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Commissioning & Test

tool

UNION
Item
 Multimeter
 Clamp meter
 Resistance box
 Megger tester
 Pressure hand pump
 Infrared Thermometer Temperature Tester
 Dry block temperature calibrator
 Thermocouple calibrator
 HART Communicator
Multimeter
Multimeter
백라이트

최소 / 최대 값 기록 설정

기능 변경

저항 ,
도통
mA 측정
직류 (DC)
측정
교류 (AC), 주파수 (Hz)
측정
mA 측정 시 (Red cable)
저항 , 전압 , 도통 측정 시 (Red ca-
ble)
Common (Black cable)
Multimeter
Multimeter
Cable 도통 점검

예 ) A 와 B 인원

A action :
1) 테스터기의 Com 케이블을 선체에 고정 .
2) 테스터기의 다이얼을 Ω 에 설정 .
3) Red cable 로 점검할 케이블 접지 .
4) B 에게 동일한 케이블 접지 실시 요청 .
5) 측정 값 확인하여 단선 , 정상 확인 . ( 0.2 Ω ~ 0.5 Ω 이 정상 값 .)
6) B 에게 확인 되었다고 전달 .
7) 반복 .

B action :
1) Earth cable( 자체 제작 ) 을 선체에 고정 .
A A 2) A 의 점검 요청 전 까지 대기 .
3) A 에게 케이블 접지 요청이 오면 동일한 케이블 접지 실시 .
4) A 가 확인 완료 신호를 받으면 접지 해제 .
5) 반복 .

*Fan, Pump, Motor 에 들어가는 Power cable(RST, UVW) 은 B 가 R cable 접지 시 A 는 S,T cable 도
저항 값을 확인하여 쇼트 여부를 확인 .
그 후 반복하여 다른 케이블도 점검을 실시 .

* 단자대에서 케이블을 제거하여 측정하는 것이 정확 .

* 케이블 도통 점검 전 관련 장비 전원 차단 확인 .

* 케이블 외에 퓨즈 , 전구 , 장비의 저항 등을 주로 체크 .

*mA 측정 시 AC, DC Power 가 인가되는 케이블을 측정하게 되면 Fuse 혹은 테스터기에 문제가 발생 .


B
Multimeter
전압 (V) 점검 .

테스터기의 다이얼을 V(AC) 로 설정 후 R, S, T 혹은 S, T Cable 에 전압을 체크 .


DC 전압 체크 시 다이얼 V(DV) 로 설정하여 P, N Cable 전압을 체크 . ( 방법은 동일 )

주파수 (Hz) 점검 .

Function key 를 누른 후 화면에 AC / Hz 로 전환 확인 후 측정 .

*DC Cable 은 P(+) : White, N(-) : Black 을 일반적으로 사용 .

*24v DC 의 경우 +, - 가 바뀌어 결선이 되면 장비 파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의 요망 .

*R, S, T Cable 전압 체크 시 R, S / S, T / T, S 각각 체크하여 전압의 특이점 ( 높거나 낮음 ) 확인 필요 .


Clamp meter
전류 (A) 점검 .

Hook meter 로도 불리며 전류 (A) 측정 .


사용방법은 후크 메타를 측정할 케이블에 걸어서 디스플레이에서 측정 값을 확인 .

선박에 들어가는 장비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테스터기 (Multimeter) 로는 한계가 있어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후크 메타를 주로 사용 .
동봉된 케이블을 장착하여 다이얼을 세팅하면 전압 , 저항 , 주파수 등 체크가 가능 .

* 케이블의 각 상 (R,S,T) 를 체크하여 특이점 ( 높거나 낮음 ) 을 체크하여 문제점 유 / 무 파악 .

* 후크를 걸기 위해 양 옆의 케이블을 건드릴 시 주의 .


Resistance box
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 Check.

저항 박스라고 부르며 , RTD Sensor 를 주로 체크를 하며 , 장비나 로컬의 RTD temperature sensor 에
저항을 걸어 특정 값을 입력 후 AMS( 장비 ) Indi. 값과 Local( 저항박스 )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 .

사용방법은 A, B 마킹 부분에 충분한 길이의 “전기집게 케이블”을 장착하여 RTD Sensor 에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 시킨 후 다이얼을 돌려 저항 ( 온도 ) 값을 설정 .

RTD Sensor
R
T A
D

B
A o B
x
B1 B2
RTD Sensor 의 케이블은 3 가닥으로 한 가닥은 다른 색상으로 되어있으며 이를 ex) A 라고 부르며 , 나머지
동일한 색상의 두 가닥은 ex) B1, B2 라고 하겠습니다 .
저항 박스의 A 의 케이블을 RTD 의 A 에 연결 , 저항박스 B 의 케이블을 RTD 의 B1, B2 에 연결 .
A
* 저항박스 B 단자대에는 Y 케이블을 사용 . 그리고 저항박스의 각 케이블은 측정 시 AMS 혹은 장비
B 나타나는 값이 Hunting 하지 않도록 전기집게 ( 악어클립 ) 으로 단단히 고정 .

*B1 에 단독 연결 할 경우 측정 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 Y Cable” 을 사용하여 B1, B2 둘 다 연결 .

* 선박에는 주로 PT100 Ω 의 센서를 사용을 하며 0 ℃ → 100 Ω 그리고 1 ℃ 의 저항 값은 0.385 Ω


예 ) -50 ℃ → 80.31 Ω , 135 ℃ → 151.71 Ω
Megger tester
Cable megger check.

Insulation tester 라고도 불리며 테스터기로는 저항만 측정을 하는 것이고 Megger tester 는 기기나 전선에
누전이 발생하였는지 확인 및 해당 케이블 사용전압에 절연이 이상이 없는가 , 사용을 할 수 있는가를 테스트 .

사용방법은 ● Measure key 를 open 하면 on 상태로 되며 , Black cable 은 선체에 고정을 하고 Red cable
로 점검할 케이블을 접지 후 화면에 측정값을 기록 .
∞ 에 가까울수록 좋으며 보통 500V 기준 50 Ω 보다 낮으면 Recoding 을 위해 점검을 실시하여 ∞에
가깝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
케이블 점검이 끝나면 따로 준비한 Earth cable 을 선체에 고정하고 점검한 케이블을 각각 접지하여 잔류
제거를 실시 .

*220v 의 장비는 다이얼을 250V 로 설정을 하고 , 440v 장비의 경우 500v 로 다이얼을 설정 .

* 사용전압을 가하면 단락이나 지락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

* 습기나 먼지에 의해서 저항 측정값이 좋지않은 경우도 다수 발생 . 이 경우 장비 내부에 습기를 히터로


충분히 가열하여 말리거나 장비를 가동하여 Heating 을 하면 측정값이 정상 범주로 복구 .
Pressure hand pump Pressure check.

핸드 펌프는 주로 P/S(Pressure switch), P/T(Pressure transmitter) 에 일정 압력을 걸어 센서 (PS, PT) 가


동작이 되는지 확인을 하며 또한 AMS( 혹은 장비 ) 에 Local 에서 올라온 압력 값과 동일한지 확인 .

사용 방법 : ● Pressure open & close ● Pressure controller ● Pressure micro controller

P/S & P/T 에 Air valve 가 있는 경우 먼저 Air leaking 시켜 준 후 Fitting 을 장착 .


알람 값 (High/Low) 에 따라 압력을 ±1 bar 정도 압력을 더 걸어서 Normal 값을 만든 후 Press. Cont. 로
Alarm 값 근처로 세팅 후 Micro cont. 로 Pressure 값을 조정 .

P/S : Switch type 은 접점 (NO, NC) 을 사용하며 , Procedure 에 나온 Alarm point 를 세팅을 하여
핸드펌프에 연결 후 압력을 걸어 Setting point 에서 접점이 바뀌는지 확인 .
P/S point setting 은 드라이버로 시계 / 반시계 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되어 있다 .

P/T : Transmitter type 은 4 ~ 20mA 전류전송신호를 사용을 하며 , Local 에서 핸드펌프를 P/T 에 연결 후


압력을 걸면 AMS( 혹은 장비 ) 에 수치가 나타나며 Setting point 는 AMS( 혹은 장비 ) 에서 설정이 가능 .
압력 값이 Local 과 모니터상 수치에 차이가 날 경우 P/T 종류에 따라 Span & Zero 값을 센서에서 현장
( 매뉴얼 ) 로 설정이 가능한 부분과 특정 Transmitter setting 을 할 수 있는 장비를 연결하여 조정을 할 수
있는 부분으로 나뉨 .

Gauge type

Hand pump

Analogue gauge Digital gauge

*Analogue type 의 경우 작업자 시선에 따라서 Digital type 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정확한 값이 디지털로 표기가 되지 않아 검사를 진행 할 경우 수월한 이로운 점이 있다 .

Fitting Seal tape * 핸드펌프로 압력을 걸었을 시 Leaking 이 되면 Seal tape 로 Gauge 와 Fitting 에 적당히 감아준다 .
Infrared Thermometer Temperature Tester
적외선 온도계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을 하며 측정할 곳을 겨냥 후 동작을 하면 빨간 점이 표시 .


표시가 된 점을 대상물에 이동을 하여 디스플레이 값을 확인 .

* 열을 측정하는 방법 중 접촉식 온도계가 정확하지만 접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비접촉식이 유용하게 사용 .

* 대상물의 측정값이 다른 장비와 비교하여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온도계 장비의 방사율을 조정 .

← 방사율 표
Dry block temperature calibrator
Temp sensor test.

Temp sensor 를 Actual test 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이 되며 Temp. Calibrator hole 에 Temp Sensor 를
삽입 후 측정값을 확인 .

사용방법은 알람 값이 ex) 90 ℃ 일 경우 사전에 Temp. Calibrator 를 80 ℃ 까지 세팅 후 Measure 값이


80 ℃ 까지 도달하면 측정할 Sensor 를 Temp. Calibrator hole 에 삽입 후 Source 값을 +3 ℃ 씩 서서히
올린다 . 이 때 주의 사항은 Measure 값이 Source 값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3 ℃ 를 입력하지 말고 ,
Source 값과 Measure 값이 동일 할 때 온도를 올려준다 .
Measure 값이 90 ℃ 에 도달 하였을 경우 시간을 가진 후 …

TC Sensor 의 경우 : AMS( 혹은 장비 ) 의 값과 비교 및 측정 .
RTD Sensor 의 경우 : 90 ℃ 에 도달 후 시간이 지나도 Action 이 없을 경우 +0.5 ℃ 를 입력하여
천천히 Action 이 있을 때 까지 올려준다 .

*RTD Sensor 의 경우 현장에서 Setting 값을 조정이 가능한 부분도 존재 . ( 필요장비 드라이버 )

*Hole 의 사이즈는 몇 개의 종류가 있으며 Sensor 크기에 맞는 Hole 을 장착하여 검사를 실시 .

*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Engine room local 에서 Lighting panel 혹은
Receptacle 에서 전기를 가져오므로 최소 10m 의 멀티탭이 필요 .

*E/R Fan 과 가깝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상황에서는 Temp. Calibrator 를 Covering 을 하여 바람을 막은 후


측정을 실시 .
Thermocouple calibrator
Temp sensor check.

일정 온도에 노출 시켰을 때 달라지는 전류를 토대로 , 전류 값에 따라 온도를 변화시켜 온도를 측정하는 장비 .

Resistance box 와 동일하게 RTD Temp. sensor 를 체크할 수 있으며 , 주로 TC Temp. sensor 와 장비 (
혹은 센서 ) 의 mA Input test 에 사용 .

사용방법

TC Temp. sensor : 센서 ( 열전대 ) 의 종류에 따라 TC Type 설정 디스플레이에서 확인 후 필요한 타입에


설정 및 Calibrator cable 을 센서에 연결 .
그 후 필요한 값을 입력 후 출력을 하면 AMS( 혹은 장비 ) 에 입력한 값 만큼 Indication 되며 각 포지션에서
값을 비교하며 점검을 진행 .

← 열전대 종류
mA 장비 & 센서 : Calibrator 디스플레이에 mA 표시 및 케이블 확인 후 해당 센서나 장비에 연결 .
0 ~ 20 mA 중 해당하는 값을 입력 후 출력을 하면 AMS( 혹은 장비 ) 에 입력한 mA 만큼의 값이 표시 .

* RTD Sensor 의 경우 저항 박스가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 .


HART Communicator
HART (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HART Protocol 을 지원하는 SMART Transmitter 계기장치 (Local sensor) 에 HART Communicator 를
연결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 .
1) 기본 변수 및 아날로그 출력 확인 .
2) 장치 일련번호 , 유형 및 공급 업체 확인 .
3) 교정 데이터 ( 상위 및 하위 범위 값 , 센서제한 , 교정일자 ) 취득 .
4) 현재 상태 및 오류 찾기 실행 .
5) 장치 설정 변경 ( 변위 , 단위 , 감쇠 )

* HART 통신은 4~20mA 로 움직이는 Analogue signal 에 Digital signal 를 실어서  Analogue data 와
Digital data 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며 , 현장 계기의 일반적인 정보 외에 부가적인 다양한 정보를 수집
가능 .

← 원리

*250 Ω 저항 사용하는 이유 ?
4~20mA x 250 Ω = 1~5 V
계기장치 (Microchip) 은 1~5 V 의 신호를 수신 . / 회로통신 구격 : 1~5 V

*Emerson 이나 Yokogawa 등의 ICSS System 의 IO Card 에 Transmitter 가 연결되어서 Power on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250 Ω 저항을 설치가 필요 없이 바로 연결이 가능하며 , 250 Ω 저항은 Transmitter 를
단독으로 Power on 시켜서 사용할 때 필요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