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Wheatstone-bridge에 의한

Chapter 18 미지저항 측정 실험

1. 목 적

휘트스톤 브리지의 구조와 사용 방법을 알고, 이것을 이용하여 미지의 전기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2. 기 구

휘트스톤 브리지, 검류계, 멀티미터

3. 원리 및 이론

휘트스톤 브리지는 그림 17.1(a)와 같이 저항  ,  ,  와  를 연결하고, 점 


와  사이를 검류계 G 로 연결하여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알아볼 수 있게 한 장치
이다.
이 휘트스톤 브리지는  과  및  를 적당히 조절하여 검류계(G )에 전류가 흐
르지 않게 하여 평형조건을 찾는 영점법(null-comparison method)을 사용한다. 검류계
에 있는 스위치를 닫았을 때 검류계의 지침이 0이 된다는 것은  와  점 사이에 전류
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며,  와  점은 등전위점이 되었다는 뜻이다. 이것은
    와      이 같다는 뜻이므로

    (18.1)

       (18.2)
이 성립된다.
지금  과  ,  와  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검류계를 통하는 전류가 0이므로
   ,    가 되어, 식 (18.1)과 (18.2)의 비를 취하면

Chapter 18 Wheatstone-bridge에 의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 ∙ 181


 
 
   

그림 18.1 휘트스톤 브리지

를 얻는다. 즉,


   
  (18.3)

그림 18.1(b)와 같은 습동선형 휘트스톤 브리지에서,  과  는 단면적이  이고


비저항이  인 균일 저항선의 선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길이당 저항은 일정하
다. 따라서, 각 선분의 저항  과  는 그 길이에 비례한다.  에 해당하는 선분의
길이는  ,  에 대한 선분의 길이를  라 하면  ,  는

 
     
 
따라서,
  
   (18.4)
  

식 (18.4)를 (18.3)에 대입하면  는

   
  


(18.5)

이다. 따라서,  과  를 측정하고,  의 값을 정확히 앎으로써,  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미지저항  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장치로는 dial형 휘트스톤 브리지와 저항
상자형 휘트스톤 브리지가 있다.

182 ∙ Part 2 실 험
4. 실험 방법

(1) Ready-Set 휘트스톤 브리지 실험기구를 준비하고, 전원을 연결한다. 전압은 5V


로 고정되어 있다.
(2) 의 다이얼을 돌려 미지저항 1번을 선택하고, 검류계의 스위치를 ON에 위치
시킨다.

그림 18.2 휘트스톤 브리지 실험장치

(3) 솔레노이드형 습동 저항선 단자의 위치를 중앙 정도에 두고,  의 다이얼을


돌려 경보음이 들리지 않도록 를 선정한다. 이러한  값이 없으면 최대한
중앙에 가까운 쪽으로  를 선정한다.
검류계에 일정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경보음을 주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실험
은 가변 저항의 양 극단 보다는 중앙 근처에서 행해지는 것이 좋다. 양 극단에
서의 실험값은 가변저항의 길이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여 그 관계 그래프를 통
하여 보정하는 것이 좋다.
(4) 습동 저항선 단자의 위치를 조정하여 검류계의 눈금 값이 0이 되도록 조정하
고, 이때의 값을 부착된 버니어 캘리퍼스를 통하여 읽는다.
(5) 식 (18.5)로 부터 미지 저항 값을 계산하고 기록한다.
(6) 미지저항의 번호를 차례로 2번 ∼ 12번 까지 변화시키면서 (3) ∼ (5)의 과정을
반복한다.
(7) 다이얼을 돌려 select를 선택하여 미지저항을 직접 측정하고 측정값을 기록한다.
(8) 실험과 이론으로부터 얻은 결과 값과 멀티미터로 직접 측정한 결과 값을 비교
하고 퍼센트오차를 구한다.

Chapter 18 Wheatstone-bridge에 의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 ∙ 183


결과 REPORT

학 과 학 번 이 름

실험조 실험일시

1. 실험 제목

2. 목 적

3. 기 구

4. 원리 및 이론, 실험 방법 (실험배치도 포함)

Chapter 18 Wheatstone-bridge에 의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 ∙ 185


5. 실험치

표준값 습동저항 실험값


미지지항
    퍼센트오차 (%)
 번호 멀티미터 측정값
 기기저항값     
     

10

11

12

6. 계산 및 결론

Chapter 18 Wheatstone-bridge에 의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 ∙ 18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