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2022. 10. 31

한서대학교 태안비행장

-1-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수정 및 개정 기록표
번호 일자 / 근거 담당자 수정 및 개정내용
- 수정 및 개정 기록표 삽입 (Page 2)
- 페이지 전체 조정
- 제 3 장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3. 복행 (Go Around) 수정
1 ’14.04.03 조영훈 - 고정익 항공기 훈련 공역도 일부 수정
- 제 3 장 고정익 항공기 비행절차
제 3 절 2. 이·착륙을 위한 기상 제한치 수정
- 제 4 장 회전익 항공기 비행절차
제 2 절 1. 이륙 수정
- 제 2 장 제 5 절 비행장 운영시간 조건 추가
2 ’15.04.21 조영훈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수정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5. IFR 비행을 위한 출항 수정
3 ‘17.04.17 홍기송
- 제 3 장 제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3. 복행 (Go Around) 수정
- 제 1장 제 3절 적용범위 변경내용 추가
4 ‘18.02,05 이나현 - 제 4장 제 1절 회전익 항공기 비행절차 원칙
9. 내용추가
- 제 2 장 제 5절 비행장 운영시간 수정
5 ‘18.08.20 박봉일 - 제 3 장 제 3절 이륙, 출항 및 상승
- 제 3 장 제 5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 제 3 장 제 3절 이륙, 출항 및 상승
6 ‘19.03.20 박봉일
- 제 3 장 제 4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 제 2 장 제 4절 통신시설 주파수추가
- 제 2 장 제 5절 운영시간
7 ‘20.03.25 최길현 - 제 3 장 제 2절 활주로의 사용
- 제 3 장 제 3절 이륙, 출항 및 상승절차 수정
- * 별첨 4. 회전익 항공기 입출항 경로도
- 제 2 장 제 2 절 유도로(Taxiway)
- 제 2 장 제 5 절 비행장 운영시간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 제 3 장 제 4 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8 ‘20.12.23 류지윤 - 제 3 장 제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 * 별첨 2-1. 비행기 입출항 보고지점
- * 별첨 6. GPS APPROACH 절차
- * 별첨 7. 주요 Point 좌표
- * 별첨 8. 소음 민감 지역

- 제 2 장 제 5 절 비행장 운영시간 수정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수정
- 제 3 장 제 4 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내용 추가
9 ‘21.07.01 류지윤
- 제 3 장 제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수정
- * 별첨 2-1. 비행기 입출항 보고지점 ‘D’ point 수정
- * 별첨 9. RWY15로 출항 시 소음 감소 절차 추가

-2-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 별첨 목차 수정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수정
10 ‘21.08.09 심재우 - 제 3 장 제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수정
- * 별첨 6. GPS APPROACH 절차, RNAV로 용어 변경
- * 별첨 7. 주요 Point 좌표 용어 변경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수정
11 ‘22.06.14 심재우
- * 별첨 2. 비행기 입출항 경로도 수정

- 제 3 장 제 2 절 활주로의 사용 수정
- 제 3 장 제 3 절 4 VFR 비행을 위한 출항 수정
- 제 3 장 제 4 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수정
12 ‘22.07.11 심재우
- 제 3 장 제 5 절 장주진입(INBOUND) 및 착륙, 복행 수정
- 별첨 2. 입출항 경로도 최신화
- 별첨 3. 비행기 훈련 공역도 최신화
- 제 1 장 제 2 절 기준서 수정
- 제 2 장 제 4 절 통신시설 수정
- 제 3 장 제 3 절 4 VFR 비행을 위한 출항 수정
13 ‘22.07.16 심재우
- 제 3 장 제 4 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수정
- * 별첨 2-1. 좌표 추가 및 ‘S’ Point 변경
- * 별첨 6. Tae-an Airport -> Tae-an Airfield 변경
- 제 3 장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수정
- 제 3 장 제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수정
- 제 4 장 제 1 절 원칙 수정
14 ‘22.10.31 김지성 - 제 4 장 제 2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수정
- 제 4 장 제 4 절 장주비행 수정
- * 별첨 6. RNAV APPROACH 절차, RNP로 용어 변경
- * 별첨 7. 주요 Point 좌표 용어 변경

-3-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목차

제 1 장 총칙
제 1 절 목 적 .......................................................................................................... 6
제 2 절 기 준 서 ...................................................................................................... 6
제 3 절 적용범위 ...................................................................................................... 6

제 2 장 비행장시설 및 운영절차
제 1 절 활주로(Runway) ............................................................................................. 7
제 2 절 유도로(Taxiway) ............................................................................................. 7
제 3 절 계류장(Parking area) ....................................................................................... 7
제 4 절 통신시설 ...................................................................................................... 7
제 5 절 운영시간 ...................................................................................................... 8
제 6 절 등화시설 ...................................................................................................... 8
제 7 절 Wind Sock ................................................................................................... 8
제 8 절 Helipad ....................................................................................................... 8
제 9 절 비행방법 ...................................................................................................... 8

제 3 장 비행기 비행절차
제 1 절 지상활주(Taxiing) ........................................................................................... 9
제 2 절 활주로의 사용 ............................................................................................... 9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 9
제 4 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 13
제 5 절 장주진입 및 착륙, 복행 .................................................................................... 13
제 6 절 장주비행 ...................................................................................................... 15
제 7 절 무선통화 실패절차 (VFR Only) ........................................................................... 16

-4-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4 장 헬리콥터 비행절차
제 1 절 원 칙 .......................................................................................................... 17
제 2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 17
제 3 절 훈련공역 ...................................................................................................... 18
제 4 절 장주비행 ...................................................................................................... 18
제 5 절 입항절차 ...................................................................................................... 19
제 6 절 무선통화 실패절차 (VFR Only) ........................................................................... 19

별첨
1. 비행장시설 도면 .................................................................................................... 21
2. 비행기 입출항 경로도 ............................................................................................. 22
2-1. 비행기 입출항 보고지점......................................................................................... 23
3. 비행기 훈련 공역도 ................................................................................................ 24
4. 헬리콥터 입출항 경로도 ........................................................................................... 25
5. 헬리콥터 훈련공역도 ............................................................................................... 26
6. RNP APPROACH 절차 .............................................................................................27
7. 주요 Point 좌표 .................................................................................................... 30
8. 소음 민감 지역 ..................................................................................................... 31
9. RWY15로 출항 시 소음 감소 절차 ............................................................................. 34

-5-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1 장 총 칙

제 1 절 목적
본 절차는 지리적으로 비행 제한구역(R-108)과 서산 C 등급 공역(서산비행장)과 인접하여 있는 태안비행
장의 특수한 운항환경에서 수행되는 학생의 비행교육에 적용될 국지절차로써 표준화 및 비행 안전을 확보
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제 2 절 기준서
본 절차의 수립에 기준이 된 문헌은 다음과 같으며 본 절차에 언급이 되지 않은 사항은 기준서를 따른다.

. 국내 항공안전법 및 시행규칙, 운항기술기준

. 항공정보 간행물

. 자가용 및 사업용 조종사 실기시험 표준서(Practical Test Standards)

. 비행훈련 교범(Airplane Flying Handbook)

. 비행 교범(Flight Manual)

. 비행훈련 표준서(Flight Training Standardization)

제 3 절 적용 범위
본 절차는 태안비행장에 입/출항하는 모든 항공기의 운항에 대해서 적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해당하는 항
공기는 본 비행절차의 모든 내용을 준수하여야 한다. 또한, 한서대학교 이외 태안비행장을 사용하려는 운
영자는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 운항실(041-671-6165)에 비행계획을 제출하고 허가를 받은 후 비행을 시
행해야만 한다. 미준수 시 태안비행장 행정실과 관제탑에 의한 운항 제재가 있을 수 있다. 비행절차는 상
기 기준서에 따라 수행되고 있으므로, 특별한 이유에 의하여 그 표준을 따르지 못하거나, 혹은 기준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에 관한 내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절차는 비행 안전의 확보를 위하여
수시로 개정, 보완될 수 있다.

-6-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2 장 비행장시설 및 운영절차

제 1 절 활주로(Runway)
1. 명 칭 : Runway 33-15

2. 방 향 : 338°- 158°

3. 표 면 : 아스팔트 포장

4. 길이 및 폭 : 1180M × 25M (3871FT × 82ft)

5. 표 고(피트) : 16ft

6. 활주로 GPS 좌표 : ① RWY 33 – N36°35.36’, E126°17.99’

② RWY 15 – N36°35.91’, E126°17.59’

7. 태안비행장 참조점 좌표 : N 36°35.63’, E126°17.80’

제 2 절 유도로(Taxiway) - 별첨 1(비행장시설 도면) 참고


1. 위 치 : 별첨 1(비행장시설 도면) 참조

2. Taxiway : 활주로 진입 및 이탈을 위해 5개의 Taxiway가 있고, 각 위치는 별첨의 비행장시설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제 3 절 계류장(Parking area) - 별첨 1(비행장시설 도면) 참고


1. 위치 : 관제탑 아래에 Main ramp가 설치되어 있고, Main ramp를 중심으로 북쪽에 North ramp,
남쪽에 South ramp 및 New south ramp가 설치되어 있다.

제 4 절 통신시설
1. Tower 주파수 : 118.625MHz, 240.4MHz

2. Ground 주파수 : 121.825MHz

3. 비상 주파수 : 121.50MHz, 243.0MHz

제 5 절 운영시간
1. 비행장 운영시간 : 08:00 ~ 일몰 (야간비행 금지)

※ Runway 33 사용 시 장주(Traffic Pattern) 훈련은 08:30 이후부터 가능

단, 소음 민원 등으로 인한 필요 시, 비행장 운영시간은 조정될 수 있다.

* 태안비행장 행정실 : 041-671-6121~7 / FAX : 041-671-6129

-7-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2. 관제탑 운영시간 : - 주 중 : 하절기: 0900~1800 / 동절기: 0900~1800 (TWR 및 GND 운영)

- 휴무일 : 하절기: 0900~1800 / 동절기: 0900~1800 (TWR 운영)

-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11.18에 따라 그 외 활주로 운영 시는


NON-TWR 절차를 적용하여 운영한다.

제 6 절 등화시설
1. 활주로 시/종단등 12 등

2. 활주로등 및 정지로등 56 등

3. 진입 각 지시등 4set

4. 유도로등 150 등

5. 유도로 안내등 25set

6. 활주로 말단식별등 4set

제 7 절 Wind Sock
1. 위치 : Runway 33의 우측과 Runway 15의 좌측 편에 각 1개씩 설치

제 8 절 Helipad
1. 위치 : 별첨 1(비행장시설 도면) 참조

제 9 절 비행방법
1. 인가사항 : 주간 시계비행

-8-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3 장 비행기 비행절차

제 1 절 지상 활주(Taxiing)
1. 우선권 : 관제탑과 교신한 순서에 의해 지상 활주(Taxiing)함을 원칙으로 한다.

2. 활주로상의 Taxi가 필요할 경우는 반드시 관제탑의 인가를 받은 후에 활주로로 진입하여야 한다.

제 2 절 활주로의 사용
1. 활주로 진입은 관제탑의 인가를 얻은 후에만 할 수 있다.

2. Hold short에서 이륙 준비가 완료되면 관제탑과 교신한다.

3. 주 활주로 사용은 Runway 15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배풍 5kts 미만, 소음 민원 관련)

4. 활주로의 변경 : 정배풍 성분 5kts 이상 또는 항공기 안전상 필요할 경우, 관제탑의 지시로


활주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절차는 장주 비행절차를 참조한다.

제 3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1. 출항

별첨 2(비행기 입출항 경로도) 참조

2. 이·착륙을 위한 기상 제한치

항공법규에서 정한 시계비행 기상 제한치(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24])를


따르되, D 등급 공역의 기상치를 준용한다.

3. 이륙

이륙절차는 기준서, 각 형식의 비행 교범(Flight Manual) 및 비행훈련 표준서에 따른다.

-9-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4. VFR 비행을 위한 출항

4-1. RWY 33 사용 시

4-1-1. 북쪽 공역으로 출항 시 (신진, 원북)

4-1-1-1.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활주로 종단 통과 후 TRACK 320 절대 유지

4-1-1-2. 마검포 Abeam 시 태안발전소를 참고하여 TRACK 360를 유지하고, R-108(안흥 사격장)
을 침범하지 않는다.

4-1-1-3. 서산비행장 10NM, RNP 경로, R-108을 침범하지 않도록 TRACK을 수정해야 한다.

4-1-1-4. 계속된 상승을 하며 1,500ft 이전에 해미 APPROACH와 교신을 시도한다.

4-1-1-5 MOSAN fix를 지나기 전 RNP 경로를 좌측에 두고, 해안선 서쪽을 경유하여 서산비행장
10NM 밖을 유지한다.

4-1-1-6. 신진공역 사용 시, 2,000ft 혹은 3,000ft를 유지하여 MOSAN fix 지나 좌측 채석포항, 우


측 폐건물 abeam 시 좌 선회하여 신진도 상공과 SOWON fix를 피해 북서쪽으로 진행하
고, 3,000ft 초과 고도 사용 시 서산비행장 반경 15NM 이후에 상승한다.

4-1-1-7. 원북공역 사용 시, 2,500ft를 유지하여 태안발전소의 좌측 신두리해수욕장의 우측을 경유


하여 출항하고, 2,500ft 초과 고도 사용 시 서산비행장 반경 15NM 이후에 상승한다.

4-1-2. 남쪽 공역으로 출항 시 (안면, 광천)

4-1-2-1.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활주로 종단 통과 후 TRACK 320절대 유지, 다


음 상황이 모두 만족하였을 경우 Crosswind Turn을 시작한다.

1. 항공기가 활주로 종단을 통과

2. 선행 항공기 Abeam

(※ 전방 항공기를 뒤따를 수 있을 때는 소음 지역 회피를 위해 abeam 전 선회 가능하다.)

3. 좌측 해안선 Abeam (Due to Noise Abatement)

4-1-2-2. 계속된 상승을 하며 1,500ft 이전에 해미 APPROACH와 교신을 시도한다.

4-1-2-3. R-108(안흥 사격장)을 침범하지 않아야 하며 Downwind Leg 끝단까지 상승하고


Downwind Leg 끝단에서 외도를 참조하여 TRACK 180로 출항한다.

4-1-2-4. 안면도 서쪽 해안선 밖을 유지하고 RNP 경로, R-108을 침범하지 않도록 TRACK을 수
정해야 한다.

4-1-2-5. 방포항 Abeam 시 TRACK 170-180로 장고도를 참고하며 외도와 안면도 사이로 진행한다.
(안면도 상공으로 비행하지 말 것)

4-1-2-6. 광천공역 사용 시, 1,500ft를 유지하여 안면도 내륙을 피해 해안가 밖으로 비행하고, 보


령 발전소 abeam 이후 상승한다.

※ 고도 상승 시기 및 공역사용 방법은 제4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을 참고한다.

-10-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4-2. RWY 15 사용 시

4-2-1. 남쪽 공역으로 출항 시 (안면, 광천)

4-2-1-1.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우측으로 곰섬 남쪽 끝단, 좌측으로 양식장 남쪽 끝


단 abeam이 되면 외도를 참고하여 TRACK 180를 유지하여 상승한다.

4-2-1-2. 계속된 상승을 하며 1,500ft 이전에 해미 APPROACH와 교신을 시도한다.

4-2-1-3. 안면도 서쪽 해안선 밖을 유지하고 RNP 경로, R-108을 침범하지 않도록 TRACK을 수
정해야 한다.

4-2-1-4. 방포항 abeam 시 TRACK 170-180로 장고도를 참고하며 외도와 안면도 사이로 진행한다.
(안면도 상공으로 비행하지 말 것)


4-2-1-5. 광천공역 사용 시, 1,500ft를 유지하여 안면도 내륙을 피해 해안가 밖으로 비행하고, 보
령 발전소 abeam 이후 상승한다.

4-2-2. 북쪽 공역으로 출항 시 (신진, 원북)

4-2-2-1.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우측으로 곰섬 남쪽 끝단, 좌측으로 양식장 남쪽 끝


단 abeam 시 TRACK 180를 유지하여 상승한다. (소음 민원 관련 및 별지 9 참조)

4-2-2-2. 다음 상황이 모두 만족하였을 경우 Crosswind Turn을 시작한다.

1. 항공기가 활주로 종단을 통과

2. 선행 항공기 abeam

3. 길마섬 abeam (Due to Noise Abatement)

4-2-2-3. 계속된 상승을 하며 1,500ft 이전에 해미 APPROACH와 교신을 시도한다.

4-2-2-4. R-108(안흥 사격장)을 침범하지 않도록 TRACK을 수정해야 하며 Downwind Leg 끝단까
지 상승비행을 하고 Downwind Leg 끝단에서 TRACK 360를 유지하며 출항한다.

4-2-2-5. MOSAN fix를 지나기 전 RNP 경로를 최 측에 두고, 해안선 서쪽을 경유하여 서산비행장
10NM 밖을 유지한다.

4-2-1-6. 신진공역 사용 시, 2,000ft 혹은 3,000ft를 유지하여 MOSAN fix를 지나 좌측 채석포항,


우측 폐건물 abeam 시 좌 선회하여 신진도 상공과 SOWON fix를 피해 북서쪽으로 진행하
고, 3,000ft 초과 고도 사용 시 서산비행장 반경 15NM 이후에 상승한다.

4-2-1-7. 원북공역 사용 시, 2,500ft를 유지하여 태안발전소의 좌측 신두리해수욕장의 우측을 경유


하여 출항하고, 2,500ft 초과 고도 사용 시 서산비행장 반경 15NM 이후에 상승한다.

※ 고도 상승 시기 및 공역사용 방법은 제4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을 참고한다.

5. IFR 비행을 위한 출항

5-1. IFR 비행계획서(Flight Plan)를 제출한 후, 다음 항목에 따라 계기비행 허가를 받는다.

5-1-1. 태안비행장에서 계기비행 방식에 따라 비행하려는 모든 항공기는 이륙 전, 태안 GROUND에

-11-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교신하여 계기비행 허가를 받는다.

5-1-2. 계기비행 허가의 지연 등, 태안비행장 내에서 계기비행 허가를 득하기 어려울 때 시계비행으
로 이륙 후 해미 APPROACH와 교신하여 허가를 받는다.

5-1-3. IFR release 후, 실제 이륙시간을 준수하여야 한다. 이륙시간 지연 때 유선 통보하여야 한다.

5-2. RWY 33 사용 시

5-2-1. NAMPO Transition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활주로 끝단 통과 후 TRACK 320 절대 유지. Left


Downwind Departure 절차를 실시하며 고도 2300ft 이하에서 해미 APPROACH와 교신하여 관
제 지시에 따른다. <비행장 내 교통흐름에 따라 관제탑과 협조 후 필요하면 Request>

5-2-2. KODOK Transition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활주로 끝단 통과 후 TRACK 320 절대 유지.


R-108(안흥 사격장)을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마검포 Abeam 시 TRACK 360 및 고도 2300ft
이하를 유지하며 해미 APPROACH와 교신하여 관제지시에 따른다.

5-3. RWY 15 사용 시

5-3-1. NAMPO Transition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500ft에서 TRACK 180 및 고도 2300ft 이하를 유지하며
해미 APPROACH와 교신하여 관제지시에 따른다.

5-3-2. KODOK Transition

Airborne 후 Runway 방향을 유지하고 Right Downwind Departure 절차를 실시하며 고도


2300ft 이하에서 해미 APPROACH와 교신하여 관제지시에 따른다.

<비행장 내 교통흐름에 따라 관제탑과 협조 후 필요하면 Request>

5-4. 순항속도 180노트 이상의 항공기[CITATION(C525), KING AIR(C90GT), BEECH(B1900) 등]

5-4-1. 이륙 후 상기 항목의 고도제한은 제외되며, 이륙절차는 태안 관제탑의 지시에 따른다.

5-4-2. 해미 APPROACH와의 협조 때문에 이륙시간이 제한/변경될 수 있다.

5-5. 태안비행장 관제탑(태안 TOWER) 비 운영 시

5-5-1. 태안비행장에서 시계 비행방식으로 이륙 후, 고도 2300ft를 유지하며 해미 APPROACH로부터


계기비행 허가를 받는다.

-12-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4 절 공역사용 및 비행장 접근
1. 비행 제한구역(R-108), 서산 C 등급 공역 등이 인접해 있으므로 공역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항상 유의
하며, 해미 APPROACH의 허가가 없는 한 서산비행장(RKTP) (이하 서산비행장)으로부터 10NM 안에서의
비행을 금지한다. 단, 부남호 상공에서 1,500ft 이하로 비행하거나 입출항 경로를 따라 태안으로 접근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2. 북쪽 공역은 BACKA 300 radial 기준으로 남서쪽은 신진, 북동쪽은 원북으로 구분하며, 남쪽 공역은 천
수만 동쪽 해안선 기준으로 서쪽은 안면, 동쪽은 광천으로 구분한다.

3. 공역사용 고도

- 북쪽 : 신진 2,000ft, 3,000ft, 4,000ft, 5,000ft, 원북 2,500ft, 3,500ft, 4,500ft, 5,500ft 사용

- 남쪽 : 안면 2,000ft, 3,000ft, 4,000ft, 광천 2,500ft, 3,500ft, 4,500ft 사용

4. 공역 내에서 기동 시 최소 1,000ft의 고도 분리를 원칙으로 하며 주어진 고도를 준수하여야 한다. 단,


BLOCK 고도를 사용하였을 때는 최소 500ft의 고도 분리를 한다.

5. 공역으로 출항 시, 관제기관에 사용하고자 하는 공역과 기동하고자 하는 고도를 통보하여야 하며, 훈련


하고자 하는 고도 또는 공역을 변경할 시에는 관제기관에 통보한다.

6. VFR 이륙 시, 1,500ft 이전에 해미 APPROACH와 교신을 실패한 경우 또는 ‘Standby’라는 지시를 받았


을 경우 1,500ft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후의 교신 후 원하는 고도로 상승할 수 있다.

7. 해미 APPROACH의 RADAR가 OUT일 경우, 훈련 공역에서 맹목 방송하며 비행을 한다.

8. 북쪽 훈련구역 내 훈련 고도는 서산비행장 입항 항공기와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서산비행장 중심 15NM


까지 3,000ft 이하, 15NM 밖은 5,000ft 미만을 유지하며 이 이상 고도 사용이 필요하면 해미 APPROACH
의 관제지시를 따른다.

9. 남쪽 훈련구역 내 훈련 고도는 서산비행장 입항 항공기와의 안전 확보를 위해 위하여 서산비행장 중심


15NM까지 2,500ft 이하, 15NM 밖은 3,000ft 미만을 유지하며 이 이상 고도 사용이 필요하면 해미
APPROACH 관제지시를 따른다.

※ Cross-country 및 안면 공역 2,500ft 초과 상승 시 해미 APPROACH에 허가를 받으면 지속 상승이


가능하다.

10. 훈련 공역에서의 기동은 서산비행장 중심 18 NM 밖에서부터 실시한다. (Traffic separation)

11. 비행장 접근절차

별첨 2(비행기 항공기 입출항 경로도) 참조

-13-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5 절 장주진입(INBOUND) 및 착륙, 복행
1. 장주 진입

1-1. From North

1-1-1. 신진공역으로부터 VFR로 접근하는 항공기는 서산 반경 18 NM 이상을 유지하여 원북 공역 경


계선 방향으로 비행한 후 강하를 시작하여 신두리 해안 남단을 경유하여 솔감저수지로 비행한
다. ※ 원북 공역으로 출항하는 2,500ft 이상의 항공기를 주의해야 한다.

1-1-2. 원북 공역으로부터 VFR로 접근하는 항공기는 내륙 상공을 피해 대산산업단지 방향으로 비행한


후 우 선회하여 대산산업단지를 좌측에 두고 1,500ft로 강하를 시작, 내륙 및 섬을 피해 물길
상공을 경유하여 솔감저수지로 비행한다.

1-1-3. 북쪽 공역으로부터 접근하는 모든 항공기는 백화산과 팔봉산을 사이로 솔감저수지, 인평저


수지를 경유하여 부남호로 접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1-4. “N” Point가 있는 부남호 공역에는 1,000ft 지상 참조 기동이 이루어지므로 1,500ft를 유지한다.

1-1-5. “N” Point에서 해미 APPROACH로부터 태안 TOWER로 관제 이양을 요청하고, 태안 TOWER


에 Landing information을 요구한다.

1-1-6. Runway 33를 사용할 경우 “W”를 경유하여 Right Downwind에서, 착륙허가를 득하여야 한다.

1-1-7. Runway 15를 이용할 경우 “D”, “C” Point를 경유하여 Left Downwind에서 착륙허가를
득하여야 한다.

1-1-7. “N” Point를 지나 “W” Point 또는 “D” Point로 가는 경로에서 90kt로 진입한다.

* Runway 15 사용 시, 동쪽 장주에서 소음 민원지역 상공을 지나 short approach 절대 금지

1-2. From South

1-2-1. 안면 공역으로부터 VFR로 접근하는 항공기는 안면도 내륙을 피해 천수만으로 비행한 후


좌 선회하여 구매항을 좌측에 두고 1,500ft로 강하를 시작하여 “S” point로 비행한다.

1-2-2. 광천 공역으로부터 VFR로 접근하는 항공기는 빙도 북측으로 비행한 후 1,500ft로 강하를 시작


하여 “S” point로 비행한다.

※ 죽도 상공으로 비행 금지

1-2-3. 남쪽 공역으로부터 VFR로 접근하는 모든 항공기는 태안비행장 RNP Runway 33 Approach


course에 중복되지 않게 천수만에서 고도를 먼저 낮추고 진입을 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Cross-country Outbound 시 청천 저수지 남단을 통과하고 Inbound 시 청천 저수지 북단을 통과한다.


(입출항 항공기 경로 중복 방지)

1-2-4. 지상 참조 기동 공역 및 서산비행장 Runway 03 Approach course와 고도 분리를 위해


1,500ft를 유지하며 “S” Point로 이동한다.

1-2-5. “S” Point에서 해미 APPROACH로부터 태안 TOWER로 관제 이양을 요청하고, 태안 TOWER


에 Landing information을 요구한다.

-14-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1-2-6. Runway 33를 사용할 경우 “H”, “D”, “W” Point를 경유하여 Right Downwind에서, 착륙허가
를 득하여야 한다.

1-2-7. Runway 15를 이용할 경우 “H”, “C” Point를 경유하여 Left Downwind에서 착륙허가를 득하
여야 한다.

1-2-8. “S” Point를 지나 “H” Point로 가는 경로에서 90kt로 진입한다.

2. 착륙

2-1. 최종접근 및 착륙에 관한 사항은 기준서, 비행 교범(Flight Manual) 및 비행훈련 표준서에 의한다.

3. 복행 (Go Around)

3-1. 복행 시 장주사용은 관제탑의 지시가 없는 한 서쪽 장주를 사용한다. 단, Twin Turbine 항공기의


경우에는 동쪽 장주를 사용한다.

제 6 절 장주 비행
1. 장주 비행

1-1. 장주 비행을 위한 고도는 1,000ft이다. 단, Twin Turbine 항공기는 1,500ft이다.

1-2. 장주 내에서 모든 선회는 앞의 항공기가 Abeam 된 후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3. 장주 내에서 항공기간의 우선순위는 관제탑의 지시에 따르고 분리에 대한 책임은 뒤따르는 항공기
가 갖는다.

1-4.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은 Upwind 또는 Downwind Leg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1-5. 앞, 뒤 분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 외에 장주진입 항공기와의 우선순위 부여를 위하여 관제사가


Upwind Leg의 연장이나 장주 밖으로 360° 선회를 지시할 수 있다. (단, On Final 예외)

1-6. 장주 내에서의 모든 항공기는 태안 관제탑의 지시를 따라야 하며, 비상시를 제외하고 관제지시에
반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된다.

2. 활주로 변경 시 비행절차

2-1. 활주로 변경 시에 필요한 모든 비행절차는 태안 관제탑의 지시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2. Downwind Leg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위치한 항공기는 착륙한 후에 변경된 활주로에서
다시 이륙한다.

2-3. Downwind Leg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위치한 항공기는, 활주로의 중앙 직상공을 활주로
방향과 수직되게 1,000ft를 유지하며 가로지른 후, 변경된 장주의 Downwind로 재진입한다.

-15-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7 절 무선통화 실패절차 (VFR Only)


1. 무선교신 실패 시 다음 절차를 따른다.

1-1. SQUAWK 7600

1-2. 예상되는 Active Runway에 맞는 국지절차를 따라 동쪽 장주까지 접근한다.

1-3. 조종사는 맹목 방송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전파하며 접근한다.

1-4. 장주 진입 시, 타워를 주시하며 타워의 빛 총 관제 신호에 따라 착륙한다.

-16-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4 장 헬리콥터 비행절차
제 1 절 원칙
1. 본 절차는 태안비행장 내에서 운용되는 헬리콥터의 안전운항을 목적으로 구성하였다. 안전운항을 위한
새로운 사항이 도출될 때에는 내용의 변경 및 수정을 하여야 한다.

2. Hover Taxi 및 지상점검 시 지상 장애물과의 충돌, 로터 후류에 의한 피해는 조종사 책임으로 한다.

3. 항공법에 따라 비행기와 헬리콥터 간의 조우 시 통행 우선권은 비행기에 있다.

4. Air taxi, Hover taxi를 포함한 모든 비행장 내에서의 헬리콥터의 기동은 관제탑의 허가를 득한 후 기동
함을 원칙으로 한다.

5. 헬리콥터의 태안비행장 출항을 위한 출항 목적 고도는 600ft, 태안비행장 입항을 위한 입항 목적 고도


는 700ft로 한다.

6. 본 절차에 수록되지 않은 헬리콥터 절차나, 본 절차에 반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태안 관제탑의 허가가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

7. 본 절차상 언급되는 헬리콥터 훈련 공역은 별첨 5(헬리콥터 훈련 공역도)를 따른다.

8. 훈련 공역에 진입하여 해당 공역을 사용 또는 통과할 경우와 고도 1,000ft 이상 비행 시에는 비행기 및


타 항적과의 분리를 위하여 반드시 해미 APPROACH와 교신하여 C급 공역에 관한 서비스를 요청하여야 한
다.

9. 2017년 11월 26일부로 ATZ(Aerodrome Traffic Zone) 공역을 할당받아 D급에 준용하여 운용하지만, 관
제권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조종사는 Special VFR 인가를 요청할 수 없다.

10. 장주비행은 한서대학교 소속 헬리콥터만 적용한다.

제 2 절 이륙, 출항 및 상승
1. 이륙

항공법규에서 정한 시계비행 기상 제한치(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 [항공법 시행규칙 별표 8])를 따르


되, D 등급 공역의 기상치를 준용한다. 단, 학생 훈련을 위한 기상 제한치는 운항규정에 따른다.

-17-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2. 출항

2-1. 장주 출항

출발지점에서 이륙하여 300ft까지 활주로 방향을 유지하고 서쪽 장주로의 Crosswind turn을 실


시한다. Downwind leg에서 태안 관제탑의 허가를 득한 후, 500ft를 유지한 상태로 활주로 중앙
상공을 직각으로 통과하여 동쪽으로 출항한다. 이후 해양교육원 상공을(이하 “B” Point – 도면
참조) 바라보며 이하의 절차에 따라 비행한다.

2-1-1. 북쪽 출항 (North departure)

“B” Point 통과 후 고도 600ft로 상승, 붉은 지붕 건물(쉐루빌 펜션 모텔) 상공을 통과한다.


이후 D Training Area를 바라보며 출항한다. 태안비행장 5마일 벗어날 때까지 그 고도를
유지한다.

2-1-2. 남쪽 출항 (South departure)

“B” Point 통과 후 고도 600ft로 상승, 안면 연육교 직상공과 연육교 삼거리로부터 동쪽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C” Point 남단을 향해 비행하고, 태안비행장 5마일 벗어날 때까지
그 고도를 유지하며 해당 훈련 공역 또는 목적지까지 비행한다.

2-1-2-1. 남쪽 출항 방식에 따라 S Training Area로 진입할 때는 안면도 동쪽 해안선으로부터 적


어도 내륙 방향으로 0.5nm 을 유지하며 HDG 180 를 기준으로 안면도 남단을 향해 비행한다.

2-2. 직접 출항

출발지점으로부터 태안 관제탑의 허가를 받아 활주로 상공을 가로질러 목적지로 비행한다.

제 3 절 훈련 공역
1. 별첨 참조

2. 모든 훈련 공역에서의 훈련 고도는 600ft 이하로 한다.

제 4 절 장주 비행
연속 이착륙을 위한 장주 비행은 서쪽 장주를 사용하며 고도는 500ft로, 연속 이착륙을 위한 착륙대는 헬
리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원칙으로 한다. 단, 장주비행은 한서대학교 소속 헬리콥터만 적용한다.

-18-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제 5 절 입항절차
1. 태안비행장 입항을 위한 모든 헬리콥터의 입항은, 관제탑의 별도 허가가 없는 한 곰섬삼거리 직 상공으
로부터 안면도 쥬라기공원 앞 도로를 따라 “B” Point를 500ft로 통과하여 입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북쪽 공역에서의 입항

2-1. 태안에서 고도 700ft로 부남호를 따라 남쪽으로 비행하고, D Training Area에서 관제탑과 교신,
“W” Point로 비행한다.

2-2. 입항절차에 따라 “B” Point 고도 500ft로 통과하고 관제탑의 인가를 얻어 활주로 중앙의 상공을
500ft를 유지한 상태로 통과한다.

2-3. 장주의 Downwind Leg에 진입하여 관제탑으로부터 착륙허가를 득한 뒤 목적지에 착륙한다.

(이착륙 항공기와 분리를 위하여 “B” Point에서 공중대기를 예상하여야 한다.)

3. 남쪽 공역에서의 입항

3-1. 남쪽 공역으로부터 입항 시, 안면도 동쪽 해안선을 따라 안면암까지 700ft를 유지하여 비행한 후,


“C” Point 북쪽 송전탑과 곰섬삼거리를 경유하여 “B” Point로 진입한다.

3-2. 입항절차에 따라 “B” Point 고도 500ft로 통과하고 관제탑의 인가를 얻어 활주로 중앙의 상공을
500ft를 유지한 상태로 통과한다.

3-3. 장주의 Downwind Leg에 진입하여 관제탑으로부터 착륙허가를 득한 뒤 목적지에 착륙한다.

(이착륙 항공기와 분리를 위하여 “B” Point에서 공중대기를 예상하여야 한다.)

4. 관제탑 허가 시에는 장주를 사용하지 않고 직 진입 착륙한다.

제 6 절 무선통화 실패절차 (VFR Only)


1. 무선교신 실패 시 다음 절차를 따른다.

1-1. SQUAWK 7600

1-2. 조종사는 맹목 방송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전파하며 예상되는 Active Runway로 헬리콥터 국지절차
에 따라 접근한다.

1-3. “B” Point 상공에서 태안 TOWER의 빛 총 신호에 따라 주변 항적에 유의하며 “(Active) Runway”,
“P” Taxiway, “NORTH HELIPAD”, “SOUTH HELIPAD” 중 가능한 장소에 착륙한다.

1-4. 태안 TOWER로부터 빛 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B” Point에서 체공하며 빛 총 신호를
확인한다.

1-5. “B” Point 상공에서 체공 후에도 빛 총 관제지시를 받지 못하였을 경우, 주변 항적에 유의하며
“(Active) Runway”, “P” Taxiway, “NORTH HELIPAD”, “SOUTH HELIPAD” 중 가능한 장소에 착륙한다.

-19-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별첨

1. 비행장시설 도면 ............................................................................ 21

2. 비행기 입출항 경로도 .................................................................... 22

2-1. 비행기 입출항 보고지점 ................................................................... 23

3. 비행기 훈련 공역도 ........................................................................ 24

4. 헬리콥터 입출항 경로도 ................................................................. 25

5. 헬리콥터 훈련공역도 ...................................................................... 26

6. RNP APPROACH 절차 ....................................................................27

7. 주요 Point 좌표 ............................................................................. 30

8. 소음 민감 지역 .............................................................................. 31

9. RWY15로 출항 시 소음 감소 절차 .................................................. 34

-20-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1. 비행장시설 도면

-21-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2. 비행기 입출항 경로도

-22-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2-1. 비행기 입출항 보고지점

보고지점 위치 지리적 위치

부남호
N N 36° 40.46'
E 126° 20.31'

안면읍, 죽도 abeam
S N 36° 31.01'
E 126° 24.99'

당암포구 옆
방조제 주차장
D
N 36° 37.49'
E 126° 21.51'

황도
H N 36° 35.77'
E 126° 22.36'

원청사거리
W N 36° 37.79'
E 126° 18.77'

창기저수지
C N 36° 35.85'
E 126° 20.83'

-23-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3. 비행기 훈련 공역도

-24-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4. 헬리콥터 입출항 경로도

보고지점 위치
N 부남호
C 창기저수지
D 당암포구 옆 방조제 주차장
W 원청사거리
B 한서대 해양교육원 해상 훈련장 상공

-25-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5. 헬리콥터 훈련 공역도

※참고 : 모든 훈련 공역 내에서 700ft 이하 유지

-26-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6. RNP APPROACH 절차
뒷장 참조

Tae-an Airfield RNP RWY 15

Tae-an Airfield RNP RWY 33

※주의 : 이 절차는 훈련 목적용이며, 공식적으로 인가된 접근절차가 아님

-27- 2022-10-31
RKTA HANSEO UNIV. TAEAN, KOREA
TAEAN 1 NOV 22 RNP Rwy 15
HAEMI Approach *TAEAN Tower *Ground
134.1 124.6 118.625 121.825
Final MOSAN LNAV
Apch Crs MDA(H)
Apt Elev 16′
RNAV
160° 1500′(1484’) 500′(484’) Rwy 16′

MISSED APCH:Climb Rwy heading until 1000’, then turn LEFT direct to BACKA, 4500’
continue climb 3000’ and hold
RNP Apch Alt set : INCHES Trans level : FL140 Trans alt : 14000’
1. Procedure not available during night time. 2. Timing not authorized for defining MAP
3. GNSS required. MSA MAGUM

Gnd speed-Kts 70 90 100 120 140 160 1000’


Descent angle 2.82° 348 448 498 597 697 797 3000’

BACKA
MAP at MAGUM
STRAIGHT-IN LANDING RWY 15 CIRCLE-TO-LAND
LNAV
NIGHT
MDA(H) 500’(484’)
MDA(H) VIS
A A 800’(784’) - 1600m
1600m
B B 800’(784’) - 2000m
NOT AVAILABLE
C C
2500m 1500’(1484’) - 5000m
D D
Warning : Chart uses for Training purpose only, Not certified.
RKTA HANSEO UNIV. TAEAN, KOREA
TAEAN 1 NOV 22 RNP Rwy 33
HAEMI Approach *TAEAN Tower *Ground
134.1 124.6 118.625 121.825
Final CASLE LNAV
Apch Crs MDA(H)
Apt Elev 16′
RNAV
340° 1500′(1484’) 500′(484’) Rwy 16′

MISSED APCH:Climb Rwy heading until 1000’, then turn LEFT direct to KWANG, 4500’
continue climb 2500’ and hold
RNP Apch Alt set : INCHES Trans level : FL140 Trans alt : 14000’
1. Procedure not available during night time. 2. Timing not authorized for defining MAP
3. GNSS required. MSA GOSUM

Gnd speed-Kts 70 90 100 120 140 160 1000’


Descent angle 2.82° 348 448 498 597 697 797 2500’

KWANG
MAP at GOSUM
STRAIGHT-IN LANDING RWY 33 CIRCLE-TO-LAND
LNAV
NIGHT
MDA(H) 500'(484’)
MDA(H) VIS
A A 800’(784’) - 1600m
B
1600m B 800’(784’) - 2000m
NOT AVAILABLE
C
2500m C 1500’(1484’) - 5000m
D D
Warning : Chart uses for Training purpose only, Not certified. .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7. 주요 Point 좌표

주요 Point 좌표 위도/경도 정보
절차 포인트명 위도 / 경도 (소수 분 단위) 위도/경도 (초 단위) 비고

RNP 15 BACKA N36˚ 47.08' E126˚ 17.17' N36˚ 47' 04.8'' E126˚ 17' 10.2'' SOWON 070R 5NM

SOWON N36˚ 44.71' E126˚ 11.67' N36˚ 44' 42.6'' E126˚ 11' 40.2'' MAGUM 340R 10NM

MOSAN N36˚ 40.31' E126˚ 14.64' N36˚ 40' 18.6'' E126˚ 14' 38.4'' MAGUM 340R 5NM

MAGUM N36˚ 35.91' E126˚ 17.59' N36˚ 35' 54.6'' E126˚ 17' 35.4''

RNP 33 KWANG N36˚ 28.92' E126˚ 29.36' N36˚ 28' 55.2'' E126˚ 29' 21.6'' YUMOK 070R 5NM

YUMOK N36˚ 26.55' E126˚ 23.88' N36˚ 26' 33.0'' E126˚ 23' 52.8'' GOSUM 160R 10NM

CASLE N36˚ 30.96' E126˚ 20.94' N36˚ 30' 57.6'' E126˚ 20' 56.4'' GOSUM 160R 5NM

GOSUM N36˚ 35.36' E126˚ 17.99' N36˚ 35' 21.6'' E126˚ 17' 59.4''

서산 TACAN SAN N36˚ 42.60' E126˚ 28.94' N36˚ 42' 36.0'' E126˚ 28' 56.4''

서산 ILS I-SAN freq : 111.50MHz

송탄 VORTAC SOT N37˚ 05.66' E127˚ 01.90' N37˚ 05' 40.0'' E127˚ 01' 54.0'' freq : 116.90MHz

RKTA IFR KODOK N36˚ 46.97' E126˚ 41.73' N36˚ 46' 58.1'' E126˚ 41' 43.7'' SOT 229R 24.7D

NAMPO N36˚ 22.87' E126˚ 44.69' N36˚ 22' 52.2'' E126˚ 44' 41.5'' SAN 154R 23.4D

NOROO N37˚ 17' 46'' E127˚ 19' 09'' KSM 141R 13.5D

※ 주의 : RNP APP 관련 각 FIX 의 위치 사용 시, FIX 별 위도/경도 좌표보다 기준점인


MAGUM, GOSUM 의 위치(위도/경도)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 사용을 우선하여야 함.
(비고 참조)

※ 주의 : KODOK, NAMPO, NOROO FIX 사용 시, SOT, SAN, KSM 으로부터의 상대적


인 위치 사용을 우선하여야 함. (비고 참조)

-30-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8. 소음 민감 지역

아래 지역 상공으로 비행은 지양하고, FULL POWER 사용을 금지함.

· 입/출항 시

-31-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 North Training Area

-32-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 South Training Area

-33-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9. RWY 15로 출항 시 소음 감소 절차

-34- 2022-10-31
태안비행장
비행절차

-35- 2022-10-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