높이는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분석 후 생각해보니,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탄환의 위치는 변한다는 점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C. 고찰.
① B-2.의 보충
→ [그림 1]은 책상 위에 있는 탄동진자(SG-7140) 안에 공이 있는 모습을, [그림 2]는 [그림 1]에서 탄동진
자(SG-7140)를 기울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점 A는 탄동진자(SG-7140) 내부에 위치한 탄환의 중심이
고, 점 B는 탄환이 발사되어 첫 번째 Photogate를 통과하는 시점의 탄환의 중심이다.

[그림 1] [그림 2]

초기에 우리팀에서 해석한    에 들어갈 의 값은 바닥으로부터 점 A까지의 높이였
   tancos
다. 그리고 [그림 1]에서 [그림 2]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점 A의 절대적인 위치는 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일 때, 측정한 mm의 높이를 계속해서 사용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처음으로
측정되는 시간은 [그림 2]의 탄환의 중심이 점 B에 위치하는 시점부터이다. [그림 1]과 [그림 2]를 비교
하면, 탄환의 중심이 점 B에 위치할 때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자명하
다. 따라서 높이의 변화를 고려한 팀보다 오차값이 다소 높게 측정된 것이다.

② 왜 에서 가장 멀리 날아가지 않는 것인가?


→ 실험을 하면서 들었던 가장 큰 궁금증은 이론상으로 로 발사한 경우에 수평 도달 거리가 최대가
된다고 배웠으나, 실상 실험을 해보니 로 발사한 경우의 수평 도달 거리가 최대가 아니었다. (실험
이 끝나고 다른팀과 대화해보니 대부분 팀의 궁금증이 이것이었다.)
“공기저항이 없을 때, 같은 속도로 물체를 던진다면 지면과 를 이룰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1) 라
는 명제에 간과하고 있던 전제조건이 있었다. 바로 물체가 출발하는 시점으로부터 도착하는 시점 동안
의 방향의 위치 변화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물체가 포물선 운동 할 때의 방향의 위치
변화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우리팀의 실험 데이터(발사 각도
에 따른 이동 거리의 변화 표)를 기반으로 실제 이차곡선을 그려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성진 외 6명, 『고등학교 물리학Ⅱ』, 미래엔, 2018, 33쪽.


위의 그래프에 대한 정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 각도 와 사이의 관계식

  tan 
(1)       tan ≥ 


  tan 
(2)        tan  ≥ 


  tan 
(3)        tan  ≥ 


  tan 
(4)        tan  ≥ 


  tan 
(5)        tan  ≥ 


  tan 
(6)        tan  ≥ 


(7) -   

실험에서 측정한 값을 살펴보면, 로 발사하였을 때의 수평 도달 거리가 최대를 기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래프를 그려본 결과, (4)의 그래프가 축과 가장 멀리서 만나는 것으로 볼 때, 방향의 위치
변화가 인 경우에는 로 발사하였을 때, 수평 도달 거리가 최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우리팀이 실험을 통해 측정한 수평 도달 거리는 (1)~(6)의 그래프가 (7)의 그래프와 만나는 좌
표에 해당한다. (4)의 그래프와 (7)의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은 번째로 크기 때문에 해당 전제를 무시
한 우리팀의 입장에서 의문이 생긴 것이다.

두광센서사이의거리
③ 왜 이론   인가?
광센서통과시간
→ 처음에 이론 을 계산하면서 든 생각이다. 분명히 탄환은 우리눈에 보이기 시작한 시점부터 등가속도 운
동을 한텐데 왜 등속도 방정식을 활용하여 이론 을 구하는지 의문이었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계산
하면서 느낀 바로는 2개의 Photogate를 통과하는 동안의 시간은 평균 초로 굉장히 작은 시간
간격이다. 그렇기에 굳이 등가속도 방정식      또는     를 활용하지 않은 것 같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