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1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공항설계 현황조사


공항설계 현황조사, 설계기준
공항설계 설계기준 수립 수립 및 시설규모 산정
터널설계
공항설계 수요 예측 및
시설규모 결정
교량설계 공항설계 수요 예측 및
공항설계 경제성 분석 경제성 분석
항만설계
공항설계 입지 분석 공항설계 입지 분석

상하수도설계 공항설계 평면 배치 공항설계 평면 배치

하천(댐)설계 공항설계 토공, 배수, 구조설계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 공항설계 포장설계


지반설계
공항설계 부대시설설계
단지설계
공항설계 계산서 작성
철도설계
공항설계 도면 작성
토목건설사업 공항설계 도면, 계산서,
관리 보고서 작성 및 사업비 산정
공항설계 보고서 작성

공항설계 사업비 산정

공항설계 시방서 작성 공항설계 시방서 작성

공항설계 유지관리계획 수립
공항설계 유지관리계획 및
인·허가 서류 작성
공항설계 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공항 부대시설 설계하기

1-1. 보안시설 설계 3

1-2. 마킹시설 설계 17

1-3. 상수, 오수관로 설계 53

1-4. 기타 부대시설 설계 61

• 교수・학습 방법 82

• 평가 83

참고 자료 86

부 록 87
공항설계 부대시설설계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결정된 시설규모 및 평면 배치에 따라 자재 및 공법을 결정하고 공항 부대시설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선수학습

공항설계 도면, 계산서, 보고서 작성 및 사업비 산정(LM1402010209_14v2), 공항설계 유지관리계


획 및 인허가서류 작성(LM1402010213_14v2), 공항설계 현황조사(LM1402010201_14v2), 설계기준
수립 및 시설규모 산정(LM1402010202_14v2), 공항설계 평면배치(LM1402010206_14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보안시설 설계

1-2. 마킹시설 설계
1. 공항 부대시설 공항 부대시설
1402010207_14v2.5
설계하기 설계하기
1-3. 상수, 오수관로 설계

1-4. 기타 부대시설 설계

핵심 용어

보안, 표지시설, 운영등급, 상오수량, 항공기등급, 비행장분류, 공항운영형태, 항행안전시설

1
공항 부대시설 설계하기
학습 1
(LM1402010207_14v2.5)

1-1. 보안시설 설계

• 보안기준 및 각 제한구역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경비 보안시설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확장성 및 연계성을 고려하여 공항의 기능에 적합하고 미관상 양호한 보안시설을 설
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국내 법규 및 기준

1. 항공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1) 항공법 제85조 금지행위

① 누구든지 활주로, 유도로(誘導路), 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비행장의 중


요한 시설 또는 항행안전시설을 파손하거나 이들의 기능을 해칠 우려가 있는 행
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3.3.23.>

② 누구든지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를 향하여 물건을 던지거나


그 밖에 항행에 위험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4.1.14.>

③ 누구든지 특별한 사유 없이 착륙대, 유도로, 계류장(繫留場), 격납고(格納庫) 또는


항행안전시설이 설치된 지역에 출입하여서는 아니 된다. [전문개정 2009.6.9.]

(2) 항공법 시행규칙 제243조 비행장시설의 관리기준 등

① 법 제80조 제1항에 따른 비행장의 시설관리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0.6.23., 2012.1.18., 2013.3.23.>
1. 비행장을 제222조의 설치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할 것
2. 비행장 시설의 기능 유지를 위하여 점검·청소 등을 할 것
3. 개수나 그 밖의 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표지의 설치 또는 그 밖의 적절
한 조치를 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방해하지 아니하게 할 것
4. 법 제85조 및「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 법률」 제21조 제1항에 따른 금지행위
에 관한 홍보안내문을 일반인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할 것

3
5. 법 제85조 제3항에 따라 출입이 금지되는 지역에 경계를 분명하게 하는 표지 등
을 설치하여 해당 구역에 사람·차량 등이 임의로 출입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항공법 시행규칙 제257조 금지행위 등

① 법 제85조 제1항에 따른 비행장의 중요한 시설은 착륙대, 에이프런, 격납고, 비


행장 표지시설 및 급유시설로 한다.

② 법 제76조 제1항에 따라 고시된 항행안전시설과 설치·운용 중인 항행안전시설


의 기능 유지 및 그 운영에 지장이 있다고 인정되는 구역에는 구조물이나 장애
물을 설치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지방항공청장 또는 항공교통센터장과 협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법 제85조 제2항에 따른 항공의 위험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행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3.3.23.>
1. 착륙대·유도로 또는 에이프런에 금속편·직물 또는 그 밖의 물건을 방치하는
행위
2. 착륙대·유도로·에이프런·격납고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비행장설치자가 별
지 제86호 서식의 표지에 의하여 화기 사용을 금지한 장소에서 함부로 화기를
사용하는 행위
3. 운항 중인 항공기에 장애가 되는 방식으로 항공기나 차량 등을 운행하는 행위
4. 레이저광선의 방사

④ 국토교통부장관은 제3항 제4호에 따른 레이저광선의 방사로부터 항공기의 안전


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보호공역을 비행장 주위에 설정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1. 레이저광선 제한공역
2. 레이저광선 위험공역
3. 레이저광선 민감공역

⑤ 제4항에 따른 보호공역의 설정기준 및 레이저광선의 허용 출력한계는 별표 48과


같다.

⑥ 제4항에 따른 보호공역에 레이저광선을 방사하려는 자는 관할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7.15.> [전문개정 2009.9.10.]

2. 항공보안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1) 항공보안법 제1조 목적


제1조(목적)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등 국제협약에 따라 공항시설, 항행안전시설
및 항공기 내에서의 불법행위를 방지하고 민간항공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절차
및 의무사항 등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3.4.5.> [전문개정 2010.3.22.]

4
(2) 항공보안법 제11조 공항시설 등의 보안

① 공항운영자는 공항시설과 항행안전시설에 대하여 보안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3.4.5.>

② 공항운영자는 보안검색이 완료된 승객과 완료되지 못한 승객 간의 접촉을 방지


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③ 공항운영자는 보안검색을 거부하거나 무기·폭발물 또는 그 밖에 항공보안에 위


협이 되는 물건을 휴대한 승객 등이 보안검색이 완료된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신설 2013.4.5.>

④ 공항을 건설하거나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에 불법방해행위로부터 사람 및 시설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세부 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3.3.23., 2013.4.5.> [전문개정 2010.3.22.] [제목개정 2013.4.5.]

3. 통합방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1) 통합방위법 제2조 정의


13. “국가중요시설”이란 공공기관, 공항·항만, 주요 산업시설 등 적에 의하여 점령
또는 파괴되거나 기능이 마비될 경우 국가안보와 국민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
는 시설을 말한다. [시행 2014.11.19.] [법률 제12844호, 2014.11.19., 타법개정]
[전문개정 2009.5.21.]

(2) 통합방위법 제21조(국가중요시설의 경비·보안 및 방호)

① 국가중요시설의 관리자(소유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는 경비·보안 및 방호책


임을 지며, 통합방위사태에 대비하여 자체방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 경우
국가중요시설의 관리자는 자체방호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지방경찰청
장 또는 지역군사령관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② 지방경찰청장 또는 지역군사령관은 통합방위사태에 대비하여 국가중요시설에 대


한 방호지원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③ 국가중요시설의 평시 경비·보안활동에 대한 지도·감독은 관계 행정기관의 장


과 국가정보원장이 수행한다.

④ 국가중요시설은 국방부장관이 관계 행정기관의 장 및 국가정보원장과 협의하여


지정한다.

⑤ 국가중요시설의 자체방호, 방호지원계획,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5.21.] [제15조의2에서 이동 <2009.5.21.>]

(3) 국방부훈령 제1057호 국가중요시설 지정 및 방호 훈령(2009. 5. 25.)

제7조(국가중요시설의 분류기준)

5
⑦ 공항은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한다.
1. 국제공항은 “가”급으로 한다.
2. 국제공항을 제외한 주요 국내공항은 “나”급으로 한다.

4. 설계기준 및 설계지침

(1) 공항종합계획 매뉴얼


국토교통부 예규 제56호(2009.6.3.) 공항종합계획 매뉴얼 제13장 보안 고려사항

 해외 기준

1.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기준
ICAO Security Manual for Safeguarding Civil Aviation Against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Doc 8973)

2.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기준
FAA AC 107-1 Aviation Security-Airports

 항공보안의 개념

1. 항공보안의 개념

(1) 항공보안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정보는 ICAO Security Manual for Safeguarding Civil
Aviation Against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Doc 8973)에 포함되어 있다. 항공보안
은 공항과 항공기를 이용하는 여객, 항공기 및 공항의 안전을 위하여 엄격하게 계
획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2) 각 공항은 항공보안과 관련하여 자체 보안계획을 수립하고 절차서를 유지 관리하여


야 한다. 이러한 보안계획은 효율적인 적용을 위하여 공항개발 계획 및 설계단계에
서부터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한다. 공항건설 단계에서는 공항시설에 보안개념을 적
용한 시설보안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항운영 단계에서는 보안절차서에 따라 관리되
어야 한다.

(3) 효율적인 항공보안을 위하여 에어사이드 지역, 구내도로, 외곽울타리, 주기장 등 시


설보안에 대하여 공항계획 시 적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설보안은 공항운영 시 본
연의 목적인 여객 및 화물처리에 간섭 및 지연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시
설보안 계획은 향후 공항 확장 시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계획단계에서
부터 검토되어야 한다.

(4) 항공보안은 공항의 중단 없는 운영을 위하여 에어사이드 지역만이 아니라 급수시


설, 전력공급 및 통신시설, 유류저장시설, 항행안전시설, 항공교통관제시설 등 공항
운영에 필수적인 시설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6
수행 내용 / 보안시설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국내 항공법 및 항공보안법, 통합방위법, 관련 설계기준

Ÿ 해외(ICAO, FAA 등) 설계기준

Ÿ 도로설계편람(국토교통부), 도로설계요령(한국도로공사) 및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Ÿ 유사 프로젝트 설계도서 및 참고자료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설계용 S/W

Ÿ 문서작성용 S/W 등

안전·유의 사항

Ÿ 공항 보안시설 설계는 공항시설, 항공기 및 항공여객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계획하고


설계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에어사이드지역 보안시설 설계하기

1. 항공기 운영지역(에어사이드)의 보안시설 설계하기


에어사이드 지역의 보안설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한다.

(1) 공항지역을, 항공기를 운영하는 에어사이드 지역과 여객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


는 랜드사이드 지역으로 구분한다. 항공기 및 여객의 안전을 위하여 에어사이드 지
역의 보안은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여객이 에어사이드 지역으로 접
근하기 위해서는 출입국관리, 세관 및 검역(CIQ)으로 대변되는 검색단계를 순차적으
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는 여객이 출국하든지 입국하든지 동일하게 적용된다.

(2) 항공기가 이동하는 에어사이드 지역은 활주로, 유도로 및 계류장으로 구성되며 랜


드사이드 지역과 물리적으로 엄격히 분리하여야 한다. 에어사이드 지역과 랜드사이
드 지역의 경계에는 CIQ 보안검색 구역을 설치하여 여객을 분리하며 검색을 거치지

7
않고서는 양 지역을 통과할 수 없도록 시설계획을 수립한다.

(3) 활주로나 유도로가 일반도로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두 시설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


리할 수 있도록 교량구조물에 보안울타리 시설 및 폭발물 투척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며, 민간인이 교량구조물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시설을 설
치한다.

(4) 이착륙하는 항공기의 안전을 위하여 활주로 단부로부터 이착륙지역의 하부에 해당


하는 지역을 공항설계기준에 적합하도록 “활주로단부 안전지역” 등을 지정함으로
써 안전을 제고한다.

[그림 1-1] 항공기 운영지역(에어사이드) 및 랜드사이드 지역의 구분

2. 구내도로의 보안시설 설계하기


에어사이드 지역과 랜드사이드 지역의 구내도로는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1) 에어사이드 지역에 설치된 구내도로는 공항 종사원이 독점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일반인은 접근할 수 없도록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에어사이드 지역과 랜드사이드
지역의 공항 구내도로를 연결하는 경계지역에는 보안검색을 위한 초소, 차단시설을
계획 설계한다.

(2) 공항시설 중에서 랜드사이드 지역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 시설(화물터미널, 기내식


시설, 항공기 정비시설 등)은 에어사이드 지역과 랜드사이드 지역의 경계에 설치하
여 양쪽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하되 시설 내부에 엄격한 보안구역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3) 공항 외곽울타리와 에어사이드 지역 사이에는 유지보수와 순찰을 위한 외곽도로를


설치한다.

8
[그림 1-2] 공항 구내도로 체계

3. 외곽 울타리의 보안설계하기
공항 외곽울타리 등의 보안시설은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1) 민간인을 비롯한 비인가자가 에어사이드로 접근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해서 물리적


인 장벽을 설치한다. 물리적인 장벽은 영구적인 시설물로 설계하며 일반적으로 울
타리를 설치한다. 울타리 설치가 공항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계획한다.

(2) 공항의 외곽울타리는 국가중요시설 분류기준에 적합하도록 이중 울타리로 계획한


다. 물리적인 이중울타리는 대개 내부에 능형망울타리를 설치하고 외부에 시야를
차단할 수 있도록 블록울타리를 설치한다. 내외부 울타리 사이에는 점검도로를 설
치한다(그림 1-2 참조). 보안 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블록울타리에 과학화울타리를
추가하거나 전자기식 장력센서를 설치한다(그림 1-3 참조).

(3) 외곽울타리의 적당한 지점에 보안감시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하여 감시초소를


설치한다. 감시초소의 위치는 좌우측으로 울타리를 적절히 감시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한다. 무인감시를 위하여 감시초소 대신에 CCTV 장비로 대체하기도 한다. 야간
에 울타리 주변의 효율적인 감시를 위하여 조명시설을 설치한다. 조명시설의 간격
및 위치는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4) 울타리를 통하여 에어사이드와 랜드사이드를 출입하는 차량 및 인원을 통제하기 위


하여 경비초소 또는 게이트를 설치한다. 게이트 수는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유지하
고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시설 또는 장치를 설치한다.

9
(5) 게이트(경비초소)에는 경비인력이 상주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시설을 갖추도
록하며 터미널 내에서와 마찬가지로 엄격한 보안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장비를 설치한다. 필요시 초소와 공항보안 사무실과의 긴밀한 연락을 위하여 적절
한 통신시설을 갖추도록 하며 비상사태를 대비한 알람시설을 설치한다. 차량 통행
을 저지할 수 있는 물리적 차단시설을 설치한다.

(6) 보안울타리는 침투방지를 위하여 울타리 하부에 차단봉을 설치하며 에어사이드와


랜드사이드를 관통하는 배수암거, 지하 덕트 및 기타 구조물에는 내외부를 차단할
수 있는 시설(침투방지망 등)을 계획한다.

[그림 1-12] 외곽 울타리(2중울타리, 장력센서 탐지장비)

4. 격리 주기장의 보안설계하기
공항의 격리주기장은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1) 격리주기장은 항공기가 피랍되어 격리할 필요성이 있거나 항공기 내부에 폭발물이
나 발화물질이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에 다른 항공기나 건물 등으로부터 이격
하여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계획 설치되는 시설이다.

(2) 격리주기장은 다른 항공기나 타 시설로부터 가능한 한 최대한(100미터 이상) 떨어


지도록 위치를 선정한다. 위치 선정 시에는 활주로 및 유도로로부터 이격되도록 하
며 의심되는 항공기가 활주로나 유도로에 인접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을 다른 항
공기가 이용할 수 없도록 폐쇄 조치하는 프로그램을 수립한다. 격리주기장의 주변
이나 하부에는 급유, 급수, 통신 및 전력 등의 시설이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10
[그림 1-4] 공항 격리주기장 배치계획

(3) 격리주기장에는 피립항공기를 감시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한다. 불법 방


해 행위를 당한 항공기로부터 제거된 수하물, 화물, 우편물과 기내저장품(기내식,
면세품 등)의 검색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고 악천후에 대비하여 대피시설의 제공도
고려한다.

5. 원격 계류장의 보안설계하기
공항의 원격계류장 배치계획 수립 및 위치선정, 기하구조 설계는 다음과 같다.

(1) 원격계류장은 여러 가지 용도로 계획한다. 기본적으로는 터미널에 인접한 콘택트


게이트를 설치할 수 없거나 소규모 공항의 경우에 여객의 승하기를 위한 주기스탠
드 역할을 하도록 위치를 선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륙 직전이나 착륙 직후에
추가적인 보안검색을 하기 위하여 항공기를 독립적으로 주기해야 하는 경우를 위하
여 위치를 선정한다.

(2) 원격계류장의 위치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이나 외곽울타리로부터 항공기가 충


분히 이격될 수 있도록 하고 주변의 유도로, 유도선 및 서비스도로는 공항카테고리
에 적합한 기하구조를 적용하여 계획한다.

11
6. 경항공기 계류장의 보안설계하기

(1) 경항공기 계류장은 상업용 운송항공기 계류장에서 떨어진 독립된 곳에 배치를 계획


한다. 경항공기는 개인적인 여객수송 및 화물운송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업용 운
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어사이드와 랜드사이드 경계지점에서 엄격한 보안검색이
이루어지도록 시설계획을 수립한다.

(2) 경항공기 계류장으로 진출입하는 유도로는 상업용 항공의 지상이동 및 주기와 명확


히 분리되도록 노선을 계획한다.

[그림 1-5] 경항공기 계류장 배치계획

7. 폭발물 처리지역의 보안설계하기


공항이나 항공기에서 발견된 의심스런 물품을 처리하기 위한 지역으로 설계한다. 폭발물
처리지역은 독립된 지역에 위치하여야 하며 폭발물처리 전문가가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한다. 격리주기장과 마찬가지로 대피소, 벙커 등의 시설을 설치한다. 또
한 폭발물처리 인력 및 장비를 위한 차량의 진출입이 원활하도록 계획한다.

 랜드사이드지역 보안시설 설계하기

1. 여객터미널 내의 보안시설 설계하기


여객터미널의 보안시설은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1) 여객터미널 내의 보안설계에서 최우선적으로 수행할 시항은 비인가자가 랜드사이드


로부터 에어사이드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시설, 인력 및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제계
획을 수립한다.

12
(2) 여객터미널의 보안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내 에어사이드와 랜드사이드의
경계지점에서 한 번에 집중적으로 보안검색을 시행할 것인지 또는 터미널 입구와
탑승게이트 직전에 보안검색을 2회 이상 분산하여 시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두
가지 방안이 각각 장·단점이 있으나 전자는 전체 소요면적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
요되지만 고도의 정밀한 검색장비가 소요된다. 후자는 수찰예의 검색을 통하여 통
제의 효율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소요된다.

(3) 집중된 보안검색 방안의 설계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여객터미널로의 진출입은 모든 여객, 환송인 및 수하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시설을 계획한다. 터미널 입구에 별도의 대기열을 위한 공간은 필요치 않다.

② 체크인카운터를 위한 공간은 터미널의 현태 및 운영전략에 의거하여 아일랜드식


또는 리니어식으로 계획한다. 이 공간에는 모바일을 이용한 사전 탑승수속 여객
을 위한 무인 탑승권 발매기(키오스크) 및 무인 백드롭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공
간을 확보한다. 위탁화물의 보안검색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및 검색장비를 별
도로 설치한다.

③ 탑승수속을 마친 여객이 집중적으로 보안검색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을 계획한다.


이 지역에는 세관, 출입국관리, 검역(CIQ)을 위한 시설을 동시에 계획하며 여객
및 수하물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장비와 인력을 배치하도록 계획한다. 효율
적으로 보안검색을 할 수 있도록 X-Ray, 금속탐지기, 컨베이어 등 검색장비를
배치하고 보안검색 인력이 적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시설계획을 수립한다.

④ 집중식 보안검색 지역을 통과한 여객은 항공기 탑승 시까지 자유롭게 에어사이


드 지역을 이동한다.

(4) 분산된 보안검색 방안의 설계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여객이 여객터미널로 진입할 때 1차 보안검색을 시행할 수 있도록 터미널 입구를


설계한다. 입구를 제한적으로 배치하고 수하물의 보안검색을 위한 검색장비를 설
치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대개는 입구에서 항공권을 확인하여 미소지자의 출입을
통제한다. 터미널 입구의 외부에는 대기열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계획한다.

② 체크인카운터를 위한 공간의 설계는 집중식 보안검색의 경우와 동일하게 계획한다.

③ 탑승수속을 마친 여객이 CIQ 지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당 시설을 설치한다. 이


때 별도의 보안검색은 시행되지 않는다. CIQ를 통과한 여객은 에어사이드 지역을
자류롭게 이동할 수 있다.

④ 여객이 탑승하기 직전에 탑승로비를 별도로 설치하고 입구에서 추가의 보안검색


을 시행할 수 있도록 시설을 계획한다. 대개 이 단계에서 여객과 수하물의 검색
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장비와 인력을 배치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보

13
안검색을 마친 여객은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검색 전의 여객과 접촉할 수 없도록
철저하게 분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필요한 시설을 설치한다.

(5) 집중식이든 분산식이든지 보안검색을 거친 여객은 비인가자나 보안검색이 미비한


여객과 철저하게 물리적으로 분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필요한 시설의 설치를
계획한다.

[그림 1-15] 여객터미널 보안검색 - 여객 체크인 및 수하물 투입

2. VIP 라운지의 보안설계하기

(1) VIP 라운지는 일반 여객터미널 내에 분리된 공간을 계획하거나 완전히 독립된 별도


의 건물을 계획한다. VIP 라운지를 이용하는 모든 여객도 일반 여객과 동일하게 보
안검색 단계를 거치도록 시설을 계획한다.

(2) VIP 라운지의 보안설계는 일반적인 공항보안 외에도 VIP 자체의 보안을 위하여 외
부와 적절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도록 하며 필요시 VIP의 경호를 위한 시설도
계획한다.

3. 방문객 이용 전망대 시설의 보안설계하기


공항 내에 일반인이 공항전망이나 계류장을 조망할 수 있도록 전망대를 설치할 수 있다.
전망대에서 에어사이드 지역 내의 여객에게 물건을 전달하거나 항공기에 폭발물을 투척할
수 없도록 거리를 충분히 이격하거나 적절한 차폐시설을 설치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전망
대의 출입시설에 보안검색 장비를 설치한다.

4. 공항 비상운영/보안서비스 센터의 보안설계하기


공항운영 시에 통합된 보안서비스와 비상운영체계를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보안센터
를 설치하는 것이 권고된다. 이러한 보안센터는 여객터미널이나 인근에 배치하여 효율적

14
인 보안관리가 유지되도록 계획한다. 보안센터의 진출입은 적절한 시스템을 통하여 통제
되도록 계획한다.

5. 수하물 처리시설의 보안설계하기

(1) 휴대수하물이나 위탁수하물은 적절한 보안검색이 시행되도록 절차를 수립한다. 휴


대수하물은 여객의 보안검색과 동시에 동일한 장소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장비
와 검색인력의 배치를 계획한다. 위탁수하물은 여객의 탑승수속 직후에 위탁된 수
하물을 별도로 집하하여 검색장비를 통과할 수 있도록 시설을 계획한다. 필요시에
는 입국항공기의 위탁수하물에 대해서도 검색이 시행되도록 시설계획을 수립한다.
위탁수하물이 검색장비에서 위험물질이 의심되는 경우에 직접 수하물 검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설치한다.

(2) 위탁수하물을 체크인 카운터에서 차집하거나 입국 시 수하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랜드사이드 지역과 에어사이드 지역을 연결하는 지점에 설치한다. 이때
컨베이어를 통해 비인가자가 에어사이드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통제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설을 설치한다.

(3) 많은 수하물을 휴대하는 여객의 편의를 위하여 공항 외부 또는 커브사이드에 수하


물 체크인 시설의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이들 지역은 랜드사이드 지역이므로 체크
인 처리된 수하물이 에어사이드 지역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철저한 보안검색이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시설을 설치하며 터미널의 평면계획에 반영한다.

[그림 1-16] BHS(수하물 처리시스템) 보안

15
6. 미싱 수하물 저장시설의 보안설계하기
분실되었거나 잘못 처리된 수하물을 일시 저장하는 시설을 설치하며, 이러한 수하물도 반
드시 보안검색을 통과하도록 처리절차를 계획한다.

7. 도착/출발여객의 물리적 분리를 통한 보안설계하기


원칙적으로 터미널 내에서 도착여객과 출발여객은 동선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호
접촉을 방지하고 물품을 전달할 수 없도록 물리적인 통제시설을 설치한다. 그러나 최근
여객처리의 효율성을 위하여 도착/출발 여객을 동일한 층에서 처리하도록 터미널 내부 공
간설계를 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출발여객이 탑승 직전에 별도의 보안검색을 시행하
도록 시설계획을 수립한다.

8. 화물처리시설의 보안설계하기
화물처리시설은 대개 여객과 별도로 독립적인 공간으로 계획한다. 화물처리시설에도 여객
과 마찬가지로 에어사이드 지역과 랜드사이드 지역으로 구분하며 여객과 동일한 보안검색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16
1-2. 마킹시설 설계

• 공항 에어사이드(airside) 지역의 표시(marking)와 관련하여 국내 비행장 설치기준과


ICAO 및 FAA 등의 국제기준을 검토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비행장의 운영등급과 공항 운영자의 의견을 고려하여 항공기의 안전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표시계획(marking plan)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국내 법규 및 기준

1. 항공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1) 항공법 제75조 비행장 및 항행안전시설의 설치

① 국토교통부장관은 비행장 또는 항행안전시설을 설치한다. <개정 2010.3.22., 2013.3.23.>

② 국토교통부장관 외에 비행장 또는 항행안전시설을 설치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


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국토
교통부장관은 허가할 때 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조건을 붙일 수 있다. <개정
2013.3.23.>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비행장 및 항행안전시설의 설치기준 등 그 설치에 필요


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6.9.]

(2) 항공법 시행령 제16조 비행장의 설치기준

① 법 제75조 제2항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치하는 비행장은 제9


조의3 각 호의 비행장과 같다. <개정 2013.3.23.>

② 법 제75조 제3항에 따른 비행장의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7.24.,


2013.3.23.>
1. 비행장 주변에 항공기의 이륙·착륙에 지장을 주는 장애물이 없을 것. 다만,
해당 비행장의 공사 완료 예정일까지 그 장애물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비행장의 체공선회권(滯空旋回圈: 비행장에 착륙하려는 항공기의 체공선회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비행장 상공의 정해진 공역을 말한다. 이하 같
다.)이 인접한 비행장의 체공선회권과 중복되지 아니할 것
3. 비행장의 활주로·착륙대·유도로의 길이 및 폭과 각 표면의 경사도 및 비행
장 표지시설 등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17
③ 제9조의3 제1호에 따른 육상비행장의 설치기준은 별표 1에 규정된 해당 육상비
행장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최소이륙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진 분류번호
와 해당 육상비행장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주(主) 날개 폭 및 주륜(主輪)
외곽의 폭을 고려하여 정해진 분류문자의 조합에 따라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다. <개정 2013.3.23.> [전문개정 2009.9.9.]

(3) 항공법 시행규칙 제222조 비행장의 설치기준


영 제16조 제2항 제3호 및 제3항에 따른 활주로·착륙대·유도로 등의 설치기준은 다
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1.18., 2012.7.27., 2013.3.23.>

1. 육상비행장에는 별표 1·별표 35 및 별표 36의 설치기준에 적합한 활주로·착륙


대와 유도로를 갖출 것. 다만,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지
장이 없다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육상헬기장·옥상헬기장·선상헬기장·해상구조물헬기장에는 별표 2의 규격에 적
합한 활주로·착륙대·유도로(설치하는 경우만 해당한다)를 갖출 것. 다만, 지형조
건 등을 고려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지장이 없다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
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육상비행장과 육상헬기장에 설치하는 활주로·유도로 및 에이프런(격납고의 광장


을 말한다. 이하 같다.)은 항공기의 운항에 충분히 견뎌 낼 수 있는 강도일 것

4. 육상비행장과 육상헬기장의 활주로 및 유도로는 항공기의 항행안전을 위하여 국


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상호 간 거리와 접속점에서의 각도 및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

5. 육상비행장에는 활주로와 유도로의 양측과 에이프런의 가장자리에 국토교통부장


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폭·강도 및 표면을 가진 갓길(Shoulder)을 설치할 것

6. 육상헬기장과 수상헬기장에는 해당 헬기장 출발경로·진입경로·장주비행경로에


서 비행 중인 회전익항공기의 동력장치만이 정지된 경우에 지상 또는 수상의 사
람 또는 물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아니하고 착륙할 장소가 있을 것

7. 건축물 또는 구조물 위에 설치하는 옥상헬기장에는 제2호부터 제6호까지의 기준


외에 다음 각 목의 시설 또는 설비를 갖출 것. 다만, 착륙대를 제외한 시설 또는
설비는 해당 헬기장의 운영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해당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시설 또는 설비로 대체할 수 있다.
가. 다음 규격에 적합한 착륙대
1) 활주로의 길이와 폭은 항공기 기체의 길이 및 폭의 1.2배 이상으로 하되 길
이는 최소 15미터 이상일 것
2) 갓길의 폭은 활주로의 양 긴 변에 좌우로 3미터 이상 확보할 것

18
3) 착륙대의 구조 및 재질은 회전익항공기가 이륙·착륙할 때의 충격·바람과
적설의 무게를 견딜 수 있고, 불에 타지 아니하는 것일 것
4) 착륙대의 표면은 충격흡수가 쉽고 기상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을 것
5)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옥상 위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를 착륙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착륙대에 안전계단과 낙하 방지용 안전망(착륙대의
밑부분에 부착하는 폭 1.5미터 이상의 것으로 그 높이는 착륙대 표면의 높
이를 초과해서는 아니 된다.)을 설치할 것
나. 항공기의 탈락 방지시설. 다만, 가목 5)의 낙하 방지용 안전망이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다. 연료의 유출 방지시설
라. 일반인의 접근 통제를 위한 보안시설
마. 소방 및 안전설비와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시설 또는 설비

8. 수상비행장에는 착륙대의 등급별로 별표 3의 규격에 적합한 착륙대, 선회수역 및


유도수로를 갖출 것

9. 수상헬기장에는 착륙대의 등급별로 별표 4의 규격에 적합한 착륙대와 유도수로


(설치하는 경우만 해당한다.)를 갖출 것

10. 수상비행장과 수상헬기장의 착륙대, 선회수역 및 유도수로는 간조 시에 충분한


깊이가 되고 해당 수면의 상태가 항공기의 안전한 항행에 적합할 것

11. 해상구조물헬기장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착륙대, 무장애물 구


역 등을 갖출 것

12.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비행장 표지시설을 할 것

13. 여객용 항공운송사업에 이용되는 회전익항공기의 모기지(항공기 등록 시의 정치


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별표
37의 설치기준에 적합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출 것

14. 항공교통업무를 수행하는 비행장에는 다음 각 목의 시설을 갖출 것


가. 항행안전무선시설: 항공안전을 확보하고 결항률을 낮추기 위한 해당 비행장
의 여건에 적합한 시설
나. 항공등화시설: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적합한 시설
다. 다음의 항공정보통신시설
1) 항공기 및 비행장 내 차량 등과 교신하는 데 필요한 초단파(VHF) 항공이동
통신시설. 다만, 필요한 경우 극초단파(UHF) 항공이동통신시설을 포함한다.
2) 조난 등 비상시에 항공기 및 비행장 내의 차량 등과 교신하는 데 필요한 초
단파 (VHF) 121.5㎒ 및 극초단파(UHF) 243.0㎒ 항공이동통신시설

19
3) 관련 항공교통업무기관 및 항공기상기관 등과 항공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항공고정통신망(AFTN) 또는 항공직통전화망 등의 항공고정통신시설
4) 공항정보방송시설(ATIS) 또는 디지털공항정보방송시설(D-ATIS)(국토교통부장
관이 따로 정하는 비행장만 해당한다.)
5) 비행장관제업무용인 경우에는 관제탑과 해당 비행장으로부터 45킬로미터 거
리 내의 항공기간에 직접적이고 전파간섭이 없는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항공이동통신시설과 필요한 경우 기동지역 안에서 운항하는 항공기의 관제
를 위하여 별도의 통신채널을 갖출 것
6) 접근관제업무용인 경우에는 관제를 받는 항공기와 신속하게 직접적이고 계
속적이며 전파간섭이 없는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항공이동통신시설과
관제기관이 독립된 기관인 경우에는 전용 통신채널을 갖출 것
7) 지역관제업무용인 경우에는 비행정보구역 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와 신속하
게 직접적이고 계속적이며 전파간섭이 없는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항공
이동통신시설을 갖출 것
8) 비행정보업무용인 경우에는 비행정보구역 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와 신속하
게 직접적이고 계속적이며 전파간섭이 없는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항공
이동통신시설을 갖출 것
9) 1)부터 8)까지의 항공이동통신시설이 항공교통관제업무에 사용되는 경우에
는 모든 채널에 녹음시설을 갖출 것
라. 다음의 항공기상시설
1) 바람(풍향 및 풍속)·기압·습도·온도·강우·강설·시정·운량·운고 및
그 밖의 기상기후 등의 측정 및 보고 시설
2) 해당 비행장을 이용하는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항공기상예보시설
마. 항공기지상이동통제시설 등[공항지상감시레이더(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
ment/ASDE), 지상이동유도통제시스템(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SMGCS) 및 레이더정보현시관제탑장비(BRITE) 등을 말하며 국토교통부
장관이 따로 정하는 비행장만 해당한다.]
바. 관제탑시설(관제권이 지정된 경우만 해당한다.)
사. 접근관제소시설(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하는 비행장 또는 장소만 해당한다.)
아. 항공기상황표시정보시설(aircraft situation display system: ASDS)(국토교통부장
관이 따로 정하는 비행장 또는 장소만 해당한다.)
자. 그 밖에 항공교통업무 수행에 필요한 사항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
하여 고시하는 시설

20
15. 「자연재해대책법」 제20조 및 「지진재해대책법」 제14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
관이 각각 정하여 고시하는 공항시설의 내풍설계기준 및 공항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할 것

16.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비행장의 설치에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사


항을 갖출 것 [전문개정 2009.9.10.]

2. 설계기준 및 설계지침

(1) 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호(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제6절 비행장 표지

 해외 기준

1.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기준

(1) ICAO ANNex 14 Aerodromes Vol 1 (2015.07.13.) Chapter 5 Visual aids for navigation

(2) ICAO Design Manual Part 4 (2004.03.01.) Visual Aids (Doc 9157)

2.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기준
FAA AC 150/5340-1L (2014.05.20.) Standards for Airport Markings

 비행장표지의 일반사항

1. 비행장 표지의 개념
표지란 항공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항공기 이동지역의 표면상에 표시되는 기호 또는 기
호의 모음을 말한다.

2. 비행장 표지의 색상 및 특성

(1) 활주로 표지는 백색으로 한다.

(2) 다음의 활주로표지를 밝은색 표면 위에 설치할 경우에는 흑색 윤곽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가. 활주로 명칭표지

나. 시단표지

다. 시단선

라. 목표점표지

마. 접지구역표지

바. 활주로 중심선

사. 활주로 가장자리선

21
(3) 유도로표지, 활주로 회전패드 표지 및 항공기 계류장 표지는 황색으로 한다.

(4) 계류장 안전선은 눈에 띄는 색(예: 붉은색)으로 항공기 계류장 표지에 사용된 색과


대조되어야 한다.

(5) 표지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하여 설치하는 윤곽선의 폭은 15cm로 한다.

(6) 야간에 운영되는 비행장에서 포장의 표지는 눈에 잘 띄게 하기 위해서 도료에 반사


되는 물질을 포함하여야 한다.

(7) 표지의 도료는 표지에 의해 불안정한 제동작용을 유발하는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8) 표지 간의 간격 등에 관한 규격은 각 규정에서 달리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표지 간


의 내폭을 기준으로 한다.

(9) 비포장 유도로는 가능한 한 포장된 유도로에 명시된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활주로표지의 설치 중단

(1) 2본 이상의 활주로 교차부에서는 활주로 옆선표지를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중요한


활주로의 표지를 우선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그 외 활주로의 표지는 중단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활주로의 가장자리선 표지는 설치하거나 중단
해도 무방하다.

(2) 활주로표지 설치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가. 정밀접근활주로

나. 비정밀접근활주로

다. 비계기활주로

(3) 활주로와 유도로의 교차부에서는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가 중단되는 경우를 제외하


고는 유도로 표지를 중단하고 활주로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유리알의 포설
유리알의 포설이 필요한 표지는 다음과 같다.

(1) 활주로 명칭표지(runway designation marking)

(2) 활주로 중심선표지(runway centre line marking)

(3) 활주로 시단표지(threshold marking)

(4) 이설시단표지(displaced threshold marking)

(5) 활주로 시단선(threshold bar)

(6) 목표점표지(aiming point marking)

(7) 접지구역표지(touchdown zone marking)

22
(8)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runway side stripe marking)

(9) 경계선(demarcation bar)

(10) 모든 활주로와 유도로의 정지위치표지(all runway and taxiway holding position marking)

(11) 유도로 중심선표지(taxiway centre line marking)

(12) 유도로 가장자리표지(taxiway edge marking)

(13) 표면의 페인트표지(surface painted signs)

(14) 지리적인 위치표지(geographical position marking)

23
수행 내용 / 마킹시설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국내 항공법 및 관련 설계기준

Ÿ 해외(ICAO, FAA 등) 설계기준

Ÿ 유사 프로젝트 설계도서 및 참고자료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설계용 S/W

Ÿ 문서작성용 S/W 등

안전·유의 사항

Ÿ 마킹시설은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착륙하거나 에어사이드 지역을 지상운항할 수 있도록 설계


한다.

Ÿ 마킹시설은 관제탑의 지시를 조종사가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도움을 주는 시각보조시설이므로


발기, 색상 등의 식별력을 제고하도록 설계한다.

수행 순서1)

 활주로표지 설계하기
활주로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지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계한다.

1. 활주로 명칭표지(runway designation marking) 설계하기


활주로 명칭표지는 모든 활주로에 설치하며 [그림 1-8]과 같이 활주로의 양 시단지역에
설치한다. 활주로 명칭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활주로 명칭표지는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되며 이는 활주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


각의 1/10의 숫자로부터 도출된다. 평행활주로인 경우는 문자를 추가한다.

(2) 단일활주로, 2개의 평행활주로 및 3개의 평행활주로 명칭표지의 두 자리 숫자는 진

1) “마킹시설 설계” 수행순서의 내용은 국토교통부 고시2014-622호(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제6절 비행장표
지를 인용함

24
입방향에서 활주로를 바라볼 때의 방위각의 1/10 값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를 활주
로 명칭으로 한다.

(3) 4개 이상의 평행활주로에서는 인접활주로의 한 쌍은 방위각의 1/10 값에서 가장 가


까운 정수를 명칭으로 하고, 다른 한 쌍은 방위각의 1/10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정
수를 명칭으로 한다.

[그림 1-8] 활주로 명칭표지, 중심선 및 시단표지

(4) 이때 1자리 정수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숫자 0을 앞에 붙인다.

25
(5) 평행활주로에서 각 활주로의 명칭은 진입방향에서 활주로를 볼때 왼쪽에서 오른쪽
으로 다음과 같은 문자를 표기한다.

(가) 2개의 평행활주로인 경우: L, R

(나) 3개의 평행활주로인 경우: L, C, R

(다) 4개의 평행활주로인 경우: L, R, L, R

(라) 5개의 평행활주로인 경우: L, C, R, L, R 또는 L, R, L, C, R

(마) 6개의 평행활주로인 경우: L, C, R, L, C, R

(6) 숫자와 문자는 [그림 1-9]에 제시한 형태와 비율에 따라 설계하며 크기가 이것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그림 1-9] 활주로 명칭표지 문자와 숫자의 형태와 비율(단위: m)

2. 활주로 중심선표지(runway centre line marking) 설계하기


활주로 중심선표지는 활주로의 물리적인 중앙을 나타내며 모든 포장된 활주로에 설치한
다. 활주로 중심선표지는 활주로 교차부에서 중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림 1-8]에 나타
난 바와 같이 활주로 명칭표지 사이의 활주로 중심을 따라 설치한다.
활주로 중심선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활주로 중심선표지는 일정한 길이의 줄무늬와 간격으로 된 선으로 구성한다. 하나


의 선과 간격을 더한 길이는 50m 이상 75m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다. 각 선의 길이
는 적어도 각 선 사이 간격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30m 중 더 큰 값으로 설계한다.

(2) 선의 폭은 다음과 같은 크기로 설계한다.

(가) 정밀접근활주로 CAT-II 및 Ⅲ: 0.9m 이상

(나) 분류번호 3, 4인 비정밀접근활주로 및 정밀접근활주로 CAT-Ⅰ: 0.45m 이상

(다) 분류번호 1, 2인 비정밀접근활주로 및 비계기활주로: 0.3m 이상

26
3. 시단표지(threshold marking) 설계하기
활주로 시단표지는 항공기가 착륙에 사용할 수 있는 활주로의 시작부분을 나타낸다. 시단
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시단표지의 위치 선정하기


시단표지는 활주로 시단으로부터 6m인 곳에서 시작되도록 위치를 선정하지만, 시단선
표지가 설치되는 활주로에서는 시단으로부터 9m인 곳에 위치를 선정한다. 다만, 이미
활주로 시단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6m인 곳에서 시작할 수 있다.

(2) 시단표지의 배치계획 수립하기


활주로 시단표지는 [그림 1-8]과 같이 활주로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균
일한 크기의 줄무늬 모양으로 설계한다. 줄무늬 수는 다음 표와 같이 활주로 폭에 따
라 구분된다.
<표 1-1> 활주로 폭에 따른 시단표지 줄무늬의 개수
활주로 폭 줄무늬 개수
18m 4
23m 6
30m 8
45m 12
60m 16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3) 줄무늬의 설치범위 선정하기


시단표지의 횡구간 설치범위는 가장 바깥쪽 줄무늬의 외곽선이 활주로 가장자리로부
터 3m 이내 지점과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양측으로 27m 지점 중 활주로 가장자리와
가까운 지점까지의 범위 내에 설치되도록 설계한다.

(4) 줄무늬의 규격 결정하기


줄무늬의 길이는 30m 이상이어야 하며, 줄무늬의 폭과 간격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줄
무늬의 폭과 줄무늬 간격은 약 1.8m로 설계한다. 활주로 중심선에서 가장 가까운 2개
의 줄무늬 사이의 간격은 이 기준보다 2배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5) 활주로 시단이 영구적으로 이설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지를 계획한다.

(가) 시단표지: 활주로의 이설시단 부분에 설치

(나) 시단선: 활주로의 이설시단에 설치

(다) 화살표: 활주로의 이설시단 앞 부분에 설치

(라) 폐쇄표지: 활주로의 이설시단 앞부분이 항공기 이동에 부적합한 경우에 설치

(마) 갈매기표지: 활주로의 이설시단 앞부분이 정지로로 사용 가능하나 항공기의 정

27
상적인 이동은 할 수 없는 경우에 설치
주 1) 분류번호 1, 2인 비계기활주로에는 시단표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주 2) 영구적 이설: 활주로 시단 이설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6) 활주로 시단이 정위치로부터 임시적으로 이설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지를 계


획한다.

(가) 시단선: 활주로의 임시 이설시단에 설치

(나) 화살표: 임시 이설시단 앞의 활주로 부분에 설치

(다) 산형(∧): 임시 이설 시단선 앞부분에 설치

4. 시단선(threshold bar) 설계하기


시단선은 활주로시단 이전 지역에 포장된 구간이 있을 경우 또는 활주로시단이 활주로 중
심선과 직각이 아닌 경우에 설치한다. 시단선은 착륙에 이용되는 활주로에 포함된다. 시단
선의 색상은 백색이다.

(1) 시단선의 위치 선정하기


시단선은 착륙활주로의 시단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2) 시단선의 규격 결정하기


시단선의 폭은 3m이며 활주로를 횡단하여 설치되도록 설계한다.

5. 목표점표지(aiming point marking) 설계하기


목표점표지는 착륙 시의 시각적인 목표지점이 된다. 목표점표지는 분류번호가 2, 3, 4인
포장된 계기활주로의 각 진입부(approach end of runway)에 [그림 1-8]과 같이 설치한다.
목표점의 가시성 증대가 필요한 경우에는 비계기활주로의 각 진입부(approach end of
runway)에 목표점표지를 설치한다. 목표점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목표점표지의 위치 선정하기


목표점표지는 진입각지시등을 설치한 활주로 외에는 <표 1-2>의 지시된 거리보다 활
주로시단에 가깝게 설치되도록 설계해서는 안 되며 표지의 시작점은 진입각지시등의
기점과 일치하도록 위치를 선정한다.

(2) 목표점표지의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목표점표지는 두 개의 선명한 줄무늬로 설계하며 줄무늬의 제원과 내측변 사이의 간
격은 <표 1-2>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접지구역표지가 설치된 곳에서는 목표점표지 사
이의 간격은 접지구역표지와 같도록 설계한다.

28
<표 1-2> 목표점 표지의 위치 및 제원
활주로의 착륙가용거리(LDA)
위치 및 제원 800m 이상 1,200m 이상
800m 미만 2,400m 이상
1,200m 미만 2,400m 미만
시단에서 표지 시점까지의 거리 150m 250m 300m 400m
줄무늬 길이* 45m 45m 45∼60m 45∼60m
줄무늬 폭 4m 6m 6∼10m 6∼10m
줄무늬 내측변 간격 6m 9m 18∼22.5m 18∼22.5m
주) * 가시성이 특히 요구되는 지역은 큰 값으로 설계한다.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6. 접지구역표지(touchdown zone marking) 설계하기


접지구역표지는 항공기의 착륙 시에 활주로에서 착지할 수 있는 구간을 알려주며 거리정
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접지구역표지는 분류번호 2, 3, 4인 포장된 정밀접근활주
로의 접지구역에 설치한다. 접지구역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접지구역표지의 위치 선정하기


접지구역표지는 [그림 1-8]과 같이 활주로 중심선 근처에 사각형 막대를 대칭이 되도
록 배치한다.

(2) 접지구역표지의 개수 및 형식 결정하기


접지구역표지의 개수는 <표 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착륙가용거리에 따라 표지 쌍의
수량을 결정한다. 이 쌍의 표지를 활주로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하고 각 쌍은
직사각형 표지로 설계한다.
<표 1-3> 접지구역표지 기준
착륙가용거리(LDA) 또는 활주로시단 사이의 거리 표지 쌍의 수
900m 미만 1
900m 이상 1,200m 미만 2
1,200m 이상 1,500m 미만 3
1,500m 이상 2,400m 미만 4
2,400m 이상 6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접지구역표지는 [그림 1-8]과 같이 두 개의 형식으로 계획할 수 있지만 거리부호가 포


함된 형식을 우선 적용한다.

(가) 기본형의 표지는 길이 22.5m 이상과 폭 3m 이상으로 설계한다.

(나) 거리부호 포함형식의 각 연접표지 간격은 1.5m로 하여야 하며, 길이 22.5m 이


상과 폭 1.8m 이상으로 설계한다.

29
(다) 거리부호 포함형식으로 계획하는 경우에 3줄 표지의 쌍은 1개소, 2줄 표지의
쌍은 2개소, 1줄 표지의 쌍은 1개소를 설치한다.

(라) 1,500m 미만의 활주로에서는 기본형식을 따른다.

(3) 활주로 중심선과 가까운 두 표지의 내측변 간격은 목표점표지의 내측변 간격과 같
도록 설계한다. 목표점표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지의 내측변 간격은 <표
1-3>에 표기된 목표점표지의 내측변 간격에 맞도록 설계한다.

(4) 각 표지는 활주로 시단을 시점으로 150m의 종간격으로 설치하며 접지구역표지 중


일부가 목표점표지와 일치하거나 목표점표지로부터 50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삭제한다. 다만, 2개의 접지구역표지가 목표점표지로부터 50m 이내에 위치하는 경
우에는 보다 근접한 표지만을 삭제한다.

7.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runway side stripe marking) 설계하기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는 활주로와 주변 지형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모든 활주
로에 설치한다.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의 위치 선정하기

(가)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는 활주로 표면상에 위치하며 운용 중인 활주로의 일부


분으로 간주된다. 활주로의 양쪽 측변을 따라 각각 1개의 줄무늬를 설치하며
줄무늬의 외측 가장자리가 활주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나) 폭이 60m 이상인 활주로의 가장자리선표지는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30m 거리


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다) 활주로 단부에 회전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는


활주로와 활주로 회전패드 사이에 연속하여 설치하도록 설계한다.

(2)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의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활주로 가장자리선의 폭은 활주로 폭이 30m 이상인 경우에는 0.9m 이상, 활주로 폭이
30m 미만인 경우에는 0.45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한다.

8. 활주로 갓길표지(runway shoulder marking) 설계하기


활주로 갓길표지는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를 보완하기 위하여 적용하며 항공기 이동에 사
용되지 않는 활주로 옆 포장구역의 명확한 식별을 위하여 설치할 수 있다. 활주로 갓길표
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1) 활주로 갓길표지의 위치 선정하기


활주로 갓길표지는 활주로 가장자리선표지와 갓길포장면의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30
(2) 활주로 갓길표지의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활주로 갓길표지의 폭은 0.9m 이상, 간격은 30m가 되도록 설계한다.

(나) 줄무늬는 활주로 중심선에 대하여 45도의 경사도로 설계한다.

 유도로표지 설계하기
유도로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지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계한다.

1. 유도로 중심선표지(taxiway centre line marking) 설계하기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항공기가 에어사이드에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지상이동할 때 조종사
에게 시각적인 신호를 하는 항법보조시설이다. 유도로 중심선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1) 유도로 중심선표지의 적용계획 수립하기

(가)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항공기 계류장까지 항공기에게 지


상유도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시설이며 포장된 유도로, 제·방빙시설 및 계류장
내 유도선에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나)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활주로가 항공기의 지상유도 경로의 일부로서 이용될 때,


활주로 중심선표지가 없거나 유도로 중심선표지가 활주로 중심선과 일치하지
않을 때는 포장된 활주로에 설치한다.

(2) 유도로 중심선표지의 위치 선정하기

(가) 유도로의 직선구간에서는 유도로 중심선을 따라 유도로 중심선표지를 설계한


다. 유도로의 곡선구간에서는 유도로의 바깥쪽 가장자리로부터 유도로의 1/2 폭
만큼의 간격을 두고 중심선을 설계하여 직선구간과 연결한다.

(나) 활주로와 평행유도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도로의 경우에는 활주로와 유도로의 교


차점에서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활주로 중심선표지 쪽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설
계한다. 이때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활주로 중심선표지와의 접촉점을 지나서 최
소 60m까지 활주로 중심선표지 쪽으로 나란히 연장되도록 설계한다.

(다) 활주로 중심선표지의 중심과 유도로 중심선표지의 중심은 0.9m를 이격되도록


설계한다.

(라) 활주로정지위치 이전에 설치되는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항공기 또는 차량 등의


활주로무단침범 방지를 위하여 개량형 유도로 중심선표지(enhanced taxiway
centre line marking)로 설계한다.

(3) 유도로 중심선표지의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유도로 중심선표지는 최소 폭 15cm가 되도록 설계하며 활주로 정지위치표지


혹은 일시정지위치표지와 교차하는 곳 외에는 연속되도록 설계한다.

31
[그림 1-10] 유도로 중심선표지 및 가장자리표지

(나) 유도로 전체 또는 그 일부를 저시정 이동경로로 지정한 경우에는 유도로 중심


선의 폭을 30cm가 되도록 설계하며 포장면이 밝은색으로 표지의 시인성이 불
량할 경우에는 표지의 둘레에 흑색으로 윤곽선을 추가로 작도한다.

2. 유도로 가장자리표지(taxiway edge marking) 설계하기


유도로 가장자리 표지는 유도로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설치하는 표지이다. 표지
의 색상은 황색이다.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가) 유도로 가장자리표지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유도로의 가장자리가 실제 포장면


의 가장자리와 맞지 않을 때 이 표지의 설치를 계획한다.

(나) 표지 줄무늬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사용 가능한 포장면의 경계선이 되도록 계획


을 수립한다.

(2) 위치 선정하기
유도로 가장자리표지는 항공기가 지상이동하도록 계획된 유도로의 가장자리 상에 위
치하며 사용 가능한 유도로 포장면의 일부가 되도록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유도로 가장자리표지는 [그림 1-10]과 같이 폭이 15cm, 간격이 15cm이고 한 쌍

32
의 선으로 되도록 설계한다.

(나) 유도로 교차점에서 가장자리를 횡단하여 항공기가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유도로 또는 계류장 유도선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림 1-10]과 같이
점선으로 유도로 가장자리표지를 설계한다.

(다) 점선 유도로 가장자리표지는 폭 15cm, 길이 4.5m, 간격 7.5m로 설계한다.

(라) 계류장과 접한 부분에서의 점선 유도로 가장자리표지는 유도로 중심선으로부터


유도로 폭 2분의 1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설계한다.

(마) 유도로 교차부 및 항공기가 회전을 하는 위치에서 유도로 가장자리표지와 중심


선표지 사이에 혼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가장자리표지의 어느
쪽이 항공기 하중을 견딜 수 없는 포장면인지 조종사가 확인할 수 없는 곳에서
는 [그림 1-10]과 같이 유도로 갓길에 가로줄무늬를 설계한다.

(바) 갓길용 가로줄무늬는 가장자리표지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사) 곡선부분에서의 갓길용 가로줄무늬는 곡선의 시·종점과 그 사이에 설치하고


간격은 15m 이하로 설계한다.

(아) 일부 직선부에 갓길용 가로줄무늬를 설치할 경우에 표지의 간격은 30m 이하,
폭은 0.9m 이상, 길이는 갓길포장의 가장자리 1.5m 전과 7.5m 중 짧은 쪽으로
설계한다.

3. 유도로 일시정지위치표지(intermediate holding position marking) 설계하기


유도로 일시정지위치표지는 다른 유도로나 계류장 직전에 관제탑으로부터 일시 정지하라
는 지시를 받은 항공기가 정지위치를 알 수 있도록 유도로와 계류장의 특정지점에 설치하
는 표지이다. 일시정지위치표지는 황색이며 밝은색의 포장면에서는 흑색 윤곽선을 그린다.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이 표지는 [그림 1-11]와 같이 유도로와 유도로의 교차지점, 지리적인 정지위치, 대기
지역에서 교통량을 일시 정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공항에서 항공기가 지상 이동 중
인 유도로의 횡측 안전이격거리의 가장자리를 표시함으로써 지상이동하는 항공기 간
의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도록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유도로와 유도로 교차점의 일시정지위치표지는 유도로 중심선과 장애물 간의


최소 이격거리 기준에 따라 해당 비행장을 이용하는 가장 큰 등급의 항공기를
기준으로 그 위치를 선정한다.

(나) 일시정지위치표지는 유도로에 인접한 원격 제·방빙 시설의 진출입 유도로에도


설치한다.

33
(다) 두 개의 유도로 교차지점에 일시정지위치표지를 설치하는 경우, 지상 이동 중
인 항공기 사이의 안전을 위하여 유도로 교차점의 가장자리로부터 충분히 안전
한 거리를 두고 일시정지위치표지를 설치한다.

(라) 원격 제·방빙 시설의 진출입 유도로의 일시정지위치표지와 인접한 유도로의 중


앙선 사이는 유도로 중심선과 장애물 간 최소 이격거리 이상이 되도록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일시정지 위치표지는 [그림 1-11]와 같이 단일 점선으로 설계한다.

(나) 표지의 폭은 0.3m, 길이와 간격은 각각 0.9m가 되도록 설계한다.

[그림 1-11] 일시정지 위치표지

 정보표지 설계하기
정보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지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계한다.

1. 일반적인 정보표지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가) 정보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하지만 적절치 못한 위치에는 포장면에 정보표지를


설치하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34
(나) 운영상 정보신호가 필요한 곳은 추가적으로 정보표지를 설치토록 계획한다.

(다) 위치표지는 가장 긴 유도로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포장면 위에 계획한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정보표지는 접근하는 항공기의 조종석에서 잘 보이도록 필요한 위치의 유도로


나 계류장에 배치한다.

(나) 교차부 이전에 설치되는 방향정보표지의 경우에는 기하구조상 설치하기가 곤란


한 경우를 제외하고 교차부로부터 60m 이전에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정보표지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계획한다.


- 위치표지판을 대신하거나 보충하는 경우에 검은색 바탕에 황색 문자로 설계한다.
- 방향 또는 목적지 표지판을 대신하거나 보충하는 경우에 황색바탕에 검은색 문자로
설계한다.

(나) 표지 바탕색상과 포장면의 대비가 불충분한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 검은색 글자인 경우에는 검은색 테두리로 설계한다.
- 황색 글자인 경우에는 황색 테두리로 설계한다.

(다) 문자의 높이는 4m, 문자의 모양과 비율은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2. 표면에 그리는 정지위치 정보표지(surface painted holding position signs) 설계하기


정지위치표지판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정지위치 정보표지를 포장면에 설치한다. 표면에
그리는 정지위치 정보표지의 색상은 적색바탕에 백색무늬로 하고 밝은색의 포장면에는 검
은색의 윤곽선을 그린다.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가) 유도로 폭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와 같이 운영상 필요하거나 항공기 또는 차


량의 활주로 무단침범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표지판의 설치 이외에 정
보표지를 추가한다.

(나) 조종사가 대기지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그 밖의 위치에서도


이러한 표지를 설치한다.

35
[그림 1-12] 표면에 그리는 정보표지

(2) 위치 선정하기

(가) 분류문자 A, B, C 또는 D의 유도로인 경우에는 표지를 [그림 1-12]와 같이 유도


로의 가운데에 배치한다. 이때 표지의 가장자리가 활주로정지위치표지 및 유도
로 중심선표지에서 최소한 1m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나) 분류문자 E, F의 유도로인 경우에는 표지를 [그림 1-12]와 같이 유도로 중심선


양쪽에 대칭으로 배치한다. 이때 표지의 가장자리가 활주로정지위치표지 및 유
도로 중심선표지의 좌우측으로 각각 최소한 1m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다) 판형 정지위치표지는 활주로에 그려서는 안 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명령지시표지는 진입금지표지를 제외하고 착륙대나 유도로대에 설치되는 관련


된 명령지시표지판과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나) 판형 정지위치표지의 바탕은 직사각형으로 설계하며 문자 또는 숫자의 가장자


리로부터 가로 세로 0.5m 이상 여유가 있도록 설계한다.

(다) 분류문자 A 또는 B의 유도로인 경우에는 문자 또는 숫자의 높이를 2m로 하고


분류문자 C, D, E 또는 F의 유도로인 경우에는 4m로 하며, 그 모양과 비율은
설계기준을 따라서 설계한다.

36
3.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방향표지(Surface painted taxiway direction sign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유도로 교차지점에 유도로방향표지판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그러한 표지판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유도로방향표지를 포장면에 설치하도록 계획한다. 표면
에 그리는 유도로 방향표지의 색상은 황색 바탕에 흑색무늬로 표시한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방향표지는 유도로 중심선의 가장자리로부터 1m 지점에


배치하며 [그림 1-12]와 같이 좌회전표지는 유도로 중심선의 왼쪽에, 우회전표
지는 중심선의 오른쪽에 배치한다.

(나) 유도로방향표지를 활주로 또는 활주로와 활주로정지위치 사이에 배치해서는 안


된다.

(다) 직각으로 교차하는 유도로의 표면에 유도로방향표지를 설치할 때에는 유도로


중심선의 왼쪽에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문자의 높이는 4m, 문자의 모양과 비율은 설계기준을 따라 설계한다.

(나) 유도로 지정번호에는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붙여 설계한다.

(다) 여러 개의 지정번호가 연속해서 있을 때에는 각각의 유도로 지정번호를 15cm


폭의 흑색 세로선으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라) 표지의 바탕은 직사각형이며, 문자의 가장자리로부터 사방으로 0.5m 이상의 여


유가 있도록 설계한다.

4.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 위치표지(Surface painted taxiway location sign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 위치표지는 유도로 측면을 따라 설치된 표지판을 보완할 필요
가 있을 때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 위치표지의 색상은 흑색 바탕
에 황색무늬로 표시한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 위치표지는 [그림 1-12]와 같이 유도로 중심선의 왼쪽에
배치한다. 다만, 기하구조상 왼쪽에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오른쪽에 배치할
수 있다.

(나) 표면에 그리는 유도로 위치표지의 가장자리는 유도로 중심선의 가장자리로부터


1m가 되는 지점에 오도록 배치한다.

(다) 위치표지를 활주로 또는 유도로정지위치와 활주로 사이에 표시해서는 안 된다.

37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문자의 높이는 4m, 문자의 형태와 비율은 설계기준을 따라 설계한다.

(나) 여러 개의 지정번호가 연속해 있을 때에는 각각의 유도로 지정번호를 15cm 폭


의 흑색 세로선으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다) 표지의 바탕은 직사각형이며, 문자의 가장자리로부터 가로세로 0.5m 이상 여유


가 있도록 설계한다.

5. 표면에 그리는 게이트 식별표지(suerface painted gate identification sign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조종사들이 할당된 게이트를 찾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계류장 표면에 게이트 식별표지의
설치를 계획하며 저시정 운용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다. 핑거타입의 터미널의 형태에서는 게이
트 식별표지를 반드시 설치한다. 게이트 식별표지의 색상은 황색 바탕에 흑색무늬로 계획한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게이트 식별표지는 계류장 유도로 또는 게이트진입 유도선에 배치한다.

(나) 게이트 식별표지는 유도로 중심선에 인접하여 게이트에 진입하려는 항공기가


이 표지를 인식하고 게이트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게이트 지정번호가 한 줄로 되어 있는 게이트 식별표지를 표면에 표시하려면


문자의 높이가 최소 1.2m는 되도록 설계한다.

(나) 게이트 지정번호가 두 줄 이상일 경우에는 문자의 높이는 최소 1m, 문자의 형


태와 비율은 별도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다) 표지의 바탕은 직사각형이며 문자의 가장자리로부터 사방으로 0.5m 이상의 여


유를 갖도록 설계한다.

(라) 연속하지 않는 각각의 게이트를 하나의 게이트 식별표지에 모두 표시하려면 쉼


표로 구분해야 한다.(예: B1, B3, B5)

6. 표면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surface painted apron entrance point signs) 설


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가) 표면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는 넓은 포장구역이 있는 계류장에서


조종사들이 자신의 위치를 찾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나) 이 표지는 주기 스탠드의 입구와 출구를 찾는 데 특히 유용하다.

(다) 표면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의 색상은 황색 바탕에 흑색숫자 또는


숫자와 문자로 표시한다.

38
(2) 위치 선정하기

(가) 표면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는 [그림 1-13]과 같이 계류장 유도로


에서 터미널 건물로 이어지는 게이트 진입유도선의 시점에 배치한다.

(나) 표지는 유도로 중심선으로부터 2.1m 지점에 위치하고 도입선(lead-in line)을 포


함하도록 배치한다. 다만, 기하구조상 유도로 중심선으로부터 이격거리를 확보
할 수 없고 도입선 위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는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 주기 스탠드 진입이 일방향인 경우에는 진입방향에만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표면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는 직경이 4.5m가 되는 한 개의 원을


해당 유도로 중심선으로부터 2.1m 지점의 도입선 위에 설계한다.

(나) 원 안에는 숫자와 문자를 기입해야 하며, 높이는 2m로 설계한다.

(다) 숫자와 문자의 폭은 높이에 비례하게 하여 설계기준에서 설명한 모양과 일치하


도록 설계한다.

(라) 표지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형표지의 가장자리에 흑색 윤곽선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윤곽선의 폭은 15cm로 하여야 설계한다.

[그림 1-13] 표면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

7. 지리적 위치표지(geographic position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지리적 위치표지는 저시정 운용 시에 지상 이동하는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
여 필요한 경우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지리적 위치표지의 색상은 원의 직경이 2.1m인
분홍색 바탕에 흑색 숫자로 표시한 다음 원에 15cm 폭의 백색 띠를 두르고 그 바깥에
다시 15cm 폭의 흑색 띠를 두른다.

39
(2) 위치 선정하기

(가) 지리적 위치표지는 지상이동 안내 및 통제시스템(SMGCS) 계획에 따라 지정된


항공기의 저시정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하며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유도로
중심선의 왼쪽에 표시되도록 배치한다.

(나) 지리적 위치표지는 항공교통관제에 의하여 정지위치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그림 1-14]와 같이 정지위치표지와 조합하여 그 앞쪽에 배치한다.

(다) 지리적 위치표지가 정지위치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활주로 경계등과 정지위치


표지는 생략할 수 있다.

(라) 지리적 위치표지는 저시정 활주로의 정지위치에는 설치할 수 없으나 지상이동


경로로 지정된 다른 활주로의 활주로정지위치에는 설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지리적 위치표지는 숫자로 표기되도록 설계한다.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숫자와
문자를 함께 사용하여 설계한다. 숫자는 해당 표지의 경로상에서 순서를 나타
내도록 설계하며 문자는 표지가 있는 해당 유도로의 지정번호를 나타내도록 설
계한다.

(나) 유도로번호가 영문자와 숫자로 조합된 경우에 지리적 위치표지를 설계할 때에


는 영문자 부분만을 지리적 위치표지로 설계한다.
주) 예를 들어 경로상의 네 번째 지점이 유도로 A7에 위치한다면 이 지점의 영문
과 숫자가 조합된 지정번호는 “4A”가 될 것이다.

[그림 1-14] 지리적 위치표지

40
(다) 지리적 위치표지의 문자는 숫자 다음에 표기하도록 설계한다.

(라) 지리적 위치표지의 지정번호는 원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마) 지정번호의 높이는 1.5m, 문자의 형태와 비율은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8. 항공기 주기장표지(aircraft stand marking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항공기 주기장표지는 포장된 계류장과 제·방빙 시설에 지정된 주기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항공기 주기장표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항공기의 전륜(nose wheel)이 주기장표지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계류장과


제·방빙 시설에 설치된 주기장표지는 항공기와 고정물체 또는 이동하는 물체
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계류장 유도선중심선과 장애물 최소이격거
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나) 주기된 항공기 후미에 지상조업도로를 설치할 경우에는 항공기가 이동하는 차


량 또는 장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주기장표지는 주기형태에 따라 또는 기타 주기보조시설을 보완하기 위하여 [그


림 1-15]와 같이 필요한 주기장식별표지, 도입선(lead-in line), 선회바(turn bar),
선회선(turning line), 정렬바(alignment bar), 정지선(stop line) 및 도출선(lead-out
line)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여 설계한다.

(나) 계류장 전면에 주기장 번호식별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표면


에 그리는 원형 계류장 진입지점표지”를 정지선 전면에 설계한다.

(다) 계류장의 사용을 보다 융통성 있게 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주기장표지가 겹쳐


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주기장표지의 식별이 곤란한 경우 또는 안전을 제고하
기 위하여 각 주기장표지의 사용대상인 항공기 명칭을 주기장 식별표지에 추가
하여 설계한다.

(라) 도입선, 선회선 및 도출선은 실선으로 15cm 이상의 폭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여러 개의 주기장표지가 겹쳐지는 경우에는 주로 사용되는 항공기용 표지는 실
선으로 하고 그 외 항공기용 표지는 점선으로 설계한다. 점선의 길이와 간격은
각각 1m로 설계한다.

(마) 도입선, 선회선 및 도출선의 곡선부분 반경은 가장 큰 형식의 항공기를 기준으


로 설계한다.

41
(바) 항공기가 한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경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도입선 및
도출선에 추가하여 설계한다.

(사) 1개 이상의 선회바나 정지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호를 붙여 설계한다.

9. 계류장 안전선(apron safety line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가) 계류장 안전선은 항공기의 안전한 주기와 지상조업차량 및 장비 등의 사용구역


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포장된 계류장에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나) 계류장안전선에는 항공기주기보호선(aircraft stand safety lines), 장비정치장식별


선(equipment limit lines) 및 여객통로선(passenger path lines)이 포함된다. 항공기
주기보호선의 색상은 적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계류장 안전선은 지상조업차량 및 장비 등을 항공기로부터 안전하게 격리시키고 당해
차량과 장비 등의 사용구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규정된 최소 이격거리기준을 만족하도
록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항공기주기보호선은 폭 10cm 이상의 실선으로 설계하며 주기된 항공기와 주변


항공기 또는 장애물간 최소 이격거리를 확보하도록 설계한다.

(나) 장비정치장식별선은 제15항에 따라 설계한다.

(다) 여객통로선은 도로교통법규에 따라 설계한다.

10. 계류장 가장자리표지(apron edge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계류장 가장자리표지는 계류장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계류장
가장자리표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계류장 가장자리표지는 계류장의 정해진 가장자리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나) 건물이 위치한 지역의 계류장 가장자리표지는 생략할 수 있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계류장 가장자리표지는 [그림 1-10]의 유도로 가장자리표지와 동일하게 각각


폭 15cm, 간격 15cm의 한 쌍의 실선으로 설계한다. 줄무늬의 바깥쪽 가장자리
가 사용 가능한 포장면의 경계선이 되도록 설계한다.

42
(나) 계류장 가장자리표지의 어느 쪽이 항공기가 이동할 수 없는 포장표면인지를 확
인할 수 없는 곳에서는 [그림 1-10]과 같이 가로줄무늬를 추가하여 설계한다.

11. 선회선(turn line), 선회바(turn bar)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항공기가 주기스탠드에 정지하기 전 또는 스탠드에서 지상이동을 시작하면서 주기장
에서 선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조종사가 보고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
다. 선회선과 선회바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선회선은 [그림 1-15]와 같이 지정된 주기위치에서 주기를 위한 항공기조작 최


종단계에 조종사가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항공기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
한다.

(나) 선회바는 선회 개시시점에 좌측 조종사석 옆으로 도입선에 직각으로 다음 <표


1-4>의 이격거리 위치에 배치한다.
<표 1-4> 선회바 이격거리
분류문자 이격거리
C 5m
D, E, F 10m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선회선은 실선으로 폭 15c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한다. 여러 개의 주기장표지가


겹치는 경우 가장 큰 형식의 항공기용은 실선, 그 외 항공기용은 점선으로 설
계한다. 점선의 길이와 간격은 각각 1m로 설계한다.

(나) 선회바는 길이 6m, 폭 30cm로 설계하며 선회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설치한다.

43
[그림 1-15] 항공기 주기장표지 - 선회선, 선회바 등

12. 유도사용 정지선(marshaller stop line)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유도사용 정지선은 주기장에 진입하고 있는 항공기를 정지시켜야 할 위치를 유도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유도사용 정지선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유도사용 정지선은 항공기의 전륜이 정지하여야 하는 지점에 계류장 유도선 또는 정
렬바에 직각으로 배치한다.

44
[그림 1-16] 유도사용 정지선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유도사용 정지선은 [그림 1-16]과 같이 표지의 길이는 유도선 양쪽으로 1m, 폭
30cm로 설계한다.

(나) 유도사용 정지선에는 사용대상 항공기의 명칭을 설계한다. 1개의 유도사용 정


지선에 사용대상 항공기의 모든 기종이 주기가 가능한 경우에는 명칭을 생략할
수 있다.

(다) 항공기 명칭표지 문자는 높이 30cm로 정지선 측면과 15cm 이격시켜야 하며 전


면의 유도사가 보고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한다. 여러 기종이 중복될 경
우에는 정지선 양측에 설치되도록 설계한다.

(라) 항공기 명칭표지 문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항공기 명칭표지를 표면과 대
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황색 바탕색을 추가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항
공기 명칭표지의 색상은 검은색으로 설계한다.

45
13. 조종사용 정지선(pilot stop line)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원격 주기장에 진입하는 항공기를 유도사 없이 조종사가 정지시켜야 할 경우에 설치
계획을 수립한다. 조종사용 정지선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조종사용 정지선은 항공기의 조종석이 위치하는 지점의 항공기유도선 좌측에 <표 1-4>
의 이격거리에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조종사용 정지선은 [그림 1-17]과 같이 표지의 길이 6m, 폭 30cm로 설계한다.

(나) 정지선에는 사용대상 항공기의 명칭을 설계한다. 1개의 정지선에 사용대상 항


공기의 모든 기종이 주기가 가능한 경우에는 명칭을 생략할 수 있다.

(다) 문자의 높이는 1m로 정지선과 15cm 이격시켜 조종사가 볼 수 있도록 설계한다.

[그림 1-17] 조종사용 정지선

14. 정렬바(alignment bar)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원격 주기장에 진입하는 항공기를 유도사 없이 조종사가 정렬하여야 할 경우에 설치
계획을 수립한다. 정렬바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정렬바는 [그림 1-18]과 같이 지정된 주기위치에서 주기를 위한 항공기조작 최종단계
에 조종사가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항공기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정렬바는 <표 1-5>와 같이 항공기 전륜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항공기 기체의 뒷부분으
로는 “X” 길이, 앞쪽으로는 3m의 점선과 “Y” 길이, 폭은 30cm로 설계한다.

46
<표 1-5> 정렬바의 길이
분류문자 길이(X) 길이(Y)
A, B 5m 9m
C, D, E, F 10m 18m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그림 1-18] 정렬바

15. 장비정치장 표지(equipment storage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장비정치장 표지는 계류장내에서 항공기의 지상조업 등을 위한 장비와 차량이 대기할
수 있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장비정치장 표지의 색상은 청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장비정치장 표지는 유도로 최소 이격거리와 항공기 주기장 이격거리를 확보한 곳에
위치하도록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장비정치장 표지는 실선으로 폭은 10c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한다.

16. 탑승교 안전선(passenger boarding bridge safety line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탑승교 안전선은 지상조업차량과 항공기 수리장비 등으로부터 고정식 또는 이동식 탑
승교를 안전하게 격리할 수 있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탑승교 안전선의 색상은 적
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탑승교 안전선은 탑승교를 안전하게 격리시키기 위하여 지상조업차량과 항공기 수리
장비 등의 사용구역을 한정하도록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탑승교 안전선의 폭은 10cm 이상으로 하고 안전선 안쪽은 폭 10cm 이상의 사선으로
설계하며 사선간의 간격은 0.8m 내지 1m로 설계한다.

47
 기타표지 설계하기
기타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지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계한다.

1. VOR 체크포인트표지(VOR aerodrome check-point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VOR 체크포인트표지는 조종사가 공항내 에어사이드의 지정된 위치에서 VOR 장비의
신호를 수신하여 항공기의 계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필요한 경우에 설치계획을 수립
한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VOR 체크포인트표지는 VOR 신호와 항공기의 계기가 정확히 동조할 수 있도


록 항공기가 주기할 특정패드를 계획하고 그 중심에 표지를 배치한다.

(나) 체크포인트의 위치는 비행점검 당국과 협의하여 선정하고 해당 체크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항공정보간행물에 수록한다.

[그림 1-19] VOR 체크포인트표지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VOR 체크포인트표지는 [그림 1-19]와 같이 직경 6m의 원으로 이루어지며 선의


폭은 15cm로 설계한다.

(나) 항공기가 특정한 방향으로 주기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에는 주기방향으로 원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추가로 설계한다.

(다) VOR 체크포인트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포장면이 밝은 경우에는 가독성을 제


고하기 위하여 흑색 윤곽선을 추가 설계한다.

48
2. 폐쇄표지(closed runway and taxiway markings)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활주로 및 유도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항공기가 영구적 또는 임시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폐쇄표지의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폐쇄기간이 단기이고 항공기에 적절한 경고
가 주어지는 경우에는 설치를 생략한다. 활주로 폐쇄표지의 색상은 백색, 유도로 폐쇄
표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가) 활주로 폐쇄표지는 활주로 또는 그 일부의 사용하지 않는 지역에 최대간격


300m의 범위로 표지를 배치한다.

(나) 유도로 폐쇄표지는 유도로 또는 그 일부의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양단에 하나


이상의 표지를 배치한다.

[그림 1-20] 폐쇄된 유도로 표지

49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활주로 및 유도로의 폐쇄표지는 [그림 1-20]의 형태 및 규격으로 설계한다.

(나) 폐쇄지역이 임시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서지기 쉬운 장벽이나 적절한 방


법으로 폐쇄표지를 대신하여 설치하도록 설계한다.

(다) 활주로 및 유도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영구히 폐쇄하는 경우에는 활주로와 유


도로의 해당지역의 모든 표지를 삭제하도록 설계한다.

(라) 활주로 및 유도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하는 경우에 해당지역의 항공등화는


보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소등되도록 설계한다.

3. 비하중지지표면표지(non load-bearing surface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유도로, 활주로 회전패드, 대기지역 및 계류장의 갓길 또는 하중지지표면과 쉽게 구별
되지 않아 항공기의 운항시 항공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비하중지지표면은 하중지지
표면과의 경계를 구별하기 위하여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비하중지지표면표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선정 및 제원설계하기


비하중지지표면표지의 위치 및 제원은 유도로 가장자리표지의 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4. 도로정지위치표지(road-holding position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도로정지위치표지는 활주로 안으로 진입하는 모든 도로에서 차량 또는 장비가 정지하
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도로정지위치표지의 색상은 백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도로정지위치표지는 차량의 정지위치에 도로를 횡단하도록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도로정지위치표지의 폭은 0.6m로 설계한다.

5. 차량도로표지(Vehicle roadway marking)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차량도로표지는 에어사이드에서 계류장과 같이 차량 또는 장비가 항공기와 공동으로
이용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도로에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차량도로표지의 색상은 백색
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계류장 등에서 차량의 운행을 위한 통로를 지정할 필요가 있을 때 항공기 기동지역에
차량이나 장비용 도로의 표지를 배치한다.

50
[그림 1-21] 차량도로표지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차량도로표지의 설치기준은 국내 도로교통법규에 따라 설계한다.

(나) 도로의 가장자리를 강조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량용 도로의 가장자


리를 실선 대신에 지퍼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설계한다.

(다) 차량도로위에 설치하는 정지위치표지의 폭은 0.6m로 설계한다.

(라) 지퍼모양의 표지는 [그림 1-21]과 같이 나란히 이어진 두 개의 점선이 서로 교


차하도록 설계한다. 점선의 규격은 도로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폭 30cm, 길
이 1.3m가 되도록 설계한다.

(마) 도로가 유도로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유도로의 이격거리기준을 만족하도록 정지


위치표지를 설치하여 지상 주행하는 항공기와 충분한 간격이 확보되도록 설계
한다.

6. 접지봉표지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계류장에 접지봉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지봉표지의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접지
봉표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계류장에 설치된 접지봉을 보호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배치한다.

51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가) 접지봉표지의 직경은 0.45m로 설계한다.

(나) 접지봉표지에는 접지봉의 측정 저항값과 측정일자를 표시하도록 설계한다.

(다) 포장면이 밝은 경우에는 5cm 이상의 흑색 윤곽선을 설치하도록 설계한다.

7. 맨홀표지 설계하기

(1) 적용계획 수립하기


계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급유구, 맨홀, 결박시설 등의 시설물 위치를 조종사 및 차
량·이나 장비 운전자에게 알리고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맨홀표지의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맨홀표지의 색상은 적색이다.

(2) 위치 선정하기
맨홀표지는 계류장내 급유구, 맨홀, 결박시설 등 시설물의 주변에 배치한다.

(3)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맨홀표지의 폭은 10cm 이상의 실선으로 설계한다.

52
1-3. 상수, 오수관로 설계

• 공항의 운영에 필요한 계획 상수량과 계획 오수량을 결정하고 상수, 오수 관로를 계


학습 목표
획하고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국내 법규 및 기준

1. 설계기준 및 설계지침

(1) 환경부 제정 상수도시설기준(2010.9.) 제7장 배수시설

7.1.3 계획배수량
계획배수량은 원칙적으로 해당 배수구역의 계획시간최대배수량으로 한다.

7.1.5 소화용수량
소화용수량은 다음 각 항을 기준으로 한다.
1. 도시의 성격, 소방시설, 인구밀도, 내화성 건축물의 비율, 기상조건 등을 고려한다.
2. 배수지가 담당할 계획급수구역 내의 계획급수인구가 5만 명 이하일 때에는 원칙
적으로 배수지 용량 설계 시에 소화용수량을 부록 1.의 <표 7.1.1>에 표시한 수
량 이상으로 가산한다. 다만, 상수도 이외에서 소화용수 공급이 가능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3. 배수관이 담당할 계획급수구역 내의 계획급수인구가 10만 명 이하일 때에는 원
칙적으로 배수관의 관경설계 시 소화용수량을 부록 1.의 <표 7.1.2>에 표시한 수
량 이상을 가산하여 검토한다. 다만, 상수도 이외에서 소화용수 공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4. 소화전 한 개의 방수량은 1m3/min 이상을 기준으로 하고 동시에 개방하는 소화
전의 수는 부록 1.의 <표 7.1.2>를 기준으로 정한다.

(2) 환경부 공고 제2011-163호(2011.4.22.) 하수도시설기준 제1장 기본계획

1.5 우수배제계획
1.5.1 계획우수량
계획우수량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한다.
(가) 우수유출량의 산정식
최대계획우수유출량의 산정은 합리식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의
해서 다양한 우수유출산정 방법들이 사용 가능하다.

53
(나) 유출계수
유출계수는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로부터 총괄유출계수를 구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다) 확률 연수
하수관거의 확률 연수는 10~30년, 빗물펌프장의 확률 연수는 30~50년을 원칙으
로 하며, 지역의 특성 또는 방재상 필요성에 따라 이보다 크게 또는 작게 정할
수 있다.
(라) 유달시간
유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을 합한 것으로서 전자는 최소단위배수구의 지
표면 특성을 고려하여 구하며, 후자는 최상류관거의 끝으로부터 하류관거의 어
떤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획유량에 대응한 유속으로 나누어 구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마) 배수면적
배수면적은 지형도를 기초로 도로, 철도 및 기존하천의 배치 등을 답사에 의해
충분히 조사하고 장래의 개발계획도 고려하여 정확히 구한다.

1.6 오수배제계획
1.6.1 계획오수량
계획오수량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한다.
(가) 오수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나) 합류식에서 하수의 차집관거는 우천 시 계획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다) 우천 시 계획오수량의 산정 시 생활오수량 외에 우천 시 오수관거에 유입되
는 빗물의 양과 지하수의 침입량을 추정하여 합산하여 구한다.

1.7 하수처리·재이용계획
1.7.2 계획오수량
계획오수량은 생활오수량(가정오수량 및 영업오수량), 공장폐수량 및 지하수량으로
구분해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한다. 또한, 소규모하수도 계획 시에는 필요한 경
우 가축폐수량을 고려할 수 있다.
(가) 생활오수량
생활오수량의 1인 1일 최대오수량은 계획목표년도에서 계획지역 내 상수도계획
(혹은 계획예정)상의 1인 1일 최대급수량을 감안하여 결정하며, 용도지역별로
가정오수량과 영업오수량의 비율을 고려한다.
(나) 공장폐수량
공장용수 및 지하수 등을 사용하는 공장 및 사업소 중 폐수량이 많은 업체에 대
해서는 개개의 폐수량조사를 기초로 장래의 확장이나 신설을 고려하며, 그 밖의

54
업체에 대해서는 출하액당 용수량 또는 부지면적당 용수량을 기초로 결정한다.
(다) 지하수량
지하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
(라) 계획 1일 최대오수량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에 계획인구를 곱한 후, 여기에 공장
폐수량, 지하수량 및 기타 배수량을 더한 것으로 한다.
(마) 계획 1일 평균오수량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바) 계획시간최대오수량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를 표준
으로 한다.
(사) 합류식에서 우천 시 계획오수량
합류식에서 우천 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
으로 한다.

55
수행 내용 / 상수 오수관로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국내 항공법 및 관련 설계기준

Ÿ 해외(ICAO 및 FAA 등) 설계기준

Ÿ 환경부 상수도시설기준 및 하수도시설기준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설계용 S/W

Ÿ 문서작성용 S/W 등

안전·유의 사항

Ÿ 상수관로 설계는 취수원 선정에서부터 수처리, 저수, 배수관망구성 등을 시스템적으로 설계하되


공항이용자의 용수량을 충분히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Ÿ 오수관로 설계는 사용수의 집수, 차집관망구성, 오수처리 및 폐기물처리까지 계획적으로 설계하


여야 하며 특히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상수시설 설계하기
상수시설 설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계한다.

1. 상수시설 설계의 개념 및 방향 정립하기

(1) 상수시설 계획 및 설계는 사업대상지역의 대내외 환경여건 변화와 급배수 수요변화


에 대비하여 장래 용수수요를 예측하여 기존 상수시설을 검토하고 장래 상수 시설
계획의 방향을 정립한다.

(2) 계획배수구역은 기존 및 상위계획을 검토 분석하고 해당 사업을 고려하여 계획구역


을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배수구역으로 구분한다.

(3) 취수원 확보를 위하여 기존 상수원 현황을 조사하고 필요시 정수시설을 계획한다.
계획구역의 수요예측에 따라 용수수요량을 산정하고 급수관로계획을 수립한다.

56
(4) 상수시설 설계를 위한 흐름도

[그림 1-22] 상수시설 설계 흐름도

2. 계획 배수구역 설정하기

(1) 계획 배수구역의 설정은 급수수요예측 결과를 기준으로 목표연도를 고려하여 구역


을 설정하며 대개 급수원(배수지) 또는 취수원을 중심으로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서
는 다수의 배수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배수구역을 설정할 때에는 배수지의 용량, 송수관로의 규격 및 관망체계를 고려하고


가능한 한 별도의 가압, 감압시설이 필요치 않는 급수계통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한다.

3. 기존 배수시설 현황 조사 및 분석하기
기존 배수시설 현황은 급수공급계통 현황조사를 수행한다. 급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취
수장, 정수장, 배수지 현황을 조사하고 급수계통 송수관로 관망체계를 조사 분석한다.

4. 급수량 산정하기

(1) 상수를 공급하는 급수량을 산정하되 배수과정에서 발생되는 누수량 등을 무수수량


을 고려한다. 유효무수수량에는 소화용수량을 포함한다.

(2) 급수량 산정 시 고려하여야 하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유효수량
- 유수수량(조정수량): 요금징수의 대상이 되는 수량
- 유효무수수량: 상수도 사업용수량, 수도계량기 불감수량, 소화용수량, 부정사용량 등
∙ 무효수량: 누수량

(3) 급수량 산정 시에는 유수율, 첨두부하율 등을 고려하며 일평균급수량, 일최대급수


량. 시간최대급수량을 산정한다.

5. 계획 용수수요량 산정하기

(1) 용수수요량 산정지표인 원단위, 유수율 및 첨두부하율 등은 기존 및 상위계획 지표


를 고려하고 설계기준 및 지침을 적용한다.

(2) 소화용수는 화재 발생 시 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것으로 설계기준 및 지침을


적용하여 산출한다.

57
6. 급수관로 계획 수립하기

(1) 급수관로 계획은 기존 급수관로 현황을 조사하고 단계별 급수소요량을 근거로 한다.

(2) 급수관로의 관경은 유량, 유속, 관의 길이, 관종에 따른 마찰계수 등을 고려하여 결


정하며 다소 여유있는 관경을 선정한다.

(3) 급수관망은 가급적 루프화를 이루도록 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다. 배관망의 루


프화는 관로망 장애 시 공급차단구역을 최소화하여 복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복구작업 시에도 급수가 가능하다.

[그림 1-23] 급수관로 및 오수관로 계획

 오수시설 설계하기
오수시설 설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계한다.

1. 오수시설 설계의 개념 및 방향 정립하기

(1) 오수시설의 계획 및 설계는 사업대상 지역 주변의 환경여건 변화와 수요예측 변화


에 따라 종합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한다.

(2) 하수는 우수와 오수로 대별하며 공항사업 계획구역의 오수는 여객, 방문객, 종사원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생활오수와 기내식 제조시설, 항공기 오수처리시설, 항공기 정
비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로 구분한다.

(3) 하수의 배제방식은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합류식은 우수와 오수를
동일한 관망으로 배제하는 방식이며 분류식은 우수와 오수를 별도의 관망으로 배제
하는 방식이다. 분류식은 초기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많지만 오수처리를 위한 유지

58
관리비용이 적게 소요되므로 빈번히 채택된다. 공항여건을 고려하여 배제방식을 결
정한다.

(4) 오수시설 설계를 위한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1-24] 오수시설 설계 흐름도

2. 계획 오수처리구역 설정하기
오수처리구역의 설정은 오수차집을 위한 오수관로의 연장, 오수처리시설의 위치 등을 고
려하여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별적으로 처리구역을 설정하여 독립적으로 오수처리
시설을 설치한다.

3. 기존 오수처리시설 현황조사 및 분석하기

(1) 설정된 오수처리구역별로 기존 시설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2) 오수관로현황(자연유하구간 및 압송구간), 오수처리방식, 항공기 내 발생 오수의 중


간처리를 위한 여객터미널 지역의 오수처리시설 현황, 오수 중계펌프시설 현황 등
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4. 계획오수량 산출하기

(1) 계획오수량은 용수사용량에 오수전환율, 지하수 유입량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계획


오수량은 오수처리시설의 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며 특히 공항계획에서는
생활오수뿐만 아니라 기내식 제조시설, 항공기 오수 등을 고려한다.

(2) 계획오수량을 산출하기 위한 원단위는 기본적으로 환경부의 하수도시설기준을 적용


한다. 공항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기존공항의 오수발생량 통계, 유사공항의 계획오
수량 산출 사례 및 국토교통부의 전국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하는 계획
오수량 산출에 적용된 원단위를 고려한다.

59
<표 1-6> 도시규모별 보급율 및 1인 1일 급수량의 예(2008년 기준)
총인구 급수인구 보급률 급수량 1일 1인당 급수량
구분
(천명) (천명) (%) (천톤/일) (l/ed)
전국 50,394 46,733(47,423) 92.7(94.1) 15,766 337
특광역시 23,326 23,194(23,236) 99.3(99.5) 7,346 317
시지역 18,013 17,702(17,730) 98.3(98.4) 7,354 415
읍지역 3,903 3,409(3,484) 87.4(89.3)
1,066 183
면지역 5,117 2,427(2,972) 47.4(58.1)
주) 급수인구 및 보급률 자료 중 ( )에 있는 자료는 마을상수도 포함한 내역임
자료: 환경부(2009). 상수도 통계.
출처: 환경부 공고. 제2011-163호(2011.4.22). 하수도시설기준, p.55

<표 1-7> 용도지역별 영업오수율(일평균) 예


용도지역 영업오수율 비 고
상업지역 0.6 ~ 0.8
용도지역별로 영업용수량과 영업용지율과의 상
주거지역 0.3
관을 구한 후에 1인당 가정용수량에 대한 비율로
준공업지역 0.5
설정한 것이다.
공업지역 0.2
출처: 환경부 공고. 제2011-163호(2011.4.22). 하수도시설기준, p.55

5. 단계별 건설계획 및 오수관로계획 수립하기

(1) 발생오수의 차집을 위하여 오수처리구역 내에서 신설관로, 개량관로, 오수중계 펌프


시설 등을 계획하고 오수처리장을 설계한다. 오수처리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
므로 처리효율, 주변환경,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오수관로계획 및 처리장계획이 수립되면 수요예측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단계별 건


설계획을 수립한다.

60
1-4. 기타 부대시설 설계

• 기타 공항에 필요한 소요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기타 부대시설에서는 비행장 분류, 공시거리 산출, 대기지역, 제방빙시설, 커브사이드
및 주차장 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국내 법규 및 기준

1. 항공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1) 항공법 시행령 제10조(공항시설의 구분)


법 제2조 제8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이란 다음 각 호의 기본시설 및 지
원시설 등을 말한다. <개정 2013.3.23., 2016.6.21.>

1.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기본시설


가.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착륙대 등 항공기의 이착륙시설
나.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등 여객시설 및 화물처리시설
다. 항행안전시설
라. 관제소, 송수신소, 통신소 등의 통신시설
마. 기상관측시설
바. 공항 이용객을 위한 주차시설 및 경비·보안시설
사. 이용객에 대한 홍보시설 및 안내시설

2.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지원시설


가. 항공기 및 지상조업장비의 점검·정비 등을 위한 시설
나. 운항관리시설, 의료시설, 교육훈련시설, 소방시설 및 기내식 제조·공급 등을
위한 시설
다. 공항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항 운영·관리시설
라. 공항 이용객 편의시설 및 공항근무자 후생복지시설
마. 공항 이용객을 위한 업무·숙박·판매·위락·운동·전시 및 관람집회 시설
바. 공항교통시설 및 조경시설, 방음벽, 공해배출 방지시설 등 환경보호시설
사. 상·하수도 시설 및 전력·통신·냉난방 시설
아. 항공기 급유시설 및 유류의 저장·관리 시설
자. 항공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시설

61
차. 공항의 운영·관리와 항공운송사업 및 이와 관련된 사업(이하 “항공운송사
업등”이라 한다.)에 필요한 건축물에 부속되는 시설
카.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신
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설비

3. 도심공항터미널

4. 헬기장에 있는 여객시설, 화물처리시설 및 운항지원시설

5. 공항구역 내에 있는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지정된 자유무역지역에 설치하려는 시설로서 해당 공항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시설

6.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공항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시설


[전문개정 2009.9.9.]

(2) 항공법 시행령 제16조(비행장의 설치기준)

① 법 제75조 제2항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치하는 비행장은 제9


조의3 각 호의 비행장과 같다. <개정 2013.3.23.>

② 법 제75조 제3항에 따른 비행장의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7.24.,


2013.3.23.>
1. 비행장 주변에 항공기의 이륙·착륙에 지장을 주는 장애물이 없을 것. 다만,
해당 비행장의 공사 완료 예정일까지 그 장애물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비행장의 체공선회권(滯空旋回圈: 비행장에 착륙하려는 항공기의 체공선회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비행장 상공의 정해진 공역을 말한다. 이하 같
다.)이 인접한 비행장의 체공선회권과 중복되지 아니할 것
3. 비행장의 활주로·착륙대·유도로의 길이 및 폭과 각 표면의 경사도 및 비행
장 표지시설 등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③ 제9조의3 제1호에 따른 육상비행장의 설치기준은 별표 1의2에 규정된 해당 육상


비행장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최소이륙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진 분류번
호와 해당 육상비행장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주(主) 날개 폭 및 주륜(主
輪) 외곽의 폭을 고려하여 정해진 분류문자의 조합에 따라 국토교통부령으로 정
하는 기준에 따른다. <개정 2013.3.23., 2016.6.21.> [전문개정 2009.9.9.]

(3) 항공법 시행규칙 제222조(비행장의 설치기준)


영 제16조 제2항 제3호 및 제3항에 따른 활주로·착륙대·유도로 등의 설치기준은 다
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1.18., 2012.7.27., 2013.3.23.>

62
1. 육상비행장에는 별표 1·별표 35 및 별표 36의 설치기준에 적합한 활주로·착륙
대와 유도로를 갖출 것. 다만,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지
장이 없다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육상헬기장·옥상헬기장·선상헬기장·해상구조물헬기장에는 별표 2의 규격에 적
합한 활주로·착륙대·유도로(설치하는 경우만 해당한다.)를 갖출 것. 다만, 지형
조건 등을 고려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지장이 없다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육상비행장과 육상헬기장에 설치하는 활주로·유도로 및 에이프런(격납고의 광장


을 말한다. 이하 같다.)은 항공기의 운항에 충분히 견뎌 낼 수 있는 강도일 것

4. 육상비행장과 육상헬기장의 활주로 및 유도로는 항공기의 항행안전을 위하여 국


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상호 간 거리와 접속점에서의 각도 및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

5. 육상비행장에는 활주로와 유도로의 양측과 에이프런의 가장자리에 국토교통부장


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폭·강도 및 표면을 가진 갓길(shoulder)을 설치할 것

2. 설계기준 및 설계지침 등

(1) 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제1절 육상비행장 분류
기준, 제5절 대기지역, 제방빙 시설 등

(2) 설계지침
국토교통부 예규 제52호 (2014.05.12.) 비행장시설(활주로) 설계 매뉴얼, 제3장 3.4 공시
거리의 계산, 제5장 5.3 활주로 착륙대, 부록 1. 분류번호 및 분류문자에 의한 항공기
분류

 해외 기준

1.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기준
ICAO Annex 14, Aerodromes, Vol.1, 6th edition (2013.7)

2.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기준
FAA AC150/5300-13A, Airport Design, Chg1 (2014.2)

63
수행 내용 / 기타 부대시설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국내 항공법 및 관련 설계기준

Ÿ 해외(ICAO, FAA 등) 설계기준

Ÿ 유사 프로젝트 설계도서 및 참고자료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플로터 등)

Ÿ 설계용 S/W

Ÿ 문서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Ÿ 비행장의 분류는 공항계획을 수립하고 설계하는 데 기본적인 사항이며 안전하고 편리한 공항을
건설할 수 있도록 정확히 분류하여야 한다.

Ÿ 기타 부대시설 설계는 중규모 이상의 공항에서는 공항의 서비스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시설소요를 충분히 만족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비행장 분류하기
비행장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비행장을 이용하는 항공기의 종류에 적합하게 등급을 분류함
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전한 비행장을 건설하게 된다.
최적의 비행장 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비행장을 분류번호 및 분류문자로 구분하며 이에
따라 비행장 설계를 수행한다.

1. 비행장분류 기준 적용하기

(1) 국제기준의 의한 비행장분류 기준 적용하기


비행장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다음 표와 같이 해당 비행장을 이용하는 항공기가 이착
륙하는 데 필요로 하는 활주로길이 및 항공기의 물리적 제원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64
<표 1-8> 육상비행장의 분류기준
분류요소 1 분류요소 2
분류 분류
항공기의 최소이륙거리 항공기 주 날개의 폭 항공기 주륜외곽의 폭
번호 문자
A 15m 미만 4.5m 미만
1 800m 미만 B 15m 이상 24m 미만 4.5m 이상 6m 미만
2 800m 이상 1,200m 미만 C 24m 이상 36m 미만 6m 이상 9m 미만
3 1,200m 이상 1,800m 미만 D 36m 이상 52m 미만 9m 이상 14m 미만
4 1,800m 이상 E 52m 이상 65m 미만 9m 이상 14m 미만
F 65m 이상 80m 미만 14m 이상 16m 미만
출처: ICAO Annex 14, Aerodromes, Vol.1, 6th edition (2013.7.)

2. 비행장 분류하기
육상비행장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1) 요소 1의 적용에 의해 분류하기


분류요소 1은 분류번호로 표기하며 숫자 1에서 4까지로 분류한다. 분류에 적용하는 기준
은 항공기의 최소이륙거리이다. 항공기의 최소이륙거리는 활주로 상태가 다음과 같을 때
최대이륙중량을 가진 항공기가 이륙하는 데 소요되는 최소 활주로길이를 말한다.

(가) 비행장 표고: 0m

(나) 표준대기상태(Standard atmospheric condition)


“표준대기상태(Standard atmospheric condition)”라 함은 대기상태에 따라 항공기
의 성능이 다르므로 일정기준이 되는 표준대기상태에서의 항공기 성능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고도: 평균해수면
2) 온도: 15℃
3) 해수면의 기압: 1,013.2mb(14.649psi)
4) 공기의 비중: 1.225kg/m3

(다) 바람: 무풍

(라) 활주로 경사도: 0

(2) 요소 2의 적용에 의해 분류하기


분류요소 2는 분류문자로 표기하며 영문자 A에서 F까지로 분류한다. 분류에 적용되는
기준은 항공기의 주 날개 폭이나 항공기 주륜외곽의 폭을 적용한다. 이들 제원을 기준
으로 하여 둘 중 높은 분류문자를 적용한다.

(3) 비행장분류의 예
분류번호 및 분류문자를 사용하여 비행장분류를 예로써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65
(가) 4-E 등급 비행장: E급 항공기(예: B747-400)가 운항되는 활주로길이 1,800m 이
상의 비행장

(나) 2-B 등급 비행장: B급 항공기(예: ATR 42, ATR 72)가 운항하는 활주로길이
1,000m 내외의 비행장

 활주로 공시거리 산출하기


활주로 공시거리는 항공기 안전운항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1. 활주로길이 산정하기

(1) 활주로길이 산정 요소
활주로길이를 산정할 때는 다음의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한다.

(가) 취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성능 및 운항 시의 중량

(나) 기후조건, 특히 지상풍 및 기온

(다) 활주로경사 및 표면조건 등과 같은 활주로 특성

(라) 비행장의 위치: 기압 및 지형적인 장애에 영향을 주는 비행장 표고 등

(2) 활주로길이 산정의 조건


활주로길이는 동 활주로를 사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운항상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항공기의 성능 및 운항조건을 해당 비행장의 시설조건에 맞도록 보정하여 산출
한 최대길이보다 길도록 산정한다. 다만 활주로의 이용률을 95% 이상 확보하기 위하
여 추가로 설치하는 보조활주로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3) 활주로길이 산출하기

(가) 활주로길이를 결정하고 활주로의 양방향에서 운항상의 필요사항을 결정할 때


이륙과 착륙 시 요구조건을 모두 고려한다.

(나) 활주로길이 산출 시 고려해야 하는 해당 비행장의 요소로는 표고, 기온, 활주로


경사도, 습도, 활주로 표면조건 등이 있다.

(다) 활주로 기본길이는 취항하고자 하는 설계항공기의 성능매뉴얼의 활주로길이 산


정 도표로부터 표준대기상태에서의 기본길이를 산정한다.

(라) 표고에 대한 보정하기


① 활주로 기본 길이는 활주로의 표고가 평균해수면보다 300m 상승할 때마다
7%의 비율로 증가한다.
② 표준대기상태의 해수면 높이에서 이륙에 소요되는 활주로길이 가정: 1,700m
③ 비행장 표고: 150m

④ 표고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이륙길이: (1,700 × 0.07 ×  ) + 1,700 =1,760m


66
(마) 온도에 대한 보정하기
① 상기 (라)항에서 보정된 길이는 비행장표준온도(airdrome reference temperature)
가 그 비행장의 표고에서 표준대기상태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1℃ 상승할 때
마다 1%의 비율로 증가한다.
② 비행장표준온도: 24℃
③ 표고 150m에서 표준대기온도: 14.025℃
④ 표고 및 온도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이륙길이
[1,760 × (24-14.025) × 0.01] + 1,760 =1,936m

(바) 경사에 대한 보정하기


① 상기 (마)항에서 보정된 길이에 활주로 종단경사도 1%마다 10%의 비율로 더
증가되어야 한다.
② 활주로 종단경사도: 0.5%
③ 표고, 온도 및 종단경사도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이륙길이
(1,936 × 0.5 × 0.10) + 1,936 =2,033m

(4) 활주로길이 결정하기


착륙기본길이에 대해서도 표고보정을 한 후에 보정된 이륙길이와 비교하여 더 큰 값
을 활주로길이로 결정한다.

2. 활주로 공시거리 산정하기

(1) 활주로 공시거리 구분하기


항공기 이·착륙에 적합한 여러 가지 물리적 거리 및 관련된 정보는 항공정보간행물
에 정확히 공시하여야 한다. 공시거리(declared distance)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가) 이륙활주가용거리(TORA: take-off run available)


이륙항공기가 지상활주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의 길이
로서 일반적으로 포장된 활주로 부분의 길이

(나) 이륙가용거리(TODA: take-off distance available)


이륙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
다고 결정된 활주로 길이로서 이륙활주가용거리에 이륙방향의 개방구역을 더한 길이

(다) 가속정지가용거리(ASDA: accelerate stop distance available)


이륙항공기가 이륙을 포기하는 경우에 항공기가 정지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 길이로서 이륙활주가용거리에 정지로를 더한 길이

(라) 착륙가용거리(LDA: landing distance available)


착륙항공기가 지상활주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의 길이
로서 일반적으로 활주로 본포장의 길이

67
[그림 1-25] 활주로 종류에 따른 공시거리

(2) 활주로 공시거리의 산출하기

(가) 활주로에 정지로 및 개방구역이 없고 활주로 시단이 활주로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그림 1-25]의 (1))에 4가지 공시거리는 보통 활주로 길이와 같은 것
으로 산출된다.

(나) 활주로에 개방구역이 있는 경우([그림 1-25]의 (2))에 이륙가용거리(TODA)는 이


륙활주가용거리에 개방구역의 길이를 더하여 산출한다.

(다) 활주로에 정지로가 있는 경우([그림 1-25]의 (3))에 가속정지가용거리(ASDA)는


이륙활주가용거리에 정지로 길이를 더하여 산출한다.

(라) 활주로가 이설된 활주로시단이 있는 경우([그림 1-25]의 (4), (5))에 착륙가용거


리(LDA)는 활주로 시단이 이설된 거리만큼 감소하여 산출된다. 이설된 활주로시
단은 동 시단에서 이루어지는 진입에 대한 착륙가용거리(LDA)에만 영향을 미친
다. 반대 방향에서의 운항에 대한 모든 공시거리에는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3) 공시거리 산출 예시
어떤 활주로에 정지로나 개방구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활주
로의 길이는 활주로의 본포장 길이보다 정지로나 개방구역의 길이만큼 추가될 수 있
다.
공시거리의 산출 예시는 다음 [그림 1-26]과 같다.

68
[그림 1-26] 활주로 공시거리의 산출 예시

(가) 활주로 09방향의 경우 공시거리 산출하기


1) TODA=150+1,850=2,000
2) ASDA=150+1,850+300=2,300
3) TODA=150+1,850+580=2,580
4) LDA=1,850

(나) 활주로 27방향의 경우 공시거리 산출하기


1) TODA=1,850+150=2,000
2) ASDA=1,850+150+350=2,350
3) TODA=1,850+150+350=2,350
4) LDA=1,800

(다) 활주로 17방향의 경우 공시거리 산출하기: 착륙전용


1) TODA=사용불가
2) ASDA=사용불가
3) TODA=사용불가
4) LDA=1,800

(라) 활주로 35방향의 경우 공시거리 산출하기: 이륙전용


1) TODA=1,800
2) ASDA=1,800
3) TODA=1,800
4) LDA=사용불가

69
 대기지역(holding Bays) 계획 수립하기

1. 대기지역의 설치계획 수립하기

(1) 항공기 운항밀도가 중간이거나 고밀도인 경우에 항공기의 지상이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항공기 대기지역의 설치를 계획한다.

(2) 대기지역 설치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가) 대기지역의 위치는 다음과 같은 곳에 설치하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1) 유도로 또는 활주로와 유도로가 교차하는 지역
2) 교차활주로에서 하나의 활주로가 유도로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도로로 사용되
는 활주로의 교차부분
3) 대기지역은 유도로상에 있거나 유도로에 인접하여 별도의 패드를 설치한다.

(나) 유도 중인 항공기가 장애물 제한표면을 침범하거나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운영을


침해하는 경우에도 활주로 정지위치는 유도로 상에 설치한다.

2. 대기지역의 형태 및 제원 설계하기

(1) 대기지역 및 활주로 정지위치와 활주로 중심선과의 이격거리는 다음 <표 1-9>와 같


으며 정밀접근 활주로인 경우에는 대기 중인 항공기가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운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활주로 중심선에서의 이격거리를 증가시켜야 한다.
<표 1-9> 대기지역 및 활주로 정지위치와 활주로 중심선과의 이격거리
비행장 분류번호
활주로 운용형태
1 2 3 4
비계기 30m 40m 75m 75m
비정밀 접근 40m 40m 75m 75m
정밀접근 CAT-Ⅰ 60m 60m 90m 90m(a)
정밀접근 CAT-Ⅱ, Ⅲ - - 90m 90m(a)
이륙활주로 30m 40m 75m 75m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a) 분류문자 F에서는 활주로 중심선에서의 이격거리를 107.5m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비행장 분류번호 4인 정밀접근활주로의 이격거리 90m는 비행장 표고가 700m를 초


과하는 경우에 700m 초과분에 대해서 100m당 1m씩 증가시켜 설계한다.

(3) 비행장 분류번호 4인 정밀접근활주로에서 대기지역 및 활주로정지위치의 표고를 가


까운 쪽의 활주로시단 표고와 비교하였을 때 대기지역의 표고가 높은 경우에는 <표
1-9>의 이격거리 90m 또는 107.5m(분류문자 F의 경우)를 표고차 1m당 5m씩 증가하
도록 설계한다.

70
(4) 대기지역의 면적은 이용하는 항공기가 독립적으로 기동하기에 충분하여야 하며 주
기된 항공기와 유도로 및 계류장 유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항공기 간의 이격거리는
다음 <1-10>의 수치보다 크도록 설계한다.
<표 1-10> 대기지역에서의 항공기 간 여유거리
분류문자
구 분
A B C D E F
항공기 날개끝 여유거리 7.25m 7.25m 5m 10m 10.5m 13m
출처: 국토교통부 고시. 2014-622 (2014.10.15).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 제·방빙시설 계획 수립하기

1. 제·방빙 시설의 설치계획 수립하기


결빙이 예상되는 비행장에는 항공기 제·방빙 시설의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1) 제·방빙 시설은 제·방빙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차집시설 또는 차집장비의 설치를 계획한다.

(2) 제·방빙 시설은 이륙활주로로 이동하는 유도로의 경로 중 특정 원격지역에 설치하


거나 특정 계류장에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3) 원격 제·방빙 시설은 장애물제한표면에 저촉되지 않도록 계획하며 항행안전무선시


설의 운용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한다. 항공기의 제·방빙장 진출
입을 관제탑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4) 원격 제·방빙 시설은 항공기가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야 하며 제·방


빙장을 진출입할 때 비정상적인 지상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계획을 수립한다.

2. 제·방빙장의 형태와 제원 설계하기

(1) 제·방빙장은 제·방빙용 차량이 항공기 주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가장 큰 항공


기의 주기면적에 사방 3.8m 이상의 포장지역을 갖추어 설계한다.

(2) 비행장에서 필요한 제·방빙장의 수는 다음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가) 기상조건

(나) 항공기 기종

(다) 제·방빙 물질의 사용방법

(라) 사용 장비의 종류, 성능 및 형태

(마) 단위 시간당 항공기 출발 횟수

3. 제·방빙장의 경사도 설계하기

(1) 제·방빙장은 적절한 배수가 되도록 적당한 경사도로 설계하며 항공기 제·방빙 처

71
리 시 발생되는 제·방빙 물질을 차집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2) 종단경사도는 가능한 한 없도록 하고 횡단경사도는 1%를 넘지 않도록 설계한다.

4. 제·방빙장의 강도 설계하기
제·방빙장은 이용 항공기의 최대 중량을 견딜 수 있는 포장의 강도로 설계한다.

5. 제·방빙장의 이격거리 설계하기


항공기 안전을 위한 제·방빙장의 이격거리는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1) 제·방빙장은 안전한 항공기 주기를 위하여 항공기 계류장의 최소 이격거리를 준수


하여 설계한다.

(2) 제·방빙장 구역 내에 우회유도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항공기 계류장유도선의 중


심선과 장애물 간 최소 이격거리를 적용하여 설계한다.

(3) 제·방빙 시설이 정규 유도로에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도로(항공기 계류장유도


선 제외) 중심선과 장애물 간 최소 이격거리를 적용하여 설계한다.

[그림 1-36] 제·방빙시설 및 작업 전경

6. 제·방빙 물질의 처리계획 수립하기


제·방빙 물질이 주변 환경오염 및 포장표면의 마찰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처리계획을 수립한다.

(1) 제·방빙 작업 시 발생하는 제·방빙 물질이 항공기에서 흘러내린 후 가능한 한 전


량이 차집될 수 있도록 차집시설 또는 차집장비를 갖추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2) 제·방빙 물질의 외부유출로 인하여 일반 지표수 또는 지하수 등과 섞이지 않도록


철저히 분리수거함으로써 주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72
 여객터미널 커브사이드의 설계하기

1. 커브사이드의 구성요소 계획하기


여객터미널 출입구에서 여객이 육상교통시설을 이용하여 승하차하는 공간인 커브(curb)
또는 커브사이드(curbside)는 공항시스템의 중요한 시설이다. 커브사이드의 구성요소는 다
음과 같은 시설을 계획한다.

(1) 터미널 전면도로: 차량의 이동차로, 통과차로, 추월차로, 대기차로 등으로 구성

(2) 보도 및 승강장

(3) 표지(방향과 구역표시)

(4) 터미널 출입구

(5) 횡단보도

[그림 1-37] 커브사이드 전경

2. 커브사이드의 체크인시설 계획 수립하기


경우에 따라서는 커브사이드에 수하물 체크인 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커브사이드 수
하물 체크인 시설은 수하물을 커브사이드에서 해당 항공 편으로 직접 운반처리한다. 소요
시설은 수하물 체크인 데스크(일반적으로 이동식), 수하물 운반장비, 수하물용 컨베이어
등을 계획한다. 여객터미널을 설계할 때 커브사이드 체크인시설의 컨베이어 설치를 위한
공간을 계획하여야 하며 확장 계획도 계획한다.

3. 커브사이드의 배치계획 수립하기

(1) 차종별 구역할당 계획수립하기


커브사이드는 승용차, 버스 등 다양한 차종이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특히 일반버스(노선버스), 리무진, 전세버스, 택시 등은 지정된 정차구역을 계획하고 차
량운행을 통제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73
(2) 여객통제 계획수립하기
자가용 승용차 또는 택시를 이용하는 여객의 승하차 및 수하물의 적재 적하는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항공사별 커브사이드 구역할당, 표지의 설치를 통한 안
내, 터미널 출입구 할당 등의 계획을 수립한다.

(3) 대기차로 계획수립하기


차량 대기차로는 수하물과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보도에 인접한 첫
번째 차로를 배치한다. 대기차로의 길이 및 폭은 첨두 시 교통량을 지체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4) 차량 점유시간의 산정 및 결정하기


커브사이드에서는 차량의 승하차만이 이루어져야 하며 차량의 대기 또는 임시 주차공
간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철저한 통제가 필요하다. 커브사이드에서 차량이 정차하는 시
간을 “점유시간(차량당)”이라고 하며 차량의 점유시간은 차량의 종류, 차량당 여객의
수 및 여객의 수하물량에 따라 달라진다. 출발 및 도착여객을 위한 점유시간은 <표
1-11>과 같으며 일반적으로 출발여객의 커브사이드 점유시간이 도착여객을 위한 경우
보다 시간이 짧다.
차량 점유시간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해당 공항이나 유사 공항의 교통현황 조사를 수
행하여 공항별 여객특성 및 수하물 특성에 맞는 실제 커브사이드의 운영 실태를 반영
하여 결정한다.
<표 1-11> 차량종류별 점유시간 및 커브길이
평균 점유시간(분)
구분 차량 점유길이(m)
출발 도착
승용차 1∼3 2∼4 7.5
렌터카 1∼3 2∼4 7.5
택시 1∼2 1∼3 6.0
리무진 2∼4 2∼5 10.5
버스 2∼5 5∼10 15.0
출처: FAA(1994), AC150/5360-13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Airport Terminal Facilities.

(5) 이중 커브사이드의 계획 수립하기


교통량이 많아서 커브사이드 길이가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터미널의 길이가 짧은 공항
에서는 이중으로 커브사이드를 계획함으로써 별도의 정차대를 설치하여 상업용 차량
과 자가용을 분리한 커브사이드를 계획한다. 이러한 별도의 정차대는 버스 승강장, 택
시 승강장 또는 렌터카 대기장소 등으로 별도로 지정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이러한 경
우 효율적인 보행자보도의 설치를 계획한다.

74
(9) 도착, 출발별 커브사이드 길이 적용하기
도착 및 출발 여객으로부터 각각 산출된 커브사이드의 길이는 터미널의 도착층, 출발
층별로 구분 적용하여 계획하거나 전체 터미널 길이와 비교하여 배치한다. 도착층, 출
발층이 분리되지 않은 단층터미널의 경우에는 각각 산출된 도착, 출발 커브길이 중 긴
커브길이를 적용한다.

4. 커브사이드의 소요길이 산출하기


커브사이드 길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산출한다.
커브사이드의 배치 및 길이는 여객터미널의 형태 및 운영계획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한
다. 커브사이드 소요길이 산출 시 기존공항의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공항별 특성을 고려하
고 이용객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안전 측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1) 미국 FAA 방법으로 산출하기


커브 소요길이를 산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인자는 다음과 같으며, 고려 대상 공항마
다 관측을 통하여 얻는다.

(가) 커브사이드 산출을 위한 입력요소 결정하기


커브사이드 산출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은 실제 공항현장에서 조사를 통하
여 결정한다.
1) 도착 및 출발여객 교통량의 설계시간 결정
첨두시간대 내에서 출발여객에 대한 설계주기를 결정한다. 설계주기는 첨두 10
분 또는 20분 등으로 결정하기도 하지만 대개 첨두시간 1시간으로 결정한다.
(특정 공항의 경우에 첨두 20분의 여객이 첨두시간 여객의 50%에 육박하는 경
우도 있음)
2) 총 여객에 대한 환승/통과여객의 비율 결정
총 여객 교통량에서 환승/통과여객수를 제외한 순수 도착 및 출발여객을 산출하
여 커브사이드를 실제 이용하는 교통량을 결정하고 구내도로 시설소요 산정에
적용한다.
3) 차량 수단별 분담률의 결정
현장실사를 통하여 승용차, 택시, 버스 등 수단분담률을 결정한다.
4) 커브사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주차장을 이용하는 여객의 비율 결정
터미널 내에서 단기주차장이나 장기주차장으로 직접 이동하는 여객교통량을 산
출한다.
5) 여객에 대한 방문객(환영/환송/일반방문) 비율과 여객 및 방문객이 개인 승용
차를 사용하는 비율 결정
6) 차량 수단별 재차인원 및 커브사이드에서의 점유시간 결정

75
(나) 커브사이드 길이 산출 공식
1) 시간당 커브사이드를 점유할 수 있는 종류별 차량대수
분
  차량대수 개소  시간
차량종류별 점유시간
여기서 점유시간은 해당 커브사이드에서 정차하는 시간(승·하차 및 수하물의
적재적하 등)과 차량이 커브사이드를 빠져나가거나 들어오기 위해 이동하는 진
출입시간을 포함
2) 차량종류별 첨두시간대 필요한 점유차량의 수
커브도착여객수  시간
  차량별 소요 차량대수
재차인원 × 시간당 커브사이드에서의 차량수
3) 차량별 소요되는 커브사이드의 길이
차량별 점유길이 × 차량별 소요 대수=차량별 커브 소요길이
차량별 점유길이는 <표 1-11>의 값을 적용한다.

(다) 커브사이드 길이산출 예


자료조사에 의한 입력요소결정 및 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한 커브사이드 길이산출은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
1) 커브사이드 산출요소 결정 및 도출
① 첨두 시 여객
첨두시간 - 출발: 시간당 1,000명
첨두시간 - 도착: 시간당 1,200명
(도착 및 출발 첨두시간은 같은 시간대에 일어나지 않는다.)
② 환승/통과여객 비율: 15%
출발여객=시간당 850명
도착여객=시간당 1,020명
③ 출발여객에 대한 차량 종류별 분포
출발여객의 80% (680명) 소형승용차 이용
출발여객의 10% ( 85명) 택시 이용
출발여객의 5% ( 43명) 리무진 이용
출발여객의 5% ( 42명) 버스 이용
④ 주차장 사용비율: 30%
30%의 소형승용차 이용객(204명)이 커브사이드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주차
장에 진입. 따라서 475명의 승용차량 이용 여객만이 커브를 사용
⑤ 방문객 비율: 1:1 (커브를 사용하는 475명에 대한 비율)
950명의 인원이 커브사이드를 이용

76
⑥ 차량 형태별 재차인원 및 점유시간
- 소형승용차: 1.5인, 2.0분
- 택시: 1.25인, 1.5분
- 버스: 5인, 3.0분
- 리무진: 2인, 2.0분
2) 커브사이드 소요길이 산출
① step 1
시간당 소형승용차의 점유대수=60분/2.0분=30대/시간
② step 2
여객을 고려한 시간당 승용차 점유대수=950인/1.5인(재차인원) × 30(대/시간)
=22대
③ step 3
커브사이드 소요길이=22대 × 7.5m/대=165m

(2) IATA 방법으로 산출하기

(가) 커브 소요길이 산출식


L=aplt/60n
여기서, a: 첨두 시 출발여객
p: 승용차/택시를 이용하는 여객의 분담률
n: 승용차/택시의 승차인원
l: 승용차/택시의 평균 커브 소요길이(m)
t: 승용차/택시의 평균 커브 점유시간(분)

(나) 커브사이드 길이산출 예


1) 가정값
a=1,000인 / p=0.7 / l=6.5m / t=1.5분 / n=1.7인
- 버스를 위한 커브길이와 분리
- 승용차와 택시의 평균 승차인원과 차량길이는 동일
2) 산출
L=1,000 × 0.7 × 6.5 × 1.5 / 60 × 1.7=67m

77
 주차시설 설계하기
랜드사이드 지역의 주차시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계획하고 설계한다.

1. 주차시설의 배치계획 수립하기


공항의 주차시설은 크게 기능별로 여객용, 화물용, 종사원용 및 기타 목적 등으로 구분하
여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기능별 주차시설의 배치계획은 공항운영 및 여객과 차량의 이동
동선을 고려하여 공항 내 다른 시설물의 배치계획과 연계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여객과
화물, 종사원의 주차시설은 분리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일반적으로 공항 주차시설은 지표면 주차장의 형태로 계획하지만 수요의 증가에 따른 확
장시 부지여건(가용부지 및 매입조건), 효율적인 주차관리, 여객 편의 등을 고려하여 지하
및 입체(주차빌딩) 등 다양한 주차방식으로 계획한다. 주차시설의 배치계획 수립 시 진출
입구 및 차량동선계획은 공항 구내도로망, 커브사이드 배치계획, 터미널(여객 및 화물)과
부대건물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1) 여객용 주차시설 계획하기


여객용 주차시설은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지만 여객편의를 위
해 택시, 리무진 및 전세버스용 공용주차시설을 별도로 계획하기도 한다. 주차수요가
큰 공항의 경우에는 장단기주차장을 별도로 배치하여 주차요금 차등제를 적용하기도
하며 장기주차장은 터미널로부터 먼 거리에 설치하여 전용 셔틀버스 운영계획을 수립
한다. 또한 렌터카 주차장을 별도로 계획한다.

(2) 화물 관련 주차시설 계획하기


화물터미널 지역에는 화물차량용 주차시설을 계획하는 동시에 종사원 및 이용자를 위
한 일반차량 주차시설을 계획한다.

(3) 종사원 관련 주차시설 계획하기


종사원 주차시설은 공항 내 부대건물별로 주차시설 계획을 수립한다.

(4) 기타 목적 주차시설 계획하기


공항내에 VIP용 시설(터미널 및 계류장)이 있는 경우에는 의전(VIP) 주차시설을 계획한
다. VIP 주차시설을 배치할 때에는 편리한 동선뿐만 아니라 보안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제설장비와 같은 동절기용 공항유지관리장비, 급유차량, 제빙장비 등 특수차
량을 위한 주차시설을 별도로 계획한다.

2. 장단기 주차시설 계획하기


공용주차장 시설배치 시 주차시간에 따른 장기 또는 단기주차장을 구분하여 계획한다. 장
기 또는 단기 주차장의 구분은 공항의 요금 징수체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6시간 이
상의 주차를 장기주차로 구분한다.

78
단기주차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유형은 대부분 여객의 환영이나 환송을 위한 방문객이
주류를 이루며 주차시간은 공항특성에 따라 국제선, 국내선, 시간대별로 다르다. IATA(국
제항공운송협회)에서는 단기주차의 경우 3∼5시간 또는 그 이하의 시간으로 주차하는 것
으로 간주한다. 단기 주차장은 대부분의 여객 및 방문자가 이용하는 시설이므로 여객터미
널에 인접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대형공항에서는 장기주차장을 별도로 설치한다. 장기주차장은 여객터미널에서 원격에 위
치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터미널로 접근하려는 여객의 운송을 위하여 셔틀버스, 전동
차, 궤도차 등 별도의 운송시스템을 계획한다.

[그림 1-38] 여객용 단기주차장 전경

3. 택시 및 버스 대기 주차시설 계획하기
여객수요가 많은 대형공항에서는 도착여객을 위한 택시 및 전세버스 등 대중교통 시스템
을 위한 별도의 대기 주차공간의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택시의 경우에는 커브사이드 인근
에 대기열을 배정하여 도착여객을 픽업하도록 계획하고, 버스의 경우에는 별도의 주차장
에 대기 후 스케줄에 따라 커브사이드로 진입하여 여객을 수송하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단체 여객이 많은 관광 특성의 공항에서는 여객터미널에 가까운 단기주차장의 일부를 버
스승강장으로 지정하여 단체여객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4. 렌탈카용 주차시설 계획하기


공항 여객의 렌탈카 이용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교통량이 작은 소형공항에서는
렌탈카의 장기주차는 주차장의 운영에 지장이 없는 한 터미널에 인접한 공용주차장에 배
치한다. 수요의 증가로 공용주차장에서의 장기 주차가 불가한 경우에는 원격지역에 별도
주차공간을 확보하도록 계획한다. 이때 소량의 차량은 커브사이드의 지정된 공간에서 도
착여객의 이용을 위해 대기하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79
5. 종사원 주차시설 계획하기
종사원 주차장은 일반적으로 공용주차장과 분리하여 배치하며 공항의 규모, 종사자의 근
무지 분산 정도를 고려하여 통합 또는 지역별로 분리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부지활용
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원격지에 주차시설을 배치하고 셔틀운송시스템으로 운송하는 방안
을 계획한다.
주차장 규모 산정시 종사원뿐만 아니라 종사원과 관련한 업무방문자의 수요도 고려하여
여유 주차공간을 확보하도록 계획한다.

6. 주차수요 및 면적 산출하기
주차수요와 면적은 해당 주차장의 이용 특성, 차량 특성, 요금체계 등을 고려하여 수요를
산출한다.
주차수요 산출은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산출식의 입력변수는 해당 공항의 교통 특
성조사를 수행하여 현실에 맞는 계수를 적용한다.
주차수요=유입교통량(대/일) × 첨두 시 집중률 × 이용률(할증)
공항에서의 주차수요는 다음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1) Ashford 방법에 의한 주차수요 산출하기


이 방법은 연간여객 또는 첨두 시 출발여객을 기준으로 개략적인 계획단계에서 이용
되며 공항별 소요 주차면수는 다음 표와 같이 산출한다.
<표 1-12> 출발여객에 따른 주차수요
구 분 주 차 면 수
① 1.5면/첨두 시 여객(단기)
소형공항
② 900∼1,200면/연간출발여객 백만인(장기)
비허브 공항 ① 약 1면/연간 출발여객 500∼700인
출처: Norman J. Ashford (2011), Airport Engineering 4th., Wiley, p.560

(2) P요소법에 의한 주차수요 산출하기


P요소법은 인간활동을 중심으로 발생교통량을 추정하고 교통수단 분담율에 따른 차량
수를 기초로 주차수요를 산출하는 방법이며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d× s × c× t × r × p× pr
P
o× e
여기서, P: 주차수요(대)
d: 주간(07:00∼19:00) 통행집중률(%)
s: 계절주차 집중계수
c: 지역주차 조정계수
t: 1일 이용인구
r: 피크 시 주차집중률(%)
p: 건물이용자 중 승용차 이용률(%)

80
pr: 승용차 이용자 중 주차차량 비율(%)
o: 평균승차인원(인/대)
e: 주차이용효율(%)

(3) 누적주차에 의한 주차수요 산출하기


이 방법은 발생교통량을 추정하고 교통수단 분담율에 따른 자동차 통행지수를 기초로
하여 주차수요를 추정한다. 기본적으로 “P요소법”과 동일하나 첨두 시뿐만 아니라
전 시간대에 걸쳐 용도별 주차수요를 산출하므로 합리적인 주차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누적주차대수법은 다음 공식을 이용하여 주차수요를 산출한다.
첨두 시간 누적주차 차량대수
P 
×e
여기서, P: 주차수요(대)
e: 주차이용 효율(85%)

주차 이용대수 × 주차 점유시간
e 
주차 용량 × 

주차수요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산출하여 큰 값을 적용한다.


주차면의 표준규격은 차량의 대형화 추세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 소형차량: 2.5m 이상×5.0m 이상
- 대형차량: 3.5m 이상×14.0m 이상

81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항 부대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기 위한 개념 및 전반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 보안시설 설계하기는 공항, 항공기 및 여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설적인 측면과 운영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구체적인 시설별로 실습과제를 부여한다. 또한 공항을 에어사이드
지역과 랜드사이드 지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마킹시설 설계하기는 안전한 항공기의 이착륙 및 운항을 위하여 공항 내부 및 공항 외부에


설치하는 시설을 설명하고 실습과제를 부여한다. 특히 에어사이드 포장지역에 설치되는 마킹시
설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 상수, 오수관로 설계하기는 공항에서 공급·처리되는 상오수의 용량산출, 처리공법 등을 설명하


고 실습과제를 부여한다.

• 기타 부대시설 설계하기는 공항운영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숙지하여야 하는 항공기, 공항 등에


대한 사항을 설명하고 계획수립을 위한 과제를 부여한다.

학습 방법

• 항공보안사설 설계하기는 여객의 안전확보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시설설치의 하드웨어뿐 아니라


시설운영을 포함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해하고 실습한다.

• 마킹시설 설계하기는 최신 설계기준을 학습하고 최신 설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항운영 등급별


로 적절한 계획수립 및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상수, 오수관로 설계하기는 공항 내외의 인구를 기본으로 소요용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학습하며,
다양한 수처리 공법을 비교 검토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기타 부대시설 설계하기는 항공기, 공항 등 공항부대시설을 설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숙지사항을


학습한다.

82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보안기준 및 각 제한구역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경


비 보안시설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보안시설설계
- 확장성 및 연계성을 고려하여 공항의 기능에 적합
하고 미관상 양호한 보안시설을 설계할 수 있다.

- 공항 에어사이드(airside) 지역의 표시(marking)와


관련하여 국내 비행장 설치기준과 ICAO 및 FAA
등의 국제기준을 검토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마킹시설설계
- 비행장의 운영등급과 공항 운영자의 의견을 고려
하여 항공기의 안전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표시계
획(marking plan)을 수립할 수 있다.

- 공항의 운영에 필요한 계획 상수량과 계획 오수량


상수, 오수관로설계 을 결정하고 상수, 오수 관로를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다.

- 기타 공항에 필요한 소요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다.

기타 부대시설설계
- 기타 부대시설에서는 비행장 분류, 공시거리 산
출, 대기지역, 제방빙시설, 커브사이드 및 주차장
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다.

83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보안시설설계 - 공항 보안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능력

마킹시설설계 - 공항 마킹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능력

상수, 오수관로설계 - 공항 상수, 오수 관로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능력

기타 부대시설설계 - 기타 부대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능력

• 서술형・논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항 부대시설의 현황을 분석하는 능력


보안시설설계
- 시설소요를 산출하는 능력

- 각 세부시설을 적절히 배치하는 능력


마킹시설설계
- 현장 상황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는 능력

• 작업장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컴퓨터 및 설계용 S/W 활용의 숙련도


상수, 오수관로설

- 수리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

기타 부대시설설계 - 기술 이해능력 및 적용능력

84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공항 부대시설 설계를 항목별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도록 한다.
2. 서술형・논술형 시험
- 항목별로 현황분석, 소요산출, 계획수립, 공법선정 등 일련의 설계과정을 충실히 수행
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보완사항을 지도한다.
3. 작업장 평가
- 기술의 이해, 도구의 활용 등을 평가하고 적절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85
∙ 국방부(2009). 훈령 제1057호 국가중요시설 지정 및 방호 훈령

∙ 국방부(2014). 통합방위법, 시행령, 시행규칙

∙ 국토교통부(2009). 예규 제56호 공항종합계획 매뉴얼

∙ 국토교통부(2013). 항공보안법, 시행령, 시행규칙

∙ 국토교통부(2014). 고시 2014-622호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 국토교통부(2014). 항공법, 항공법 시행령, 항공법 시행규칙

∙ 환경부(2010). 제정 상수도시설기준

∙ 환경부(2011). 공고 제2011-163호 하수도시설기준

∙ FAA(2014). AC 150/5340-1L, Standards for Airport Markings

∙ FAA(2014). AC150/5300-13A, Airport Design, Chg1

∙ ICAO(2004). Design Manual Part 4, Visual Aids (Doc 9157)

∙ ICAO(2006). Security Manual for Safeguarding Civil Aviation Against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Doc8973)

∙ ICAO(2015). Annex 14, Aerodromes Vol 1, 6th edition

86
상수도 시설기준: 배수시설 중 소화용수량 관련 참고 표

87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유승권((주)유신)* 권수안(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웅이(한서대학교)
권재원(한국공항공사)* 김한용(한솔엔지니어링)
김동조((주)유신) 손윤호(한국종합기술)
김병종(항공대학교)*
문형철((주)로드텍)*
박성원((주)유신)
오성열(한국교통연구원)*
윤한주((주)유신)*
정승균((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초롱(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8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