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R E P O R T

액체의 비중실험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05.28
(1) 측정값
증류수의 온도(   ) : C
액체시료의 온도(   ) : C
증류수의 밀도(  ) : gcm 
    ′
액체시료의 밀도(  ) :     ( gcm  )
  ′  

증 류 수 액 체 시 료 -

   ′    ′    ′
회  (cm )  ′(cm ) 회  (cm )  ′(cm )     
(cm ) (cm )    ′

1        1        

2        2        

3        3        

4        4        

5        5        

평 균  

(2) 또 다른 실험값 계산 방법
그래프를 사용하여 액체 시료의 밀도를 구할 수도 있다. 증류수의 높이를  축, 액체 시료의 높이를
 축으로 하여 측정값에 해당하는 점을 그래프 용지 위에 그리면 이 점들은 대략 일직선상에 오게

된다.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이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면,  가 되므로 액체 시료의 밀도  를 직
 

접 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실험 데이터를  평면 상의 좌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실험 자


료의 부호는 전체 계산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모두 양수로 가정한다.)

실 험 1 2 3 4 5

좌 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어진 실험 데이터들의 선형회귀식을      라 하자. (  ,  는 상수이다.)

최소자승법에서   
      
,      
 임을 이용하면,  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이고, (유효숫자의 영향으로 소숫점 아래의 수가 평균으
 
로 계산하였을 때와 상이하다.) 주어진 실험에 대한 선형회귀식은      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고찰
사용된 시료는 에틸알코올(99%)이다. 인터넷등에서 해당 시료의 밀도를 찾아보고, 실험값과 비교해
보자. 오차가 있다면 오차의 원인은 무엇으로 생각되는가?
다음 그림은 Density-Strength Converter에 본 실험의 데이터(   , 에탄올의 도수)를 기입한 결과이다.

그림의 결과에 따르면 C 에서 99% 에틸알코올의 밀도는  이다. 이를 실험 데이터와 비교해
서 구한 오차율은  이다. 오차가 발생한 요인을 두 가지의 관점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에틸 알코올에 가해진 온도 변화
→ 실험 과정에서 손을 이용하여 에틸 알코올을 옮기는 과정이 있었다. 이때 손의 체온이 비커 안에
있는 에틸 알코올에 영향을 미치면서 미세한 온도 변화가 있었을 것이다. 이에 온도계로 측정되
는 온도의 부정확도가 높아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에틸 알코올을 옮기는 과정에
서 손의 접촉은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2) 에틸 알코올의 재사용


→ 본 실험을 진행할 때 사용한 99% 에틸 알코올은 이전 실험에 이어서 재사용한 것이다. 이전 실
험에서 사용했기에, 비닐랩으로 밀봉했을지라도, 외부 공기 및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에틸 알코올
99% 성격이 완전히 유지되었다고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에틸 알코올을 재사용한 것은 본 실험
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