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뉴스레터 2018.5.24.

/ 제285호

WS-10H 엔진출력이 충분치 않아 탑재무장이 매우


미국과 중국의 항공모함 함재기 운용 비교
제한되어 2발 정도의 근거리 공(空)-대(對)-공(空)

중국 항모굴기(航母崛起)가 지속되고 있어 중국 주 미사일만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변국들의 우려가 증폭되는 가운데 지난 영국『제인국 F/A-18E/F는 최대 11개의 미사일과 폭탄을 탑재할

제해군(Jane’s Navy International)』 4월호 와 4월 수 있다.

11일자 『제인국방주간(Jane’s Defence Weekly)』지 다음은 무인기 탑재 가능 여부이다. 최근 중국해군


가 미국과 중국 항모의 함재기 운용 현황을 다음과 이 무인기의 항모 탑재 가능성을 지상에서 시험하고
같이 보도하였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항모 탑재를 위해

첫째, 함재기 댓수와 이착륙 방식의 차이이다. 미 서는 향후 상당 기간의 육상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해군 항모 함재기 대수는 F/A-18E/F 슈퍼 호네트 반면, 미해군은 제너랄 오토믹사가 개발한 MQ-25
전투기 등 약 80대이나, 중국 항모 함재기는 J-15 스팅레이(Stingray) 무인기를 항공모함 탑재 공중 급
단일 기종으로 최대 대수가 24대이다. 유기로 투입하기로 결정하였으며, 향후 MQ-25 공

미해군의 항모 사출방식은 기존의 스팀 사출방식 중급유 임무 수행시 함재기의 작전범위를 700마일까

(CATOBAR)에 추가한 신형 전자기 사출방식(EMALS) 지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에 의해 24시간-365일 함재기 작전이 가능하다. 셋째, 함재기 조종사 숙련도이다. 미해군은 항모 1

특히 곧 포드급 항모에 설치될 예정인 전자기 사 척당 고등과정(high proficiency)을 이수한 1.5배수의

출방식은 전천후 주야간 함재기 운용을 원활하게 하 정조종사를 탑승시키고 있는 반면, 중국해군은 랴오

여 함재기의 항공작전 효율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닝에 이제 초등과정(basic proficiency)을 마친 30∼


35명 정도의 조종사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중국해군 항모는 스키 점프 사출방식
(STOBAR)을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해상 시운전 중 특히 군사전문가들은 중국 CCTV와 중국해군이

인 독자형 Type 001A형도 랴오닝의 복사판으로 스 공개한 홍보사진과 서방의 위성사진을 근거로 J-15

키 점프 사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함재기 조종사의 숙련도가 해상상태가 극히 양호한


상태에서만 이착륙 훈련을 실시하고, 거친 파도 상황
일부는 중국해군이 전자기 사출방식과 신형 착륙
과 야간 이착륙 훈련은 아직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
기어 방식(AAG)을 개발하였다고 보도되었으나, 여전
으로 판단하고 있다.
히 지상 시험단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스팀식 사출방식 또는 전자기 사출방식을 차
둘째, 함재기 무장 제한 및 무인기 활용 가능성이
기 항모에 탑재할 경우에는 스키점프 방식을 채택한
다. 우선 탑재무장의 차이이다. 중국해군 J-15는
현재의 J-15기 앞바퀴를 개조해야 하고 이에 따른

- 1 -
KIMA Newsletter No.285 Korea Institute for Military Affairs

조종사의 이륙 훈련을 다시 해야 한다.

넷째, 함재기 작전능력이다. 미해군 항모는 EP-3


에 위해 수집된 신호정보(SIGNIT)를 근간으로 약
400마일(640km) 거리 내의 약 2천 개 공중 표적을
E-2D 공중 조기경보통제기(AEW&C)를 띄워 동시
에 추적하여 F/A-18E/F 슈퍼 호네트와의 자동
data-link 체계에 의해 적 전투기의 공(空)-대(對)-
함(艦) 미사일 사정거리 밖에서 선제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반면, 중국해군 항모는 스키 점프 사출방식에 의해


서는 E-2D AEW&C와 동형의 고정익 정찰기를 항
모에서 이륙시킬 수가 없어 100∼200km 이내의 30
〜40개 표적만을 추적하는 러시아 Kamov사의
Ka-31 AEW&C를 운용하고 있으며, J-15와 자동
data-link 체계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실제 교
전 표적 수는 더 감소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중국의 항모굴기는 항모 척수가 아닌,


항모의 함재기 탑재 대수, 탑재무장, 작전운용 그리
고 무인기 운용 능력에 따라 좌우되는 바, 향후 시간
이 지날수록 양국 항모 간 비교가 더욱 벌어져 중국
해군의 항모 무용론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 출처 : Jane’s Navy International, April 2018, pp. 26-31;


Jane's Defence Weekly, January 17, 2018, p. 17
& April 11, 2018. pp. 30-32.

- 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