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머│리│말

우리나라는 1962년 공업 입국을 시작으로 그동안 계속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G20


국가로서 선진국 대열에 서 있다. 그동안 공업고등학교의 교육은 국가의 강력한 행・재
정 지원에 힘입어 육성되었으며 우리나라 공업 발전에 큰 역할을 해 왔다.

이 교과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에 편찬 위탁을 하여 개발된 것으로, 책 내용의 그림과 사진을 종전의 2도에서 4도로
인쇄하고 도안을 새롭게 하였다.

교과서는 단순히 지식 정보 전달의 매체를 벗어나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창의력


을 갖출 수 있도록 내용이 디자인되어야 하며, 교사가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편찬되어야 한다.

이 교과서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항공기 일반”교과서는 항공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과 원리를 가능한 쉽게 설
명함으로써 항공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항공 분야를 전공하지 않는 학
생들도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항공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항공 분야의 다른 전공 교과목 이수를 위한 기초 교과목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였다.
3. 대단원마다 관련 사진을 수록하고 중단원명과 중단원의 학습 목표를 수록하여 학
습 안내를 하였다.
4. 소단원마다 읽을거리와 참고 내용을 수록하여 관련 내용을 흥미롭게 공부할 수 있
게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심화 학습을 통하여 폭넓게 공부할 수 있게 하였다.
5. 대단원별로 단원 학습 정리를 수록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6. 대단원별로 단원 종합 문제를 수록하여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하
였다.
7. 대단원 끝에 인용 및 참고 문헌을 수록하여 필요 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을 학습함으로써 항공기 이론 분야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본인의 발


전은 물론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바란다.
차례
Ⅰ. 항공기 개요 조환기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1 항공기의 발달 과정 8
2 미래의 항공기 20
3 우주 비행의 역사 25

2. 항공기의 분류
1 항공기의 종류 35
2 항공기의 형식 38
3 항공기의 용도 41

3. 항공기의 구성
1 항공기 구성 일반 43
2 항공기 기체 44
3 항공기 기관 51
4 항공기 계통 57
5 항공기 전자 장치 63

I
4. 인공위성 및 발사체
1 우주 비행의 원리와 궤도 71
2 인공위성 75
3 우주 발사체 77

■ 단원 학습 정리 80
■ 단원 종합 문제 82

Ⅱ. 항공기의 비행 원리 윤선주

1. 개요
1 대기의 구성 86
2 공기의 특성 89

2. 공기 역학의 기초
1 기초 이론 93
2 양력 106
3 항력 110

3. 날개 단면과 날개
1 날개 단면 113
2 날개 116

4. 비행 성능
1 수평 비행 126
2 상승 비행 및 하강 비행 129
3 선회 비행 132
4 이륙・착륙 비행 135
5 순항 비행 138

5. 비행기의 조종과 안정성


1 비행기의 조종 140

II
2 안정성 146

6. 회전 날개 항공기의 역학과 성능
1 회전 날개 항공기의 공기 역학 153
2 회전 날개 항공기의 비행 성능 158

■ 단원 학습 정리 162
■ 단원 종합 문제 164

Ⅲ. 항공기의 정비 윤선주

1. 개요
1 정비의 개념 168
2 정비 관련 용어 170

2. 항공기 정비 관리
1 정비 방식 174
2 정비 관리 체제 176
차례

3. 항공기 정비 작업
1 정비 작업의 개요 183
2 정상 작업 186
3 특별 작업 188
4 정비 작업 관련 도서 189

4. 항공기 지상 지원 장비 및 공구
1 지상 지원 장비 192
2 공구의 사용 194
3 지상 지원 작업 202

III
4 지상 보급 작업 207

5. 지상 안전
1 지상 안전 일반 212
2 작업 안전 216

■ 단원 학습 정리 222
■ 단원 종합 문제 224

Ⅳ. 항공 관련 법규 정영호

1. 개요
1 항공 관련 법규 일반 228
2 항공법의 구성과 특성 230

2. 항공법의 기초
1 국제 항공법 232
2 국내 항공법 237

3. 항공 업무
1 항공 운송 업무 252
2 항공 교통 업무 257
3 항공 정비 업무 262
4 공항 관리 업무 268
IV
4. 우주 공간의 관리
1 우주 공간의 이용 273
2 우주 공간의 법적 특성 280

■ 단원 학습 정리 287
■ 단원 종합 문제 289

정답 291

찾아보기 293

판권
Ⅰ 항공기 개요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2. 항공기의 분류
3. 항공기의 구성
4. 인공위성 및 발사체

6 Ⅰ. 항공기 개요
항공 우주의 역사는 100여 년에 불과할 정도로 짧지만 항공 우주 기술의 발전은 인류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항공 우주 기술의 발전은 대륙과 대륙 사이를 일일 생활권
으로 만들었으며, 달을 비롯한 화성, 목성 등의 우주 탐사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는 기초
과학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한 항공 우주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이 단원에서는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과정과 항공기의 분류 및 구성, 인공위성 및
발사체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7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학습 목표│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과정 및 역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항공 발달 역사와 항공 산업의 발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미래의 첨단 항공기와 무인기의 개발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1 항공기의 발달 과정

1. 항공기의 발달 역사
인류가 하늘을 나는 꿈을 꾸기 시작한 것은 인류 탄생 초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꿈이 실현되기까지는 끊임없는 도전과 실패 그
리고 극복의 역사를 통하여 이룩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양의 기
록에 의하면 비행에 대한 인간의 꿈이 구체화되기 시작한 것은 1880년대
에 이르러서이다. 이 시기부터 인간에 의한 비행이 가능하다는 확신을
가지고 탐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즉, 오늘날과 같은 항공 우주 기
술의 발전은 이 시기부터 시작된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실
현하려는 여러 선구자의 끊임없는 창조적 노력으로 이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8 Ⅰ. 항공기 개요
(1) 비행 기계의 꿈
15세기 천재 예술가이며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는 1505년에 새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새는 수학적 법칙에 따

라 작동하는 기계이며, 새의 모든 운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다.”
고 주장하면서 공중으로 뜨는 힘과 공기 저항을 고
그림 A-1
려하여 날개를 저어 날 수 있는 비행 기계 모형을 스케치하였다. 이후 조 조지 케일리의 비행 기계

지 케일리(George Cayley)는 그림 I-1과 같은 비행 기계의 연구를 통


해 양력, 항력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고정 날개를 이용한 비행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독일의 선구자 오토 릴리엔탈(Otto Lilienthal)은 그림 I-2와 같은 활
공기를 만들어 1890년부터 활공 실험을 하였다. 그는 총 2000회 이상 활
공에 성공하였으며 평균 활공 거리는 약 400`m에 달하였다. 그러나 그는
1896년, 활공 중 바람에 중심을 잃고 추락하고 말았다.

그림 A-2 오토 릴리엔탈의 활공기

(2) 기구와 비행선


일반적으로 기구와 비행선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구는 동력이 없지만
비행선은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구는 비행선이 발명되기 훨
씬 이전에 만들어졌다. 프랑스의 몽골피에(Montgolfier) 형제는 1783년
에 그림 I-3과 같이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기구를 공중에 올리는 데 성
공하였다. 한편, 앙리 지파르(Henri Giffard)는 1852년에 프로펠러를 장
착한 증기 기관을 유선형의 기구에 장착함으로써 훗날 비행선을 발명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당시 폰 제플린(Zeppelin)은 여러 개의 공기 주머니가
있는 골조 구조의 비행선을 개발하였다. 이 비행선은 제¿1¿차 세계대전 당
그림 A-3
시 런던 공습에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비행기의 개발로 그 효용 가치를 점 몽골피에 형제의 기구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9
차 상실하였다. 비행선은 제¿1¿차 세계대전 후에도 대서양을 횡단하
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수소 기체를 사용한 비행선의 빈번한
폭발로 인해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 중에서 1937년 많은
승객을 태우고 비행하던 비행선‘힌덴브르크(Hindenburg)’
의폭
발 사고는 비행선을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만든 결정적인 사건이
되었다. 그림 I-4는 당시에 발생하였던 힌덴브르크 비행선의 화
그림 A-4 비행선‘힌덴부르크’
재 모습이다.
오늘날의 비행선은 광고나 장시간의 공중 관측 및 통신 중계 등에 이용
되고 있으며, 폭발성 기체인 수소 대신 불활성 기체인 헬륨을 사용하여
훨씬 안전한 비행이 가능해졌다. 미래에는 비행선을 이용한 수송기가 개
발될 전망이다.

(3) 인류 최초의 동력 비행
인간의 하늘을 날고 싶어 하는 꿈을 구체화시켜 준 것은 미국의 라이트
(Wright) 형제이다. 1903년 12월 17일, 노스 캐롤라이나 주 키티 호크

해변에서 실시한 비행 시험에서 라이트 형제가 발명한 비행기는 260`m를


59초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하였다. 지상에서 자체 동력으로 이륙하여
최초의 동력 비행기 플라이 최초의 동력 비행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림 I-5는 라이트 형제가 비행
어(Flyer) 1호
날개가 2개인 복엽 날개 비 시험을 하던 모습이다.
행기이며, 폭 12.29`m, 중량
274`kg, 4기통 12마력 가솔
라이트 형제가 비행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풍동(wind
린 기관의 체인으로 좌우 두
tunnel)을 만들어 날개 단면을 연구하는 등과 같은 항공 기술에 대한 기
개의 프로펠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세를 초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유지하였다.
유럽 최초의 동력 비행은 1906년 10월에 샹투스 듀몽(Santos Dumont)
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220`m를 21초 동안 비행하였다. 거듭된 동력 비
행의 성공으로 항공기는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1909년에는 루
이 블레리오(Louis Blériot)가 영불 해협 횡단 비행에 성공함
으로써 항공기가 운송 수단으로 가치가 있음을 널리 인식시
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4) 고정 날개 항공기의 발달
그림 A-5 플라이어 1호와 라이트 형제 항공기의 개발은 효과적인 운송 수단을 출현시켰을 뿐만 아

10 Ⅰ. 항공기 개요
니라 군에서도 전쟁을 수행하는 새로운 효율적인 무기로 인식하게 됨으
로써 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1) 왕복 기관 항공기 시대

항공기의 개발은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획기적으로 발전하는 계


기를 마련하였다. 초기에 개발된 항공기는 주로 목재 골조에 천이나 합판
을 붙인 형태로 만들어졌다.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는 단엽기를 만드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날개 면적이 넓고 운동성이 좋은 복엽기가 주를 이루었
다. 1915년에 미국은 국립항공자문위원회(NACA¿:¿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Aeronautics)를 설립하여 항공 기술을 전문적으로 연구

하도록 함으로써 항공 기술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 개발된 항공기의 성능은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전반적으
로 향상되었으며, 전투기, 폭격기, 정찰기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만큼
크게 발전하였다.
1927년에는 미국의 찰스 린드버그(Charles Lindbergh)가
그림 I-6과 같은‘Spirit of St. Louis’
라는 이름의 비행기
를 이용하여 대서양 횡단에 성공함으로써 장거리 이동 수단
으로써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 시기에는 전금속제(all-
metal) 응력 외피 구조(모노코크 구조)의 항공기와 단엽기가

출현하였으며, 추진력 조절을 위한 가변 피치 프로펠러


그림 A-6 린드버그와 비행기
(variable pitch propeller) 및 착륙 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동체 내부에 압력을 가해 주는 기밀식 여객기 객실과 근대 여객기의 원조


라고 할 수 있는 보잉 항공사의 B247(1933년)과 더글라스의 DC-2(1934
년)가 이 시기에 개발되었다.

2) 제¿2차 세계대전의 영향

제¿2¿차 세계대전은 고속 항공기를 개발할 수 있는 모든 기


술적인 요소가 확립된 시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는 단
발 전투기인 독일의 메써슈미트(Messerschmitt) Bf 109,
영국의 스핏파이어(Spitfire), 미국의 헬캣(Hellcat), 일본의
제로(Zero) 등이 개발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기에는 미
그림 A-7 Bf 109
국의 P-38 라이트닝(Lightening), F-51 무스탕(Mustang),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11
코세이어(Corsair), 구소련의 La-5, 독일의 메써슈미트
Me-262, 융커스(Junkers) Ju-87 등과 같은 군용기들이 개
발되었다. 이 밖에 원거리 전략 폭격기인 독일의 하인켈
(Heinkel) He-111, 융커스 Ju-88, 영국의 아브로 랭카스터

(Avro Lancaster), 핸들리 페이지(Handley Page) HP-42,


그림 A-8 B-29
미국의 폭격기인 B-17, B-29 등도 이 시기에 출현하였다.
이 중에서 B-29는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여 제¿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
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3) 제트 기관 항공기 시대

항공기의 고속화는 가벼우면서도 큰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차


원의 동력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제트 기관은 독일과 영국에서 최
초로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1930년대에 이르러 영국의 프랭크 휘틀
(Frank Whittle)과 독일의 폰 오하인(Von Ohain)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후 독일에서는 1938년에 He-178 제트 전투기가 시제기로 개발되었


다. 실용화된 최초의 제트 전투기 Me-262는 1942년에 처녀 비행을 하
였으며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생산되어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전투
에 참여하였으나 많은 활약을 하지 못하고 전쟁이 끝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구소련은 독일의 항공 우주 기술을 전리
품으로 획득하게 되어 독일의 항공 우주 기술이 이들 국가의 항공 우주
분야 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게 되었다. 1947년에는 척 예거(Chuck
Yeager)가 미국의 벨(Bell)¿사에서 만든 로켓 기관을 장착한 그림 I-9

와 같은 X-1을 이용하여 최초로 초음속 비행에 성공하였다.

그림 A-9 Bell X-1(1947) 그림 A-10 코멧 여객기 취항식

12 Ⅰ. 항공기 개요
그림 A-11 B747 점보 여객기 그림 A-12 초음속 여객기(콩코드)

한편, 전쟁이 끝나 많은 수의 수송기와 폭격기들이 남아돌게 되자 항공


기 제작사들이 민간 여객기 개발로 눈을 돌리게 되면서 장거리 수송기와
피로 파괴 현상
여객기가 증가하게 되었다. 1949년에 영국의 코멧(Comet) 항공 회사는 피로 파괴 현상이란, 구조 재
료가 견딜 수 있는 힘보다 작
제트 기관을 장착한 최초의 민간 수송기를 도입하여 승객을 수송하였 은 힘을 반복적으로 받아 구
조 재료 내부에 피로가 누적
다. 그러나 이 수송기는 불행하게도
됨으로써 점차 파괴에 도달
기체의 피로 파괴 현상으로 파괴되어 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우
리가 철사를 절단할 경우 맨
추락하였다. 손으로 반복적으로 구부렸다
펴게 되면 어느 순간부터 철
1960년대 말에는 승객 400명을 태울 사가 끊어지기 시작하여 결
(a) B757 국 절단되는 것과 같은 현상
수 있는 B747 점보 여객기(그림 I-11) 이다.

가 처음으로 등장하게 됨으로써 대형


항공기가 중요한 수송 수단으로 발전
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는 초음속 여
객기인 콩코드(그림 I-12)가 런던-바
(b) B767
레인, 런던-싱가포르 노선에 취항하였
으며, 이후 런던-뉴욕, 파리-뉴욕 노
선을 개설하여 유럽과 미국을 하루 생 복합 재료
복합 재료(composite mete-
활권으로 묶는 역할을 하였다. 1980년 rial)는 재료 특성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
대에는 B757, B767과 같은 중장거리 여, 요구되는 구조적 특성을
(c) B777
가지도록 만든 구조 재료이다.
여객기가, 1990년에는 더욱 발전된 진흙(matrix)에 볏짚(fiber)을
넣어 만든 진흙벽이나 진흙
B777이 개발되었다`(그림 I-13). 한편,
벽돌처럼 수지(resin)에 섬유
2005년에는 A380이, 2009년에는 복합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을
넣어 성형하여 제작한다.
재료로 만들어진 동체를 채택한 B787

(d) A380
이 개발되었으며, 현재 장거리, 광폭

그림 A-13 여객기 동체의 A350XWB가 개발되고 있다.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13
(5) 회전 날개 항공기
회전 날개 항공기(rotor wing aircraft)에 대한 개념은 기원전 중국인
들이 고안한 장난감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비행 기계로서 회전
날개 항공기의 개념은 그림 I-14¿(a)와 같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
치인 수직 양력 기계로부터 비롯되었다. 조지 케일리는 1796년경에 그림

I-14¿(b)와 같은 시계 태엽 구동 모형 헬리콥터를 만들어 30`m 높이까


지 비행하였다.

(a) 회전 날개 항공기 (b) 시계 태엽 구동식 회전 날개 항공기


(레오나르도 다빈치) (조지 케일리)

그림 A-14 회전 날개 항공기의 설계

1923년 스페인의 시에르바(Cierva)는 회전 날개에 동력을 직접 공급


하지 않고 작은 전진 속도만으로 회전 날개의 자동 회전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하는 자이로콥터(gyrocopter 또는 autogyro)라는 항공기`
(그림 I-15¿(a))를 만들었다. 1936년에는 프랑스의 브레게(Breguet)가

동축 회전 날개를 이용한 헬리콥터를 개발하였으며, 1937년에는 독일의


포케(Focke)가 병렬 회전 날개 헬리콥터를 개발하여 실용화하였다. 오
늘날과 같은 회전 날개 항공기의 획기적인 발전은 1941년 미국의 시코르
스키(Sikorsky)에 의해 개발된 단일 회전 날개와 꼬리 회전 날개를 채택
한 VS-300`(그림 I-15¿(b))이었다. 또 1951년에는 최초로 가스터빈 기관
을 장착한 헬리콥터 K-225가 미국에서 개발되었다.

(a) 시에르바의 오토 자이로 (b) 최초의 실용 헬리콥터`(VS-300)

그림 A-15 회전 날개 항공기

14 Ⅰ. 항공기 개요
2. 우리나라의 항공 발달 역사
우리나라에서 비행에 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조선의 실학자 이규경이
저술한‘오주연문장전산고’
의‘비차변증설’
을 들 수 있다.“임진왜란 때
에 정평구라는 사람이‘비차’
를 만들어 진주성에 갇힌 사람들을 데리고
성 밖으로 30리를 날았다.”
라고 적혀 있다. 조선시대 실학자 신경준이 저
술한‘여암전서’
중‘책차제’
라는 부분에서도 김제 사람 정평구가 비차를
만들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른 역사서에는 윤달규라는 사람
이 비차를 만든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안타깝게도 비차의 설계도나 세
부 구조에 대한 그림 등이 전해 내려오지 않아 세계의 항공기 발달 역사
에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한 가지 기억해야 할 점은 서양에서 이와
유사한 활공기를 만들어 비행한 것은 무려 약 200년 뒤의 일이라는 사실
이다.
한편, 대원군 때는 학의 날개를 모아 만든‘학우선’
이라는 비행기를 만
들고자 하였으나 실패로 끝났다고 전해진다.
1919년에 3・1 독립운동이 일어난 후 미국의 교민들이 성금을 모아 광
복군 노백린의 주도로 1920년에 캘리포니아 북쪽에 있는 윌로우즈에 조종
사 양성을 위한 비행 학교를 만들었다`(그림 I-16). 당시 이 지역에서 농장
을 경영하고 있던 김종림의 지원으로 미국인 비행사를
고용하여 농장의 한쪽에 활주로를 만들어 놓고 6명의
광복군 조종사들에게 비행 훈련을 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비행 학교는 수해로 인하여 교민들의 지원
이 점차 줄어들게 되면서 결국 폐교되고 말았다. 이후
에는 임시 정부에서 광복군 조종사 양성에 관심을 가 그림 A-16 윌로우즈 비행 학교

지고 중국의 비행 학교에서 비행 훈련을 시켰다. 우리


나라 최초의 여류 조종사인 권기옥(그림 I-17)은 1925
년에 중국에서 비행 학교를 수료하고 중국 공군에서
활동하였다.
우리나라 사람으로 한반도 상공에서 최초로 비행한
사람은 안창남으로 알려져 있다. 안창남은 1922년 일
본에서 1등 비행사 면허를 취득하고, 그해 12월 동아 그림 A-17 권기옥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15
일보사 초청으로 고국에서 시범 비행을 하였다. 그 후 안창남은 중국에서
비행 학교 교관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에 기여하였다. 안창남에 이어
이기연은 1923년부터 서울, 포천, 대전, 전주 등 전국의 주요 도시 상공을
비행한 바 있으며, 1926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항공 회사인‘경성 항공
사업사’
를 세우기도 하였으나 1927년 9월에 경북 점촌 상공에서 비행기가
추락해 사망하였다. 이 밖에도 비행 학교와 항공사를 세웠던 신용욱과
1939년 말에 대구 비행장에‘조선 항공 연구소’
를 세운 김영수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적인 항공기가 제작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 강점기
말기라고 할 수 있다. 이 당시에는 조선 항공 공업 회사와 조선 비행기
공업 회사가 설립되어 활공기와 경항공기 제작을 시도하였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광복 이후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a) 부활호 (b) 새매호

그림 A-18 국내 제작 항공기

우리나라의 항공기 개발 역사 중에서 가장 의미가 있는 것은 부활호의


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부활호(그림 I-18¿(a))는 1953년 당시 공군 장교
였던 이원복의 주도로 제작에 성공하여 조종 훈련용, 관측용 등으로 사
용되었다. 하지만 국가적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항공
기 개발 산업의 발전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1972년에는 공군이 대만에서 초등 훈련기로 사용하던 PL-2의 설계도
(그림 I-18¿(b))라는 이름으로 사용
를 도입하여 4대를 제작한 후,‘새매’

그림 A-19 창공 91호 그림 A-20 반디호

16 Ⅰ. 항공기 개요
하였으나 이 역시 양산으로 이어지지는 못하였다. 한편, 민간 항공기로
는 5인승 단발 프로펠러기인 창공 91호(그림 I-19)가 개발되어 1993년에
장거리 시험 비행에 성공하였다. 창공 91호는 민간 항공기 최초로 항공
법에 의한 감항 증명을 받기도 하였으나 더 이상의 수요가 없어 양산되
지 못하였다. 2000년대 들어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수출용 귀날개
(canard) 비행기인 반디호 개발에 성공하였다`(그림 I-20).

3. 우리나라 항공 산업의 발달
(1) 항공 운송 사업의 발달
우리나라의 항공 운송 사업은 6・25 전쟁 이후‘국민 항공사’
가 설립되
면서 시작되었다. 이‘국민 항공사’
는 1969년 민간 항공 회사로 전환되었
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항공사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을 들 수 있
다. 대한항공은 1969년에 창립된 이후 국제적인 항공사로 성장하여 오늘
날에는 여객, 화물, 정비, 운항, 기내식 및 항공 우주 산업 등 다양한 형
태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제¿2의 민간 항공 회사로 출발한 아시
아나항공은 1988년에 창립되었다.
이 밖에도 최근에는 항공 승객의 증가와 더불어 여러 개의 저비용 항공
사들이 국내 노선은 물론 근거리 국제선까지 취항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항공 운송 사업이 나날이 확장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2) 항공 우주 산업의 발달
항공 우주 산업은 지식 집약형 종합 산업으로 부품 산업 분야에 파급
효과가 커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 중의 하나이다. 또, 국
가의 기술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방위력에 미치는 전
략적 중추 산업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 우주 산업
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며, 선진국들도 국가의 핵심 산업
으로 육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항공 산업 후발국은 항공 산업의 특성상 단계적인 산업 구
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리나라도 초기 산업 구축 단계로 1951년에 제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17
¿80¿항공창을 설립하여 L-19 정찰기를 비롯한 정비
사업을 시작하였으나 항공 산업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었다. 1970년대에는 미국 휴
즈(Hughes)`사의 500MD 헬리콥터(그림 I-21)를 면
허 조립 생산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미국 노드롭
(Northrop)¿사의 F-5E/F 전투기(그림 I-22)를 면허

생산하기 시작하여 전투기 조립 생산 체제를 갖추게

그림 A-21 500MD 헬리콥터 되었으나 후속 사업이 지속되지 않아 기술 축적에 큰


진전이 없었다. 이후 1995년 공군의 전투기 사업에
따라 F-16 전투기(그림 I-23)를 면허 생산하기 시작
하면서 항공 산업 체제를 본격적으로 갖추게 되었다.
한편, 1980년대 말부터는 항공기 개발 사업을 본격
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항공기 개발 기술의 획기적 발전
을 이룩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림 I-24¿(a)는 공
군의 기본 훈련기인 KT-1으로,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1998년도에 항공기 개발을 완료하
그림 A-22 F-5E/F 전투기
고, 양산화함으로써 국내 개발 항공기 시대를 열었다.
국내에서 개발된 최초의 현대적인 항공기인 KT-1 훈
련기는 공군의 조종사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도 수출하였다.
또, KT-1은 무장 탑재가 가능한 KA-1 및 터키 수
출형인 KT-1T 형태로 발전되었다. KT-1의 개발은
국내 항공기의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및 시험 평가 비
그림 A-23 F-16C 전투기
행에 이르기까지 항공기 개발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a) KT-1 웅비 (b) T-50 골든 이글


그림 A-24 국내 개발 군용 항공기

18 Ⅰ. 항공기 개요
경험해 볼 수 있었던 귀중한 기회가 되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이러
한 경험은 그림 I-24¿(b)의 T-50 훈련기를 개발하는 데에도 좋은 밑거
름이 되었다.
KT-1의 개발이 국내 항공기 개발 역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면 T-50
항공기의 개발은 항공기 개발 산업을 진일보시키는 기회가 되었다. 미국
록히드`(Lockheed)`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고등 훈련기 T-50은 초음속
훈련기로 개발되어 현재 공군의 조종사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T-50
은 이후 TA-50 공격기 및 FA-50 전투기로 발전하면서 우리나라 항공기
개발 기술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앞으로 한국형 차세대 전투기 개
발 사업의 방향은 우리나라의 군용 항공기 개발 기술의 발전에 많은 영향
을 미치게 될 것이다. 많은 어려움 속에서 진행된 T-50 항공기의 개발은
우리나라가 항공기 개발국으로 인정받는 계기를 만들어 주
었으며, 차세대 전투기 개발과 육군의 기동형 헬리콥터 및
무인 항공기 개발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군용 항공기와는 달리 민수용 항공기의 개발은 국내외의
수요가 창출되지 못하여 두드러진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 A-25 아파치 헬리콥터

국내의 헬리콥터 사업은 1977년 휴즈 `사의 500MD를 조


립, 생산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대는 부품을 제작하
던 시기로, 아파치(Apache, AH-64) 헬리콥터(그림 I-25)의
동체 부품 등의 구조물 제작을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에는
성능 개량에 참여하여 UH-60 헬리콥터(그림 I-26)의 국내
생산 및 해군의 대잠초계기인 링스(BO-105, Lynx) 헬리콥
그림 A-26 UH- 60 헬리콥터
터의 성능 개량 사업이 이루어졌다. 2000년도에는 국제 공동
개발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2009년에는 그동안 쌓아온 기술
력과 KT-1 및 T-50의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유로콥터 사의
기술 지원을 얻어 그림 I-27과 같은 한국형 기동 헬리콥터
(KUH¿:¿Korea Utility Helicopter)‘수리온(Surion)’
의 체계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고정 날개 항공기에 이
그림 A-27 한국형 기동 헬리콥터‘수리온’
어 헬리콥터 체계 개발 기술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게 되었다.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19
2 미래의 항공기

1. 첨단 항공기의 출현
(1) 최신 기술의 민간 항공기
항공 관련 기술은 라이트 형제가 동력 비행에 성공한 이후, 불과 100여
년의 짧은 시간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렇다면 미래의 항
공 기술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현재와 미래에 운항이 예상되는 첨단
기술의 여객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항속 거리가
길고, 운영비가 적게 들어야 한다. 또, 항공기 기관의 연료 소모율이 적
고, 운용 수명은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밖에 이륙
중량의 증가에 발맞추어 더 큰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
며, 공력 성능의 향상, 탑재 중량 및 탑승 좌석의 증가, 공간 이용의 효율
성 문제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최근에 개발된 B787, A380, A350XWB
(그림 I-28) 등과 같은 항공기들이 바로 이러한 최신 기술이 적용된 항공

기라고 할 수 있다.

(a) B787 (b) A350XWB

그림 A-28 최신 기술이 적용된 여객기

(2) 첨단 군용 항공기
군용 항공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전투기, 폭격기, 공격기, 훈련기, 수송
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도 전투기는 현존하는 항공 관련 기술의
총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최신 전투기에 적용하고 있는 첨단 기술에는

플라이 바이 와이어(FBW) 추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추력 편향 노즐(thrust vectoring nozzle),


플라이 바이 와이어 조종 장
치는 케이블 대신에 전선으
초음속 순항(supercruising) 기술, 플라이 바이 와이어(FBW`:`Fly-
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By-Wire)에 의한 디지털 조종 시스템, 적의 탐지를 회피하여 생존성을
항공기를 조종하는 전기 신
호 조종 장치로서, 비행 제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텔스(stealth) 기술 등이 있다. 그림 I-29는
컴퓨터가 조종 입력 신호를
계산해 준다. 다양한 첨단 기술이 적용된 폭격기 및 전투기들의 모습이다.

20 Ⅰ. 항공기 개요
(a) B-2 스텔스 폭격기 (b) F-22 스텔스 전투기

(c) 유로 파이터 타이푼 (d) F-117 스텔스 전투기

그림 A-29 최신 기술이 적용된 군용 항공기

2. 무인 항공기 시대의 도래
무인 항공기(UAV`:`Unmanned Aerial Vehicle)란, 조종사가 탑승하
지 않은 상태로 지상에서 원격 조종하거나 미리 계획된 자동 조종 장치
를 탑재하여 스스로 비행하는 자율 비행 항공기를 말한다. 사실 무인 항
공기는 단순하게 비행체만으로 운용되는 것이 아니라 비행체, 지상 통제
및 통신 장비, 이착륙 및 지상 지원 장비 등과 같은 무인 항공기 시스템
(UAS`:`Unmanned Aerial System)으로 운용된다. 무인 항공기는 유

인 항공기와 달리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여 조종하지 않더라도 장기 체공


이 가능하며, 인명 사고의 위험이 적고, 생화학적 오염이나 방사능 오염
지역과 같은 인간 활동이 제한된 위험 지역에서의 임무 수행이 자유롭다
는 장점이 있다. 무인 항공기는 처음에 군사 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
여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나 점차 원격 탐사, 통신 중계, 환경 감시, 산불
감시 및 진화, 농약 살포 등과 같은 민간 분야에서도 활용 영역을 넓혀가
고 있다.
무인 항공기의 개발 역사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시험적으로 제작하
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무인 항공기는 1970년대 베트남 전쟁과 중
동 전쟁에서 사용되었고, 이라크 전쟁과 아프카니스탄 전쟁을 통해 그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21
(a) 프레데터(predator) (b) 글로벌 호크(global hawk)

그림 A-30 최신 기술이 적용된 무인 항공기

역할과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었다. 그림 I-30¿(a)는 최신 기술이 적용


된 무인 항공기인 프레데터이고, 그림 I-30¿(b)는 글로벌 호크이다.
현재 군사용 무인 항공기는 단순 정찰 목적뿐만 아니라 지상 공격도 가
능하도록 개발되었으며, 미래에는 무인 전투기도 출현하게 될 전망이
다.
(그림 I-31)를 개
우리나라는 1980년대에 기만용 무인 항공기인‘솔개’
발한 적이 있으며, 1990년대 말에는 정찰용 무인 항공기인‘비조’개발
(그림 I-32)라는
에 착수하여 2000년에 실용 개발을 완료한 후,‘송골매’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찰용 무인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
가로 저고도 정찰용 무인 항공기와 장기 체공이 가능한 중고도 무인 항
공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림 I-33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그림 A-31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첨단 기술이 적용된 경사 회전 날개 헬리콥터 형
무인 항공기‘솔개’
식의 스마트 무인 항공기로, 수직 이륙 이후 고정 날개 항공기처럼 프로
펠러를 수평 상태로 조절한 후에 비행하는 항공기이다.

그림 A-32
무인 항공기‘송골매’

그림 A-33
스마트 무인 항공기

그림 A-34 미래의 무인 항공기

22 Ⅰ. 항공기 개요
미래의 무인 항공기는 사람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수송기와 여객기
의 개발, 지금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체공 비행이 가능한 무인 항공기를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녹색 에너지 및 환경 친화적
인 무인 항공기와 곤충 크기 만큼의 초소형화를 통해 각종 탐사에 사용
되는 무인 항공기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 군용 무인 항공기
로는 그림 I-34와 같은 전투 임무 수행을 하는 무인 비행체(UCAV¿:¿
Unmanned Combat Aerial Vehicle)를 비롯하여 소형의 수직 비행 무인

비행체 및 정찰용 무인 항공기들이 연구되고 있다.

3. 미래 항공기 개발 방향
항공기 개발의 역사는 비록 100여 년에 불과하지만 어떤 분야보다도
획기적인 기술의 진보를 이룩하였다. 그렇다면 향후 100년 동안의 항공
기술의 발전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질까? 미래에는 어떤 항공기들이 출
현할까? 지금의 항공기가 미래에도 여전히 사용될 것인가? 아니면 전혀
다른 개념의 항공기들이 등장하게 될 것인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

(a) 동체 일체형 항공기 (b) 음속 순항 항공기

(c) 태양광 동력 항공기 (d) 생체 모방 항공기

그림 A-35 미래의 첨단 항공기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23
을 얻을 수 있는 미래 항공기에 관한 아이디어들을 살펴보자. 그림 I-35
(a)는 날개와 동체가 일체형인 항공기로, 미래 수송용 항공기로 개발될
전망이다. 이러한 개념이 적용된 항공기는 공기 역학적으로 우수한 성능
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절감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그림 I-35
(b)는 거의 음속으로 비행하는 미래형 여객기로 개발 중이다. 그림 I-35
(c)는 녹색 생태 환경에 적합한 항공기로, 태양광 동력을 항공기 추진 기
관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 국립항공우주국(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는 그림 I-35¿(d)와 같이 앞으로 개발될 항공기는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비행하는 새처럼 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


고 있다. 이 미래의 생체 모방형 항공기는 비행 상태에 따라 날개의 형태
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날개를 자유롭게 조종함으로써 이착륙 거리와
연료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림 I-36은 미래에 개발될 것으로 예상되는 극초음속 여객기
이다. 이 항공기는 액체 수소를 사용하는 반동 기관을 사용하여 마
하 5(해면 고도 기준으로 1,778`m/s)의 속도로 유럽과 호주 사이를
북극을 거치는 항로를 통해` 5시간 이내에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그림 A-36 극초음속 여객기
이와 같이 미래의 항공기는 새로운 개념과 녹색 에너지 등의 신기술 적
용으로 지금까지의 항공기와 다른 모습으로 출현하게 될 것이며, 다양해
극초음속 여객기
지는 기체의 형상과 함께 항공기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조종(또는 자동 제
극초음속 여객기의 총 길이는
143`m로, 약 300명의 승객을 어)하는 문제도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태우고 총 20,000`km를 비
행할 수 있으며, 2030년까지
실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을 추진하고 있다.

탐│구│활│동

다음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세계적으로 대표할 만한 사업용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과 에어버스에서 지금까지
개발한 항공기의 제원과 특징을 시대에 따라 조사한 후, 서로 비교해 보자.
•http://www.boeing.com/history/index.html
•http://en.wikipedia.org/wiki/Airbus

24 Ⅰ. 항공기 개요
읽을거리
미래의 비행선 항공기

하늘을 나는 고래와 같이 생긴 항공기(Aeroscraft Aeros ML866)는 비행선의 원


리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새로운 비행체는 미국연방항공국(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의 형식 인증을 얻었다. 이 비행체는 길이 64`m, 폭이 35`m
의 견고한 강체 구조물로 공기 역학적, 추력 편향`(추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
치) 및 기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필요한 양력을 얻는다. 항속 거리는 약 4800`km이
며, 최고 속도는 61.3`m/sec 정도로, 공중 체공과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다.

3 우주 비행의 역사
공기가 없는 우주를 비행하는 데는 산화제와 연료를 함께 탑재하는 화
학적 로켓 또는 산화제가 필요 없는 전기 추진이나 핵 추진 방식의 로켓
엔진이 필수적이다. 로켓은 인간이 우주에 접근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
인 수단을 제공한다. 로켓의 개발은 아주 단순하고 우연한 동기에서 비
롯되었다. 서기 약 900년경 중국에서 화약이 발명된 이후 화약을 대나무
통에 채워 불꽃놀이에 사용하면서부터 로켓 추진의 원리가 인식되기 시
작한 것으로 보인다.

1. 로켓의 개발
(1) 로켓 시대의 출발
초기 로켓의 개발은 군사적인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1212년에 타타르(Tatar)가 몽고
의 공격으로부터 카이펑푸(Kaifengfu)를 방어하기 위해 그
림 I-37과 같은 로켓 화살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800년대 유럽에서는 영국인 콘그레브(Congreve)가 흑색
화약을 이용하여 로켓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고려 말기 및 그림 A-37 중국의 화전

조선 시대에는 중국의 화전을 개량한‘주화’


와‘신기전’
이라는 화살을 제
작하였으며, 특히 신기전을 다량으로 발사할 수 있는 화차가 개발되어
임진왜란 때 사용되기도 하였다.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25
(2) 초기 로켓 시대
구소련 우주 비행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현대 로켓 공학의 원리적 기초
를 확립하는 데 공헌한 치올코프스키(Tsiolkovsky)는 1903년 로켓을 이
용한 우주 비행 연구를 통해 지구 대기권을 탈출하기 위한 속도를 계산해
내는 한편, 액체 수소와 액체 산소를 혼합하면 로켓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국의 고다드(Goddard)는 1926년에 가솔
린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하는 액체 로켓을 최초로 실험(그림 I-38)하
였는데, 이 로켓이 3초 동안 고도 12.5`m, 최고 속도 100`km/h에 도달
함으로써 작지만 우주 추진의 첫 역사적인 실험에 성공하였다. 한편, 독
일의 폰 브라운(Von Braun)은 세계 최초의 장거리 미사일인 V-2로켓
(그림 I-39)을 개발하였는데, 폭탄 적재량은 1톤에 이르렀고, 최고 속도는

5600`km/h, 사정 거리는 영국에 도달할 수 있는 약 320`km에 달하였


다.

그림 A-38 고다드의 액체 연료 로켓 그림 A-39 V-2 로켓

(3) 로켓의 우주 비행 시대
제¿2¿차 세계대전이 독일의 패망으로 끝나게 됨에 따라 세계 최고 수준
의 로켓을 개발하였던 독일의 과학자들은 구소련과 미국으로 흩어져 전
후 우주 시대의 경쟁을 주도하게 된다. 이 시기는 냉전 시대였기 때문에
로켓을 비롯한 우주 분야는 평화적인 이용보다는 주로 국가적인 안전 보
장에 이용되었다. 로켓은 우주와 지구를 왕래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고, 위성을 비롯한 모든 우주 비행 물체는 이 로켓에 의해 운반되므로 로
켓의 개발은 우주 비행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었다.

26 Ⅰ. 항공기 개요
2. 인공위성
최초의 지구 궤도 진입 위성은 1957년에 쏘아 올린 구소련
의 스푸트닉(Sputnik) 1호이다. 그림 I-40의 스푸트닉 1호
위성은 무게가 불과 82`kg에 불과하였다. 스푸트닉 2호
(1957년 11월)는 최초로 살아 있는 개를 지구 궤도에 보냈으
며, 이 성공은 미국에게 큰 충격을 주어 미국의 과학 교육의
그림 A-40 스푸트닉 1호
변화와 국립항공우주국(NASA)을 설립(1958년)하는 계기
가 되었다. 미국 최초의 위성은 뱅가드 로켓에 탑재되어 1958
년 발사한 익스플로러(Explorer) 1호(그림 I-41)로, 밴 알
렌 방사선 벨트(Van Allen radiation belt)의 발견이라는 큰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미국은 1960년에 최초의 실험용 통
신 위성 에코 1호(Echo I)를 발사하였는데, 이 위성은 음성
그림 A-41 익스플로러(1958)
과 사진 신호를 송신하는 아주 간단한 위성에 불과하였다.

3. 태양계 탐사
항공 우주 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관심을 우주 탐험으로 돌리게 만들었다.
1959년 구소련의 루나(Luna) 3호는 우주 탐사선으로는 최초로 달의 뒷면
을 촬영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1961년에 유리 가가린(Yuri A.
Gargarin)은 보스토크(Vostok) 1호에 탑승하여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하였다. 테레쉬코바(Tereshkova)는 지


구 궤도 비행을 한 최초의 여성 우주인(1963년)이 되었다. 또,
레오노프(Leonov)는 인류 최초로 우주 유영(1965년)에 성공하
였다. 그림 I-42는 우주 왕복선 탑승 우주인이 우주 공간에서
그림 A-42 우주 유영 모습
유영하는 모습이다.

(1) 달 탐사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은 머큐리(Mercury) 계획에 의해 이루어
졌다. 1962년에 존 글렌(John Glenn)은 3회의 지구 궤도를 유인 비행한
미국 최초의 우주인이 되었다. 우주선 제미니(Gemini)의 우주 비행사들
은 1965년부터 1966년 사이 10번의 궤도 비행에 성공하면서 캡슐의 기동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27
과 궤도 수정, 랑데부, 도킹(docking)에 성공하였다.
아폴로(Apollo) 계획은 인간을 달에 보낸 후, 무사
히 귀환시킬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1969년 7월 20
일에 아폴로 11호가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하였다(그
림 I-43). 아폴로 11호에 탑승한 3명의 우주 비행사

인 암스트롱, 올드린, 콜린스는 인류 역사에 우주 탐


험의 실현이라는 큰 도약의 발자취를 남겼다. 이후에
그림 A-43 달 탐사선과 발자국(아폴로 11호) 도 5번의 달 착륙이 더 이루어졌으며, 아폴로 17호를
끝으로 달 탐험 계획은 종료되었다. 아폴로 계획은 달과 지구의 생성에
대한 이해 증진과 우주 기술의 혁신을 가져왔다. 또, 아폴로 계획은 크기
가 크고 신뢰성 있는 로켓 제작 기술과 우주 공간에서의 생명 유지 시스
템 개발에 많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궤도와 비행체의 궤적에 대
한 우주 역학적 기술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밖에도 전
자 장치의 소형화와 컴퓨터 기술의 진보를 이룩함으로써 인류의 과학 기
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2) 태양계 탐사와 천체 관측


미국과 구소련은 달 탐사 프로그램과 함께 행성 탐사를 추진하였다.
1961년에는 구소련의 베네라(Venera) 1호(그림 I-44)가 금성의 대기를

그림 A-44 베네라 1호
분석하였으며, 1962년에는 마리너(Mariner) 2호(그림 I-45), 1974년에
는 마리너 10호(미국)가 금성을 탐사하였다. 1965년에는 마리너 4호(미
국), 1976년에는 바이킹(Viking) 1, 2호(미국)가 화성을 탐사하였다.

한편, 천체의 관측을 위해 우주 궤도에 올려진 대형 광학 망원경인 허


블 우주 망원경(그림 I-46)은 은하의 중심부까지 관측할 수 있고, 마이크
그림 A-45 마리너 2호 로파, 적외선, 자외선, X선, 감마선을 이용하여 모든 복사 영역을 탐지할
수 있다.
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Voyager) 2호(그림 I-47¿(a))는 목성(1979),
토성(1981), 천왕성(1986), 해왕성(1989)을 탐사한 후, 2007년에 태양계
를 벗어나 우주 여행을 계속하고 있다.
그림 A-46
허블 우주 망원경 또, 갈릴레오(Galileo)호는 목성 및 목성의 행성을 탐사하였고, 카시니

28 Ⅰ. 항공기 개요
(Cassini)호(그림 I-47¿(b))는 토성 및 토성의 행성인 타이탄 위성을 탐

사하였으며, 율리시스(Ulysses)호(그림 I-47¿(c))는 태양의 극 지역을 탐


사하고 있다.

(a) 보이저 (b) 카시니-휴이겐스 (c) 율리시스

그림 A-47 행성 탐사선

4. 우주 정거장과 우주 왕복선
우주 정거장은 우주 공간을 보다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우주 여행의 거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주 정거장은 인류에게
왜 필요한 것일까? 우주 정거장은 무중력(weightlessness) 상태에서 장
기간에 걸쳐 다양한 실험 및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준다.
또, 행성과 행성 사이의 여행 또는 달 탐사 임무 수행의 중간 기착지로서
실제적인 정거장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탐│구│활│동

다음 사이트에 접속하여 태양 활동에 의한 우주


환경의 변화가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
해 알아보자. 또,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반 알렌 방
사선 벨트(Van Allen radiation belt)의 생성 원인
과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자.
•http://www.kasi.re.kr
•http://www.spaceweathercenter.org

1. 항공 우주 분야의 발달 29
(1) 우주 정거장
구소련은 1971년에 최초의 우주 정거장인 살루트(Salyut)를 궤도에
건설하고 저고도 지구 궤도에서의 유인 우주 비행에 집중하였다. 이곳에
서의 물자 및 우주 비행사 수송은 소유즈 우주선이 담당하였다.
미국은 1973년에 스카이랩(Skylab)이라는 우주 정거장을 건설하였다.

그림 A-48 이곳에는 3명의 우주 비행사가 거주하였는데, 이곳에서의 물자 및 우주


살루트 우주 정거장
비행사 수송은 아폴로 우주선이 담당하였다.
우주 정거장의 운영은 태양 물리학, 우주 물리학, 지구 과학, 생물학 등
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주로 의학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구소련은 1988년에 미르(Mir) 우주 정거장(그림 I-49)을 궤도에 올리고,
3명의 우주인들이 이 우주 정거장에서 1년 이상 거주하는 데 성공하여
그림 A-49 우주 공간에서도 인간의 장기 체류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미르 우주 정거장
현재 사용 중인 국제 우주 정거장(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
은 미국과 러시아의 주도로 캐나다, 유럽 연합, 일본, 브라질 등 16개국
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국제 우주 정거장을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림 A-50 (2) 우주 왕복선


국제 우주 정거장의 모습
우주 로켓의 발사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은 비용의 절감을 위해 우주 왕복선(그림 I-51)을 개발하기에 이르
렀다. 우주 왕복선은 로켓처럼 발사하고, 우주 비행선처럼 궤도를 비행하
며, 임무를 완료한 후에는 항공기처럼 지상 활주로에 착륙하는 것이다. 이
러한 시대적 요구로 인해 개발된 우주 왕복선 컬럼비아(Columbia)호의
최초 비행은 1981년에 이루어졌다. 이후 챌린저(Challenger), 디스커버
리(Discovery), 아틀란티스(Atlantis), 엔데버(Endeaver) 등의 우주 왕
복선이 만들어져 지구 궤도 위성 발사, 행성 간 탐사 위성 발사, 위성 수
리, 각종 우주 실험의 수행, 지구 감시, 우주 정거장 승무원 운송 등의 임
무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국립 항공 우주국은 그림 I-52¿(a)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우주 왕복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I-52¿(b)는 민
간인의 우주 여행을 목적으로 개발된 우주선으로, 모선 항공기로부터 약
그림 A-51
우주 왕복선(엔데버) 15`km 떨어진 상공에서 발사하여 약 100`km 상공에 도달한 후 무중력

30 Ⅰ. 항공기 개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