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5

No.

DTN06-002

Daekhon Technical Note

- 기계제도

목 차

1. 제도의 개요
2. 척도, 선, 문자
3. 투상도
4. 단면도
5. 도형의 생략
6. 등각투상도와 스케치
7. 전개도
8. 치수기입
9. 표면거칠기
10. 치수공차와 끼워맞춤
11. 기하공차
12. 기계재료

Technical Support Team


Daekhon Corporation
1. 제도의 개요
어떤 기계를 제작하려고 하면 먼저 제작 계획을 세워야 하는데, 이 계획을 설계(design)라고 한다 설
계된 기계가 설계대로 제작되자면 설계자의 요구 사항이 도면에 의하여 제작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어
야 한다. 도면(drawing)은 기계의 모양, 구조, 치수, 재료, 가공 방법 등 모든 정보를 도형, 문자 및 기
호로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3 차원의 기계를 2 차원의 종이 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도형 문자 및
기호로 표시하여 나타내는 것을 제도(drawing, drafting)라 한다.

1-1. 표준규격
1-1-1. 표준규격의 필요성
만일 컴퓨터용 플로피디스켓이 만드는 회사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르다면, 우리는 항상 자신
의 컴퓨터에 맞는 디스켓만을 구입해서 사용해야 하고, 다른 사람과 서로 디스켓을 교환할 수 없으므로
매우 불편할 것이다.
용도가 같은 제품은 그 크기, 모양, 품질 등을 일정한 규격으로 표준화하면 제품 상호간 호환성이 있어
서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을 능률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국가 표준규격(standards)을 제정하고 품질 개선, 생산성 향상 및 소비자
보호 등에 힘쓰고 있다.
또 국가와 국가 사이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는 국제 표준규격을 제정하고 있으며, 국가간 기술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세계의 여
러 국가들은 자기 나라의 국가 표준규격이 국제 표준규격에 부합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표 B1-1 은 주요 국가의 표준규격을 나타낸 것이다.

국가 표준화 기구 표준규격 약호
한국 KATS(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미국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일본 JISC(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JIS
영국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
프랑스 AFNOR(Association francaise de normalisation) NF
독일 DIN(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DIN
CSBTS(China State Bureau of Quality and
중국 GB
Technical Supervision)
국제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SO
<표 B1-1>

1-1-2. 제도 관련 KS 규격
제도에 관한 표준규격은 설계자의 의도를 제작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도면에 사용하는 도형,
문자, 기호 등에 대하여 그 표시 방법을 표준화한 것이다.
표 B1-2 는 기계 제도, 건축 제도, 선박 제도 등 모든 제도에 적용되는 KS 규격의 일부분이다. 표 B1-
3 은 기계 제도 관련 KS 규격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KS B 0001 은 표 B1-2 의 규격들을 기계 제도에
알맞게 하나로 모아서 다시 규정한 것이다.

2 Technical Support Team


규격번호 규격명
KS A 0005 제도 통칙
KS A 0106 도면의 크기 및 양식
KS A 0107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
KS A 0108 제도-길이치수 및 각도치수의 허용한계 기입 방법
KS A 0109 제도-표시의 일반원칙 (선에 대한 기본 사항)
KS A 0110 제도-척도
KS A 0111 제도에 사용하는 투영법
KS A 0111-1 공업 제도-투상법-1:개요
KS A 0111-2 공업 제도-투상법-2:직각 투상
KS A 0111-3 공업 제도-투상법-3:평행 투상에 의한 3 차원상 표시(액소노메트리)
KS A 0111-4 공업 제도-투상법-4:중심 투상
KS A 0112 제도에 있어서 도형의 표시 방법
KS A 0113 제도-치수의 기입방법(일반원칙, 정의, 실행방법, 특별한 지시 방법)
KS A 3007 제도 용어
KS A ISO10135 제도-주조, 단조 부분의 단순화 표현
KS A ISO10578 제도-자세 및 위치의 공차 표시 방법(돌출공차역)
KS A ISO128-21 제도-표시의 일반원칙-CAD 에 사용하는 선
KS A ISO128-22 제도-표시의 일반원칙-지시선과 기입선의 기본 규정 및 적용
KS A ISO128-23 제도-표시의 일반원칙-건설 제도에 사용하는 선
KS A ISO128-24 제도-표시의 일반원칙-기계 제도에 사용하는 선
KS A ISO128-25 제도표시의 일반원칙-조선 제도에 사용하는 선
KS A ISO13715 제도-미정의 모서리의 모양-용어 및 지시
KS A ISO3098-3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3:그리스 문자
KS A ISO3098-4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4:라틴 문자의 특수 표기
KS A ISO3098-5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5:CAD 용 문자, 숫자 및 기호
제도에 있어서 도형의 표시 방법-건축과 토목공학 도면
KS A ISO4069
-단면과 투시도의 표현
KS A ISO5261 제도에 있어서 도형의 표시 방법-봉과 종단면도의 간략 표시 방법
KS A ISO6414 제도에 있어서 도형의 표시 방법-유리 제품
KS A ISO6428 제도-마이크로 카피 요구사항
KS A ISO6433 제도-부품번호
KS A ISO7083 제도-기하공차 기호-비율과 크기치수
KS A ISO7200 제도-표제란
KS A ISO7573 제도-부품란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트레싱용지에 잉킹할 때-1:정의, 치수, 명칭과
KS A ISO9175-1
표시하기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트레싱용지에 잉킹할 때-2:실행, 실험변수,
KS A ISO9175-2
시험조건
<표 B1-2>

규격번호 규격명
KS B 0001 기계 제도
KS B 0002 기어 제도
KS B 0003-1 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1:통칙
KS B 0003-2 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2:나사 인서트
KS B 0003-3 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3:간략 도시 방법
KS B 0004-1 구름 베어링 제도-1:일반적인 간략 도시 방법

3 Technical Support Team


KS B 0004-2 구름 베어링 제도-2:상세한 간략 도시 방법
KS B 0005 스프링 제도
KS B 0006-1 제도-배관의 간략 도시방법-1:통칙 및 정투영도
KS B 0006-2 제도-배관의 간략 도시방법-2:등각투영도
KS B 0006-3 제도-배관의 간략 도시방법-3:환기계 및 배수계의 끝부분 장치
KS B 0007 제도-치수 및 공차의 표시방법-비강성 부품
KS B 0008 제도-스플라인 및 세레이션의 표시 방법
KS B 0008-1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방식-1:공차, 치수차 및 끼워 맞춤의 기초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방식-2:구멍 및 축의 공차 등급과 치수
KS B 0008-2
허용차의 표시
KS B 0009 제도-문자-0:통칙
KS B 0009-1 제도-문자-1:로마자 숫자 및 기호
KS B 0009-2 제도-문자-2:그리스 문자
KS B 0146 보통공차-2: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형체에 대한 기하공차
KS B 0147 제도-공차 표시 방식의 기본 원칙
KS B 0148 제도-기하공차 표시 방법:위치도 공차 방식
KS B 0161 표면거칠기 정의 및 표시
KS B 0162 표면거칠기 용어-1:표면 및 거칠기 매개변수
KS B 0242 최대 실체 공차 방식
KS B 0243 기하공차를 위한 데이텀
KS B 0401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보통공차-1: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길이 치수 및 각도 치수에
KS B 0412
대한 공차
KS B 0425 기하편차의 정의 및 표시
KS B 0608 기하공차의 도시 방법
KS B 0610 표면 파상도의 정의와 표시
KS B 0617 제도-표면의 결 도시 방법
KS B 0618 센터 구멍의 도시 방법
KS B 6081 제도 기계
KS B 6082 제도 기계용 스케일
KS B 7090 CAD 용어
KS B 7091 CAD 제도
KS B ISO5845-1 제도-체결 부품의 조립 간략 표시-1:일반 원칙
KS B ISO5845-2 제도-체결 부품의 조립 간략 표시-2:항공용 장치의 리벳
KS B ISO6411-1 제도-센터구멍의 간략 도시 방법
KS B ISO8015 제도-공차 표시의 기본원칙
KS B ISO9222-1 제도-씰(동적환경에 적용)-1:일반 간략 표시
KS B ISO9222-2 제도-씰(동적환경에 적용)-2:상세 간략 표시
<표 B1-3>

1-2. 도면의 종류
공업용 도면을 그 용도 및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그 종류가 아래와 같이 대단히 많다.
분류 방법 도면종류 설 명
용도에 제작도 작성을 위한 기초 도면으로서 설계 계획자의 의도가
따른 계획도 명시된 도면. 즉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의 대략적인 도
분류 면
제작도 제작자에게 설계자의 의도를 전달하는 도면

4 Technical Support Team


주문도 주문서에 첨부하는 도면
수주자가 주문자의 검토를 거쳐 제작 및 계획에 기초로 하는
승인도
도면
견적도 견적서에 첨부하여 조회자에게 제출하는 도면
설명도 구조, 기능의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도면
조립도 기계 전체의 구조를 명시하는 도면
부분조립도 복잡한 기구의 일부분의 구조를 명시하는 도면
부품의 제작에 사용되는 도면으로서 부품의 상세한 것을 나타
부품도
내는 도면
상세도 특정 부분의 상세한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
공정도 제작 공정의 상태를 명시하는 계통도
전기기기 내부의 전기의 접속상태, 기능 등을 선도로 나타낸
결선도
도면
배선도 전선의 배치를 표시하는 도면
배관도 관의 배치를 표시하는 도면
내용에 계통도 물, 기름, 가스 등의 접속과 작동계통을 표시하는 도면
따른 기초도 구조물 또는 기계의 설치 기초 공사를 하기 위한 도면
분류 배치도 공장 내의 많은 기계들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
장치도 화학공장에서 각 장치의 배치, 제조 공정을 그린 도면
구조선도 기계, 건물 등 철골 구조물의 골조를 선도로 표시한 도면
선체, 자동차의 차체, 항공기의 기체 등의 곡면을 표시하는 도
곡면선도

발명, 신안권을 보호 받을 수 있게 특허국에 그의 권리를 신
특허도면
청하는 도면으로서 물건의 구조와 원리를 나타낸 도면
검사도 검사에 필요한 사항을 기입한 도면
전개도 판 구조물의 표면을 평면에 전개한 도면
물체를 보고 원도(original drawing)를 그리기 위하여 물체의
스케치도
모양을 프리핸드(free hand)로 그리는 그림
원 도 제도지위에 연필로 그리는 최초의 도면
원도 위에 tracing paper 를 놓고 연필 또는 먹물로 그린 도
형태에 트레이스도
면, 즉 다수의 도면을 복사하기 위하여 만드는 도면
따른
트레이스도를 원도로 하여 감광지에 복사한 도면, 공장 관계
분류
복사도 자에게 배포되며, 여러 가지 계획과 작업이 이것에 의하여 진
행된다.청사진(blue print)이라고도 불림.

1-2-1. 조립도
조립도(assembly drawing)는 제품의 전체적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림 B2-1 은 캐스터(caster)의 조립도이다. 캐스터는 쇼핑 카트(shopping cart) 등 여러 가지 운반
기구의 바퀴로 사용된다.
복잡한 기계는 매우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도 하나에 모든 부품의 조립 상태를
표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조립도(partial assembly
drawing)가 사용된다.

5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B2-1>

1-2-2. 부품도
부품도(part drawing)는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상세하게 그린 도면이다.
부품도는 각 부품의 모양, 크기, 표면 상태, 가공 방법 등 부품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면이라고 하면 부품도를 말하는 것이다.
그림 B2-2 는 캐스터의 ②번 부품인 지지대(bracket)의 부품도이다.

<그림 B2-2>

6 Technical Support Team


1-2-3. 설명도
설명도(explanation drawing)는 제품의 구조, 기능, 작동 원리, 취급 방법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 B2-3 은 캐스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등각투상도법으로 그린 설명도이다.

<그림 B2-3>

1-2-4. 전개도
전개도(development drawing)는 입체의 표면을 평면 위에 펼쳐 그린 도면이다. 전개도는 주로 판재를
자르고 구부려서 만들거나 면으로 구성되는 제품의 전개된 모양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그림 B2-4 는
비스듬히 잘린 육각뿔의 전개도이다.

<그림 B2-4>

7 Technical Support Team


1-2-5. 한국산업규격(KS)
한국산업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s)은 국내 산업 전 분야의 제품 규격 및 시험 방법, 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하는 국가 표준으로서,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각 분야의 전문인들로 구성된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제·개정되며, 기술표준원장이 고시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산업규격은
16 개 부문, 1 만 8 천여 종류의 표준규격을 18 만여 쪽의 문서에 수록하고 있으며, 생산 현장, 건설
현장, 시험 분야, 연구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한국산업규격은 제품의
품질, 상호간 호환성 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 작업 능률 향상 및 생산성 제고에 기여하며,
신제품 개발이나 신기술 개발에 중요한 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산업규격 분류체계가 표 B1-1-1 에 정리되어 있다.

분류 기호 대분류 중분류
A 기본 기본 일반/포장 일반/공장관리/방사성(능) 관계/기타
기계 기본/기계요소/공구/공작기계/측정 계산용 기계 및 기구/물리기
B 기계
계, 일반기계/산업기계/농업기계/철도용품/열사용 및 가스기기
전기 일반/측정 및 시험용 기계, 기구/전기재료/전선, 케이블 및 전로
C 전기 용품, 전기기계/기구/통신 전자 기기 및 부품/진공관 및 전구/조명 배
선 전기기구/전기 응용 기계, 기구
금속 일반/분석/원재료/강재/주강 및 주철/신동품/주물/신재/2 차 제품
D 금속
가공 방법/기타
일반 정의 및 기호/채광/채광 및 광산물/보안/선광 및 선탄/운반, 포
E 광산

F 토건 일반, 구조/시험, 검사, 측량/재료 및 부재/시공
문방구, 사무용품/잡품, 가정용품/가구, 실내장식품/운동용구/특수 공
G 일용품
예품
H 식료품 식료품
K 섬유 일반 시험 및 검사/면직/마제품/편직물/피복/직물편물 제조기
도자기/유리/내화물/점토제품/시멘트석면제품/연마제, 특수 요업제품
L 요업
요업용 특수 기기/기타
일반/공업약품/유지, 광유/플라스틱, 사진재료/염료, 폭약/안료, 도료,
M 화학
잉크/고무, 피혁/종이, 펄프/시약
P 의료 일반/일반 의료 기기/치과재료/의료용 설비 및 기기/의료용구
수송기 자동차 일반/시험검사 방법/공통 부문/기관/차체/전기장치 및 계기
R
계 수리, 조정, 시험/수리기구/자전거
V 조선 일반/선체/기관/전 기기/항해용 기기 및 계기
W 항공 일반/전용재료/표준 부품/기체(장비 포함)/발동기/계기
정보기술용어, 일반/문자 셋, 보안, 부호화/정보기술용 언어, 소프트웨
정보산
X 어공학/컴퓨터그래픽스/데이터통신망/정보 기기, 데이터저장매체/IT

응용
<표 B1-1-1>

8 Technical Support Team


2. 척도, 선, 문자
도면에 포함되는 모든 요소는 KS 규격에 따라 도시되어야 한다. 도면에 사용하는 척도는 KS A 0110 에
규정한 것 중에서 선정하여야 하며, 도면의 크기 및 형식은 KS A 0106 에 따라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도면에 사용하는 선은 KS A 0109 에서 규정하는 선의 종류와 용법에 따라야 하며, 도면에
사용하는 문자는 KS A 0107 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도면은 설계자와 제작자 사이의 언어와 같은
것이다. 제작자가 알아볼 수 없는 방법으로 그려진 도면은 마치 우리말을 모르는 사람에게 우리말로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도면은 제작자를 위하여 그리는 것이다.

2-1. 도면의 형식
2-1-1. 도면의 크기와 윤곽선
기계 제도에서는 KS B 0001 규격에 따라 도면의 크기를 A 열(series) 중에서 선택하여야 한다.
윤곽선(border line)은 0.5mm 이상의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표 C1-1 과 그림 C1-1 에 도면의 크기 및
윤곽선을 그리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원도는 접지 말고 둥글게 말아서(안지름 40mm 이상) 보관하는
것이 좋다. 복사도를 접을 때에는 그 크기를 A4 크기로 한다.
호칭 A0 A1 A2 A3 A4
크기(a × b) 841×1189 594×841 420×594 297×420 210×297
c 20 20 10 10 10
윤곽선 철하지 않을 때 20 20 10 10 10
d
철할 때 25 25 25 25 25
<표 C1-1>

2-1-2. 중심마크
중심마크(center mark)는 그림 C1-1 과 같이 각 변의 중앙에 0.5mm 이상의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중심마크는 도면을 마이크로필름으로 촬영하거나 복사할 때 기준이 된다.

<그림 C1-1>

9 Technical Support Team


2-1-3. 표제란과 부품란
표제란(title block)은 그림 C1-1 과 같이 도면의 오른쪽 아래에 그리며, 원칙적으로 도면 번호, 도면
이름, 회사 이름, 책임자 서명, 도면 작성 연월일, 척도, 투상법 등을 기입하도록 되어 있다.
부품도에서 사용하는 부품란(part block)은 일반적으로 표제란 위에 그린다. 그림 C1-2 (가)는 학교에서
사용하는 표제란의 예이고, (나)는 표제란 위에 그려진 부품란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C1-2>

2-2. 척도
2-2-1. 척도의 종류
도면에서의 크기와 물체의 실제 크기의 비를 척도(scale)라 하며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 축척(contraction scale)은 실물보다 작게 축소해서 그리는 것이며
 현척(full scale)은 실물과 같은 크기로 그리는 것이고
 배척(enlarged scale)은 실물보다 크게 확대해서 그리는 것이다.
척도는 KS B 0001 규격에 따라 표 C2-1 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척도 축척 현척 배척
값 1:2, 1:5, 1:10, 1:20, 1:50, 1:100, 1:200 1:1 2 :1, 5 :1, 10 :1, 20 :1, 50 :1
<표 C2-1>

2-2-1. 척도의 표시법


척도는 그림 C2-1 과 같이 A : B 의 형식으로 표시한다.
같은 도면에서 서로 다른 척도를 사용할 때에는 각 그림 옆에 적용된 척도를 기입하여야 한다. 그림이
치수와 비례하지 않을 경우, 치수 밑에 밑줄을 긋거나 비례가 아님 또는 NS(not to scale) 등의 문자를
기입하여야 한다.

10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C2-1>
2-3. 선
2-3-1.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
 선은 그 굵기에 따라 그림 C3-1 (가)와 같이 가는 선, 굵은 선, 아주 굵은 선으로 나눈다.
 가는 선(thin line): 굵기가 0.18~0.5mm 인 선. 일반적으로 0.25mm 를 많이 사용한다.
 굵은 선(thick line): 굵기가 0.35~1.0mm 인 선. 주로 0.5mm 를 많이 사용한다.
 아주 굵은 선(extra thick line): 굵기가 0.7~2.0mm 인 선. 주로 1mm 를 많이 사용한다.
 가는 선 : 굵은 선 : 아주 굵은 선의 비율은 1 : 2 : 4 로 한다. 예를 들어 가는 선을 0.25mm 로
했으면 굵은 선은 0.5mm, 아주 굵은 선은 1.0mm 를 사용한다.

2-3-2. 모양에 따른 선의 종류
 선을 그 모양에 따라 나누면 그림 C3-1 (나)와 같이 실선, 파선, 1 점 쇄선, 2 점 쇄선 등이 있다.

<그림 C3-1>

11 Technical Support Team


 실선(continuous line): 끊어짐 없이 연속되는 선
 파선(dashed line): 3∼5mm 의 짧은 선이 일정하게 반복되는 선.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은
0.5mm 에서 1mm 정도이다.
 1 점 쇄선(chain line): 긴 선과 짧은 선이 반복되는 선으로 긴 선의 길이는 10∼30mm, 짧은 선의
길이는 1∼3mm, 선 사이의 간격은 0.5∼1mm 정도이다.
 2 점 쇄선(chain double-dashed line): 긴 선, 짧은 선, 짧은 선이 반복되는 선. 선의 길이와 선
사이의 간격은 1 점 쇄선과 같다.

2-3-3. 용도에 따른 선의 종류
제도에 사용되는 선은 같은 굵기, 같은 모양의 선이라도 용도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그림 C3-2)

<그림 C3-2>

 외형선(visible line): 물체의 보이는 부분을 나타낸다.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 숨은선(hidden line):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 굵은 파선 또는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 중심선(center line): 주로 도형의 중심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가는 1 점 쇄선으로 그린다.
 치수선(dimension line): 치수를 기입할 때 쓰인다.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치수보조선(extension line): 치수를 기입할 때 쓰인다.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가상선(phantom line): 부품의 동작 상태나 가상의 물체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가는 2 점
쇄선으로 그린다.
 파단선(break line): 물체의 일부를 잘라낸 경계선으로 사용된다. 가는 실선(프리핸드)으로 그린다.
 해칭선(section line): 물체의 단면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지시선(leader line): 개별 주(specific note), 치수, 참조 등을 기입할 때 사용한다.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12 Technical Support Team


2-4. 문자
도면에 사용하는 문자(letter)는 KS A 0107(제도에 사용하는 문자)과 KS B 0001 에 따른다.
문자의 모양은 고딕체로 하며 바르게 쓰거나 15°기울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문자의 크기(호칭)는 문자의 높이로 나타낸다.
문자의 크기는 2.24mm, 3.15mm, 4.5mm, 6.3mm, 9mm 의 5 종류로 한다. 다만, 특별히 필요한 경우는
다른 치수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림 C4-1 은 문자의 호칭에 따른 한글, 알파벳 및 아라비아 숫자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용도별로
적절한 문자의 크기가 표 C4-1 에 나타나 있다. (표 C4-1 의 12.5mm, 18mm 는 KS A 0107 에 따른 것)

쓰이는 곳 높이(mm) 쓰이는 곳 높이(mm)


공차 치수 문자 2.24∼4.5 도면 번호 문자 9∼12.5
일반 치수 문자 3.15∼6.3 도면 이름 문자 9∼18
부품 번호 문자 6.3∼12.5
<표 C4-1>

<그림 C4-1>

3. 투상도
3 차원인 휴대폰의 모양을 2 차원의 종이 위에 완전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앞, 뒤, 위, 아래, 왼쪽 및
오른쪽에서 바라 본 6 개의 2 차원 그림을 조합하여 나타내야 한다. 어떤 물체에 빛을 비추어 그 그림자
가 평면에 비치게 하는 것을 투영(projection)이라 한다. 제도에서는 투영과 비슷한 원리로 물체의 2 차
원 그림을 얻는데 이것을 투상(projection)이라 하고, 투상으로 그려진 그림을 투상도(projection view)라
한다. 투상법에는 정투상법, 특수투상법, 투시도법 등이 있다.

13 Technical Support Team


3-1. 정투상도
3-1-1. 정투상도의 원리
그림 D1-1 (가)의 경우 물체로부터 나온 투상선(projecting line)은 모두 정점(station point)에 모아진다.
따라서 투상면(projection plane)이 물체로부터 멀어지면 투상도의 크기도 점점 작아진다.
정투상법에서는 (나)처럼 물체로부터 나온 투상선이 투상면에 수직이며 서로 평행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투상면이 어느 위치에 있든지 투상도의 크기는 항상 일정하다.

<그림 D1-1>

정투상법(orthographic projection)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투상된 몇 개의 투상도를 조합하여 3 차원의


물체를 2 차원의 평면 위에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그림 D1-2 에서 보는 것처럼 정투상법에서
가상의 투상면은 항상 물체와 평행하고, 투상선은 항상 투상면에 수직이다. 정투상법으로 그려진
투상도를 정투상도(orthographic view)라 한다.

14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D1-2>

3-1-2. 3 개의 기본 투상면
정투상법에 사용되는 3 개의 기본 투상면은 입화면, 평화면, 측화면이다.
입화면(frontal plane)은 그림 D1-2 와 같이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쪽에 수직으로
세워진 투상면이며, 이 입화면에 투상된 정투상도를 정면도(front view)라 한다. 그러므로 정면도는
물체의 모양, 크기, 기능 등을 가장 잘 표현한 정투상도이다.

<그림 D1-3>

15 Technical Support Team


평화면(horizontal plane)은 그림 D1-3 (가)처럼 입화면의 위쪽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투상면이며 이
평화면에 투상된 정투상도를 평면도(top view)라 한다.
측화면(profile plane)은 (나)와 같이 입화면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세워진 투상면이다. 측화면에 투상된
정투상도를 측면도(side view)라 한다.
입화면, 평화면, 측화면은 그림 D1-4 (가)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평화면과 측화면을
입화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나)와 같이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가 하나의 평면 위에
놓이게 된다. 이것은 제도용지에 정투상도를 그릴 때 정면도와 평면도, 정면도와 측면도의 모든
대응점이 일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는 서로 다른 물체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물체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투상한 것이다.

<그림 D1-4>

3-2. 제 1 각법과 제 3 각법
3-2-1. 제 1 각법
수직으로 교차하는 2 개의 가상 평면으로 하나의 공간을 4 등분하였을 때, 오른쪽 위의 공간을
제 1 각(1st angle) 또는 1 사분면(1st quadrant)이라 하며, 제 1 각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 2 각(2nd angle), 제 3 각(3rd angle), 제 4 각(4th angle)이라 한다.
제 1 각법(1st angle projection)은 그림 D2-1 (가)와 같이 물체를 제 1 각에 놓고 정투상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물체는 눈과 투상면 사이에 있게 된다. 평화면, 측화면을 입화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나)와 같이 정면도의 왼쪽에 우측면도가 놓이고, 평면도는 정면도의 아래쪽에 놓이게 된다.

16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D2-1>

3-2-2. 제 3 각법
제 3 각법(3rd angle projection)은 그림 D2-2 (가)와 같이 물체를 제 3 각에 놓고 정투상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눈과 물체 사이에 투상면이 있게 된다.

<그림 D2-2>

평화면, 측화면을 입화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나)와 같이 정면도의 위에 평면도가 놓이고,
정면도의 오른쪽에 우측면도가 놓이게 된다. 이것은 정투상도의 원리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17 Technical Support Team


제 3 각법은 제 1 각법에 비하여 도면을 이해하기 쉬우며, 치수기입이 편리하고, 보조 투상도를 사용하여
복잡한 물체도 쉽고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한국산업규격(KS)은 기계 제도에 원칙적으로 제 3 각법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2-3. 제 1 각법 기호 및 제 3 각법 기호
원칙적으로 같은 도면에서 제 1 각법과 제 3 각법을 혼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도면을 이해하는 데
필요할 경우 혼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제 1 각법 기호(그림 D2-3-가) 또는 제 3 각법 기호(그림 D2-
3-나)를 투상도 부근에 도시하거나, ‘ 제 1 각법’ 또는 ‘ 제 3 각법’ 이라 표기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 미국, 캐나다 등은 제 3 각법을, 독일은 제 1 각법을 사용하며, 일본, 영국 및 국제
표준규격은 제 1 각법과 제 3 각법을 혼용하고 있다.

<그림 D2-3>

3-3. 정투상도의 일반원칙


3-3-1. 정면도의 선정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방향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한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논의되었다.
캐스터(caster)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지지대(bracket, 그림 D3-1)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내는
투상도는 방향 (가)에서 투상한 것이다. 따라서 방향 (가)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고 방향 (나)에서
투상한 것을 평면도, 방향 (다)에서 투상한 것을 우측면도로 한다.
그림 D3-2 (가)의 캐스터 바퀴(wheel)처럼 둥근 물체는 방향 (B)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는 것이
좋다. 방향 (A)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게 되면 치수 기입이 어려울 때가 많다.
그림 D3-2 (나)의 부시(bush)와 같은 모양의 물체를 선반(lathe)으로 가공할 때에는 방향 (B)에서 보는
것과 같은 상태로 놓고 가공한다. 축(shaft), 부시와 같은 물체는 가공할 때와 같은 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정면도로 하는 것이 좋다.

18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D3-1>

<그림 D3-2>

3-3-2. 투상도의 조합
물체의 모양을 완전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6 개의 투상도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물체는 1∼3 개의
투상도로 물체를 이해할 수 있다. 투상도의 수를 적게 하면 그만큼 시간과 노력을 덜 수 있으므로
투상도의 수는 가급적 적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꼭 필요한 투상도를 빠트리게 되면 물체의 모양을
잘못 이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9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D3-3>

<그림 D3-4>

그림 D3-3 (가)의 축과 (나)의 부시는 정면도와 평면도의 모양이 같으므로 평면도는 그릴 필요가 없다.
Ø16, Ø22 처럼 치수 수치 앞에 붙은 Ø 는 지름 치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치수 보조 기호로서 그
부분의 모양이 둥근 원임을 뜻한다. 따라서 우측면도가 없어도 그 모양을 이해할 수 있다.
단순한 모양의 축, 부시, 바퀴 등은 정면도 하나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치수 보조 기호나 단면도
등을 함께 사용한다.

20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D3-4 의 캐스터 베이스(base)는 정면도와 저면도 또는 정면도와 평면도, 2 개의 투상도만으로 그
모양을 이해하는 데 충분하다.
그림 D3-5 의 캐스터 지지대는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가 모두 필요하다. 정면도와 우측면도는
숨은선을 적게 사용하고 구멍의 모양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부분단면도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도면에서는 투상도의 수를 적게 하고 물체를 좀 더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정투상도에 보조투상도, 확대도, 단면도 등을 함께 사용한다.

<그림 D3-5>

캐스터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부품에 대한 정면도 투상 방향과 필요한 투상도가 그림 D3-6 에


정리되어 있다.

<그림 D3-6>

21 Technical Support Team


3-4. 도면작성 순서
도면을 작성하는 속도와 정확성은 선을 그어 나가는 방법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파선보다는 실선을,
직선보다는 원과 원호를 먼저 그린다.
3-4-1. 투상도 배치
 척도, 정면도, 필요한 투상도 등을 결정한다.(그림 D4-1-가)
 굵은 실선으로 윤곽선, 중심마크를 그린다.
 치수 기입 여백과 표제란, 부품란 등이 들어갈 공간을 고려해서 투상도를 배치하고 기본 윤곽을
엷게 그린다.(그림 D4-1-나)

<그림 D4-1>
3-4-2. 외형선(원, 원호) 그리기
 대칭인 도형, 원, 구멍 등의 중심선을 가는 1 점 쇄선으로 그린다. 중심선은 외형선 밖으로
2∼3mm 정도 나오게 그리는 것이 좋다.(그림 D4-2-가)
 원, 원호 등을 컴퍼스 또는 원 형판을 이용하여 그린다.(그림 D4-2-나)

<그림 D4-2>

22 Technical Support Team


3-4-3. 외형선(직선) 그리기
 그림 D4-3 (가), (나)와 같이 수평선을 먼저 그리고 수직선은 나중에 그린다.
 정면도를 다 그린 다음 평면도, 우측면도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세 개의 투상도를 동시에 그려
나가야 한다. 각 투상도는 서로 다른 물체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물체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므로 각 대응점의 위치가 같아야 한다.

<그림 D4-3>

3-4-4. 숨은선 그리기


 숨은선도 외형선과 마찬가지로 원, 원호를 먼저 그리고 수평선, 수직선을 그린다. (그림 D4-4-가)
 절단선, 가상선, 파단선 등을 그리고 단면에는 해칭을 한다.
 불필요한 선을 모두 지운다. (그림 D4-4-나)

<그림 D4-4>

23 Technical Support Team


3-4-5. 치수 기입 및 도면 검토
 치수, 치수공차, 끼워맞춤 등을 기입한다. (그림 D4-5-가)
 부품 번호, 표면거칠기, 기하공차 등을 기입한다.
 표제란, 부품란, 주(note)에 필요한 사항을 기입한다. (그림 D4-5-나)
 도면을 작성한 후에는 도면의 모든 요소를 세밀히 검토해야 한다. 잘못 그려진 선 하나, 잘못
기입된 치수 하나로 인해 엉뚱한 제품이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림 D4-5>

3-5. 여러 가지 투상도
물체의 경사면에 뚫린 구멍은 정투상 6 면도를 다 사용해도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다. 또 물체의
일부분이 너무 작아서 알아보기 어려울 때에는 그 부분만을 확대해서 그려야 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
도면에서는 제도할 때의 수고를 덜고 도면을 알아보기 쉽도록 보조투상도, 부분투상도, 국부투상도
회전투상도, 부분확대도 등 여러 가지 특별한 투상도가 많이 사용된다.

3-5-1 보조투상도
앞에서 논의한 정투상법은 투상면에 평행한 부분은 그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지만
경사진 부분은 그리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림 E1-1 에서 보는 것처럼 경사진 부분이 있는 물체를 정투상법으로 투상하면 실제 길이가 52mm 인
경사진 부분이 평면도와 우측면도에서 36.77mm 로 축소되고 구멍의 모양도 원이 아닌 타원형으로
나타난다. 이런 도면은 비록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으로 쉽게 그릴 수 있다 하더라도
제작자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투상도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사진 부분을 그림 E1-2 (가)와 같이 경사면과 평행한 가상의
보조투상면을 설치하고 경사면에 수직으로 투상하면, (나)처럼 경사진 부분의 실제 모양(A 부분)을
나타내기가 쉽다. 이런 방법으로 그려진 투상도를 보조투상도(auxiliary view)라 한다.

24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E1-1>

보조투상면은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으며, 정면 보조투상도, 평면


보조투상도, 측면 보조투상도 등으로 부른다.

<그림 E1-2>

3-5-2. 부분투상도
보조투상도를 사용할 경우 경사진 부분은 실제와 같은 모양, 크기로 나타나지만 경사지지 않은 부분은
그림 E2-1 에서 보는 것처럼 변형되어 나타난다.

25 Technical Support Team


이것은 정투상법에서 투상면과 평행하지 않은 경사면이 변형되는 것과 같이 길이 93mm 의 수평면이
보조투상면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림 E2-1>

이런 경우, 그림 E2-2 (나)처럼 경사진 부분만 보조투상도로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가)처럼 정투상도로
그리는 것이 편리하다.
부분투상도(partial view)는 물체의 일부분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하거나 물체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보다 오히려 도면을 이해하기 쉬운 경우에 사용된다.
부분투상도에서 투상을 생략한 부분과의 경계는 파단선으로 표시한다.

<그림 E2-2>

26 Technical Support Team


3-5-3. 국부투상도
축에 오목하고 길게 패어진 키(Key) 홈의 모양을 정투상법으로 나타내려면 그림 E3-1 (가)와 같이
정면도와 평면도가 필요하다.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키 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양이 같다. 즉
정면도 하나만으로 충분한 도면이 키 홈 때문에 불필요한 평면도까지 그리게 된 셈이다.

<그림 E3-1>

그림 E3-1 (나)는 평면도에서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키 홈 부분만 나타낸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그려진 투상도를 국부투상도(local view)라 한다.
국부투상도는 주 투상도(primary view)와 중심선, 기준선 또는 치수 보조선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림
E3-1 (나)의 국부투상도는 주 투상도인 정면도와 치수 보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림 E3-2>

27 Technical Support Team


스퍼기어(spur gear)를 제도할 때에도 키 홈 하나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림 E3-2 (가)와 같이 좌측면도를
모두 그리지 않고 (나)와 같이 국부투상도로 나타낸다.
그림 E3-2 (나)의 국부투상도는 주 투상도인 정면도와 중심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3-5-4. 회전투상도
회전투상도(rotation view)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분의 변경된 위치를 나타낼 때나 그림 E4-1 의
물체처럼 보스(boss)에 어느 각도만큼 기울어진 암(arm)이 연결되어 있어 보조투상도로 그리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된다.
회전투상도와 보조투상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그림 E4-1>

<그림 E4-2>

28 Technical Support Team


 보조투상도가 물체를 그대로 두고 경사면과 평행한 보조투상면을 설치하는데 비해
회전투상도에서는 투상면은 그대로 둔 채 물체의 경사면을 투상면과 평행하도록 회전시킨다.
 보조투상도는 보조투상면에 따로 그리지만 회전투상도는 정투상도의 일부분으로 그린다.

그림 E4-2 는 투상면(평화면)과 평행하도록 보스의 중심선(A)까지 암을 회전한 것으로 가정하고


평면도를 그린 것이다. 평면도는 회전투상도와 정투상도가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회전투상도를 그릴 때에는 그림 E4-2 와 같이 가는 실선으로 작도선을 그리는 것이 좋다.

3-5-4. 부분확대도
부분확대도(partial magnifying view)는 도형의 일부분이 너무 작아서 알아보기 어렵거나 치수 기입을
하기 곤란한 경우에 그 부분만을 확대해서 그리는 것이다.
부분확대도를 그릴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 그림 E5-1 (가)처럼 확대하려는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둘러싸고
 알파벳 대문자로 확대도 구분 표시(A)를 한 다음
 (나)와 같이 다른 곳에 확대해서 그린다.
 확대도에 A(2:1)과 같은 형식으로 확대도 구분 표시와 척도를 기입한다.
 치수를 기입할 때에는 원래의 치수를 기입한다.

<그림 E5-1>

29 Technical Support Team


4. 단면도
물체의 모양이나 내부 구조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가상으로 자른 면을 단면(section)이라 한다.
내부가 복잡한 부품의 투상도나 조립도에서, 내부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전부 숨은선으로 나타내면 오
히려 도면이 복잡해지고 물체의 모양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 적절한 부분을 가상으로 절단하고
그 단면을 외형선으로 나타내면, 물체의 모양을 알아보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시간과 노력을 덜 수 있다.

4-1. 해칭
4-1-1. 단면의 표시
그림 F1-1 (가)는 V-벨트 풀리를 자르지 않고 숨은선을 사용하여 내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나)는 V-
벨트 풀리를 반으로 잘라서 내부 형상을 외형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단면도(section view)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것이 훨씬 간단하고 알아보기 쉽기 때문이다.
물체를 절단할 때에는 원칙적으로 기본 중심선을 따라 자른다. 이 때에는 절단선을 그리지 않는다.
그러나 기본 중심선이 아닌 곳에서 절단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그림 F1-2-가)
 절단 위치에 가는 1 점 쇄선으로 절단선(cutting plane line)을 그린다. (양쪽 끝 부분은 굵은 실선)
 투상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화살표를 그리고 알파벳 대문자로 단면 구분 표시(A)를 한다.
 단면도에도 A-A 형식으로 단면 구분 표시를 한다.

<그림 F1-1>

4-1-2. 해칭방법
단면에 해칭(hatching)을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그림 F1-2-나)
 해칭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해칭선의 각도는 45°로 한다.

30 Technical Support Team


 같은 간격으로 그리되 단면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적절히 조절한다.
 같은 부품의 단면은 같은 방법으로 해칭 한다.
 서로 다른 부품의 단면이 인접해 있을 때는 해칭선의 각도를 반대로 하거나 간격을 다르게 한다.
 해칭 부분에 문자, 기호 등을 기입할 때에는 그 부분의 해칭선을 자른다.

<그림 F1-2>

4-2. 전단면도

<그림 F2-1>
전단면도(full section view)는 그림 F2-1 과 같이 물체를 반으로 자른 것으로 가정하고 도형 전체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F2-1 은 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인 커버(cover)를 전단면도로 그린 것이다.
중심선 이외의 곳에서 절단할 때에는 앞에서 논의된 단면의 표시법에 따른다.

31 Technical Support Team


4-3. 반단면도
반단면도(half section view)는 주로 대칭인 물체에 사용된다.

<그림 F3-1>

<그림 F3-2>

그림 F3-1 과 같이 물체의 1/4 을 떼어 낸 것으로 가정하고 도형의 1/2 은 단면도, 나머지 1/2 은
외형도로 나타낸다.
단면도는 숨은선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아래쪽 외형도에 숨은선으로 내부 형상을
표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위쪽과 아래쪽이 대칭인 물체를 반단면도로 그릴 때에는 그림 F3-2-(가)와 같이 대칭 중심선의 위쪽을
단면도로 표시하고,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인 물체는 (나)와 같이 오른쪽을 단면도로 표시한다.

32 Technical Support Team


4-4. 부분단면도
부분단면도(broken out section view)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 단면도를 따로 그리지 않고 외형도를 그대로 이용하여 내부 형상을 나타내고자 할 때
 축의 키 홈이나 작은 구멍 등 단면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는 부분이 비교적 작을 때
 단면의 경계가 애매해서 도면을 이해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경우
 키 홈이 있는 기어, V-벨트 풀리, 바퀴 등
 부분단면도를 그릴 때에는 단면도와 외형도의 경계를 파단선으로 표시한다.

<그림 F4-1>

그림 F4-1 은 동력전달장치의 기어를 부분단면도로 그린 것이다. 기어를 제도할 때에는 키 홈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분단면도를 사용한다.

<그림 F4-2>

33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F4-2 는 동력전달장치의 축에 패어진 키 홈을 부분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F4-3 은 지지대의 원통(cylinder) 내부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부분단면도를 사용한 예이다.

<그림 F4-3>
4-5. 회전단면도
회전단면도(revolved section view)는 그림 F5-1 과 같이 단면을 90° 회전시켜서 그린 것이다.
회전단면도는 주로 리브(rib), 암(arm) 등의 단면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별개의 단면도로 그리기보다는
외형도 내의 절단 위치에 그리는 경우가 많다.
그림 F5-1 은 동력전달장치 본체의 리브 부분의 단면을 회전투상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F5-1>

34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F5-2 는 회전단면도를 그리는 세 가지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 회전단면도를 외형도 내에 그릴 때에는 (가)와 같이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외형도를 파단선으로 자르고 그 사이에 그릴 때에는 (나)와 같이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 절단선의 연장선 위에 그릴 때에는 (다)와 같이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그림 F5-2>
4-6. 계단단면도
계단단면도(offset section view)는 그림 F6-1 처럼 투상면에 평행하게 잘린 여러 개의 단면을 하나의
단면도로 나타낼 때 사용한다.

<그림 F6-1>

계단단면도를 그릴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그림 F6-2)

35 Technical Support Team


 절단면의 위치는 앞에서 논의한 단면의 표시 방법에 따라 절단선으로 표시한다.
 각각의 단면도는 마치 하나의 단면처럼 같은 방법으로 해칭 한다.

<그림 F6-2>

4-7. 절단하지 않는 부품
다음 부품들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절단하면 오히려 이해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는 부품: 리브, 암, 기어의 이(tooth) 등
 외형도나 단면도의 모양이 같아서 절단하여도 의미가 없는 부품: 멈춤 나사(set screw), 키(key)
핀(pin), 너트(nut), 축(shaft), 작은 나사(screw), 리벳(rivet), 베어링의 볼(bearing ball) 등
그림 F7-1 은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는 부품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F7-1>

36 Technical Support Team


5. 도형의 생략
도면은 가급적 간단명료하고 깨끗하게 그려져야 하며, 제도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은 적을수록 좋다.
왼쪽과 오른쪽 또는 위와 아래가 똑같은 대칭인 물체는 어느 한쪽만 그려도 물체를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다. 일직선 위에 같은 간격, 같은 크기로 뚫린 많은 구멍을 전부 그리기보다는 처음과 마지막 부분의
몇 개만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구멍의 중심 위치만 표시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5-1. 대칭 도형의 생략
대칭인 도형의 한쪽을 생략하여 그릴 때에는 그림 G1-1 (나)와 같이 중심선 양끝에 대칭 도시 기호를
그려 넣어야 한다. 대칭 도시 기호는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그림 G1-1>

그림 G1-2 는 지지대의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를 대칭 도형의 생략 방법에 따라 그린 것이다.

<그림 G1-2>
그림 G1-3 과 같이 중심선을 조금 넘게 그린 경우에는 대칭 도시 기호를 그리지 않는다.
생략한 부분과의 경계는 파단선으로 그린다.

37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G1-3>

5-2. 반복 도형의 생략
그림 G2-1 의 플랜지 커플링(flange coupling)은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구멍이 8 개 뚫려있다. 이런
경우 하나의 구멍만 그리고 나머지는 그 중심 위치만 표시해도 된다.

<그림 G2-1>

그림 G2-2 의 랙 기어(rack gear)는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이(tooth)를 31 개 가지고 있다. 이것을


모두 그릴 필요가 있을까? 양쪽 끝에 1∼2 개 정도만 그리고 나머지는 생략하는 것이 좋다.

38 Technical Support Team


기어를 제도할 때에는 도면에 기어 요목표를 함께 기입하도록 되어 있다. 기어 요목표에는 기어 이수를
비롯해서 기어의 가공, 조립, 검사 등에 필요한 정보가 들어 있다.

<그림 G2-2>

5-3. 중간 부분의 생략
축과 같이 단면이 같은 긴 물체, 랙 기어처럼 같은 모양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물체 등은 지면을
절약하기 위하여 그림 G3-1 처럼 중간 부분을 잘라 버리고 짧게 그려도 된다.
잘라 낸 부분의 경계는 파단선으로 표시하고 치수는 원래의 치수를 기입한다.

<그림 G3-1>

5-4. 교차 부분의 도시
물체의 형상을 보이는 그대로 그리면 오히려 복잡하고 이해하는 데 지장이 있는 경우가 있다.

39 Technical Support Team


부품의 바깥 모서리를 둥글게 하는 것을 라운드(round)라 하고 안쪽 모서리(구석)를 둥글게 하는 것을
필릿(fillet)이라 한다.

<그림 G4-1>

<그림 G4-2>

그림 G4-1 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여러 개의 라운드와 필릿이 교차한다. 이 부분을 정투상도로


나타내면 무수히 많은 선 때문에 오히려 알아보기가 더 어렵다. 이런 경우 정투상법에 구애됨이 없이
물체를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간략하게 그리는 것이 합리적이다.

40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G4-1 (가)는 평면도, (나)는 정면도에서 라운드와 필릿이 교차하는 부분을 간략하게 그린 것이다.
대부분의 기계 부품은 모서리에 라운드와 필릿이 있다.
그림 G4-2 (가)는 자리 매김(seating) 부분의 필릿과 옆면 모서리가 만나는 런아웃(runout)을 간략하게
그린 것이다.그림 G4-2 (나), (다)는 캐스터의 지지대에서 라운드와 필릿이 교차하는 부분을 두 가지
방법으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그림 G4-3 (가)는 라운드와 평면이 만나는 부분의 정면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고, (나)는
우측면도에서 필릿과 둥근 면이 만나는 부분을 간략하게 그린 것이다.

<그림 G4-3>

5-5. 평면의 도시
도형의 일부분이 평면인 것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림 G5-1 (나)와 같이 가는 실선을 사용하여
대각선으로 표시한다.

<그림 G5-1>

41 Technical Support Team


6. 등각투상도와 스케치
정투상법은 일반적으로 2 개 또는 3 개의 투상도를 조합하여 물체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물체를 비스듬하게 놓고 투상하면, 물체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는 없지만 하나
의 투상도만으로도 물체의 모양을 이해하기가 쉽다. 이러한 투상법에는 특수 투상법과 투시도법이 있으
며, 특수 투상법에는 축 측투상도와 사투상도가 있다. 등각투상도(isometric view)는 부등각투상도와 함
께 축 측투상도에 속한다.

6-1. 등각투상도
6-1-1. 등각투상도의 정의
등각투상도(isometric view)는 H1-1 (가)와 같이 물체의 옆면 모서리가 수평선과 30°가 되도록
회전시켜서, 세 모서리가 이루는 각이 모두 120°가 되도록 그린 투상도를 말한다.
등각을 이루는 세 개의 모서리를 등각축(isometric axis)이라 한다.
CAD 시스템에서는 그림 H1-1 (나)와 같이 세 개의 등각투상면(isometric plane)을 정의한다.

 윗면(top plane) : 30°와 150°사이의 투상면


 왼쪽 면(left plane) : 90°와 150°사이의 투상면
 오른쪽 면(right plane) : 30°와 90°사이의 투상면

<그림 H1-1>

6-1-2. 등축척
등각투상도는 원칙적으로 2 / 3 (0.8165)배의 등축척(isometric scale)으로 그려야 한다.

42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H2-1 (가)는 등축척으로 그린 것이고 (나)는 현척(1:1)으로 그린 것이다. 등축척으로 그린 것이
정투상도와 크기가 같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등축척은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현척을 사용해도 모양은
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척을 사용해서 그린다.

<그림 H1-2>

6-2. 스케치
물체의 형상을 프리핸드(freehand)로 그리는 것을 스케치(sketch)라 하고 스케치로 그린 도면을
스케치도(sketch drawing)라 한다.
기계 제도에서 말하는 스케치는 회화(painting)의 한 기법인 크로키(croquis)와는 다르다. 또렷하고 진한
선으로 분명히 알아볼 수 있게 그린 것이어야 한다.
설계자(designer)는 스케치로 자신의 생각을 말이나 글보다 쉽고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스케치는
일정한 규칙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손으로 자유롭게 그리는 특성이 있어, 설계자의
아이디어(idea)를 도면 위에 빠르게 나타낼 수 있다

6-2-1. 직선 그리기
스케치로 직선을 그릴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 시작점과 끝점을 결정한다.
 선을 긋는 동안 눈을 끝점에 두어야 한다.
 처음에 아주 희미한 선으로 그린 다음, 만족스럽게 되었을 때 그 위에 다시 그린다.
 스케치할 때도 용도에 따라 적절한 형식의 선을 사용해야 한다.

6-2-2. 원 그리기
그림 H2-1 은 스케치로 원을 그리는 방법 세 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 트라멜법(trammel method, 그림 H2-1-가)

43 Technical Support Team


 중심선을 그리고, 종이 조각에 반지름을 표시한다.
 반지름의 한 쪽을 원의 중심에 고정하고 다른 쪽에 맞춰 원이 그려질 위치에 짧게 표시한다.
 적당한 간격으로 여러 차례 반복한 후 표시를 따라 원을 그린다.
 정사각형법(enclosing square method, 그림 H2-1-나)
 원을 에워 쌀 정사각형을 희미하게 그린다.(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지름과 같아야 한다.)
 정사각형의 중간점을 연결하여 중심선을 그린다.
 정사각형의 네 변과 중심선이 만나는 점을 접점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등각투상도에서는 그림 H2-1 (다)와 같이 투상면에 따라 각각 다른 모양의 타원형(ellipse)을 그려야
실제의 원처럼 보인다.

<그림 H2-1>
6-2-3. 스케치도
그림 H2-2 (가)는 V-블록을 정투상법으로 그린 스케치도이고, (나)는 등각투상법으로 그린
스케치도이다.

<그림 H2-2>

44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H2-3 은 스케치도를 바탕으로 제도된 제작도(부품도)와 완성된 V-블록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H2-3>

45 Technical Support Team


7. 전개도
전개도(development drawing)는 물체를 구성하는 면을 평면 위에 전개한 펼친 그림이다. 전개도는 주로
항공기나 자동차의 몸체와 같이 면으로 구성되는 물체, 연통이나 캐비닛 등과 같이 판재를 구부려서
만드는 물체의 제작에 사용한다. 전개도법에는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방사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및
삼각형을 이용한 전개도법이 있다.

7-1 전개도법의 종류
7-1-1.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은 주로 각기둥이나 원기둥을 전개할 때 사용한다.
그림 I1-1 은 비스듬히 잘린 원기둥의 평행선 전개도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I1-1>

7-1-2. 방사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방사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은 각뿔이나 원뿔의 전개에 사용하며 꼭지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전개시키는 방법이다.
그림 I1-2 는 비스듬히 잘린 원뿔의 전개도를 방사선 전개도법으로 그린 것이다.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반지름은 원뿔의 빗변의 길이와 같다. 부채꼴의 중심각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r
  360 
l
θ : 부채꼴의 중심각, r: 원뿔의 반지름, l: 원뿔빗변의 길이

반지름과 높이를 알 때 원뿔의 빗변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구할 수 있다.

46 Technical Support Team


l  r 2  h2

l: 원뿔 빗변의 길이, r: 원뿔의 반지름, h: 원뿔의 높이

<그림 I1-2>

7-1-3. 삼각형을 이용한 전개도법


삼각형을 이용한 전개도법은 입체의 표면을 여러 개의 삼각형으로 나누어 전개하는 방법이다.

<그림 I1-3>
꼭지점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방사선 전개도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원뿔이나 편심 원뿔, 각뿔 등의
전개도에 많이 사용한다.

47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I1-3 은 위 부분이 잘린 원뿔을 삼각형 전개도법으로 그린 것이다. 방사선 전개도법으로 그릴 수도
있지만 원뿔의 꼭지점이 도면의 바깥으로 나가거나 다리가 긴 컴퍼스가 없을 때에는 그리기가 곤란하다.

7-2. 상관체
7-2-1. 상관체와 상관선
두 개 이상의 입체가 만나서 이루는 입체를 상관체(intersecting body)라하며, 상관체에서 입체가 만난
경계선을 상관선(intersecting line)이라 한다.
상관체의 전개도에서는 상관선을 정확하게 그리지 않으면 두 입체를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상관선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 I2-1 은 원뿔과 원기둥이 만나서 이룬 상관체이다.

<그림 I2-1>

7-2-2. 상관선 그리기


 정면도와 평면도를 그린다.(그림 I2-2-가)

<그림 I2-2>

48 Technical Support Team


 평면도에서 원기둥의 원주를 12 등분한다.
 원뿔의 꼭지점과 등분점(위쪽 5 개)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를 그린다.
 원호와 원뿔의 중심선이 만나는 점에서 원뿔의 빗변까지 연장선을 내린다.
원기둥의 아래쪽 5 개 등분점에서 정면도의 밑변까지 수직선을 내린다.(그림 I2-2-나)
 그림 I2-3 (가)와 같이 원뿔의 빗변에 있는 각 교점에서 오른쪽으로 수평선을 긋는다.
 오른쪽 수직선과의 교점을 운형자로 매끄럽게 이으면 상관선이 된다.(그림 I2-3-나)

<그림 I2-3>

7-2-3. 원뿔의 전개
원뿔의 빗변을 반지름으로 하는 부채꼴을 그린다. 부채꼴의 중심각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r
  360 
l
θ : 부채꼴의 중심각, r: 원뿔의 반지름, l: 원뿔빗변의 길이
 평면도에서 원뿔의 꼭지점으로부터 원기둥의 등분점을 지나 원뿔의 원주와 만나는 점을 구한다.
(그림 I2-4-가 0, 1, 2, 3, 4, 5)
 평면도에서 호 01, 02, 03, 04, 05 의 길이를 재서 부채꼴의 원주에 그대로 옮긴다. (그림 I2-4-나
0, 1, 2, 3, 4, 5)
 부채꼴의 꼭지점에서 부채꼴 원주상의 점 0, 1, 2, 3, 4, 5 에 직선을 긋는다.
 정면도의 상관선에서 선분 oa, ob, oc, od, oe, of 를 재서 부채꼴의 중심선에 그대로 옮긴다.
 부채꼴에서 선분 oa, ob, oc, od, oe, of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를 그린다.
 선분 o1, o2, o3,o4, o5 와의 교점을 운형자로 매끄럽게 이으면 상관선이 그려진다.
 나머지 한쪽도 같은 방법으로 그리면 원뿔의 전개도가 완성된다.
 부품 번호와 수량을 기입한다.

49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I2-4>

7-2-4. 원기둥의 전개
 정면도에서 원기둥의 윗변과 밑변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수평선을 긋는다. (그림 I2-5-가)
 그림 I2-5 (나)와 같이 원기둥의 원주만큼 길이를 잰 후 양쪽 끝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선을 긋는다.

<그림 I2-5>

 원기둥의 원주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l  D
l: 원기둥의 원주, D: 원기둥의 지름

50 Technical Support Team


 원주를 12 등분하여 아래쪽으로 수직선을 긋는다.
 정면도의 상관선 위에 있는 각 교점에서 오른쪽으로 수평선을 긋는다.
 수평선과 12 등분한 수직선이 만나는 교점을 운형자로 잇는다.
부품 번호와 수량을 기입한다.

7-2-5. 용접 기호
전개도를 그릴 때에는 입체를 전개하기 위하여 가상으로 자른 위치와 상관선에 용접 기호를 기입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전개도를 접어서 입체를 만들 때 접합할 곳과 두 입체를 서로 결합할 위치를 알려
주어야 한다. 입체의 어느 부분을 자르는가에 따라 전개도의 모양이 달라진다.

<그림 I2-6>

그림 I2-6 (가)는 I 형 맞대기 용접(butt welding) 기호이고, (나)는 원뿔과 원기둥이 결합되는 부분
전체(온 둘레)를 필릿 용접(fillet welding)하라는 뜻이다.

51 Technical Support Team


8. 치수기입
물체의 모양을 정투상도로 그린 다음 치수(dimensions)를 기입하여 물체의 크기를 표시함으로써 그
물체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도면이 된다.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는 제작자가 그 물체를 제작할
때뿐만 아니라, 제작 후 조립된 물체가 제대로 작동하는데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도를 할 때에는
제작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여야 하며, 물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치수가 빠지거나 불필요한 치수가
기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8-1. 치수 기입 요소와 보조 기호
8-1-1. 치수 기입 요소
치수선(dimension line), 화살표(arrowhead), 치수 보조선(extension line), 치수 수치(dimension value)를
치수 기입 요소라 한다.
그림 J1-1 은 치수 기입 요소와 도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 치수선과 치수 보조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치수선 끝에는 (다)와 같이 원칙적으로 1×3mm 크기의 화살표를 붙인다.
 치수 보조선은 (다)와 같이 치수선을 지나 2∼3mm 정도 더 나오게 긋는다.
 치수 보조선은 (나)와 같이 외형선으로부터 1.5mm 정도 띄운다. 단, 치수 보조선을
중심선으로부터 끌어낼 때에는 띄우지 않는다.
 치수 수치의 크기(높이)는 3.15∼6.3mm 로 한다. 일반적으로 3.5mm 를 사용한다. 치수 수치는
치수선과 1mm 정도 간격을 둔다.(그림 J1-1-라)
 치수선과 치수선 사이의 간격은 10mm 정도로 일정하게 한다.(그림 J1-1-마) 그림 J1-1 (가)는
치수 보조 기호의 하나인 Ø 의 사용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J1-1>

52 Technical Support Team


 도면에 치수를 기입할 때에는 도면의 척도에 관계없이 실 치수(마무리 치수)를 기입한다.
 치수는 물체의 윤곽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곳에 기입하는 것이 좋다.
 구멍은 가급적 부분단면도를 이용하여 외형선으로 나타낸 후 치수를 기입한다.
 어느 한 투상도에 기입한 치수를 다른 투상도에 중복 기입하지 않는다.
 치수는 되도록 계산하여 구할 필요가 없도록 기입한다.
 도면에 길이 치수를 기입할 때에는 치수 수치의 위치와 방향을 그림 J1-2 (가)와 같이 한다.
 길이 치수의 단위는 원칙적으로 mm 를 사용한다.
 각도 치수는 도(°) 단위를 사용하며 그림 J1-2 (나)와 같은 방법으로 기입한다.

<그림 J1-2>

8-1-2. 치수 보조 기호
치수 보조 기호는 치수 수치 앞에 부가하여 그 치수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표 J1-1 은 치수 보조 기호의 종류와 그 의미를 나타낸 것이다.

기 호 의 미 기 호 의 미
Ø 지름 치수(diameter) SØ 구의 지름 치수(spherical diameter)
R 반지름 치수(radius) SR 구의 반지름 치수(spherical radius)
t 판의 두께(thickness) □ 정사각형 변의 치수(square)
C 45° 모떼기(chamfer) 원호의 길이(arc length)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
() 참고 치수(reference)
(theoretically exact dimension)
<표 J1-1>
8-2. 치수 기입 원칙
8-2-1. 지름, 반지름(원호)의 치수 기입
 그림 J2-1 (나)와 같은 원 모양의 도형에는 치수 보조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53 Technical Support Team


 그림 J2-1 (가)와 같은 상태에서는 치수 보조 기호 Ø 를 치수 수치 앞에 붙여서 그 부분(Ø35,
Ø58)이 원형임을 명확히 한다.
 반지름 치수는 그림 J2-1 (가)와 같은 방법으로 기입하며 치수 보조 기호 R 을 치수 수치 앞에
붙인다.
동일한 반지름 치수를 여러 번 반복 기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투상도에 직접 기입하지 않고 그림
J2-1 (다)처럼 주(note)를 다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기계 부품은 모서리가 둥글기 때문에 투상도에
같은 크기의 작은 원호가 많이 있게 된다.

<그림 J2-1>

8-2-2. 모떼기 치수 기입
부품의 모서리를 비스듬히 깎아내는 것을 모떼기(chamfering)라 한다.

<그림 J2-2>

54 Technical Support Team


 모떼기의 크기가 45° 이하일 때에는 그림 J2-2 (가)와 같이 모떼기 길이와 각도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치수 기입 방법에 따라 기입한다.
 45° 모떼기 경우는 그림 J2-2 (나)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같은 크기의 모떼기 치수를 여러 번 반복 기입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투상도에 직접 기입하지


않고 그림 J2-2 (다)와 같이 주(note)를 다는 것이 좋다.

8-2-3. 구멍의 치수 기입
 구멍의 가공 방법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림 J2-3 (다)와 같이 지름 치수 다음에 가공
방법을 기입한다.
 구멍의 깊이를 지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지름 치수 다음에 "깊이"라고 쓰고 깊이 치수를
기입한다.(그림 J2-3-다)
 깊은자리파기, 자리파기의 치수는 그림 J2-3 (가) 또는 (나)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 동일한 크기의 구멍이 여러 개 있을 때에는 "구멍의 수― Ø 지름 치수(4-Ø34)"와 같은 형식으로
한 곳에만 치수를 기입한다.(그림 J2-3-나)

<그림 J2-3>

8-2-4. 반단면도, 대칭 도형의 치수 기입


반단면도나 대칭 도형에서 한쪽을 생략한 경우에는 그림 J2-4 (가), (나)와 같이 치수 보조선과
화살표가 생략된 쪽의 치수선을 중심선 조금 넘게 그리고, 치수 수치는 중심선과 같은 위치에 기입한다.

55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J2-4>

8-2-5. 좁은 곳, 겹치는 곳의 치수 기입

<그림 J2-5>

 치수 보조선의 간격이 좁아서 화살표를 그릴만한 공간이 없을 때에는 화살표 대신 검은 점을


사용한다.(그림 J2-5-가)
 치수는 원칙적으로 도형 바깥쪽에 치수 보조선을 사용해서 기입하여야 하지만, 치수 보조선을
그리기 곤란한 경우에는 도형 안쪽에 외형선을 이용하여 기입한다.(그림 J2-5-가)
 치수는 선에 겹치지 않도록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림 J2-5 (나)와 같이
치수 수치와 치수 보조선이 겹치지 않도록 치수 보조선의 일부를 자른다.

56 Technical Support Team


 그림 J2-5 (라)의 각도 치수 15°처럼 일반적인 방법으로 치수를 기입하기 곤란해서 지시선을
사용할 경우 지시선의 끝에는 화살표나 검은 점을 붙이지 않는다.
 그림 J2-5 (라)의 치수 1/Ø7 은 목(neck, 계단 모양) 부분의 폭이 1mm 이고 지름이 7mm 라는
의미이다.
 부품 번호는 지름 12mm 이상의 원과 높이 6.3∼12.5mm 의 숫자로 표시한다. 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그림 J2-5-다)

57 Technical Support Team


9. 표면거칠기
표면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가공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요철을 말한다. 기계 부품이 요철이 없는 이상적인 표면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은 생산공학적으로
불가능하며, 필요 이상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그러므로 기계 부품은 그 사용
목적과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다듬어져야 한다. KS 에서 규정하는 표면거칠기 표시 방법에는 중심선
평균거칠기, 최대높이, 10 점 평균거칠기 등이 있다. 도면에는 이 중 한가지 방법으로 부품의
표면거칠기가 지시되어야 한다.

9-1. 표면거칠기의 정의
표면거칠기는 표면조도라고도 하며 단위는 마이크로미터(μ m, 0.001mm)를 사용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물체의 윤곽은 하나의 직선 또는 곡선으로 보이지만 크게 확대해 보면 매우 작고 불규칙한
요철이 모여서 이룬 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K1-1 은 수백 배 확대된 금속 표면의 3 차원 영상이다. ( )안의 숫자는 금속 표면의 실제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K1-1>

9-1-1. 단면곡선과 거칠기곡선


단면곡선(unfiltered profile, primary profile)은 표면거칠기 측정 대상물의 단면에 나타나는 오목 볼록한
윤곽(profile)을 말하며, 요철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면곡선에서 긴 파장(wavelength)을 가진 완만한 곡선을 고역필터(high-pass filter)로 걸러내는 것을
컷오프(cut-off)라 한다. 거칠기곡선(roughness profile)은 단면곡선을 컷오프해서 얻은 곡선이다.
단면곡선을 컷오프 할 때 고역필터를 통과하느냐 못하느냐의 기준이 되는 파장을 컷오프 값이라 하는데,

58 Technical Support Team


KS 에서는 "감쇠율이 -12dB/oct 인 고역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그 이득이 75%가 되는 주파수의
파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컷오프 값은 λ c 로 표시하며 원칙적으로 0.08, 0.25, 0.8, 2.5, 8, 25mm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단위는 mm 이다.
그림 K1-2 는 구리(copper)의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단면곡선과 컷오프된 거칠기곡선을 보여준다.

<그림 K1-2>

9-1-2. 평균선과 중심선


그림 K1-3 에 나타낸 것처럼 단면곡선 또는 거칠기곡선에서 물체의 윤곽에 해당되는 기하학적 형태의
선을 평균선(mean line)이라 한다.

<그림 K1-3>

59 Technical Support Team


중심선(arithmetical mean line)은 거칠기곡선에서 모든 봉우리의 면적의 합과 모든 골짜기의 면적의
합이 같도록 설정한 이론적인 선이다.
그림 K1-3 의 거칠기곡선에서 중심선 위쪽의 부분과 중심선 아래쪽의 부분의 면적은 같다.
평균선과 중심선은 서로 평행하다.

9-1-3. 중심선 평균거칠기(Ra)


중심선 평균거칠기(arithmetical average roughness)는 거칠기곡선에서 기준길이 전체에 걸쳐
평균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모든 봉우리와 골짜기의 편차 평균값을 표면거칠기로 사용한다.
그림 K1-3 의 거칠기곡선에서 중심선이 평균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Ra)가 중심선 평균거칠기에
해당된다. 중심선 평균거칠기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면거칠기 표시 방법(parameter)이다.
도면에서 표면거칠기를 지정할 때에는 표 K1-1 에 나타낸 표준 값을 사용하여 지정한다.

표준 값(μ m) 0.013, 0.025, 0.05, 0.1, 0.2, 0.4, 0.8, 1.6, 3.2, 6.3, 12.5 25, 50, 100
컷오프 값(mm) 0.8 2.5
<표 K1-1>

9-1-4. 최대높이(Rmax)
최대 높이(maximum height roughness)는 단면곡선의 가장 높은 봉우리에서 가장 깊은 골짜기까지의
수직 거리를 표면거칠기로 사용한다.
표 K1-2 는 도면에서 표면거칠기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최대높이의 표준 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준 값(μ m) 0.05, 0.1, 0.2, 0.4, 0.8 1.6, 3.2, 6.3 12.5, 25 50, 100 200, 400
기준길이(mm) 0.25 0.8 2.5 8 25
<표 K1-2>
9-1-5. 10 점 평균거칠기(Rz)
10 점 평균거칠기(ten point median height)는 단면곡선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5 개의 평균 높이와
가장 깊은 골짜기 5 개의 평균 깊이의 차를 표면거칠기로 사용한다.
표 K1-3 은 10 점 평균거칠기의 표준 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준 값(μ m) 0.05, 0.1, 0.2, 0.4, 0.8 1.6, 3.2, 6.3 12.5, 25 50, 100 200, 400
기준길이(mm) 0.25 0.8 2.5 8 25
<표 K1-3>

9-2. 표면거칠기의 도시
9-2-1. 면의 지시 기호와 표면거칠기 값
면의 지시 기호는 표면거칠기를 지시할 때 그 대상이 되는 면을 지정하는 기호로서 그림 K2-1 (가)와
같이 표시한다. (나)는 지정된 면을 제거 가공하지 말라는 의미이다.

60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K2-1 (다)는 표면거칠기를 중심선 평균거칠기로 지시할 때의 표시 방법이다. 6.3 은 허용할 수
있는 표면거칠기 값의 최대 값이며 0μ mRa ∼ 6.3μ mRa 범위에서 가공하라는 의미이다.
최대높이와 10 점 평균거칠기로 지시할 때에는 각각 그림 K2-1 (라), (마)와 같이 표시한다.
표면거칠기는 일반적으로 중심선 평균거칠기를 사용하므로 이후로는 중심선 평균거칠기에 관한 것만
논의하기로 한다.

<그림 K2-1>

그림 K2-2 (가)는 대상 면의 기울기에 따라 면의 지시 기호와 표면거칠기 값을 어떻게 표시해야


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구멍의 지름 치수를 지시선을 사용해서 기입할 때에는 (나)와 같이 지름 치수나 가공 방법 다음에
면의 지시 기호와 표면거칠기 값을 표시한다.

<그림 K2-2>

61 Technical Support Team


9-2-2. 표면거칠기의 간략한 도시
그림 K2-3 (가)는 하나의 부품에서 대부분의 면에 동일한 표면거칠기 값을 지시하고 일부분에만 다른
값을 지시하는 경우이다. (알아보기 쉽도록 면의 지시 기호와 표면거칠기 값을 크게 그렸음)

<그림 K2-3>

표면거칠기 값 25 와 6.3 으로 지시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거 가공하지 말라는 의미이다.


실제의 도면에서는 면의 지시 기호와 표면거칠기 값을 여러 곳에 반복 기입해야하기 때문에
표면거칠기 값을 알파벳 소문자(w, x, y, z)로 대신하고 주(note)를 다는 방법을 사용한다.(그림 K2-3-
나)

9-3. 표면거칠기의 적용
9-3-1. 가공 방법에 따른 표면거칠기 값
키 홈, 벨트 풀리, 기어 등의 기계요소는 KS 에 표면거칠기 값이 정의되어 있으므로 규정에 따라
적용한다. 표 K3-1 은 여러 가지 가공 방법에 따른 표면거칠기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가공 방법에서 표면거칠기 값을 작게 할수록 표면이 고운 제품을 얻을 수 있지만,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가공 방법 표면거칠기 값(중심선 평균거칠기, Ra) 일반적인 적용 값


주조(casting) 3.2, 6.3,12.5, 25, 50, 100
0.1, 0.2, 0.4 (정밀)
0.8, 1.6 (상)
선삭(turning) 1.6, 6.3
3.2, 6.3 (중)
12.5, 25, 50, 100 (거침)
드릴링(drilling) 1.6, 3.2, 6.3, 12.5, 25 25
리밍(reaming) 0.4, 0.8 (정밀) 1.6

62 Technical Support Team


1.6, 3.2, 6.3
0.8, 1.6 (정밀)
밀링(milling) 1.6, 6.3
3.2, 6.3, 12.5, 25
0.1 (정밀)
0.2, 0.4 (상)
연삭(grinding) 0.8, 1.6
0.8, 1.6 (중)
3.2, 6.3, 12.5 (거침)
<표 K3-1>

9-3-2. 표면거칠기의 적용 예
그림 K3-1 캐스터의 지지대는 주조(casting)라는 방법으로 기본 형상을 만들고 여기에 밀링, 드릴링,
리밍 등 필요한 가공을 추가하여 완성한다. 표 K3-2 는 각 부분의 가공 방법과 표면거칠기 값을 정리한
것이다.

<그림 K3-1>

가공 부분 가공 방법 표면거칠기 값
(가) 부시와 결합되는 부분 밀링 6.3
(나) 베이스와 결합되는 부분 밀링 6.3
(다) 부시가 끼워지는 구멍 드릴링 후 리밍 1.6
(라) 지지대의 표면 주물 상태 그대로 둠 가공하지 않음
드릴링 후
(마) 베이스와 결합하기 위해 볼트가 끼워지는 구멍 25
카운터보링
(바) 지지대의 바닥 면으로 베이스와 결합되는 부분 밀링 1.6
<표 K3-2>

그림 K3-2 는 지지대의 각 부분에 면의 지시 기호와 표면거칠기 값을 도시한 것이다. (알아보기


쉽도록 크게 그렸음)

63 Technical Support Team


표면거칠기 값을 알파벳 소문자 w, x, y 로 대신하고 그 의미를 주(note)란에 기입하였다. 또 지시한
곳(w, x, y) 외에는 제거 가공하지 말 것을 부품 번호 옆에 표시하였다.

<그림 K3-2>

64 Technical Support Team


10. 치수공차와 끼워맞춤
실제로 부품을 가공할 때에는 기계의 가공정밀도, 재질 상태, 온도나 습도의 영향 등 여러 가지
기술적 이유로 인해 편차(deviation)가 없는 이상적인 치수로 가공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부품의
조립이나 기능에 지장이 없는 치수의 범위를 미리 정해주고 그 범위에서 가공하도록 한다면 많은
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시되는 치수 편차의 크기를 치수공차(tolerance)라
하며 도면에는 부품의 기능, 조립 상태, 가공 방법 등을 고려한 경제적인 치수공차가 기입되어야 한다.

10-1. 치수공차
그림 L1-1 은 치수공차(tolerance)에 사용되는 용어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L1-1>

 기준 치수(basic size): 치수공차를 정할 때 기준이 되는 치수로 지금까지 우리가 도면에 기입해온


치수이다. Ø64±0.03 에서 Ø64 가 기준치수가 된다.
 실 치수(actual size): 가공이 완료된 후 실제로 측정했을 때의 치수이다. 실제로 부품을 가공할
때에는 기계의 가공정밀도, 재질의 불량, 작업자의 숙련도, 온도나 습도의 영향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기준 치수보다 조금 크거나 작게 가공된다. 반면에 축과 구멍처럼 끼워 맞추는
부품은 그 상태에 따라 일부러 조금 크게 또는 조금 작게 가공하기도 한다.
 허용 한계 치수(limit of size): 허용할 수 있는 실 치수의 범위를 말한다.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가 있다.
 최대 허용 치수(maximum limit of size): 허용할 수 있는 가장 큰 실 치수이다. 실 치수가 이
치수보다 크면 안 된다. 그림 L1-1 에서 Ø64.03(64+0.03)이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실 치수이다.

65 Technical Support Team


 최소 허용 치수(minimum limit of size): 허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실 치수. 실 치수가 이
치수보다 작으면 안 된다. 그림 L1-1 에서 Ø63.97(64-0.03)이 허용할 수 있는 최소 실
치수이다.
 치수 허용차(deviation): 허용 한계 치수와 기준 치수와의 차이다. 위 치수 허용차와 아래 치수
허용차가 있다.
 위 치수 허용차(upper deviation): 최대 허용 치수와 기준 치수와의 차. Ø64±0.03 에서 +0.03 이
위 치수 허용차에 해당된다.(64.03-64.00=0.03)
 아래 치수 허용차(lower deviation): 최소 허용 치수와 기준 치수와의 차. Ø64±0.03 에서 -0.03 이
아래 치수 허용차에 해당된다.(63.97-64.00=-0.03)
 치수공차(tolerance): 공차라고도 한다.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와의 차 또는 위 치수
허용차와 아래 치수 허용차의 차.(64.03-63.97=0.06 또는 +0.03-(-0.03)=0.06)

10-1-2. 보통공차
보통공차(일반공차, general tolerance)는 특별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 부분에 일일이 공차를
기입하지 않고 일괄하여 기입할 목적으로 규정되었다.
 편차가 없는 완벽한 치수로 부품을 가공할 수는 없다.
 따라서 도면에 기입되는 모든 치수에 공차가 허용되어야 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치수는 특별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이런 부분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공차가 있다면 설계자가 일일이 공차를 결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 제도자는 모든 치수에 일일이 공차를 기입하지 않아도 되며, 도면이 훨씬 간단해진다.
 비슷한 기능을 가진 부분들의 공차 등급이 설계자에 관계없이 동일하므로 제작자가 효율적으로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표 L1-1 은 절삭 가공 부분에 적용하는 보통공차(치수 허용차)를 나타낸 것이다. (KS B 0412)
표 L1-2 는 주조로 만들어진 주물 제품에 적용하는 보통공차를 나타낸 것이다. (KS B 0411)

허용차(mm) 허용차(mm)
기준 치수(mm) 기준 치수(mm) 정밀
정밀급 보통급 거친급 보통급 거친급

0.5 이상 3 이하 ±0.05 ±0.1 120 초과 315 이하 ±0.2 ±0.5 ±1.2
3 초과 6 이하 ±0.05 ±0.1 ±0.2 315 초과 1000 이하 ±0.3 ±0.8 ±2.0
6 초과 30 이하 ±0.10 ±0.2 ±0.5 1000 초과 2000 이하 ±0.5 ±1.2 ±3.0
30 초과 120 이하 ±0.15 ±0.3 ±0.8
<표 L1-1>
회주철품의 허용차(mm) 구상흑연주철품의 허용차(mm)
기준 치수(mm)
정밀급 보통급 정밀급 보통급
120 이하 ±1.0 ±1.5 ±1.5 ±2.0
120 초과 250 이하 ±1.5 ±2.0 ±2.0 ±2.5
250 초과 400 이하 ±2.0 ±3.0 ±3.5 ±3.5

66 Technical Support Team


400 초과 800 이하 ±3.0 ±4.0 ±4.0 ±5.0
800 초과 1600 이하 ±4.0 ±6.0 ±5.0 ±7.0
1600 초과 3150 이하 ±10.0 ±10.0
<표 L1-2>

보통공차는 그림 L1-2 와 같이 주(note)란에 기입한다.

<그림 L1-2>

그림 L1-2 의 투상도에 기입된 치수 중에서 공차가 지정된 치수는 58±0.005(그림 L1-2-가)


하나뿐이다. 나머지 공차가 지정되지 않은 치수는 공차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주(note)란에 있는
보통공차를 적용한다는 의미이다.
 우선 절삭 가공하는 부분(가공부)과 제거 가공하지 않는 부분(주조부)을 면의 지시 기호로
구별해야 한다.
 그림 L1-2 (나)의 치수 38 로 지정된 양쪽 면에는 면의 지시 기호가 없다. 이것은 부품 번호 옆에
있는 "제거 가공하지 않음"을 적용하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KS B 0411 보통급을
적용해야 한다. 표 L1-2 에서 기준 길이 120 이하, 회주철품(부품란의 GC200), 보통급에
해당되므로 치수 허용차가 ±1.5 이다. 제작자는 이 부분의 치수가 38±1.5(39.5∼36.5) 범위에
있도록 주조해야 한다.
 그림 L1-2 (다)의 치수 12 왼쪽은 주조 면이지만 오른쪽 면은 절삭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KS B 0412 보통급을 적용한다. 표 L1-1 에서 기준 길이 6 초과 30 이하에 해당되며, 보통급이므로
도면의 치수 12 는 12±0.2 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작자는 이 부분의 치수가 12.02∼11.98 범위에
들어가게 가공하여야 한다.

67 Technical Support Team


10-2. 끼워맞춤
보통공차가 길이 치수와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라면 끼워맞춤(fit)은 끼워 맞춰지는 구멍과 축 사이의
공차 방식(system)이다. 끼워 맞춰지는 구멍과 축 사이의 관계라고 이해하면 된다.
다만 끼워맞춤에서의 구멍(hole)은 구멍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안쪽 형체 모두를 의미하고, 축(shaft)은
축과 같은 기능을 가진 바깥쪽 형체 모두를 의미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끼워맞춤은 다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구멍 또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
 IT 등급
도면에 끼워맞춤을 지시할 때에는 기준 치수 다음에 이 두 가지 요소를 함께 표시해야 한다.
 Ø16H7: Ø16 은 기준 치수, H 는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 7 은 IT 등급이다.
 Ø16g6: Ø16 은 기준 치수, g 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 6 은 IT 등급이다.
구멍 또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과 IT 등급을 합해서 공차 등급(tolerance grade)이라 부른다.

10-2-1. IT 등급
IT(international tolerance) 등급은 IT 01, IT 0, IT 1, IT 2 ... IT 18 까지 20 등급으로 되어 있으며, 흔히
IT 기본 공차 또는 IT 공차라고 부른다.
표 L2-1 은 구멍과 축을 제작할 때 IT 등급을 적용하는 기준이다. 우리가 논의할 부분은
끼워맞춤용이다. 구멍의 IT 등급은 축의 IT 등급보다 한 등급 위의 것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축이 IT
5 이면 구멍은 IT 6 을 적용한다. 이것은 구멍이 축보다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표 L2-2 는 IT 등급별 공차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기준 치수가 클수록, IT 등급이 높을수록 공차가
커진다.

용도 게이지 제작 끼워맞춤 끼워맞춤 외


구멍 IT 01 ∼ IT 5 IT 6 ∼ IT 10 IT 11 ∼ IT 18
축 IT 01 ∼ IT 4 IT 5 ∼ IT9 IT 10 ∼ IT 18
<표 L2-2>
기준 치수 IT 등급
(mm)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초과 이하 공차(μ m) 공차(mm)
3 0.8 1.2 2 3 4 6 10 14 25 40 60 0.10 0.14
3 6 1 1.5 2.5 4 5 8 12 18 30 48 75 0.12 0.18
6 10 1 1.5 2.5 4 6 9 15 22 36 58 90 0.15 0.22
10 18 1.2 2 3 5 8 11 18 27 43 70 110 0.18 0.27
18 30 1.5 2.5 4 6 9 13 21 33 52 84 130 0.21 0.33
30 50 1.5 2.5 4 7 11 16 25 39 62 100 160 0.25 0.39
50 80 2 3 5 8 13 19 30 46 74 120 190 0.30 0.46
80 120 2.5 4 6 10 15 22 35 54 87 140 220 0.35 0.54
120 180 3.5 5 8 12 18 25 40 63 100 160 250 0.40 0.63
180 250 4.5 7 10 14 20 29 46 72 115 185 290 0.46 0.72
250 315 6 8 12 16 23 32 52 81 130 210 320 0.52 0.81

68 Technical Support Team


315 400 7 9 13 18 25 36 57 89 140 230 360 0.57 0.89
400 500 8 10 15 20 27 40 63 97 155 250 400 0.63 0.97
<표 L2-2>

10-2-2.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그림 L2-1 (가)와 같이 구멍의 치수가 Ø48 이고 IT 등급이 7 이라면 위의 표 L2-1 에서 기준 치수
30 초과 50 이하, IT 7 등급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구멍의 공차는 25μ m(0.025mm)이다. 그렇다면 이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는 얼마일까?
 이것만으로는 알 수 없다.
 왜냐하면 0.025 는 치수 허용차가 아닌 공차이기 때문이다.
 다시 말해서 ±0.025(위 치수 허용차 +0.025, 아래 치수 허용차 -0.025)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 0.025 는 위 치수 허용차에서 아래 치수 허용차를 뺀 값이다.(그림 L2-1-가)
 그러므로 위 치수 허용차 또는 아래 치수 허용차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알아야 나머지 하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미지수가 두 개인 방정식(x-y=0.025)과 같다.
 만일 아래 치수 허용차가 0 이라면 위 치수 허용차는 +0.025 가 된다.(+0.025-0=0.025)
 위 치수 허용차와 아래 치수 허용차가 결정되었으므로
 이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는 Ø48.025, 최소 허용 치수는 Ø48.000 이다.(그림 L2-1-나)
 여기에서 계산의 기초가 된 아래 치수 허용차를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라고 한다.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fundamental deviation)는 IT 등급과 함께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를 구할 때 기준이 되는 치수 허용차이며, 위 치수 허용차와 아래 치수 허용차 중 기준 치수에
가까운 것을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로 한다.

<그림 L2-1>

69 Technical Support Team


10-2-3. 구멍과 축에 대한 표준 공차 등급
KS B 0008-2 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멍과 축의 치수 허용차를 각각 28 등급으로 정의하고
다음 규칙에 따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은 알파벳 대문자로 표시한다.
 축의 표준 공차 등급은 알파벳 소문자로 표시한다.
 알파벳 i, l, o, q, w, I, L, O, Q, W 는 사용하지 않는다.
 위 치수 허용차는 ES 와 es 로 표시한다.
 아래 치수 허용차는 EI 와 ei 로 표시한다.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 A∼H 는 EI 를 가지며, J∼ZC 는 ES 를 가진다.
 축의 표준 공차 등급 a∼h 는 es 를 가지며, j∼zc 는 ei 를 가진다.
 표준 공차 등급 JS(js)는 ES(es)와 EI(ei)를 모두 가지며, 그 값은 공차의 1/2 이다.
예를 들어 기준 치수가 16, IT 등급이 7 인 경우, 표 L2-1 에서 공차가 0.018(18μ m)이므로 ES(es)와
EI(ei)는 각각 +0.009, -0.009 이다. 단, JS7(js7)∼JS11(js11)에서 공차가 μ m 단위로 홀수인 경우에는
치수 허용차가 정수가 되도록 ±(공차-1)/2 를 치수 허용차로 한다. 예를 들어 기준 치수가 16, IT
등급이 9 인 경우, 공차가 43μ m 이므로 치수 허용차는 ±43/2=±21.5μ m 가 아닌 ±(43-
1)/2=±21μ m 이다. 구멍과 축에 대한 표준 공차 등급은 구멍과 축을 분류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구멍과 축의 종류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 L2-2 는 구멍과 축에 대한 표준 공차 등급과 치수 허용차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L2-2>

그림 L2-2 에서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 B, H, ZC 에 대하여 설명하면 표 L2-3 과 같다.

70 Technical Support Team


등급 의미
 EI 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양(+)의 값이다.(그림 L2-3-가)
 이 값이 허용 한계 치수를 구할 때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가 된다.
 ES = EI + 공차(IT 등급에 따라 결정됨)이며 양(+)의 값이다.(그림 L2-3-가)
B
 EI 와 ES 모두 양(+)의 값이므로
 최소 허용 치수와 최대 허용 치수 둘 다 기준 치수보다 크다.(그림 L2-3-가)
 따라서 이 등급의 구멍은 실 치수가 기준 치수보다 항상 크게 가공된다.
 EI 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0 이다.
 이 값이 허용 한계 치수를 구할 때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가 된다.
H  ES=EI+(IT 등급에 따른 공차)이며 그림 L2-2 에서 EI 의 위쪽(+쪽)에 위치한다.
 EI 가 0 이므로 최소 허용 치수가 기준 치수와 같다.
 이 등급의 구멍은 실 치수가 기준 치수와 같거나 크게 가공된다.
 ES 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기준 치수보다 작은 음(-)의 값이다.
 이 값이 허용 한계 치수를 구할 때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가 된다.
 EI=ES-(IT 등급에 따른 공차)이며 그림 L2-2 에서 ES 의 아래쪽(-쪽)에
ZC
위치한다.
 ES 와 EI 모두 음(-)의 값이므로
 이 등급의 구멍은 실 치수가 기준 치수보다 항상 작게 가공된다.
<표 L2-3>

<그림 L2-3>

표 L2-4 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 d, h, u 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등급 의미
 es 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기준 치수보다 작은 음(-)의 값이다.
 이 값이 허용 한계 치수를 구할 때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가 된다.
d
 ei=es-(IT 등급에 따른 공차)이며 그림 L2-2 에서 es 의 아래쪽(-쪽)에
위치한다.

71 Technical Support Team


 es 와 ei 모두 음(-)의 값이므로
 이 등급의 축은 실 치수가 기준 치수보다 항상 작게 가공된다.
 es 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0 이다.
 이 값이 허용 한계 치수를 구할 때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가 된다.
 ei=es-(IT 등급에 따른 공차)이며 그림 L2-2 에서 es 의 아래쪽(-쪽)에
h
위치한다.
 es 가 0 이므로 최대 허용 치수가 기준 치수와 같다.
 이 등급의 축은 실 치수가 기준 치수와 같거나 작게 가공된다.
 ei 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기준 치수보다 큰 양(+)의 값이다.
 이 값이 허용 한계 치수를 구할 때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가 된다.
u  es=ei+(IT 등급에 따른 공차)이며 그림 L2-2 에서 ei 의 위쪽(+쪽)에 위치한다.
 ei 와 es 모두 양(+)의 값이므로
 이 등급의 축은 실 치수가 기준 치수보다 항상 크게 가공된다.
<표 L2-4>

10-2-4. 끼워맞춤의 종류
끼워맞춤에서 사용하는 틈새와 죔새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틈새(clearance): 축이 구멍보다 작을 때 생기는 치수 차(틈)이다.
 죔새(interference): 축이 구멍보다 클 때 생기는 치수 차(간섭)이다.
끼워맞춤을 끼워맞춤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구멍 기준 끼워맞춤(basic hole fit):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EI 가 0 인 H 등급의 구멍을
기준으로 이에 적당한 축을 선정하여 죔새나 틈새를 얻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 축 기준 끼워맞춤(basic shaft fit):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es 가 0 인 h 등급의 축을 기준으로
이에 적당한 구멍을 선정하여 죔새나 틈새를 얻는 방식이다.

축의 공차 등급
구멍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g5 h5 js5 k5 m5
H6
f6 g6 h6 js6 k6 m6 n6 p6
f6 g6 h6 js6 k6 m6 n6 p6 r6 s6 t6 u6 x6
H7
e7 f7 h7 js7
f7 h7
H8 e8 f8 h8
d9 e9
d8 e8 h8
H9
c9 d9 e9 h9
H10 b9 c9 d9
<표 L2-5>

구멍의 공차 등급
축 중간끼
헐거운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워맞춤
H5 H6 JS6 K6 M6 N6 P6

72 Technical Support Team


H6 F6 G6 H6 JS6 K6 M6 N6 P6
F7 G7 H6 JS7 K7 M7 N7 P7 R7 S7 T7 U7 X7
H7 E7 F7 H7
F8 H8
H8 D8 E8 F8 H8
D9 E9 H9
h9 D8 E8 H8
C9 D9 E9 H9
B10 C10 D10
<표 L2-6>

표 L2-5 는 상용하는 구멍 기준 끼워맞춤(preferred tolerance for holes)이고, 표 L2-6 은 상용하는 축


기준 끼워맞춤(preferred tolerance for shafts)이다. 상용하는 끼워맞춤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끼워맞춤을 모아 규정한 것이다. 끼워맞춤을 끼워맞춤 상태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 구멍의 최소 허용 치수가 축의 최대 허용 치수보다 큰 경우, 쉽게
말해서 구멍이 축보다 큰 경우이다. 따라서 항상 틈새가 생긴다.
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가 축의 최소 허용 치수보다 작은 경우, 즉
구멍이 축보다 작은 경우이다. 항상 죔새가 생긴다.
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 축, 구멍의 치수에 따라 틈새 또는 죔새가 생기는 끼워맞춤이다.

10-3. 끼워맞춤의 적용
KS 에 끼워맞춤이 정의되어 있는 기계요소, 예를 들어 베어링, 키 홈, 기어 등과 같은 것은 규정에
따라 끼워맞춤을 적용한다.
끼워맞춤 끼워맞춤
설명
상태 구멍기준 축기준
(loose running)
H11-c11 C11-h11
외부 구조재의 광범위한 상용 공차나 허용차를 위한 끼워맞춤
(free running)
H9-d9 D9-h9 정밀도가 요구되는 곳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온도 변화가 큰
곳, 고속 구동 부분 또는 중압이 작용하는 저널에 좋다.
(close running)
헐거운 H8-f7 F8-h7 정밀 기계의 구동 부분과 중간 정도의 속도와 압력이
끼워맞춤 작용하는 저널의 정확한 위치 선정을 위한 끼워맞춤
(sliding)
H7-g6 G7-h6 자유롭게 구동하는 부분이 아닌, 이동하고 자유롭게 회전하고
정확하게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는 부분을 위한 끼워맞춤
(locational clearance)
H7-h6 H7-h6 자유롭게 조립하고 분해하는 고정 부품의 위치 선정에 알맞은
끼워맞춤
(locational transition)
H7-k6 K7-h6
중간 정밀한 위치 선정을 위한 끼워맞춤(틈새와 죔새 사이의 절충)
끼워맞춤 (locational transition)
H7-n6 N7-h6
큰 죔새가 가능한 곳의 더 정밀한 위치 선정을 위한 끼워맞춤

73 Technical Support Team


(locational interference)
H7-p6 P7-h6 구멍에 특별한 압력 요구 없이 매우 정밀한 위치 선정으로
엄밀함과 정렬이 요구되는 부품을 위한 끼워맞춤
(medium drive)
억지
H7-s6 S7-h6 일반적인 철강 부품 또는 얇은 단면의 가열 끼움을 위한
끼워맞춤
끼워맞춤으로 주철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단단한 끼워맞춤
(force)
H7-u6 U7-h6 큰 응력을 받을 수 있는 부품 또는 요구되는 중압이
비실용적인 곳의 가열 끼움에 적합하다.
<표 L3-1>
표 L3-1 은 ISO 에서 권장하는 일반적인 끼워맞춤(ISO First Preference)이다.

<그림 L3-1>

그림 L3-1 은 캐스터를 조립한 모습이다. 지지대와 부시의 외경은 회전 운동을 하는 부분이 아니므로
부시가 움직이지 않도록 억지 끼워맞춤으로 한다. 부시의 내경과 축은 회전 운동을 하는 부분이며,
부시는 미끄럼 베어링과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한다. 바퀴와 축은 함께
회전해야하므로 억지 끼워맞춤으로 헛돌지 않게 한다.
그림 L3-2 는 캐스터의 부품 중 축과 부시의 부품도이다. 위 조립도에서 결정한 끼워맞춤 상태에
따라 도면에 끼워맞춤을 기입한 것이다. 그림 L3-2 (가)는 바퀴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부분이며
억지 끼워맞춤이다. 바퀴의 부품도에는 이 축과 끼워 맞춰지는 구멍의 치수가 Ø22H7 로 기입되어야
한다. 그림 L3-2 (나)와 (라)는 회전 운동을 하는 부분이며 헐거운 끼워맞춤이다. 축에는 Ø16g6,
구멍에는 Ø16H7 로 기입되어 있다. 그림 L3-2 (다) 부분은 지지대의 구멍에 끼워지므로 축에 해당되며

74 Technical Support Team


억지 끼워맞춤이다. 따라서 지지대의 부품도에는 부시와 결합되는 구멍의 치수가 Ø22H7 로 기입되어야
한다.

<그림 L3-2>

10-4. 틈새와 죔새의 계산


표 L2-1-1 은 축의 표준 공차 등급에 따른 치수 허용차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μ m 이다.
JS 와 js 의 치수 허용차는 ±공차/2 이다. 단, JS7∼JS11 과 js7∼js11 에서 공차가 μ m 단위로 홀수인
경우에는 치수 허용차가 정수가 되도록 ±(공차-1)/2 를 치수 허용차로 한다.

기준
위 치수 허용차(es) 아래 치수 허용차(ei)
치수(mm)
k3 이하
초과 이하 d e f g h j5, j6 j7 j8 k4∼k7 m n p
k8 이상
3 -20 -14 -6 -2 0 -2 -4 -6 0 0 +2 +4 +6
3 6 -30 -20 -10 -4 0 -2 -4 +1 0 +4 +8 +12
6 10 -40 -25 -13 -5 0 -2 -5 +1 0 +6 +10 +15
10 18 -50 -32 -16 -6 0 -3 -6 +1 0 +7 +12 +18
18 30 -65 -40 -20 -7 0 -4 -8 +2 0 +8 +15 +22
30 50 -80 -50 -25 -9 0 -5 -10 +2 0 +9 +17 +26
50 80 -100 -60 -30 -10 0 -7 -12 +2 0 +11 +20 +32
80 120 -120 -72 -36 -12 0 -9 -15 +3 0 +13 +23 +37
120 180 -145 -85 -43 -14 0 -11 -18 +3 0 +15 +27 +43
180 250 -170 -100 -50 -15 0 -13 -21 +4 0 +17 +31 +50
250 315 -190 -110 -56 -17 0 -16 -26 +4 0 +20 +34 +56
315 400 -210 -125 -62 -18 0 -18 -28 +4 0 +21 +37 +62
400 500 -230 -135 -68 -20 0 -20 -32 +5 0 +23 +40 +68
<표 L2-1-1>

75 Technical Support Team


10-4-1. 구멍 기준 헐거운 끼워맞춤(Ø16H7/g6)에서 틈새의 계산(그림 L2-1-1)

<그림 L2-1-1>

 표 L2-1 에서 구멍의 기준 치수 16, IT 등급 7 에 대한 공차 = +0.018(18μ m)


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이 H 이므로 아래 치수 허용차 =0, 따라서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16.018, 최소 허용 치수=16.000
 표 L2-1 에서 축의 기준 치수 16, IT 등급 6 에 대한 공차=+0.011(11μ m)
 축의 표준 공차 등급이 g 이므로 표 L2-1-1 에서 위 치수 허용차는 -0.006(6m)
 따라서, 축의 아래 치수 허용차=-0.006 - (+0.011) = -0.017
 축의 최대 허용 치수 = 15.994, 최소 허용 치수 = 15.983
 최대 틈새 =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 - 축의 최소 허용 치수 = 16.018 - 15.983 = 0.035
 최소 틈새 = 구멍의 최소 허용 치수 - 축의 최대 허용 치수 = 16.000 - 15.994 = 0.006

10-4-2. 억지 끼워맞춤(Ø22H7/p6)에서 죔새의 계산(그림 L2-1-2)


 표 L2-1 에서 구멍의 기준 치수 22, IT 등급 7 에 대한 공차 = +0.021(21μ m)
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이 H 이므로 아래 치수 허용차 = 0
 따라서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 = 22.021, 최소 허용 치수 = 22.000
 표 L2-1 에서 축의 기준 치수 22, IT 등급 6 에 대한 공차 = +0.013(13μ m)
 축의 표준 공차 등급이 p 이므로 표 L2-1-1 에서 아래 치수 허용차는 +0.022(+22μ m)
 따라서 축의 위 치수 허용차 = (+0.022) + (+0.013) = +0.035
 축의 최대 허용 치수 = 22.035, 최소 허용 치수 = 22.022
 최대 죔새 = 구멍의 최소 허용 치수 - 축의 최대 허용 치수 = 22.000 - 22.035 = -0.035
 최소 죔새 =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 - 축의 최소 허용 치수 = 22.021 - 22.022 = -0.001

76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L2-1-2>

77 Technical Support Team


11. 기하공차
기계부품을 제작하거나 조립할 때, 더 정밀한 제작과 정확한 조립이 되도록 치수공차, 끼워맞춤과 함께
모양, 자세, 위치, 흔들림 등에 대하여 필요한 정밀도를 지시할 필요가 있다. 기하공차(geometrical
tolerance)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하공차는 모든 치수에 적용하는 치수공차와는 달리 기하학적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분에만 적용한다.

11-1. 기하공차의 필요성


그림 M-1 (가)는 플레이트(plate)의 구멍이 잘못 가공된 경우를 설명하기 좋도록 과장되게 그린 것이다.
구멍의 크기는 끼워맞춤으로 제한되어 최소 허용 치수와 최대 허용 치수 안에 있다.
구멍은 끼워맞춤을 만족시키지만 여전히 기울어져 있다. 드릴 부시(drill bush)가 정확하게 조립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
구멍의 중심 축선(axis)이 어느 한계를 벗어나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규제할 필요가 있다.
그림 M1-1 (나)는 구멍의 중심 축선이 Ø0.007mm 의 원통 안에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구멍의 기하학적
자세(직각)를 명확하게 표시하는 예이다.
기하공차(geometrical tolerance)는 부품의 크기에 관한 공차(치수공차)만으로 제한할 수 없는, 부품의
기하학적 형상, 자세, 위치 등에 대하여 분명하게 지시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사용된다.

<그림 M1-1>

그림 M1-2 (가)와 같이 치수공차로 제한한 경우의 공차 영역(tolerance zone)은 (다)의 정사각형과 같다.
(나)는 공차를 적용하지 않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theoretically exact dimension)에 기하학적

78 Technical Support Team


위치에 관한 공차를 부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위치 치수(53, 51)에는 공차를 허용하지 않고 구멍의 중심
위치에 대해서만 공차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 때의 공차 영역은 (다)의 원과 같다.
그림 M1-2 (다)에서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와 원의 지름이 0.28mm 로 같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최대로 발생할 수 있는 편차가 같다는 뜻이다. 그러나 원의 면적은 정사각형의 면적보다 해칭된
부분만큼 더 넓다. 즉 치수공차로 제한된 공차 영역보다 기하공차로 제한된 공차 영역이 더 넓다는
의미이다.
기하공차는 치수공차만으로 제한할 수 없는 기하학적 형상, 자세, 위치 등을 명확히 규제하고 더 넓은
공차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조립 불능이나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제품의 정밀도와 생산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림 M1-2>

11-2. 기하공차의 종류
11-2-1. 공차 영역과 데이텀
기하공차에서 사용되는 공차 영역(tolerance zone)과 데이텀(datum)의 뜻은 다음과 같다.

 공차 영역: 치수공차에서 공차는 최대 최소 허용 치수 사이의 직선거리를 의미하지만,


기하공차에서 사용하는 공차 영역은 평행한 두 평면, 곡면, 직선 사이의 거리, 원의 내부 영역,
원통의 내부 공간 등을 의미한다.
 데이텀: 데이텀이란 서로 관계되는 두 형체(form) 중에서 기준이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A 와 B 두 직선이 있다고 하면, 'A 는 평행하다'라고 하지 않고 'A 와 B 는 서로 평행하다'라고
한다. 평행이라는 개념은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같은 평면 위에 있는 두 직선이 만나지 않을
때"로 정의되는 위치 관계이기 때문이다. 이 때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직선이 바로 데이텀이다.
따라서 관련되는 형체가 없는, 독립된 형체에 적용하는 기하공차는 데이텀을 사용하지 않는다.

79 Technical Support Team


기하공차에서는 가장 정확하다고 가정되는 점, 평면 또는 축선(axis) 등을 데이텀으로 지정하고,
데이텀 식별 기호(datum identification symbol)로 표시한다.

그림 M2-1 은 기하공차의 종류와 기호, 데이텀 식별 기호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M2-1>

11-2-2. 모양에 관한 공차
모양에 관한 공차(form tolerances)에는 직진도공차, 평면도공차, 진원도공차, 원통도공차, 선의
윤곽도공차, 면의 윤곽도공차 등이 있다. 모양에 관한 공차는 데이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직진도공차(straightness): 평면, 원통의 표면 또는 축선(axis)이 얼마나 정확한 직선이어야
하는지를 정의한다. 평면에 투영되었을 때에는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 공차가 Øt 일 때에는 지름이 공차 t 인 원통(cylinder)의 내부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2-가)
 평면도공차(flatness): 얼마나 정확한 평면이어야 하는지를 정의한다.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2-나)
 진원도공차(roundness, circularity): 얼마나 정확한 원이어야 하는지를 정의한다.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심원 사이가 대상 평면에서의 공차 영역이다.(그림 M2-2-다)
 원통도공차(cylindricity): 진원도공차가 축선에 수직한 단면의 표면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원통도공차는 원통 전체 표면을 대상으로 한다.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동축(coaxial) 원통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2-라) 직진도 진원도 평행도공차를 동시에 적용한 것과 같다.


 선의 윤곽도공차(profile of a line): 윤곽(profile)은 물체의 외부 형상을 말하며, 직선이나 곡선
또는 원호의 조합일 수도 있다. 직진도공차가 직선에 대한 정의라면 선의 윤곽도공차는 곡선에

80 Technical Support Team


대한 정의이다. 공차 영역은 정확한 기하학적 형태(true geometrical form) 위에 그 중심이 있고
지름이 공차 t 인 원을 포함하는 두 개의 선 사이 또는 정확한 기하학적 형태 위에 그 중심이
있고 지름이 공차 t 인 모든 구(sphere)에 의해 제한되는 구부러진 관 모양의 내부 공간이다.(그림
M2-2-마)
 면의 윤곽도공차(profile of a surface): 평면 또는 곡면의 모든 표면이 기준 윤곽에서 벗어나는
범위를 제한한다. 정확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진 표면 위에 그 중심이 있고 지름이 공차 t 인 구를
포함하는 두 개의 표면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2-바)

<그림 M2-2>

11-2-3. 자세에 관한 공차
자세에 관한 공차(orientation tolerances)에는 평행도공차, 직각도공차, 경사도공차 등이 있으며
데이텀을 필요로 한다.
 평행도공차(parallelism): 두 개의 평면, 하나의 평면과 중심을 가지는 형체, 두 개의 축선이 서로
얼마나 정확하게 평행이어야 하는가를 정의한다. 두 개의 형체 중 하나가 데이텀이다. 데이텀
선에 평행하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평면에 투영되었을 때) 또는 데이텀
평면에 평행하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3-가)
 직각도공차(perpendicularity, squareness): 데이텀을 기준으로 평면, 축선이 얼마나 정확한
직각이어야 하는가를 정의한다. 데이텀 평면에 직각이고 지름이 공차 t 인 원통의 내부
공간(공차가 Øt 일 때) 또는 데이텀 평면에 직각이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3-나)

81 Technical Support Team


 경사도공차(angularity): 90°를 제외한 임의의 각도를 가지는 표면, 축선, 중간 면을 대상으로 한다.
데이텀 선 또는 평면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3-다)

<그림 M2-3>

11-2-4. 위치에 관한 공차
위치에 관한 공차(locational tolerances)에는 위치도공차, 동축도공차, 대칭도공차 등이 있으며 데이텀을
필요로 한다.
 위치도공차(true position): 다른 형체나 데이텀에 관계된 형체의 지정 위치로부터 점, 선, 평면이
벗어나는 정도를 제한한다. 점(point)에 적용할 때에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위치(theoretically exact
position)를 중심으로 하는, 지름이 공차 t 인 원의 내부가 공차 영역이다. 직선에 적용할 때에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사이의

거리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4-가) 위치도공차는 진직도 평행도 진원도 직각도공차를


포함하는 공차이다.
 동축도공차(concentricity): 데이텀의 축선과 동일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할 축선이 데이텀
축선으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를 제한한다. 점에 적용할 때에는 데이텀 점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진,
지름이 공차 t 인 원의 내부가 공차 영역이다. 축선에 대하여 적용할 때에는 데이텀 축선과
일치하는 축선을 가진, 지름이 공차 Øt 인 원통의 내부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4-나)
 대칭도공차(symmetry): 데이텀 축선 또는 데이텀 중심 평면에 대해서 서로 대칭이어야 할 형체가
대칭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를 제한한다. 데이텀 축선이나 데이텀 중심 평면에 대하여 서로

82 Technical Support Team


대칭이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또는 직선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4-
다)

<그림 M2-4>

11-2-5. 흔들림에 관한 공차
흔들림에 관한 공차(run-out tolerances)에는 원주 흔들림공차와 온 흔들림공차가 있다. 데이텀을
필요로 한다.
 원주 흔들림공차(circular run-out): 대상 원통을 데이텀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했을 때 그 표면이
반지름 방향 또는 축선 방향으로 흔들리는 정도를 제한한다. 반지름 방향(radial)에 적용할 때에는
축선에 직각인 임의의 측정 평면(measuring plane)에서 그 중심이 데이텀 축선과 일치하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심원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 축선 방향에 적용할 때에는 반지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그 중심이 데이텀 축선과 일치하고 측정 원통(measuring cylinder) 내부에 놓여
있는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원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5-가) 흔들림 공차는

데이텀을 기준으로 한 진원도 직진도 직각도 동축도 평행도공차를 포함한 공차이다.


 온 흔들림공차(total run-out): 원주 흔들림공차가 축선에 수직한 단면의 표면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온 흔들림공차는 원통의 전체 표면을 대상으로 한다. 반지름 방향에 적용할 때에는 그
축선이 데이텀 축선과 일치하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축 원통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
축선 방향에 적용할 때에는 데이텀 축선에 직각이고 공차 t 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

사이가 공차 영역이다.(그림 M2-5-나) 온 흔들림 공차는 데이텀을 기준으로 한 진원도 직진도


직각도 원통도 평행도공차를 포함한 공차이다.

83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M2-5>

11-3. 기하공차의 도시
11-3-1. 공차 기입 틀
기하공차는 직사각형의 공차 기입 틀(feature control frame)을 두 칸 또는 여러 칸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기입한다.(그림 M3-1)

<그림 M3-1>

 공차 기입 틀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 첫 번째 칸에는 공차 기호를 기입한다.

84 Technical Support Team


 두 번째 칸에는 공차를 기입한다.
 데이텀이 한 개일 때에는 (나)와 같이 세 번째 칸에 데이텀을 기입한다.
 두 개의 데이텀이 동시에 참조되는 경우(공통 데이텀)에는 (다)와 같이 기입한다.
 두 개 이상의 데이텀(복수 데이텀)에 우선 순위를 지정할 때에는 (라)와 같이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텀을 먼저 기입한다. 우선 순위가 없을 때에는 같은 칸에 나란히 기입한다.
 하나의 형체에 여러 개의 기하공차를 지시할 때에는 (마)와 같이 도시한다.

11-3-2. 기하공차 도시 방법
표면거칠기에서는 면의 지시기호를 사용하여 대상 표면을 지시하지만 기하공차에서는 끝에 화살표를
붙인 지시선을 사용하여 대상 형체를 지시한다.(그림 M3-2)

<그림 M3-2>

선 또는 면 자체에 기하공차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가)와 같이 외형선 또는 외형선의 연장선(치수


보조선) 위에 지시한다. 치수 보조선 위에 지시할 때에는 치수선과 명백히 다른 위치에서 지시선을
끌어낸다.
대상 형체의 축선 또는 중심 평면에 기하공차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나)와 같이 치수선의 연장선이나
치수선과 같은 위치에 지시한다.
축선 또는 중심 평면이 공통인 여러 형체의 공통 축선 또는 중심 평면에 기하공차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와 같이 공통 축선이나 중심 평면을 나타내는 중심선에 지시한다.

11-3-3. 데이텀 도시 방법
데이텀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도시한다.(그림 M3-3)

85 Technical Support Team


 선 또는 면 자체가 데이텀인 경우에는 (가)와 같이 외형선 또는 외형선의 연장선(치수 보조선)
위에 도시한다. 치수 보조선 위에 도시할 때에는 치수선과 명백히 다른 위치에 데이텀 삼각기호를
붙인다.
 축선 또는 중심 평면이 데이텀인 경우에는 (나)와 같이 치수선과 같은 위치에 도시한다. 치수선의
화살표를 치수 보조선 바깥쪽으로 기입한 경우에는 그 한쪽을 데이텀 삼각기호로 대신한다.
 축선 또는 중심 평면이 공통인 두 형체의 공통 축선 또는 중심 평면을 데이텀으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다)와 같이 공통 축선이나 중심 평면을 나타내는 중심선에 도시한다.

<그림 M3-3>

11-4. 기하공차의 적용
11-4-1. 원주 흔들림공차의 적용 예
그림 M4-1 은 캐스터의 축에 원통도공차와 원주 흔들림공차를 적용한 예이다. 캐스터의 바퀴와 억지
끼워맞춤하는 Ø22mm 원통 부분이 원주 흔들림공차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그림 M4-1 (나)는 (가)의 해석이다. 이해하기 쉽도록 공차 영역을 과장되게 그렸다. 캐스터의 축을
데이텀 축선(A-B)을 중심으로 1 회전시켰을 때 그 표면이 두 개의 동심원을 벗어날 정도로 흔들리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나)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두 동심원의 반지름의 차이(0.011)는 공차와 같고 이들
두 개의 동심원으로 만들어지는 도넛(donut)이 공차 영역이다. 두 동심원의 중심은 축의 중심과 같다.
원주 흔들림 공차는 축의 치수와 관계없이 적용된다.

86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M4-1>

11-4-2. 원통도공차의 적용 예
그림 M4-2 는 캐스터의 부시에 원통도공차와 원주 흔들림공차를 적용한 예이다. 원통도공차가 지시된
Ø16mm 구멍은 축과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조립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이며, 동시에 원주
흔들림공차의 데이텀(C)이다. 원통도공차는 데이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림 M4-2>

87 Technical Support Team


그림 M4-2 (나)는 (가)의 해석이다. 이해하기 쉽도록 공차 영역과 구멍의 표면을 과장되게 그렸다. 부시
구멍의 모든 표면이 두 동심원 사이에 들어갈 정도로 정밀한 원통이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나)에서 가상선으로 그려진 두 개의 동심원이 만드는 도넛이 공차 영역이며, 두 동심원의 반지름의
차이가 공차(0.009)와 같다. 두 동심원의 중심은 구멍의 중심과 같다.
원통도공차는 직진도 ‘ 진원도’ 평행도공차를 동시에 적용한 것과 같으며, 구멍의 치수와 관계없이
적용된다.
표 M4-1 은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기하공차의 공차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기어는 기하공차와 공차 영역이 KS 에 규정되어 있다.

적용하는 기하공차 정밀 보통 거침 데이텀


0.02/1000 0.05/1000 0.1/1000
직진도공차 0.01 0.05 0.1
Ø0.02 Ø0.05 Ø0.1
0.02/100 0.05/100 0.1/100
모 평면도공차
0.02 0.05 0.1 필요 없다

진원도공차 0.005 0.02 0.05
원통도공차 0.01 0.05 0.1
선의 윤곽도공차 0.05 0.1 0.2
면의 윤곽도공차 0.05 0.1 0.2
평행도공차 0.01 0.05 0.1
0.02/100 0.05/100 0.1/100

직각도공차 0.02 0.05 0.1

Ø0.02 Ø0.05 Ø0.05
경사도공차 0.025 0.05 0.1
0.02 0.05 0.1
위치도공차 필요하다
위 Ø0.02 Ø0.05 Ø0.1
치 동축도공차 0.01 0.02 0.05
대칭도공차 0.02 0.05 0.1

들 원주 온 흔들림공차 0.01 0.02 0.05

<표 M4-1>

11-4-3. 보통공차
KS B 0412(보통공차 제 1 부: 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길이 및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의
보통공차가 특별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 치수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치수공차인 것과
마찬가지로, KS B 0146(보통공차 제 2 부: 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형체에 대한 기하공차)의
보통공차도 특별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 기하학적 형체에 대하여 일괄 적용할 수 있는 표준
기하공차이다. 기하학적 보통공차를 적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 직진도와 평면도 보통공차는 표 M4-1 에 따른다. 직진도일 때에는 대상 선의 길이를 기준 길이로
하고, 평면도일 때에는 직사각형의 긴 변 또는 원의 지름을 기준 길이로 한다.

88 Technical Support Team


 진원도 보통공차는 지름의 치수공차와 동일한 값을 적용한다. 다만, 표 M4-4 의 값을 초과하면
안 된다.
 평행도 보통공차는 2 개의 형체 중 긴 쪽을 데이텀으로 하고, 치수공차나 표 M4-1 의 값 중 큰
것으로 한다.
 직각도 보통공차는 표 M4-2 에 따르고 긴 변을 데이텀으로 한다.
 대칭도 보통공차는 표 M4-3 에 따른다. 긴 쪽을 데이텀으로 한다.
 원주 흔들림 보통공차는 표 M4-4 에 따라 적용한다.
 원통도와 동축도 보통공차는 규정하지 않는다.
표 M4-1 은 직진도와 평면도 보통공차, 표 M4-2 는 직각도 보통공차, 표 M4-3 은 대칭도 보통공차, 표
M4-4 는 원주 흔들림 보통공차를 나타낸 것이다.

공차 등급 및 값(mm)
기준 길이(mm)
H K L
10 이하 0.02 0.05 0.1
10 초과 30 이하 0.05 0.1 0.2
30 초과 100 이하 0.1 0.2 0.4
100 초과 300 이하 0.2 0.4 0.8
300 초과 1000 이하 0.3 0.6 1.2
1000 초과 3000 이하 0.4 0.8 1.6
<표 M4-1>

공차 등급 및 값(mm)
짧은 변의 길이(mm)
H K L
100 이하 0.2 0.4 0.6
100 초과 300 이하 0.3 0.6 1.0
300 초과 1000 이하 0.4 0.8 1.5
1000 초과 3000 이하 0.5 1.0 2.0
<표 M4-2>

공차 등급 및 값(mm)
기준 길이(mm)
H K L
100 이하 0.5 0.6 0.6
100 초과 300 이하 0.5 0.6 1.0
300 초과 1000 이하 0.5 0.8 1.5
1000 초과 3000 이하 0.5 1.0 2.0
<표 M4-3>

공차 등급 H K L
값(mm) 0.1 0.2 0.5
<표 M4-4>

89 Technical Support Team


12. 기계재료
기계부품에는 철강재료, 비철금속재료 및 비금속재료 등 다양한 기계재료가 사용된다. 도면의 부품란(재
질)에는 각 부품의 기능에 적합한 기계재료가 표시되어야 한다. 기계재료를 표시할 때에는 주철, 탄소
공구강 등의 일반적인 재료명칭 대신 KS D 에 정해진 재료기호(material symbols)를 사용한다. 재료기호
를 사용하면 도면에 부품의 재료를 간단명료하게 표시할 수 있다.

12-1. 기계재료의 표시
기계재료(materials)는 그림 N1-1 과 같이 부품란의 재질 칸에 기계재료 기호로 표시한다.

<그림 N1-1>

<그림 N1-2>

90 Technical Support Team


KS D(금속부문)에 규정된 기계재료 기호는 그림 N1-2 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처음 부분: 재질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재질의 영어 표기 머리글자나 원소 기호를 사용한다.
 중간 부분: 규격, 제품명, 형상별 종류나 용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영어 표기의 머리글자를
사용한다.
 끝 부분: 재질의 종류 번호, 최저 인장 강도를 숫자나 알파벳으로 표시한다. 기계재료 기호 끝
부분에 제조 방법, 모양, 열처리 상황 등을 덧붙여 표시할 때도 있다.

12-2. 기계재료의 열처리


12-2-1. 강의 열처리
강은 가열(heating)과 냉각(cooling)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것을 열처리(heat treatment)라고 한다.
 풀림(annealing): 강을 연하게 하거나 전성 및 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약 550℃까지 가열한 후
가열 노(furnace) 내에서 천천히 식히는 열처리이다.
 불림(normalizing): 강을 표준상태로 하기 위한 열처리이며 조직을 균일하게 하고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다. 강을 약 550℃까지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시킨다.
 담금질(quenching): 강을 강하게 하거나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약 550℃까지 가열한 다음 물
또는 기름 등에 넣어서 급랭시키는 조작이다.
 뜨임(tempering):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담금질한 소재를 다시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열처리이다. 담금질한 강은 반드시 뜨임 한 다음에 사용해야 한다.
 강의 표면 경화(surface hardening): 표면만을 단단하게 하고 내부는 강인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는 열처리이다.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화염 경화법(flame hardening): 산소-아세틸렌가스 불꽃을 사용하여 강의 표면을 담금질
온도로 가열한 다음 급랭시켜 재료의 표면만을 담금질하는 방법이다.
 고주파 경화법(induction hardening):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의 표면만을 가열한
후 급랭시키는 방법으로, 기어 또는 복잡한 모양의 부품들을 부분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으며
주로 대량생산에 많이 쓰인다.
 침탄 담금질법(carbonizing): 제품의 표면에 탄소를 침투시켜 탄소량을 높이는 침탄 처리를 한
다음 담금질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이다. 침탄에는 목탄, 코크스(coke)를 사용한 고체
침탄법과 메탄가스 또는 프로판가스를 사용한 가스 침탄법이 있다.
 질화법(nitriding): 강을 암모니아 가스 중에서 고온으로 장시간 가열하면 질소와 철이 화합하여
표면이 매우 단단한 질화층이 생긴다.

12-2-2. 기계재료의 경도 시험
기계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에는 인장 시험(tensile test), 경도 시험(hardness test),
충격 시험(impact test) 등이 있으며, 경도 시험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91 Technical Support Team


 브리넬 경도(HB, Brinell hardness): 일정한 크기의 강구(steel ball)를 사용하여 일정한 하중으로
시험편을 눌러, 이 때 생긴 자국의 넓이로 하중을 나눈 값으로 경도를 나타낸다.
 비커스 경도(HV, Vicker's hardness): 브리넬 경도와 같은 원리이지만 강구 대신 다이아몬드
사각뿔을 사용하며, 매우 단단한 강 또는 정밀가공 부품, 얇은 판 등을 시험하는 데 사용된다.
 록웰 경도(HR, Rockwell hardness): 단단한 재료에는 다이아몬드 원뿔을, 연한 재료에는 강구를
사용한다. 일정한 하중으로 눌러 자국의 깊이로 경도를 구한다. 시험기의 계기에서 경도를 직접
읽을 수 있다. 측정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소재와 제품 등을 시험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 HRC 로
표시된 것은 록웰 경도 C 스케일(scale)이라는 뜻이다.
 쇼어 경도(HS, Shore hardness): 끝에 다이아몬드 구를 붙인 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그 튀어 오르는 높이에 따라 경도를 정하는 것이며 보통 여러 번의 평균값으로 정한다.

12-2-3. 열처리 표시 방법
도면에 기계재료의 열처리를 표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그림 N2-1>
 부품 전체에 열처리를 할 때에는 그림 N2-1 ④번 부품과 같이 부품 번호 아래에 표시한다.
 부품의 표면 일부분에 열처리를 할 때에는 ②번 부품과 같이 열처리할 부분을 굵은 1 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주(note)란에 열처리 방법을 기입한다.

12-3. 주요 부품용 기계재료


기계재료는 크게 금속 재료와 비금속 재료로 분류한다.
 금속 재료(metals)
 철금속 재료(ferrous metals)

92 Technical Support Team


 비철금속 재료(nonferrous metals): 구리와 구리 합금,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과
마그네슘 합금, 베어링 합금
 비금속 재료(nonmetals): 합성수지, 다이아몬드, 내화 재료, 보온 재료, 윤활 재료, 절삭재, 목재
시멘트, 도료

철금속 재료는 탄소 함유량에 따라 순철, 강, 주철 세 가지로 분류한다.


 순철(pure iron): 탄소 함유량이 0.02% 이하이며 변압기의 철심 등과 같은 자성체로 쓰인다.
 강(steel): 탄소 함유량이 2.11% 이하이며 주로 기계의 주요 부품 재료로 사용된다.
 주철(cast iron): 탄소 함유량이 2.11% 이상이며 기계의 몸체 주조용으로 많이 쓰인다.

강는 다시 탄소강과 합금강으로 분류된다.


 탄소강(carbon steel): 철, 탄소 외에 약간의 규소, 망간, 인, 황 등의 원소가 함유된 강이다.
 합금강(alloy steel): 탄소강에 니켈, 크롬, 망간, 규소, 몰리브덴, 텅스텐, 바나듐 등의 원소를 1 종
이상 첨가시켜 특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기계 구조용, 공구용, 내식·내열용,
특수용 합금강이 있다. 특히 주조에 쓰이는 강을 주강(cast steel)이라 하고 그 제품을
주강품(steel castings)이라 한다.

주철은 파단면의 색깔에 따라 백주철(white cast iron), 회주철(grey cast iron), 반주철(mottled cast
iron)로 나누며, 구성 성분에 따라 보통 주철, 고급 주철, 합금 주철로 분류된다.
주철은 강보다 용융점이 낮아서 모양이 복잡한 형상이더라도 주조하기가 쉽고, 또 값이 싸므로 일반
기계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취성(brittleness)이 있고 단련이 안 되는 것이 결점이다.
 보통 주철(common grade cast iron): 대표적인 회주철이다. 강도나 불순물의 양을 엄밀하게
제한하지 않는 주철을 말하는데, 기계 가공성이 좋고 값이 싼 것이 특징이다.
 고급 주철(high grade cast iron): 인장 강도를 크게 한 주철이다. 특히 회주철의 재질을 개선한
미하나이트 주철(meehanite cast iron)은 브레이크 실린더, 기어 등의 기계 부품에 사용한다.
 합금 주철(alloy cast iron): 주철의 여러 가지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정한 합금 원소를 넣은
주철이다.

주철은 이 외에도 가단주철(malleable cast iron), 구상 흑연 주철(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칠드


주철(chilled cast iron) 등 많은 종류가 있다.

표 N3-1 은 일반 기계의 주요 부품용 기계재료를 나타낸 것이다

주요 부품 사용 조건 기계재료
몸체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 GC200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 GC300
압력, 온도 조건이 가혹한 경우 GCD, SC, SF

93 Technical Support Team


내식성이 요구될 때 STS304, 회주철품
작은 축 SM45C

큰 축 SC60, SCM445, SMn3
구름베어링, 롤러베어링 STB2, STB3
차량용, 압연기용, 충격하중이 있을 때 SNCM220, SNCM420
베어링
내식용 STS420J2, STS440C
제트엔진 등의 고온용 SKH51
SCr440, SCM440, SNCM630
강력 기어
SCr420, SCM420, SNCM616
SM45C(담금질 후 템퍼링, 고주파
기어 중력 기어
담금질)
LMnSC2, MnCrSC2
대형 기어
GC250, GC300, GCD45
지그, 게이지 치수정밀도, 내마모성이 필요할 때 STS3, STS31, STD11, STD2
강도가 문제되지 않는 곳 주철품
캠 강도나 내마모성이 필요한 경우 강재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할 때 침탄 담금질, 고주파 담금질 후 러핑
<표 N3-1>

12-4. 로크웰 경도 스케일과 표기방법(KS B 0806)


로크웰 경도는 인덴터(indenter)의 종류와 시험 하중에 따라 표 N3-1-1 에서 보는 것처럼 여러 가
지 스케일(scale)이 있다. 기준 하중이 10Kgf 일 때(스케일 A~K)를 로크웰 경도라 하고, 기준 하중
이 3Kgf 일 때(스케일 15N~45T)를 로크웰 표층(superficial) 경도라 한다. 로크웰 표층 경도는 매우
얇은 재료의 경도를 시험할 때 사용한다. 구(ball) 인덴터의 경우 구의 지름이 두 가지(1.5875mm,
3.175mm)이며 구의 재료도 강(steel)과 초경합금(cemented carbide) 두 가지가 있다.

기준 하중 부가 하중 전체 하중
스케일 기호 인덴터 형태 적용 범위
(Kgf) (Kgf) (Kgf)
A HRA 다이아몬드 원뿔 50 60 20HRA~88HRA
B HRB Ø1.5875mm 구 90 100 20HRB~100HRB
C HRC 다이아몬드 원뿔 140 150 20HRC~70HRC
D HRD 다이아몬드 원뿔 90 100 40HRD~77HRD
E HRE Ø3.175mm 구 10 90 100 70HRE~100HRE
F HRF Ø1.5875mm 구 50 60 60HRF~100HRF
G HRG Ø1.5875mm 구 140 150 30HRG~94HRG
H HRH Ø3.175mm 구 50 60 80HRH~100HRH
K HRK Ø3.175mm 구 140 150 40HRK~100HRK
15N HR15N 다이아몬드 원뿔 12 15 70HR15N~94HR15N
30N HR30N 다이아몬드 원뿔 27 30 42HR30N~86HR30N
45N HR45N 다이아몬드 원뿔 42 45 20HR45N~77HR45N
3
15T HR15T Ø1.5875mm 구 12 15 67HR15T~93HR15T
30T HR30T Ø1.5875mm 구 27 30 29HR30T~82HR30T
45T HR45T Ø1.5875mm 구 42 45 10HR45T~72HR45T
<표 N3-1-1>

가장 최근(2000 년)에 개정된 KS B 0806(금속 재료의 로크웰 경도 시험 방법)에 따르면 로크웰 경

94 Technical Support Team


도를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로크웰 경도 A, C, D 스케일은 경도, HR, 스케일을 나타내는 문자 순으로 표기한다.(예: 59
HRC)
 로크웰 경도 B, E, F, G, H, K 스케일은 경도, HR, 스케일을 나타내는 문자, 인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강 구=S, 초경합금 구=W) 순으로 표기한다.(예: 60 HRBW)
 로크웰 표층 경도 N 스케일은 경도, HR, 전체 하중, N 순으로 표기한다.(예: 70 HR30N)
 로크웰 표층 경도 T 스케일은 경도, HR, 전체 하중, T, 인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강 구
=S, 초경합금 구=W) 순으로 표기한다.(예: 40 HR30TS)

로크웰 경도 스케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재료의 경도시험에 적용된다.


 HRA: 초경합금, 얇은 강판(thin steel), 셀로우 표면경화강(shallow case hardened steel)
 HRB: 구리합금(copper alloy), 연강(soft steel), 알루미늄합금, 가단주철(malleable iron) 등등
 HRC: 강, 경질 주철(hard cast iron), 표면경화강, 100 HRB 보다 더 단단한 재료
 HRD: 얇은 강판, 미디엄(medium) 표면경화강, 펄라이트 가단주철(pearlitic malleable iron)
 HRE: 주철(cast iron), 알루미늄, 마그네슘합금(magnesium alloy), 베어링합금(bearing metal)
 HRF: 연-동합금(annealed copper alloy), 얇고 무른 박판 금속(thin soft sheet metal)
 HRG: 인청동(phosphor bronze), 베릴륨 동(beryllium copper), 가단주철
 HRH: 알루미늄(aluminium), 아연(zinc), 납(lead)
 HRK: 무른 베어링합금(soft bearing metal), 플라스틱(plastic), 그 외에 매우 무른 재료들

95 Technical Support Team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