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1)광센서 A

• Cds는 광량에 따라 아날로그 출력 신호가 변화되도록 설계되어 Cds를 광으로부터 가리거나 노출함으로써 출력
신호가 변화한다.
• Photo Diode도 광량에 따라 아날로그 출력 신호가 변화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광으로부터 가리거나 노출함으
로써 출력신호가 변화한다.
• Photo Interrupt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누어져 있고 발광부로부터 발생한 광을 수광부에서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2)광센서 B

A. 포토트랜지스터
• 입사 광량에 따라 출력이 변화한다.
• 포토트랜지스터를 광으로부터 가리거나 노출함으로써 LED ON/OFF를 확인할 수 있다.
B. Color 센서
• 적색, 녹색, 청색의 3가지 색(분광감도 특성) 검지
• R,G,B 필터 처리된 어레이 포토다이오드와 필터 처리되지 않은 클레어 어레이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광을 검지한다.
• 적색, 녹색, 청색의 광원을 Color 센서에 노출함으로 출력 주파수 획득
C. 초전센서
• 두 개의 검지셀을 가지고 있어 인체감지시 효율이 좋다.
3)온도센서 A
A. PT100

•온도변화체(손가락, 입김)을 센서에 접촉하여 출력 변화


•접촉 방식: 정밀도가 높고 응답속도가 빠르다.
•동적인 물체는 측정이 어렵다.

B. AD590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출력 변화
•접촉 방식에 비해 정밀도가 낮다
•접촉 방식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다
4) 온도센서 B

A. SHT11

•주변에 온도를 변화시켜 온도 변화를 확인 가능


•습도의 변화량을 관찰 가능

B. 써미스터

•NTC/PTC: 센서에 직접 온도변화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한다.

C. ZTP-115

•5~30cm 사이에 발열 물체를 놓아 표면 온도를 측정 가능


5) 변위센서

A. 광거리 센서
• 발광부에서 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될 때 수광부 렌즈를 통해 각도를 측정
• 측정한 각도를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거리로 환산한다.
B. 초음파 센서
• 송신부에서 초음파를 내보내고 피사체에 반사되어 송신부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로 환산.

6) 운동센서

A.가속도 센서 ADXL202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
•스프링의 응력이 가속도와 비례하고 이를 검출하여 전압신호로 출력
•2축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지구자기장에 대한 기울기와 회전 방향을 계산
B.Magnetic compass 센서
•자기 나침반의 원리를 그대로 이용
•지구 자기를 이용해 자침으로 남북의 방향을 측정
•지구 자기장을 검출하는 2개의 지자기 센서로 구현
•2축 방식의 Magnetic 센서에 의하여 자계를 측정하여 자북을 판단
7) 자기센서 A

• 자석을 근접시켜 자력변화


• 장비 기울임: 지구자기장을 절대값으로 자기변화 등을 검지하기 때문에 센서를 축 또는 Y축으로 기울이는 정도
에 따라 ADC 출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8)자기센서 B
A. Read Switch
• 자력을 감지하여 LED를 ON/OFF한다
• Read Switch에 자석을 인접함에 따라 내부의 리드가 자화현상에 의해 접점에 붙게 된다.
• 자석을 가가면 도통되어 LED가 켜지게 된다
• 자석의 크기 및 자력의 세기에 따라 동작 거리는 차이가 있다.
B. Linear Hall IC
• 인접된 자력에 대비 출력에 비례한다.
• 자력의 세기가 얼마인지 ADC로 출력해준다.
C. Switch Hall IC
• 자계의 크기를 감지하여 ON/OFF 스위칭 동작을 한다
• 일정 세기의 자석이 인접하게 되면 LED가 켜지게 된다.
9)압력센서
• 노브를 눌러 압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10)근접센서 A

•Photo Switch(G18-3A30NA)는 광 근접센서로 물체를 검지하는데 사용하


며 광학식 변위 센서와 원리가 유사하다.
•검지 거리는 최대 30cm이며 검지시 LED가 켜진다.
•광근접센서 앞쪽에 물체를 근접하여 물체 감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11) 근접센서 B

•Capacitance Proximate(CR30-15DN)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로써 물


체를 검지하는데 사용한다.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분극현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 무를 판별하며 물
체가 가까워질수록 분극현상이 증가한다. 따라서 정전용량이 상승한다.
•최대 검지 거리는 1.5cm이며 검지시 LED가 꺼진다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앞쪽에 물체를 근접하여 물체 감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12) 근접센서 C

•Inductive Proximate(PR30-15DN)는 유도형 근접센서로서 금속물체를 검


지하는데 사용한다.
•유도형 근접센서: 고주파 자계 내에 검출물체(금속)이 접근하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근접 물체 표면에 와전류가 흘러 검출물체 내에 에너지 손실 발생
•최대 검지 거리는 1.5cm이며 검지시 LED가 꺼진다.
•유도형 근접센서 앞쪽에 금속성 물체를 근접하여 물체 감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