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R E P O R T

강체의 공간운동

학과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학번 2022121055

이름 문 형 준

담당 교수 최 기 석

제출일 2022.04.10
1) 측정값
조건 1 : 금속구 질량  g
조건 2 : 금속구 질량  g

조건 측정횟수(회) 1 2 3 4 5 평균( mm )
1 수평거리( mm )            
2 수평거리( mm )            

조건 1 조건 2
트랙 끝점의 높이,  ( mm )   
출발점 높이,  ( mm )   
트랙 끝점의 높이,   ( mm )  
트랙 끝점과 실험대의 거리,  ( mm )  
트랙의 경사각,   (°)  
출발점의 높이,  ( mm )  
원형트랙의 반경,  ( mm )   

2) 실험값 계산

① 점 C에서 구의 속력 실험값 (  cms )


 
조건 1 :  실 험    


  cm  s, 조건 2 :  실 험    


  cm  s

② 점 C에서 구의 속력 이론값 (  cm  s )


 
조건 1 :  이 론      cms, 조건 2 :  이 론      cms
③  실 험 과  이 론 의 비

 실 험  실 험
조건 1 :   , 조건 2 :   
 이 론  이 론

④ 에너지 손실 (  cm  s  )
  
조건 1 :                      erg,
  
  
조건 2 :                      erg
  
⑤ 측정값  과  사이의 비를 구하고 식 (6)과 비교
 
조건 1 :    , 조건 2 :    
 
 
식 (6)에 의하면      이다.
 
따라서 조건 1과 조건 2는 이론값과 각각  ,  의 차이가 발생한다.

⑥ 식 (13)과 (11)에서  실 험 을 계산

식 (13)과 (11)에서  실 험    
실 험     이다.   이므로  실 험   실 험 이다.

따라서 ①과 같은 값이다.
조건 1 :  실 험   cm  s, 조건 2 :  실 험  cm s

⑦ 식 (9)를 이용하여  이 론 을 계산

⑥과 마찬가지로  이 론   이 론 이다. 따라서 ②와 같은 값이다.

조건 1 :  이 론   cm  s, 조건 2 :  이 론  cm s

 실 험
⑧ 
 이 론

⑥, ⑦과 마찬가지로 ③과 같은 값이다.
 실 험  실 험
조건 1 :    , 조건 2 :   
 이 론  이 론

3) 고찰
2)의 실험값 계산을 바탕으로 고찰을 하려고 한다. 본 실험에서 C지점에서의 각도 변화에
대한 관측은 하지 않았으므로, 2)의 ⑥~⑧에 대한 고찰은 하지 않을 것이다.
(1) ①~④의 고찰
→ ①과 ②의 측정 및 계산 결과로 ③에서 계산한 바와 같이 조건 1과 조건 2에서 각각 약
, 약  의 오차율이 발생하였다. 이는 구가 트랙을 내려오면서 구가 받은 공기저
항력과 구와 트랙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한 오차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④에
서 계산한 에너지 변화량 참고)
(2) ⑤의 고찰
→ 실험 초기에, 본 실험에서 트랙에 원형 구간이 있는 이유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실험 이후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이었다
는 것을 알게되었다. 원형 트랙이 없더라도, 포물선 운동의 해석을 바탕으로 역학적 에너
지 보존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원형 트랙 최고점에서의 구의 선속력이  이고 구에
작용하는 구심력이 중력이라는 점을 활용한다면, 이차원 운동의 해석과 더불어 새로운
지점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확인할 수 있는 경로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3) 구의 질량에 대한 출발점 변화
  
→ 역학적 에너지의 일반적 표현은          이다. 초기의 선속도와 각속도
 
의 크기가 모두 인 것을 감안하면, 역학적 에너지는 구의 질량과 출발점의 높이에 의존

    
한다. 한편, 구의 높이가 인 지점에서의 역학적 에너지는           
  
이다. 이때, 조건 1의 구의 질량이 조건 2보다 더 크므로, 높이가  인 지점에서의 역학적
에너지는 조건 1의 경우가 조건 2의 경우보다 더 크다. 따라서 역학적 에너지 보존에 의
하여 조건 1의 구의 질량과 출발점의 높이의 곱이 조건 2보다 더 커야 한다. 실험 결과
를 살펴보면, 조건 2의 구의 출발점의 높이가 조건 1보다 크다. 이를 통해 초기의 역학
적 에너지의 계산에 있어 높이의 영향보다 질량의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