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R E P O R T

#5 휘스톤 브릿지
조 : 4조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10.16
1. 측정값
-기지저항 : Rv, 미지저항 : R x , 길이 1 : L , 길이 2 : L
Rx L
-실험값 계산 : 도선의 저항은 그 길이에 비례함을 이용하여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지
Rv L
L
저항 값을 Rx  Rv  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L
-미지저항세트의 색저항값을 확인한 후에 각 기지저항마다 미지저항 값을 길이비로 계산하여 색저
항값과 비교하고, 각각의 오차를 계산한다.

기지저항() 길이 1(cm) 길이 2(cm) 미지저항 1() 오차()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균()  

색저항값()  -

기지저항() 길이 1(cm) 길이 2(cm) 미지저항 2() 오차()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균()  

색저항값()  -
기지저항() 길이 1(cm) 길이 2(cm) 미지저항 4() 오차()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균()  

색저항값()  -

기지저항() 길이 1(cm) 길이 2(cm) 미지저항 6() 오차()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균()  

색저항값()  -

기지저항() 길이 1(cm) 길이 2(cm) 미지저항 8() 오차()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균()  

색저항값()  -
2. 분석 및 고찰
- 오차 발생 요인 분석
본 실험의 평균 오차는 이다. 기지저항과 색저항값이 각각 , 인 경우(오차율 )와
, (오차율 )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모두 색저항에서 존재하는 오차범위 이내의 오차율
이다. 이에 본 실험은 전체적으로 실험값과 실제값이 상당히 유사하며 정확도가 높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두 가지 경우처럼 오차율이 색저항의 오차범위 외에 존재한 경우에 대하여 오
차의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험에 대한 오차 요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 내부 구조


본 실험의 전제 조건은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 내부 도선에서 저항을 구성하는 모든 변수가 일

정하다는 것이다. 즉, 저항의 공식     (는 비저항,  는 단면적,  은 길이)의 변수들이 모두 일

정하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이 모든 변수들의 균일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상기 그림 (a)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를, 그림 (b)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를 직렬화 시킨 것이다. 즉,
(a)와 (b)는 같은 그림인 것이다. 본 실험에서 진행한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를 (a)에 대응시키면,
두 저항  과  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그림 (b)와 같이 직렬화 가능하다는
것은 옴의 법칙에 의하여  과  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비율은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비율과 같다. 따라서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 내부 구조가 본 실험의 오차에
기여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 과  에 걸리는 전압의 비를 측정한 후, 그 비율을 기지저항의
값에 곱하여 실험에 의한 미지저항 값과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 전위계의 한
계로 직접 전압값을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서울대학교에서 본 실험과 유사한 조건에서 이 과
정을 진행하였을 때,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 내부 구조에 의한 오차가 약 로 측정된 선례가
있다. 이로 미루어볼 때,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 내부 구조가 오차의 결정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할 수 있으나,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는 있다.
(2) 전류계 측정의 불완전성
휘스톤 브릿지 실험 장치에 의한 전류의 눈금을 정확히 읽어내는 것은 쉽지 않다. 분명, 실험자가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나타난 오차가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전류계 및 전위계 측정의 불완전성은
본 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전류계 및 전위계의 측정 방식이 눈금이 아닌 디지털 방
식을 활용한다면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3) 불가항적 요소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저항, 전지에서 발생시킨 전압의 대기 중의 방전, 인근 자연환경에 의한
떨림 등 실험실 내부에서 조절할 수 없는 불가항적 요소는 본실험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
다.
3. 참고문헌
(1) Jeong-Yeol Yoon, Introduction to Biosensors; David G. Alciatore, Introduction to Mechatronics
and Measurement Systems
(2) <2-5. 휘스톤브리지 실험>
(3) 《Physics Laboratory》
(4)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편, 2017, 4-6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