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

수정 및 개정 기록표

IFR 구술시험 번호 일자 담당자 수정 및 개정내용

- 수정 및 개정 기록표 삽입

가이드라인 1 ‘23.08.01
이주원,
권성근
- 페이지 전체 조절
- 출처 최신화 및 최신화 출처 기반 답안 수
정 (2023.08.)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
IFR 구술시험 가이드라인 목차

I. 비행준비 4

II. 출항 30

III. 항로 45

IV. 입항 70 Ⅰ. 비행준비
A. 자격증명, 한정, 최근비행경력 요구 2. 계기비행증명(instrument rating)이 요구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72조 시계비행의 금지
1. 계기비행증명을 취득하기 위한 최소한의 비행시간과 비행경력은?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4 가. 평균해면으로부터 2만피트 초과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 나. 천음속 혹은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경우

가. 해당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에 대한 운송용 조종사, 사업용조종사 다. 29000ft~41000ft RVSM 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경우


또는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이 있을 것
나.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의 기장으로서 해당 항공기 종류에 대한 3. IFR 상황하에서 PIC로 비행하는데 필요한 최근비행경력은 무엇인가?
총 50시간(이 경우 실시하고자 하는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 기장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24조 계기비행의 경험

으로서 10시간 이상의 야외비행경력을 포함)이상의 야외비행경 6개월 사이에 6회 이상 계기접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 경험- 계
력을 보유할 것 기비행을 하려는 날로부터 계산하여 이전 6개월까지의 사이에 6회 이
다. 제89조제2항에 따른 전문교육기관 또는 외국정부가 인정한 교 상의 계기접근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을 한 경험이 있어야 함
육기관(항공기제작사의 교육기관을 포함한다)에서 해당 항공기
종류에 대한 계기비행과정의 교육훈련을 이수하거나 다음의 계
4. 만약 당신이 계기비행 최근비행경력을 수행하지 못했다면 어떻게 다
기비행과정의 교육훈련을 이수할 것
시 회복할 수 있는가?
1) 지상교육: 가)에 따른 전문교육기관의 학과교육과 동등하다 출처 : FAR 61-57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24조 계기비행의 경험
고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정한
가. 계기비행증명을 취득 후 6개월 동안 최근비행경력을 수행하지
소정의 교육
못했다면 취득 후 6개월 뒤인 시점부터 6개월간 어느 때라도 최
2) 비행훈련: 40시간 이상의 계기비행훈련. 이 경우 20시간의 근의 비행경력을 충족하게 되면 IFR current 하게 된다.
범위 내에서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사람으로부터
나. 계기비행증명 취득 후 6개월 뒤부터의 기간동안 시작하여 6개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모의비행장치로 실시한
간 최근의 비행경력 조건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면 instrument p
계기비행훈련시간을 포함 가능
roficiency check을 봐야한다.
다. 대한민국의 경우 IFR currency 유지 조건을 위한 비행을 하면
IFR current 하다.

- 5 - - 6 -
5. 자격을 갖춘 안전감독조종사(qualification for acting as a safety B. 비행 전 준비(Preflight action for Flight)
pilot)란 무엇인가?
1. 계기비행 전에 PIC가 준비해야 할 사항은?
출처 : FAR 91-109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76조 모의계기비행의 기준
출처 : 14 CFR 91.103
가. 최소한 자가용조종사 자격증을 가졌으며,
가. 착륙하고자 하는 공항의 활주로 길이
나. 유효한 항공조종사 신체검사 증명서 보유 나. 이륙 및 착륙거리
다. 현재 비행하고 있는 기종등급 및 분류에 종사(category and cla 다. 연료 요구량
ss) VFR 조건에서 IFR currency 유지를 위한 safety pilot을 라. 플랜제출
해줄 때 계기비행한정을 취득한 조종사가 아니여도 된다. 바 기상보고 및 전망

라. 대한민국에서는 안전감독조종사 자격을 명시하지 않는다. 사. ATC 지연사항

2. IFR 조건에서 비행하는데 요구되는 연료량은?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17 항공기에 실어야 할 연료와 오일의 양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 계기비행증명 교육비행의 경우 최초 착륙예


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 + 순항고도로 45분간 추가로 비행
할 수 있는 양
(참고) 대학기관에서 수행하는 교육비행은 항공기사용사업에 속하
지 않음
가.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사용사업용 비행기
왕복발동기 터빈발동기
계 기 비 Taxi fuel(이륙 전 소모) Taxi fuel
행 으 로 trip fuel(이륙~최초착륙 예정 Trip fuel
교 체 비 비행장) Contingency fuel
행장 필 contingency fuel(이상사태 발 Destination alternate fuel
요 생 시 연료 소모 증가를 대비, 1개 교체비행장 요구되는 경우 최초착륙
운항기술기준에서 정한 양) 예정 비행장에서 MAP에 필요한 양+교체
destination alternate fuel 비행장까지 상승 순항 강하 접근에 필요
1개 교체비행장 요구되는 경우 한 양
최초착륙 예정 비행장에서 2개 이상일 경우 2중 많은 것
MAP에 필요한 양+교체비행장 Final reserve : 교체비행장 도착시 예상
까지 상승 순항 강하 접근에 필 중량에서 표준대기에서 체공속도로
요한 양 1500ft의 상공에서 30분 더 비행할 수

- 7 - - 8 -
2개 이상일 경우 2중 많은 것 있는 연료의 양 나. 항공운송사업용/항공기사용사업용 외의 비행기 경우
final reserve fuel : 교체비행
계기비행, 교체비행장 o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 + 교체비행
장에 도착시 예상되는 중량에서 그 밖에 비행성능 고려하여 운항기술기준
장까지 비행을 마치고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순항속도 및 순항고도로 45분 에서 정한 양
있는 양
더 비행~ 계기비행, 교체비행장 x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 + 순항고도
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그 밖에 비행성능 고려하여 운 주간에 시계비행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 + 순항고도
항기술기준에서 정한 양 로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계 기 비 Taxi fuel Taxi fuel 야간에 시계비행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 + 순항고도
행 이 지 Trip fuel Trip fuel 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만 교체 Contingency fuel Contingency fuel
비 행 장 다음 각 목 어느 하나에 해당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양
3. GPS를 이용한 IFR 비행을 수행하기 전에 가장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불필요 는 양 표준대기에서 1500ft 상공에서 체공속도
하는 Prefllight check는?
표준대기에서 최초착륙에정 비 로 15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출처 : FAA 2023 AIM 1-1-17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3.3
행장 1500ft에서 체공속도로15 Final reserve fuel양을 포함하여 정상적
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인 순항 연료소모율로 2시간 더 비행할 가. GPS 장비의 계획된 IFR 플랜과의 적합성
교체비행장이 없는 경우 다음중 수 있는 양
나. 데이터베이스 만료 여부
더 적은 양 : 순항속도로 45분 Final reserve fuel : 예상되는 중량에서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계획된 1500ft 상공에서 30분간 더 비행할 수 다. GPS / WAAS NOTAM 확인
비행시간의 15퍼센트 / 순항속 있는 양
라. WAAS 기능이 없는 GPS의 경우, RAIM check
도로 2시간 더 비행할 수 있는 그 밖에 비행성능을 고려하여 운항기술기
양 준에서 정한 양
Final reserve fuel : 예상되는 (참고)
중량에서 순항속도 순항고도로 - 기술표준 TSO-C129 or TSO-C196에 의해 certified 된 GPS는 WAAS
45분간 더 비행 기능이 없는 gps를 의미함. 해당 장비들은 IFR 사용을 위해서 RAIM check
그 밖에 비행성능을 고려하여 가 요구되며, 경로 상 RAIM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해당 기간
운항기술기준에 정한 양 동안 대체항법장비를 모니터링 해야 함. 교체비행장이 필요할 경우 도착비행
시 계 비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
장이나 교체비행장 둘 중 하나의 비행장에는 GPS 이외의 장비를 요구하는
행의 경 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계기접근절차가 발간되어 있고 사용가능해야 한다.

- 기술표준 TSO-C145 or TSO-C146의 경우 WAAS certified GPS를 의
미함. 해당 장비들은 WAAS가 가능할 경우 RAIM이 불가능 하더라도 단독
IFR 항법장비로 사용 가능함. 또한 교체비행장이 필요할 경우 양 공항 모두
GPS를 이용한 접근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 9 - - 10 -
C. 항공기에 대한 비행 전 준비 (Preflight Action for Aircraft) 3. 합법한 IFR을 수행하기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항공기 및
1. 항공기가 감항조건에 충족되는지 결정하는 것은 누구인가? 장비 점검(Inspection)은?
출처 : 항공안전법 제 136조 출발 전의 확인 출처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8.1.4.6

기장. 기장은 해당 항공기의 감항성 및 등록여부, 감항증명서와 등록 가. 최근 12월 이내의 연간 검사


증명서 탑재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경우 100시간 검사.
(참고)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36조 출발 전의 확인 다. 계기비행을 하고자 하는 비행기의 경우 24월 이내의 고도계 및
1. 해당 항공기의 감항성 및 등록 여부와 감항증명서 및 등록증명서의 탑재 동정압계기 검사
2. 해당 항공기의 운항을 고려한 이륙중량, 착륙중량, 중심위치 및 중량분포
3. 예상되는 비행조건을 고려한 의무무선설비 및 항공계기 등의 장착
라.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항공기의 경우 최근 24월 이내의 트랜스폰
4. 해당 항공기의 운항에 필요한 기상정보 및 항공정보 더 검사
5. 연료 및 오일의 탑재량과 그 품질 마. 자동으로 작동되는 구조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
6. 위험물을 포함한 적재물의 적절한 분배 여부 및 안정성
가 장착된 항공기의 경우 12월 이내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
7. 해당 항공기와 그 장비품의 정비 및 정비 결과
설비 검사
- 항공일지 및 정비에 관한 기록의 점검
- 항공기의 외부 점검 (참고)
- 발동기의 지상 시운전 점검 FAA는 계기비행을 계획한 항공기에 대해 30일마다 VOR 점검 수행을 추가로
- 그 밖에 항공기의 작동사항 점검 요구한다.
8. 그 밖에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
여 고시하는 사항

4. 휴대용 전자장비가 항공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가?


2. IFR에 요구되는 필수계기와 장비는 무엇인가?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214조 전자기기의 사용제한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16 항공계기등의 기준

가. 나침반 사용가능하나, 운항중인 항공기의 항행 또는 통신장비에 영향을 미

나. 시계 친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다. 운송사업용의 경우 정밀기압고도계 2기 (참고)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214조
운송사업용 외의 경우 기압고도계/정밀기압고도계 각 1기 운항 중에 전자기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항공기와 사용이 제한되는 전자
라. 속도계 기기의 품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마. 선회 및 경사지시계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항공기
가. 항공운송사업용으로 비행 중인 항공기
바 인공수평자세지시계
나.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 중인 항공기
사. 자이로식 기수방위지시계
2. 다음 각 목 외의 전자기기
아. 외기온도계 가. 휴대용 음성녹음기
자. 승강계 나. 보청기

- 11 - - 12 -
다. 심장박동기 D. IFR 비행계획
라. 전기면도기
1. 조종사는 언제 IFR 비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가?
마. 그 밖에 항공운송사업자 또는 기장이 항공기 제작회사의 권고 등에 따라
출처: AIP(23.06.) ENR 1.10 / FAA 2023 AIM 5-1-5, 5-1-6
해당항공기에 전자파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고 인정한 휴대용 전자기기
가. (한국) 출발예정시간으로부터 1시간 전 제출해야 함

5. IFR을 위해서 항공기에 탑재되어야 하는 서류는 무엇인가? 나. (FAA) 출발예정시간으로부터 30분전 제출해야 함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13조 항공기에 탑재하는 서류
(참고) 한국과 미국 비행계획서 관련 차이점
가. 항공기 등록증명서, 감항증명서, 탑재용 항공일지
한국 -
나. 운용한계 지정서 및 비행교범, 운항규정 인천 비행정보구역 내에서 비행할 경우 VFR / IFR 비행방식과 무관하게 출발

다.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서 사본, 운영기준 사본 예정시간 1시간 이전에 비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미국(FAA) -
라. 소음기준적합증명서 미국 내 비행 시 VFR은 일반적으로 비행계획 접수 불필요. 그러나 수색구조 등
마. 각 운항승무원의 유효한 자격증명서 및 조종사 비행기록 관련 안전을 위해 비행계획 접수가 추천된다.

자료
2. 조종사는 언제 IFR 비행계획을 취소할 수 있는가?
바. 무선국 허가증명서(Radio Station Licence) 출처 : FAA 2023 AIM 5-1-14,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1.10
사. 여객 명부(항공운송사업용만 해당),화물목록/화물신고서류(항공
시계비행규칙을 준수할 수 있는 경우 언제든 취소 가능하다. 관제탑
운송사업용만 해당)
이 운영되는 공항일 경우 착륙과 동시 자동종결되며, 관제탑이 운영
아. 임대차 항공기의 경우 항공기감독의무이전협정서 되지 않는 공항일 경우 조종사가 직접 종료해야 한다.
자. 운항승무원 점검표

3. Composite 비행계획이란 무엇인가?


6. GPS waypoint information database는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 되어 출처 : FAA 2023 AIM 5-1-9,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1.6

야 하는가? 한 비행에서 VFR과 IFR 두가지 비행규칙에 따라 비행할 때 접수하


출처 : 2023 FAA AIM 1-1-17
는 비행계획서이다.
GPS database는 비행을 하는 동안 항상 최신화되어야 하며, WAY
POINT databse 업데이트는 28일마다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 13 - - 14 -
4. 비행계획서에 기재하는 요청고도는 비행경로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 7. 대체공항의 착륙최저치는?
는 고도인가? 출처 : 2017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 1-13 IFR alternate requirment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8.1.9.11
출처 : FAA 2023 AIM 5-1-6, Appendix 4

Initial Requested Altitude, 최초 요구고도. 비행 중 다른 고도 사 가. 대한민국 기준

용을 원할 경우 관제사에게 직접 요청. (정밀접근) 운고 600ft(180m) 및 시정 2sm(3km) 이상


(비정밀접근) 운고 800ft(240m) 시정 3sm(5km) 이상
5. 목적지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는 언제인가? 나. 미국 (FAA) 기준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86조 교체비행장 등 / FAA 2017 Instrument Procedures
(정밀접근) 운고 600ft 및 시정 2sm 이상
handbook 1-13 IFR alternate requirments
(비정밀접근) 운고 800ft 및 시정 2sm 이상
한국의 경우 2,1,3 RULE 적용. (항공운송사업용 아닐 경우)
가. 도착 예정시간 +-2시간 내에
E. 항로 계획(Route Planning)
나. 운고가 계기접근 최저치보다 300M(1000FT) 미만
1. 항로 저고도 차트(Enroute Low Altitude chart)는 무엇이며
다. 시정이 5500M 미만이거나 표준계기접근절차 최저치의 얼마 주기로 발행되는가?
4000M 미만일 경우 목적지 교체비행장 필요 출처 : FAA 2023 AIM 9-1-4 / AIP (23.06.) GEN 3.2

미국의 경우 1,2,3 RULE 적용 가. (대한민국) 국내의 경우 Low/High 구분 없이 하나의 Enroute


가. 도착 예정시간 +- 1시간 이내에 chart로 발간되며, ATS 항공로를 따라 항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나. 실링 2000ft 미만 한다. 제작 주기는 1년에 1회 이상이다.

다. 시정이 3sm 미만일 경우 목적지 교체비행장 필요 나. (FAA) 18,000ft MSL 이하 고도에서 항법을 위한 항공정보를
제공하며, 56일 마다 재 발행

6. 운고(ceiling)의 정의는?
2. 항로 고고도 차트(Enroute High Altitude chart)는 무엇이며
출처 : FAA 2023 AIM Pilot/Controller Glossary
얼마 주기로 발행되는가?
가. (FAA) 지면으로부터 BKN 이상(BKN, OVC, OBS)이 되는 구 출처 : FAA 2023 AIM 9-1-4 / AIP(23.06.) GEN 3.2
름층의 높이
가. (한국)국내의 경우 Low/High 구분 없이 하나의 Enroute chart
나. (ICAO) 20,000ft(6000m) 이하에서 하늘을 반 이상 가리는 구 로 발간되며, ATS 항공로를 따라 항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름층의 높이 제작 주기는 1년에 1회 이상이다.
나. (FAA) 18,000ft MSL 이하 고도에서 항법을 위한 항공정보를
제공하며, 56일 마다 재 발행. VHF 항법시설에 주파수, 식별부호,
채널, 공항에 위치하고 있는 지상좌표, 보고점 등을 가지고 있다.

- 15 - - 16 -
3. 지역도(Area chart)는 무엇인가? 나. 시리즈 C. 국내공항에 관한 항행안전시설 및 통신시설 등 정보
출처 : FAA 2023 AIM 9-1-4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9.1.3 / AIP
수록
(23.06.) GEN 3.2
다. 시리즈 D. 공역에 관한 정보 수록(임시제한 구역 제외)
항공로, 공역, 픽스 등이 복잡한 지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차트.
계기비행단계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다음의 정보를 제공한다. 라. 시리즈 E. 임시제한 구역에 관한 정보 수록

가. 비행의 순항단계와 비행장 접근단계간의 전환 마. 시리즈 G. 공항에 대한 ‘GPS 수신기 자동 무결성 감시(RAI
M)’오류 예측에 관한 정보 수록
나. 이륙/실패접근단계와 순항단계간의 전환
바. 시리즈 Z. 일반 규칙, 트리거 노탐, 흐름관리, 불꽃·미사일·레
다. 복잡한 항공로 또는 공역의 통과비행
이저 발사 등 A~G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사항에 관
한 정보 수록
4. 항행안전시설 제한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출처 : AIP(23.06.) ENR4, AD / 2017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 1-3
F. 비행계기
가. (한국) NOTAM 혹은 공항 내 항행안전시설의 경우 AIP의 AD
a. Pitot Static System
섹션, 항로상 항행안전시설의 경우 ENR 4. 섹션에서 찾을 수 있다.
1. Pitot static system에 의해서 작동하는 계기는 무엇인가?
나. (미국) NOTAM 혹은 Chart supplement에서 찾을 수 있다.
출처 : ICM (2016) 2-15

Airspeed indicator(속도계), Vertical Speed indicator(승강계),


5. NOTAMs란 무엇인가?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1.3 / FAA 2023 AIM 5-1-13 Altimeter(고도계)

운항과 관련된 종사자들이 반드시 인지하여야 하는 항공 시설, 업무,


절차 또는 위험의 신설, 운영상태 또는 그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록 2. 고도계는(Altimeter)는 어떻게 작동되는가?
하여 전기 통신 수단에 의하여 배포되는 공고문을 말한다. 출처 : ICM (2016) 2-18

고도의 상승과 하강에 의한 Static vent로 들어오는 Static pressur


6. 우리나라 NOTAM의 종류를 설명해 보아라. e가 늘어나고 줄어듦으로 인해 Aneroid Wafere가 팽창 또는 수축
출처 : AIP (23.06.) GEN 3.1-4 을 하게 되는데 aneroid wafere과 고도계를 연결해 주는 링크를 통

항공고시보는 항공기 운항관련자가 필수적으로 적시에 알아야할 항 해 고도계의 바늘이 움직이며 고도를 지시하게 된다.

공관련시설, 업무, 절차 또는 장애요소의 신설, 상태 또는 변경과 관


련된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시리즈 A. 국제공항에 관한 항행안전시설 및 통신시설 등 정보
수록

- 17 - - 18 -
3. 고도계의 제한사항은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2-19 7. 속도계의 제한사항과 오류는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2-16
덥고, 고기압일 때 진고도보다 낮게 춥고, 저기압일 때 진고도 보다
제한사항: Pitot/Static 시스템에 적절한 공기의 흐름이 필요
높게 나타낸다
Hot to cold, High to low look out below 오류: 1. Position (Pressure) error: Slipstream으로 인해 Static
port가 부정확한 정압 측정

4. 계기비행을 위해서 승강계 최대허용오차는 몇 ft인가? 2. Density error: 고도, 온도의 변화 등으로 인한 밀도 변화
출처 : ICM (2016) 2-21 에 대한 보정이 없음

실제 고도로부터 75feet 이내에 있다면 계기비행이 가능하다. 3. 압축성 오차: 공기의 압축성으로 인해 동압 측정에 오차가
발생. 약 200kt 미만에서는 무시할 수 있다.
5. 각각의 내용에 대해서 정의하고 서술하라. 8. 항공기 속도의 종류에 대해 얘기하시오
Indicated Altitude / Density Altitude / Pressure Altitude Indicated Airspeed /Calibrated Airspeed /Equivalent Airspeed
Absolute Altitude / True Altitude True Airspeed / Ground Airspeed
출처 : ICM 2-20 출처 : ICM (2016) 2-16

가. Indicated Altitude: 18,000feet MSL 아래에서 고도계에 지시 가. Indicated Airspeed: 속도계에 지시되는 속도
하는 고도
나. Calibrated Airspeed: 비행기에 장착되어 있는 계기 오차를 수
나. Density Altitude: Pressure Altitude에 비표준 온도에 대한 보 정한 속도
정을 수행한 고도
다. Equivalent Airspeed: 공기의 압축성으로 인한 오차 보정
다. Pressure Altitude: 표준대기값인 29.92 in. Hg를 고도계에 입
라. True Airspeed: EAS에 비표준 온도를 보정
력했을 때 지시하는 고도.
바. Ground Airspeed: 지면을 기준으로 한 이동속도로 TAS에 바
라. Absolute Altitude: 지표면으로부터의 실제 고도
람값을 보정
마. Ture Altitude: Mean sea level(해수면)으로부터의 실제 고도

6. 속도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출처 : ICM (2016) 2-17

Pitot tube로 들어오는 Total pressure(전압)과 Static port를 통


해서 들어오는 static pressure(정압)의 차이를 계산해 dynamic p
ressure(동압)을 계기에 표시한다.

- 19 - - 20 -
9. 색깔별로 나누어진 속도계내의 Arc에 대해 설명하라.
13. Static port(정압공)이 막혔을 때 무슨 계기가 영향을 받는가?
(범위, TOP, BOTTOM)
출처 : ICM (2016) 2-24
출처 : ICM (2016) 2-18

속도계, 고도계, 승강계가 영향을 받는다.


가. White arc: Vso~Vfe. Full flap operation range
가. 속도계 : 정압공이 막힌 고도를 유지할 경우 정확한 값을 지시
나. Green arc: Vs1~Vno. Normal operation range
함. 항공기가 강하할 경우 실제속도보다 높은 값을 지
다. Yellow Arc: Vno~Vne. Caution range. 안정적인 기류에서만
시한다. 상승시 반대.
운용 가능한 range
나. 고도계 : 정압공이 막힌 고도를 지시한다.
라. Red arc: Vne~. 초과 금지 속도
다. 승강계 : 수평비행을 지시한다.

10. 승강계(VSI)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14. 만약 1200ft의 공항에서 기온이 6도(섭씨)이고 표준기온감률
출처 : ICM (2016) 2-22
(Standard temperature lapse rate)이라면, Freezing level은 얼마인
다이어프램은 정압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즉각적인 정압 변화에 가?
반응한다. 다이어프램 외부 케이스는 공기 흐름을 제한하는 관(Cali 출처 : ICM (2016) 9-50

brated leak)를 통하여 연결되어 외부 정압 변화에 반응하기까지의 표준기온감률 –2도/1000ft 이므로 freezing level은 약 3000ft이다
시간이 걸린다. 항공기가 상승/강하할 경우 다이어프램 내의 압력은
즉시 변화하지만, 케이스의 압력은 늦게 변화하면서 압력차가 발생
15. 만약 Pitot tube가 막혔을 때, 혹은 Static port가 막혔을 때 적절한
하게 되고, 이 압력차를 측정하여 상승/강하율을 나타낸다.
대처방법은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2-24

11. 승강계(VSI)의 제한사항은 무엇인가? Pitot heat을 키거나 Alternate static source를 사용한다. Conven
출처 : ICM (2016) 2-22
tional 계기를 사용할 경우 VSI의 유리를 깨뜨려 VSI를 통해 static
VSI는 항공기의 정확한 상승/강하율을 나타내기까지 지연이 존재한 system에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 급격한 항공기 자세의 변화는 잘못된 값을 측정하며, 항공기가
안정 정확한 값을 지시한다. 16. Alternate static source를 사용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은?
출처 : ICM (2016) 2-24

12. Pitot tube의 ram air inlet과 drain hole이 막혔을 때 무슨 계기에 비여압 항공기 내부 압력은 외부 기압보다 낮다. 따라서 속도계와
영향을 미치는가? 고도계는 높게, vsi는 순간적인 상승을 지시한다.
출처 : ICM (2016) 2-23

속도계만이 영향을 받으며, 이 경우 속도계는 고도계처럼 작동한다.

- 21 - - 22 -
5. Turn coordinator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출처 : ICM (2016) 2-9
b. Gyroscopic System
1. 어떤 계기가 Gyroscope를 가지고 있는가? Gyro를 기울어진 짐벌에 장착해(Canted gyro) Yaw와 Roll 정보를
출처 : ICM (2016) 2-3 미니어처 비행기를 통해 표시함.

Heading Indicator, Attitude indicator, Turn coordinator 볼 경사계의 볼(Ball)은 중력과 관성에 따라서 움직이며, 이를 통해
Slip과 Skid 정보를 나타냄

2. 항공기내에 Gyroscopic 계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몇가지 타입은


6. Turn coordinator는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2-9
출처 : ICM (2016) 2-3

Roll rate, turn rate, slip skid, indirect indication of bank


Electric / Vacuum driven. 일반적으로 속도계 / 자세계는 Vacuum
으로, Turn coordinator은 Elctric으로 작동한다.

7. Turn coordinator는 어떤 Source로 작동하는가?


3. Vaccum장치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출처 : PHAK (2016) 8-16
출처 : PHAK(2016) 8-16
일반적으로 전기로 작동하나, Vacuum으로 작동하는 경우도 있다.
Engine driven pump를 통하여 Gyro 로터에 공기를 흘려보내 빠르
게 회전시킨다. 보통 4.5~5.5inhg의 압력이 계기 정상 운용 범위이
8. Heading indicator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다.
출처 : ICM (2016) 2-8

Gyro를 기준으로 항공기의 수직축의 회전을 측정한다.


4. Gyroscopes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특징을 서술하시오
출처 : ICM (2016) 2-4
9. Heading indicator의 제한사항과 오류의 종류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가. 세차성(Precession) : 자이로에 힘을 가했을 때, 자이로 회전방
출처 : ICM (2016) 2-9 / PHAK (2016) 8-16
향 90도 전방에서 힘이 작용하는 현상
가. 세차성에 의한 오차 : 짐벌이 낡거나 윤활이 제대로 되지 않아
나. 강직성(Rigidity) : 자이로의 회전축이 우주공간에 대하여 항상
회전에 저항이 발생할 경우 자이로에 힘이 가해지며 세차성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현상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나. 지구자전에 의한 오차 : 자이로의 강직성은 우주공간에 대해 발
생하는 것으로,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시간당 최대 15도까지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23 - - 24 -
10. Attitude indicator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G. Fundamentals of Weather
출처 : ICM (2016) 2-5

Gyro 강직성을 이용하여 Roll과 Pitch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1. 고도증가에 따라 대기압은 어떤 비율로 줄어드는가?
출처: ICM(2016) 2-20

11. Attitude indicator의 제한사항과 오류를 기술하시오. 1000ft당 1in.hg


출처 : ICM (2016) 2-6

180도 turn 할 때 5도 이내 bank, 1 bar이내 pitch 오류가 발생할 2. 표준기온과 표준대기압은(해수면 기준)?
수 있다. 180도 선회에서 Roll out 할 경우 약간의 상승과 롤아웃 출처: ICM(2016) 2-20

반대의 경사를 지시하고, 360도 선회에서 없어진다. 15도(섭씨), 29.92 in.hg / 1013.25hpa
가/감속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속시 약간의 nose high, 감
속시 nose low 자세를 지시할 수 있다. 3. 북반구에서의 고기압과 저기압의 특징에 대해 기술하시오
일부 자세계에서는 Gyro tumble이 발생할 수 있다. 자이로가 한계 출처: ICM(2016) 9-5

까지 움직일 경우 세차성으로 인해 자이로가 갑작스럽게 Tumble 가. 고기압: 시계방향으로 발산하며, 하강하는 특징을 가진다.
할 수 있다. 이는 보통 100도의 뱅크. 60도 이상의 피치에서 발생한
나. 저기압: 반시계방향으로 수렴하며, 상승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

4. Isobar(등압선)에 평행하도록 바람의 방향을 바꾸는 원인은 무엇인


c. Magnetic Compass 가?
1. Magnetic Compass는 어떻게 작동되는가? 출처: ICM(2016) 9-5
출처 : ICM(2016) 2-12 / PHAK (2016) 8-23
코리올리스 힘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등압선에 평행해진다.(지균풍)
자석을 compass card에 연결해 자석이 지구자기력선과 평행하게
움직이려는 힘을 이용한다.
5. 왜 지상풍(Surface winds)은 등압선과 직각(>사선인 듯)으로 부는
가?
2. Magnetic Compass의 제한사항 및 오류를 서술하시오. 출처: ICM (2016) 12-49
출처 : ICM(2016) 2-12, PHAK(2016) 8-26
지면과의 마찰로 인해 코리올리스 힘이 약해져 등압선에 직각으로
가. 터뷸런스 등으로 인해 항공기가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헤딩 바람이 불게 된다.
지시가 부정확하다.
나. magnetic dip에 의해 가감속 오차와 선회오차가 발생한다

- 25 - - 26 -
6. 기온(Temperature)과 이슬점(Dew point)가 서로 섭씨2도 (화씨4 11. 항공기를 기준으로 당신이 경험할 수 있는 종류의 Icing은 무엇인
도)내에 있을 때 기상은 어떠한가? 가?
출처: ICM (2016) 9-8 출처: ICM (2016) 9-49

안개나 낮은 구름이 예상된다. Induction icing, Structure icing

7. 구름의 종류(type)와 수직확장(vertical extent)를 결정하는 요소는 12. Structural Ice의 3가지 종류는 무엇인가?
무엇인가? 출처: ICM (2016) 9-49

출처: ICM (2016) 9-13~16


가. Clear : 어는비나 적운형 구름 등에서 마주하는 큰 물방울로 인
대기의 안정성과 습도에 의해 구름의 종류 / 수직확장이 결정된다. 해 발생함. 물방울이 항공기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얼
때 생성. 누적속도가 빠르고 투명하며 제거가 어려움.
항공기에 가장 위험.
8. 안정대기와 불안정대기의 차이는 무엇인가?
출처: ICM (2016) 9-10 나. Rime: 층운형 구름등에서 작은 물방울이 항공기에 부딪히며 바

안정대기와 불안정대기는 대기의 수직적 움직임 여부에 따라 결정할 로 얼 때 생성. 불투명하며 에어포일 표면을 변화시켜 양

수 있다. 안정대기는 수직적 움직임이 없고 불안정대기는 수직적 움 력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직임이 활발 다. Mixed: Clear와 Rime이 혼합된 형태의 착빙

9. 대기의 안정성은 어떻게 결정하는가? 13. 뇌우(Thunderstorm)를 형성시키는 요소는 무엇인가?


출처: ICM (2016) 9-10 출처: ICM (2016) 9-29

상승 시 급격한 온도의 감소는 불안정 대기를 뜻하고, 고도에 따른 높은 습도, 불안정한 공기, 상승기류
온도 변화가 적거나 상승할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역전층일 때 안정
대기가 된다. 14. Squall line은 무엇인가?
출처: ICM (2016) 9-33

10. 구름과 안정성(터뷸런스), 강수, 시정이 대기의 안정성과 불안정에 얇은 띠의 뇌우로 가장 위험한 기상현상을 동반한다. 보통 빠르게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 서술하시오 움직이는 한랭전선의 전방 50~200마일에서 발생하나 항상 전선과
출처: ICM (2016) 9-10~16
관련된 것은 아니다(비전선성).
가. 안정대기: 층운형 구름, 안개, 기류 좋음, 지속성 강수, 나쁜 시정
나. 불안정대기: 적운형 구름, 기류 나쁨, 소나기성 강수, 좋은 시정

- 27 - - 28 -
15. Fog의 종류를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출처: ICM (2016) 9-46

가. 냉각에 의한 안개: 이류무, 복사무, 활승무


나. 증발에 의한 안개: 증기무, 전선무

Ⅱ. 출항

- 29 -
A. Authority and Limitations of the pilot 2. 관제공역 내에서 계기비행 중 어느 장비가 고장났을 때 보고를 해야
하는가?
출처: FAA 2023 AIM 5-3-3
1. 기장의 책임과 권한에 대해 기술하시오.
출처 : 항공안전법 제62조 기장의 권한 등 가. VOR, TACAN, ADF or 저주파수 항법수신기 기능(능력) 상실
항공기 기장은 직접적으로, 항공기 운용에 관해서 최종적인 권한을 나. ILS 수신기의 부분 또는 완전한 기능(능력)상실
가지는 책임이 있다. 다. 공중/지상 통신 기능 감소
라. 항공기에 탑재된 장비로 안전 및/혹은 IFR 운용능력을 약화시킬
(참고) 항공안전법 제62조 기장의 권한 등
① 항공기의 운항 안전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사람(이하 “기장”이라 한다)은 수 있는 기타 모든 장비의 손실(고장)
그 항공기의 승무원을 지휘ᆞ감독한다.
② 기장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항공기의 운항에 필요한 준비가
끝난 것을 확인한 후가 아니면 항공기를 출발시켜서는 아니 된다. B. Departure clearance
③ 기장은 항공기나 여객에 위난(危難)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1. IFR 인가는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인정될 때에는 항공기에 있는 여객에게 피난방법과 그 밖에 안전에 관하여 필 출처: FAA 2023 AIM 5-5-2
요한 사항을 명할 수 있다.
가. ATC 타워가 운용되는 공항, 주파수가 가용될 때 지상관제소 또
④ 기장은 운항 중 그 항공기에 위난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여객을 구조하고, 지
상 또는 수상(水上)에 있는 사람이나 물건에 대한 위난 방지에 필요한 수단을 는 Clearance delivery 주파수 중 한 개로 인가를 받을 수 있다.
마련하여야 하며, 여객과 그 밖에 항공기에 있는 사람을 그 항공기에서 나가게 나. 타워가 없는 공항, FSS가 없는 비행장 또는 시골지역
한 후가 아니면 항공기를 떠나서는 아니 된다.
1) RCO를 통한 무선 인가 또는 몇 몇 지역에서는 전화로 인가를
⑤ 기장은 항공기사고, 항공기준사고 또는 의무보고 대상 항공안전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 받을수 있다.
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다만, 기장이 보고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항공기의 소유 2) 몇 몇 지역에서는, 인가전달 주파수는 특정 지역 내 다른 공
자등이 보고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9. 8. 27.>
항에서 사용가능 절차는 지역적인 현상 및 기상조건 및 ATC
⑥ 기장은 다른 항공기에서 항공기사고, 항공기준사고 또는 의무보고 대상 항공
계통의 복잡성 등으로 다를 수 있다. IFR 인가를 가장 효과적
안전장애가 발생한 것을 알았을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
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다만, 무선설비를 통하여 그 사
인 방법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조종사는 IFR인가를 획득하
실을 안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9. 8. 27.> 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가를 최인근 FSS에서 획
⑦ 항공종사자 등 이해관계인이 제59조제1항에 따라 보고한 경우에는 제5항 득해야 한다.
본문 및 제6항 본문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 31 - - 32 -
2. Cleared as filed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5. IFR비행인가에 Hold for release의 목적이 무엇인가?
출처: FAA 2023 AIM 5-2-6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2.5 출처: FAA 2023 AIM 5-2-7

Abbreviated clearance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 비행계획서 ARTCC는 교통관리목적으로 (기상, 항공기 운항 항공기 수, 기타)
에 제출된 항로(STAR가 있다면 STAR 포함)를 일일이 말하는 것 로 항공기의 출발을 지연시킨다.
이 아니라 “cleared as filed”라는 용어를 통해 간략하게 말하는
것이다. 단 departure procedure, altitude, identification, clearan C. Departure Procedure
ce limit, transponder code의 정보는 생략할 수 없다.
1. IFR 이륙최저치는 무엇인가?
출처 : 비행절차업무규정 별표2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63조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서의 비행
/ 2017 Instrument Procedure Handbook 2-6
3. 어떤 Item들이 IFR 인가에서 주어지는가?
출처: FAA 2023 AIM 4-4-3 가. 대한민국

C learance Limit (destination airport) 이륙최저치는 이륙을 위한 항공기 기동을 위한 것으로 시정 또는 R


VR로 설정되며, 이륙시 장애물 육안식별이 필요할 경우 운고로 설
R oute 항로
정될 수 있다.
A ltitude 고도 (최초고도) 나. FAA
F requency 주파수 (이륙) takeoff minimum은 출항지역의 장애물 회피를 위한 시정과 운고
T ransponder 트랜스폰더 (스쿽코드) 를 명시
FAR PART 91 : takeoff minimum를 따르지 않아도 되나, 안전을
4. clearance void time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위해서는 준수를 하는 것이 좋다.
출처: FAA 2023 AIM 5-2-7 / 2017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 1-43 FAR PART 121, 135 : 해당 공항 접근 차트에 takeoff minimum
타워가 없는 공항에서 IFR 출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와 주변에서 비 이 명시되었을 시, 이 기준치를 준수해야하며 접근차트가 있지만 기
행하는 다른 항공기와 적절한 separation을 제공하기 위해 clearan 준치가 명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single-twin engine의 경우 1sm,
3engine 이상은 1/2sm을 standard minimum을 사용한다.
ce void time을 제공한다. 해당 항공기는 clearance void time 이
전에 이륙을 해야하며 clearance void time 이후에는 separation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륙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이륙하 2. IFR 이륙최저치를 결정하는데 good operating practice(좋은 운항습
지 않았을 경우 clearance void time 이후 30분 이내에 ATC에게 관)는어떤 의미인가?
출처 : ICM (2016) 4-14
알려야 한다.
운항하고자 하는 공항에 계기 출발절차가 기술되어있지 않다면, 원
하는 공항의 이륙최저치를 사용, 출발절차가 없다면 기본 VFR 최저
치 적용(1,000ft, 3sm)

- 33 - - 34 -
3. DP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5. 출항하는 동안 장애물 회피를 제공받기위해 사용되는 범주는?
출처 : 2017 Instrument Procedure Handbook 2-12 출처 : 2017 Instrument Procedure Handbook 1-16

계기 출항시, 출발공항에서 항로 진입까지 계획된 경로이며 graphic 사용하고자 하는 활주로에 따로 ODP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DER로
또는 textual chart를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준수할 때 장애물 부터 400ft에서 선회, 최소 200ft/nm의 상승률로 상승하고, 이륙활
회피를 보장을 받으며 안전하게 항로까지 비행을 할 수 있다.또한 주로 끝단을 35ft로 통과하면 장애물로부터 최소 35ft + 48ft/nm
이 절차를 준수 시, 교통흐름의 촉진, 조종사와 관제사의 업무량을 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ODP가 설정된 경우 설정된 climb g
줄여준다. radient 또는 weather minimum을 준수하여 출항하면 된다.

6. DP는 어디서 찾아볼 수 있는가?


4. DP의 두 가지 종류는 무엇인가? 출처 : 2017 Instrument Procedure Handbook 2-7
출처 : 2017 Instrument Procedure Handbook 2-17
Jeppsen chart는 airport diagram에 명시되어있으며 AIP는 해당
가. ODP obstacle departure procedure
공항 text 차트에 명시가 되어있다.
Diverse departure assessment(해당 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할
때 장애물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
진입표면의 경사도 152ft/nm)를 통해 판단한 결과 해당 활주로 7. 만약 SID를 지시받았다면 출항 시 무조건 받아들여야만 하는가?
를 사용할 때 장애물 회피를 위해 더 가파른 상승률 또는 기상조 출처 : FAA 2023 AIM 5-2-9
건이 요구되는 경우 ODP가 설정된다. ODP는 ATC의 clearanc
e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장애물 회피만을 위해 설정되는 절차이 아니오, SID를 받아들일 필요는 없음. SID의 사용은 조종사가 필요
다. ODP는 가능한 많은 항공기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낮은 ME 한 선택에 따라 적절한 인가된 최신 SID를 그래픽으로 된 설명 절차
A를 가진 항로와 연결된다. ODP는 text or graphic 형태로 제 또는 원문 설명서를 가지고 있어야 함. ATC는 챠트로된 SID를 가
공 지고 있지 않거나 DP로 비행할 수 없을 때에는 즉시 조언해야 함.D
나. SID 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P 사용에 대한 통보는 비행계획서 비고란에 "NO SID"라고 기록하
장애물 회피는 물론이지만 ATC의 업무 효율을 증가시키는 목 던가 전화/무전기로 ATC에 통보한다.
적으로 사용한다. Standardize traffic flow, reduce frequenc
y congetion, reduce fuel consumption, noise abatement 등
8. 100노트의 항공기가 300ft/nm의 상승각을 가졌다면 항공기의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다. SID는 주로 고고도에서 비
행하는 고성능 항공기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파른 climb gradi 상승률(fpm)은?
출처 : ICM (2017) 4-4
ent가 요구되기도 한다. SID는 ATC의 허가가 필요하고 조종사
가 요청하지 않더라도 SID를 수행하라고 할 수 있다. SID를 사 100 ÷ 60 × 300 = 498 fpm
용하지 않기 위해서 사전에 flight plan에 NO SID 라고 기입하 (GS/60) X 상승률(ft/nm)의 값이 fpm 이다.
는 것이 좋다. SID는 항상 graphic으로 발행되며 사용하려면
조종사가 해당 chart를 소지해야 한다.

- 35 - - 36 -
9. ATC에 의해서 지정된 고도로 올라가야 할 때, 권고되는 상승률은 E. Transponder
무엇인가? 1. Mode C transponder가 필요한 경우는 언제인가?
출처 : 운항기술기준 8.2.8 상승,강하율 운용절차 / 2017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
출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07조 무선설비
2-48

국내의 경우 Mode C 트랜스폰더를 필수적으로 장착해야하며, 국외


지정된 고도 1000ft 이내 고도까지는 optimum rate로 상승하고 그
를 운항하는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경우에는 Mode S 트랜스폰
이후 인가된 고도까지는 500~1500fpm으로 상승한다.
더를 장착하여야 한다.
만약 적어도 500fpm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할 경우 ATC에 통보해
야 한다.
(참고) 운항기술기준 8.2.8 상승 강하율 운용절차
2. 다음의 코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200, 7700, 7600, 7500, 7777
출처: FAA 2023 AIM 4-1-20,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2.1.8
조종사는 배정고도로의 상승 또는 강하 시, 인접한 고도에서 비행하고 있는 타
항공기를 인지한 경우에는 항공교통관제기관의 별도 지시에 의한 경우를 제외 가. 1200 – VFR
하고, 배정고도 300m(1000ft) 전에 상승/강하율을 8m/sec 또는 1,500ft/min
나. 7700 – Emergency
미만으로 하여 불필요한 ACASⅡ 회피기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 7600 – Failure of two-way radio communication
D. VOR Accuracy Checks 라. 7500 – Hijacked
1. VOR장비의 정밀도를 체크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바. 7777 – Military interceptor operation reserved code
출처 : FAA 2023 AIM 1-1-4

가. VOR 신호점검 : ±4°


나. 지상점검 : ±4°
다. 공중점검 : ±6°
라. 2중 VOR 수신기 점검 : 상호 ±4°이내, 지정된 radial값과 4도
이내 각각 체크해야 함

2. 조종사는 Airborne checkpoints와 ground checkpoints와 VOT


testing station의 위치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가?
출처 : FAA 2023 AIM 1-1-3 / AIP (23.06) AD

가. (한국) AIP 내 AD 섹션에서 각 공항별 VOR checkpoint 위치


를 확인할 수 있다.
나. (FAA) Chart supplement의 A/FD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37 - - 38 -
3. IFR 중 Two-way communication이 failure일 경우 어떻게 조치해 행로에 합류할 것
야 하는가? 4) 무선통신이 두절되기 전에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출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90조 통신 최종적으로 지정받거나 지정 예정을 통보받은 비행로(지정받
시계비행 기상상태일 경우 시계비행방식으로 착륙 가능한 가장 가까 거나 지정 예정을 통보받지 아니한 경우에는 비행계획에 명
운 공항에 착륙하여 관제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시된 비행로)를 따라 목적비행장의 항행안전시설이나 위치통
지점(FIX)까지 비행한 후 체공할 것
가. 계기비행 기상상태일 경우
5) 무선통신이 두절되기 전에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1) 항공교통업무용 레이더가 운용되지 아니하는 공역의 필수 위
최종적으로 지정받은 접근 예정시간(접근 예정시간을 지정받
치통지점에서 위치보고를 할 수 없는 항공기는 해당 비행로
지 아니한 경우에는 비행계획에 명시된 도착 예정시간)에 목
의 최저비행고도와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최종적으
적비행장의 항행안전시설이나 위치통지점(FIX)으로부터 강
로 지시받은 고도 중 높은 고도로 비행하여야 하며, 관할 항
하를 시작하거나, 착륙할 비행장의 계기접근절차에 따라 접
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지시받은 속도를 20분
근을 시작할 것
간 유지한 후 비행계획에 명시된 고도와 속도로 변경하여 비
행할 것 6) 가능한 한 제5호에 따른 접근 예정시간과 도착 예정시간 중
더 늦은 시간부터 30분 이내에 착륙할 것
2) 항공교통업무용 레이더가 운용되는 공역의 필수 위치통지점
에서 위치보고를 할 수 없는 항공기는 다음 각 목의 시간 중
가장 늦은 시간부터 해당 비행로의 최저비행고도와 관할 항 4. 잘못된 altimeter setting 값을 고도계에 세팅한 경우 mode c
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지시받은 고도 중 높은 transponder의 고도보고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고도를 유지하고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출처: FAA 2023 AIM 4-1-20

지시받은 속도를 7분간 유지한 후, 비행계획에 명시된 고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Mode C 트랜스폰더는 Altimeter setting과
와 속도로 변경하여 비행할 것 무관하게 항상 기압고도 (29.92inhg)를 보고한다.
가) 최종지정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에 도달한 시간
나) 트랜스폰더 코드를 7,600으로 조정한 시간이거나 자동종 F. Airport Facilities
속감시시설(ADS-B) 송신기에 통신두절을 표시한 시간 1. 특정공항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다) 필수 위치통지점에서 위치보고에 실패한 시간 가.(대한민국) AIP의 AD section에서 각 공항의 정보를 얻을 수 있
3) 레이더에 의하여 유도되고 있거나 허가한계점(Clearance Li 다.
mit)을 지정받지 아니한 항공기가 지역항법(RNAV)으로 항 나. (미국) 미국의 경우 AIP 이외에도 Chart supplement의 A/FD
공로를 이탈하여 비행 중인 경우에는 최저비행고도를 고려하 section에서 공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 다음 위치통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비행계획에 명시된 비

- 39 - - 40 -
2. 다음의 약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ALS, VASI, PAPI, REIL 4. 공항의 rotating beacon(비행장등대)은 무슨 색인가?
출처: FAA 2023 AIM P/CG / 한국교통안전공단 항공정보매뉴얼 5.2 출처 : FAA 2023 AIM 2-1-9

가. ALS: Approach Light System (진입등 시스템) 가. White and Green – Lighted land airport
항공기에게 진입로를 알려주기 위해 진입구역에 설치되는
나. Green alone – Lighted land airport
등화
다. White and Yellow – Lighted water airport
나. VASI: 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 (시계진입각지시등)
항공기의 진입각 정보를 제공하는 등화 라. Yellow alone – Lighted water airport

다. PAPI: 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or (정밀접근진입각지 마. Green, Yellow, and White – Lighted heliport

시등), VASI와 유사하게 진입각 정보를 제공 바. Two quick white and green – Military airport

라. REIL: Runway End Identifier Lights (활주로 시/종단 식별


등)활주로 시/종단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활주로 시/종 5. 주간에 D 공역 내 공항에서 운용되는 비행장등대는 무엇을 의미하는
단에 설치하는 백색 동시섬광등 가?
출처 : 항공등화 설치 및 관리기준 / FAA 2023 AIM 2-1-10

3, Rwy Edge Lgiht(활주로등)은 무슨 색인가? 가.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비행장등대는 지정된 운영시간에 점등


출처 : FAA 2023 AIM 2-1-4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5.2.4 한다.

가. (대한민국) 활주로 양측으로 백색이며, 600m나 활주로 1/3 길 나. (미국) 일반적으로 시정이 3mile이하 또는(그리고) 운고가 100
이 중 짧은 구간의 활주로등은 활주로 종단으로 진행하는 방향에서 0ft 이하로 VMC 미만 기상에서 운용하나, 주간 비행장등대 운
보았을 때 황색으로 한다. 용에 대한 규정은 별도로 없으며, 비행장등대를 이용하여 VMC
활주로 시/종단을 표시하는 등화는 활주로 안쪽 방향으로는 붉은색, 와 IMC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
바깥쪽 방향으로는 초록색으로 활주로 시/종단 식별을 제공한다.
나. (FAA) 활주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양측에 설치되는 흰색 등화 6. Rwy 길이에 관련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로, 계기 활주로의 경우 마지막 2000feet 또는 활주로의 중간지점 가. (대한민국) AIP의 AD 섹션에서 활주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얻
부터 노란색으로 설치해 잔여 활주로에 대한 시각적 경고를 제공한 을 수 있다.
다. 활주로 시/종단을 표시하는 등화는 활주로 안쪽 방향으로는 붉 나. (미국) AIP 외에도 Chart Supplement의 A/FD 섹션에서 정보
은색, 바깥쪽 방향으로는 초록색으로 활주로 시/종단 식별을 제공한 를 얻을 수 있다.
다.

- 41 - - 42 -
7. Touch down zone marking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FAROS는 RWSL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시스템이거나 RWSL와
출처 : FAA 2023 AIM 2-3-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5.3 독립적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착륙 운용을 위한 접지 지점을 의미해 주며 500feet씩 증가되는 간
격으로 그려져 있다. RWSL이 ATC Clearance를 무시할 정도로 독립적인 안전장치로
서는 사용할 수 없다. 활주로를 횡단하거나 출입하거나 이착륙시에
8. Aiming point marking은 어떠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는가? 는 ATC의 Clearance(인가)가 필요하다. ATC가 운영중인 곳에서
출처 : FAA 2023 AIM 2-3-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5.3
RWSL 등화는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착륙하는 항공기에게 시각적인 조준점 제공해준다. Landing thresh
old에서부터 대략적으로 1000feet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9. Touch down zone은 활주로에서 얼마나 되는가?


출처 : FAA 2023 AIM P/GC

착륙하고자 하는 활주로의 끝단에서 3000ft까지의 활주로 구역을 t


ouchdown zone이라고 한다.

10. RWSL은 무엇의 약자이고 무엇을 의미하는가?


출처: FAA 2023 AIM 2-1-6

RWSL은 자동화 system으로 활주로의 상태(unsafe)를 활주로를


출입하거나 횡단하거나 이륙및 착륙하는 조종사와 지상차량 운전자
들에게 명확하게 알려준다. RWSL은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
stems)과 REL (Runway Entrance Lights), THL(Takeoff Hold
Lights), RIL(Runway Intersection Lights), FAROS(Final Appr
oach Runway Occupancy Signal)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비들은
지상의 traffic의 위치와 속도에 따라서 작동한다. REL, THL, RIL
은 매립형의 등화로서 조종사들과 지상 차량 운전자들에게 잘 보일
수있게 설치된다.
FAROS는 도착하고 있는 항공기에 접근활주로상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PAPI(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or)로써 나타낸다.

- 43 - - 44 -
A. En-route Limitations
1. 다음을 정의하라. MEA, MOCA, MCA, MRA, MAA,OROCA
출처: FAA 2023 AIM P/GC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조종사/관제사 참고용어

가. MEA: Minimum Enroute Altitude(최저 항공로 고도)


무선시설 사이에서 신뢰할만한 항법신호를 보장하고,
장애물 회피 요구조건에 충족하는 가장 낮은 인가고도
나. MOCA: Minimum Obstacle Clearance Altitude
항공안전 무선시설 사이에서 장애물 회피 요구 조건에
충족하는 가장 낮은 인가고도이다. MOCA는 VOR 송
신소 22NM에 항법신호 수신을 보장하는 고도이다.
다. MCA: Minimum Crossing Altitude
항공기가 높은 MEA 방향으로 비행할 때, 특정 픽스에서
Ⅲ. 항로 도달해야 하는 최저고도이다.
라. MRA: Minimum Reception Altitude
Off route facility를 이용해 특정 fix를 식별할 필요
가 있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최저고도이다
마. MAA: Maximum Authorized Altitude
제한된 VHF 주파수에 의해 주변의 navigation facility
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고고도에서
신호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navigatio
n signal만 수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가장 높은 고도를
MAA라고 한다.
바. OROCA: Off-Route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미국내에서 비 산악지역에서는 1000f 완충지대,
산악지역에서는 2000ft 완충지대로 장애물 회
피를 제공하는 고도이다. 이 고도는 지상에 설치된
항행안전무선시설, ATC 레이다, 통신통달 거리 등
의 보장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 46 -
2. 만약에 최소고도가 표시되지 않았을 시에는 계기비행에 적용해야하는 즉, 대체공항, 다른 접근 등)
고도는 무엇인가? 마. 순항고도에서 평균 진대기속도(TAS)가 5% 나 10노트(둘 중
출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99조 최저비행고도 / AIP (23.06) GEN 3.3.5.3
큰 것) 이상 차이가 있을 때.
가. 산악지역 : 항공기 중심 반지름 8km 내 위치한 가장 높은 장애
바. 체공 fix 또는 지점에 도달과 이탈할 때.
물로부터 600미터의 고도
사. 비행안전에 관한 상황.
나. 비산악지역 : 항공기를 중심으로 반지름 8킬로미터 이내에 위
치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300미터의 고도 아. 관제 공역 내에서 VOR, TACAN, ADF, 저주파수 항법

(참고) 인천비행정보구역 내 산악지역 수신기 중 어느 한 가지라도 능력 부분고장 또는 공/지


인천 비행정보구역 내 설악산 지역 / 지리산 지역 / 한라산 지역이 산악지역으 통신능력 악화시.
로 지정되어 있다. 산악지역의 세부 좌표는 AIP (23.06) GEN 3.3. 산악지역
자. 안전과 관련된 어떠한 정보사항.
의 지정 참조
차. 예보되지 않은 위험한 환경조건 또는 돌발기상.
3. 계기비행에서 관제공역에서는 어떤 순항고도를 유지해야하는가? 비관
제 공역에서는 어떠한가?
2. Radar contact 이 되지 않을 때 ATC에 의해 요구되는 보고해야하는
출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64조 순항고도
사항은?
출처 : FAA 2023 AIM 5-3-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3.3
항공기가 관제권 혹은 관제구 내에서 비행할 경우 항공교통관제기관
의 지시를 따르면 되며, 그 외의 경우 동쪽으로 비행할 경우 천단위 가. 최종접근(비정밀)에서 최종접근 중 FAF를 떠날 때나 최종접
홀수고도, 서쪽으로 비행할 경우 천단위 짝수고도를 유지해서 비행해 근중(정밀접근) OM(OM대신에 사용 중인 것)을 떠날 때.
야 한다. 나. 사전에 계획한 예상시간(ETA) 3분을 초과 할 때.
B. En-route Procedures 디. compulsory reporting point 상공에서 position report

1. 특별한 요청없이 항상 ATC에게 보고 해야 햐는 것은 무엇인가?


출처 : FAA 2023 AIM 5-3-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3.3 3. 모든 위치보고에 포함되어야 하는 아이템은 무엇인가?
출처 : FAA 2023 AIM 5-3-2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91조 위치보고
가. 새로 할당된 고도로 진입하기 위해서 이전에 할당된 고도를
이탈 시. 가. 한국

나. VFR on top 운용 중 고도 변경 시. 1) 항공기 식별부호


2) 위치통지점 통과시각과 고도
다. 500FPM 으로 상승 또는 강하 할 수 없을 때.
3) 그 밖에 항공기 항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
라. 실패접근을 실시했을 때. (특별한 조치를 위한 요청사항.

- 47 - - 48 -
나. FAA 6. VFR on TOP은 VFR 인가인가 IFR 인가인가?
출처 : FAA 2023 AIM 4-4-8 / 항공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2.4.4
1) 항공기 식별부호 (Identification
2) 위치. (Position) IFR 인가이다.
3) 시간. (Time)
4) 고도 및 비행고도. (Altitude or flight level) 7. VFR on TOP은 어떤 공역에서 금지되는가?
5) 비행계획 형태. (Type of flight plan) 출처 : FAA 2023 AIM 5-5-13 / 항공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2.4.4
6) 차기보고지점 도착예정시간 및 이름. (ETA and name of ne
A급 공역에서는 VFR-ON-TOP이 불가능하다.
xt reporting point)
7) 비행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차기 연속되는 보고지점 이름
8) 기타 적절한 사항. (Pertinent remarks) 8. VFR on TOP하에서 조종사는 어떤 운용절차를 유지해야 하는가?
출처 : FAA 2023 AIM 5-5-13 / 항공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2.4.4

4. 항로상에서 예측하지 못한 기상을 만났을 때 보고해야하나? 가. 적절한 VFR 고도로 비행.


출처 : FAA 2023 AIM 5-3-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3.3
나. VFR 시정 및 구름으로부터의 회피 거리 준수
보고해야 한다. 조종사는 비행 중 예보되지 않은 기상상태나 예보된 다. 현재의 비행에 적절한 계기비행방식을 따를 것.
위험한 기상 상태에 조우했을 경우, 기상상태를 ATC에 보고해야한
예) IFR 최소고도, 위치보고, 무전교신, 비행할 코스, ATC 인가에
다.
추가할 사항, 기타 등등.

5. Maintain과 Cruise의 차이는 무엇인가?


출처 : FAA 2023 AIM P/CG / 국토교통부 항공교통관제절차 용어의 정의

가. Maintain : 할당고도를 유지. 9. Clearance limit(인가 한계)은 무엇이고, 언제 받는가?


나. Cruise : MIA에서 지정된 고도사이에서 원하는 고도를 선택하 출처 : FAA 2023 AIM 4-4-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여 비행할 수 있다. 보통 traffic이 적을 때 발부된다. Cruise cl Clearance는 이륙 전 발부되며, 일반적으로 도착지 공항까지 비행
earance는 해당 공항까지의 approach clearance 까지 포함하 이 인가된다. 어떤 상황, 몇몇 지역에서는, 단거리 인가절차가 사용
는 허가이기 때문에 destination airport에 ATC에게 추가적으 되며, 그래서 인가는 fix 내 혹은 공항(터미널)지역 밖으로 발부된
로 허가 없이 접근을 수행할 수 있다. 다. 그리고 조종사들은 중 관제사로부터 직접적인 장거리 인가를 수
신할 주파수를 할당받게 된다.

- 49 - - 50 -
10. Holding pattern이 차트에 표시되어잇지 않을 때 ATC는 어떤 용.
정보를 제공하는가? 4) 미 공군 비행장은 별도 제한이 없을시 오직 310KIAS로 제한
출처 : FAA 2023 AIM 5-3-8
한다.
Holding pattern이 그려져 있지 않는 픽스에서 ATC는 항공기에게 5) 해군 착륙장은 오직 230KIAS.
다음과 같은 INSTRUCTION을 제공한다.
나. ICAO
가. Fix에서 공중대기 8개의 compass 방위각을 기준으로의 방향지
1) Up to 14000ft.................................................230KIAS
시.(예; N, NE, S, SE, E, SE, W, WE)
2) 14000ft-20000ft.............................................240KIAS
나. Holding fix 이름
3) 20000ft-34000ft.............................................265KIAS
다. 항공기가 holding 해야 할 radial, course, bearing, airway, ro
ute. 4) Above 34000ft....................................................M 0.83

라. holding leg 길이
12. Standard holding pattern은 어느 방향으로 선회를 하는가?
마. Holding pattern이 non-standard (left turn)일 경우 선회방향
출처 : FAA 2023 AIM 5-3-8
. 조종사가 선회방향을 요청하거나 관제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
면 선회방향을 지시함. Standard holding pattern에서 선회는 우선회로 진행한다.

바. (EFC) 및 기타 특징적인 추가적인 지연에 대한 정보사항.


13. Holding pattern에서 wind correction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
가?
11. Holding하는 동안 항공기의 최대속도는 무엇인가?
출처 : FAA 2023 AIM 5-3-8 / ICAO DOC 8168 2018 6TH EDITION
출처 : FAA 2023 AIM 5-3-8 / ICAO Doc 8168 2018 6TH EDITION

가. ICAO
가. FAA
Holding의 모든 과정 (Entry, Holding pattern)에서 track을 유지
1) MHA-6,000.....................................................200KIAS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6,100-14,000..................................................230KIAS
나. FAA
14,000-and above..........................................265KIAS
Inbound와 outbound leg에 대해서 wind correction 양으로 바람
2) 고도 6,001ft부터 14,000ft 까지의 비 표준 장주는
영향을 주로 보상하고, outbound leg시에는 주요 선회 조절량을 회
210KIAS로 제한 피하기 위해 inbound leg에 3배를 수정한다.
3) 모든 고도에서의 비 표준 대기 장주의 속도는 최대
175KIAS로 제한. 별도 표시됨. 175KIAS의 제한 속도 는
일반적으로 계기접근 절차의 CAT A와 B의 항공기에만 적

- 51 - - 52 -
14. Maximum holding speed를 넘을 때 holding fix에 접근할 때의 적 Sector (b)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holding fix로 진입할 때, tear
절한 액션은 무엇인가? drop 진입 절차는 fix로 가서 pattern(on the holding side)내
출처 : FAA 2023 AIM 5-3-8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3.6 30도 heading 으로 outbound 1분간 진행, 이후 holding patter
Fix로부터 3분 또는 이하일 때 속도 감속을 시작해야 한다. n 방향으로 선회하여 inbound holding course intercept.
다. Direct
15. 왜 첫 holding instruction에 EFC를 받는 것이 중요한가?
Sector (c)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holding fix로 진입할 때, Dire
출처 : FAA 2023 AIM 5-3-8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3.3.6
ct 진입 절차는 fix로 바로 가서 holding pattern 방향으로 선
통신 두절시, 조종사가 holding pattern에서 벗어날 때를 알아야하 회.
기 때문이다.

16. Holding의 권고되는 진입방법의 종류를 나열하고, 설명하라. 17. 표준 holding pattern의 길이는 얼마인가?
TH
출처 : FAA 2023 AIM 5-3-8 / ICAO DOC 8168 2018 6 EDITION 출처 : FAA 2023 AIM 5-3-8

진입 구역에 따라 3가지 방법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양측으로 5도 가. (ICAO) Outbound leg 기준


의 오차를 허용한다.
14,000ft or 14,000ft MSL 이하 : 1분
14,000ft MSL 이상은 inbound leg : 1분 30초
나. (FAA) Inbound leg 기준
14,000ft or 14,000ft MSL 이하 : 1분
14,000ft MSL 이상은 inbound leg : 1분 30초

18. 만약 DME/GPS holding을 지시받았다면, 어떤 절차가 사용되나?


출처 : FAA 2023 AIM 5-3-8

거리(NM)를 시간 값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entry와


가. Parallel (평행) holding 절차를 DME holding pattern에 적용한다. DME holding p
Sector (a)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holding fix로 진입할 때 paral attern의 outbound course는 pattern의 outbound leg이라고 부른
lel 진입 절차는 non-holding side로 outbound holding course 다. Outbound leg의 길이는 관제사에 의해 결정되어지고, leg의 종
에 평행한 heading 으로 선회 후 1분간 진행하고, Holding patt 료는 DME 숫자 표시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ern 방향으로 180도 이상 선회를 한다. 그리고 hodling fix로 돌
아가든지 holding course를 intercept하여 inbound 한다.
나. Teardrop(FAA) / Offset(ICAO)

- 53 - - 54 -
19. Holding pattern시 언제 time check을 하는가? 필요로 하는 양
출처 : FAA 2023 AIM 5-3-8 2) 기내의 대기압이 376헥토파스칼(hPa) 미만인 비행고도에서
가. Outbound leg에서 fix의 over/abeam 둘 중 늦게 오는 시점. 비행하거나 376헥토파스칼(hPa) 이상인 비행고도에서 620
헥토파스칼(hPa)인 비행고도까지 4분 이내에 강하할 수 없
나. Abeam 시점을 모를 경우 outbound로의 선회가 완료되는 시점.
는 경우에는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최소한 10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양
C. Oxygen requirement
(참고)
대기압 700HPA 기압고도 : 10,000ft

1. Supplemental oxygen은 어떤 경우 사용하게 되어있는가? 대기압 620HPA 기압고도 : 13,000ft


대기압 376HPA 기압고도 : 25,000ft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114조(산소 저장 및 분배장치 등)

비행 중인 비행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조종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모든 운항승무원은 아래와 같은 산소 공급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D. Emergencies
언제든지 산소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1. 언제 조종사는 ATC의 지시를 벗어날 수 있는가?
가. 여압장치가 없는 항공기가 기내의 대기압이 700헥토파스칼 미 출처 : 고정익 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8.1.11.21
만인 비행고도에서 비행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비상사태 시 ATC 지시를 벗어날 수 있다.

(참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8.1.11.21 항공교통관제 허가 준수
1) 기내의 대기압이 700헥토파스칼(hPa) 미만 620헥토파스칼 가. 기장은 비상사태를 제외하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득한 사항
(hPa) 이상인 비행고도에서 30분을 초과하여 비행하는 경우 에 대해 수정허가를 득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벗어나서는 아니 된다, ATC의 지
에는 승객의 10퍼센트와 승무원 전원이 그 초과되는 비행시 시를 따르면 위법을 하게 될 소지가 있는 경우 ATC에게 수정 인가를 요청한다
간 동안 필요로 하는 양 나. 기장은 관제비행(Controlled flight)이 요구되는 공역에서 운항하는 경우에
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을 제외하고 항공교
2) 기내의 대기압이 620헥토파스칼(hPa) 미만인 비행고도에서 통관제 지시를 지체 없이 따라야 한다.
비행하는 경우에는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해당 비행시 다. 비상사태로 항공교통관제 허가 또는 지시를 벗어난 경우 기장은 가능한 신
간 동안 필요로 하는 양 속히 그 사항을 관제기관에 알려야 한다.

나.. 기내의 대기압을 700헥토파스칼(hPa) 이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여압장치가 있는 모든 비행기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
는 헬리콥터의 경우에는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양
1) 기내의 대기압이 700헥토파스칼(hPa) 미만인 동안 승객 전
원과 승무원 전원이 비행고도 등 비행환경에 따라 적합하게

- 55 - - 56 -
2. VFR이나 IFR상황하에서 two-way radio communication이 단절되 3. 다음 상황에서 Two-way communications가 단절되었을 경우 권고
었을 때 고도, 항로, 홀딩, 접근, 접근선택에 대한 절차는 무엇인가? 되는 절차에 대해 논의해라.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90조 통신 상황) A와 B사이의 MEA는 5000ft, B와 C사이의 MEA는 5000ft, C와
D사이의 MEA는 11,000ft 그리고 D와 E사이의 MEA는 7000ft
가. (VFR 상황) VFR을 유지하여 착륙할 수 있는 공항에 접근, 빛총
이다. A와 B를 비행하는 동안 할당 고도는 6,000ft 였고 B에서
신호를 받아 착륙한다.
8,000ft로 예상인가를 받았다. 더 높은 고도 할당을 수령하기 전에
나. (IFR 상황) 통신두절이 되었다면?
1) 고도 : 해당 항로의 MEA와 최종적으로 지시받은 고도 중 높 출처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8.1.11.25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90조 통신

은 고도 가. B까지는 6,000ft를 유지하고, 이후 8,000ft로 상승.


2) 속도 : (RADAR 환경) 최종지시속도 7분 유지 (The altitude you were advised to expect)
(Non RADAR 환경) 최종지시속도 20분 유지 나. 계속 8,000ft를 유지하고, 이후 11,000ft로 상승, 또는 C에서M
3) 항로 : 레이더 벡터 혹은 항로 외 지역으로 RNAV 중이었을 CA를 준수할 필요가 있을 때 C 지점 전에서 11,000ft.
경우 비행계획에 명시된 항로로 합류 / Clearance li 다. MEA가 7,000ft라고 할지라도 D 도착 전에, 8,000ft는 고도 선
mit까지 비행 후 홀딩 정규칙 상 최적의 고도이므로 8,000ft로 강하.
4) 접근 : EFC 시간, EFC 시간이 없을 경우 비행계획상 도착예 4. 만약 모든 radio communications와 항법장비가 실패했을 경우 어떤
정시간에 접근을 시작 / 해당 시간 30분 이내에 착륙 절차를 사용하는가?
출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90조 통신
할 것
가. (VFR 상황) VFR을 유지하여 착륙할 수 있는 공항에 접근, 빛총
신호를 받아 착륙한다.
나. (IFR 상황)
1) 고도 : 해당 항로의 MEA와 최종적으로 지시받은 고도 중
높은 고도
2) 속도 : (RADAR 환경) 최종지시속도 7분 유지
(Non RADAR 환경) 최종지시속도 20분 유지
3) 항로 : 레이더 벡터 혹은 항로 외 지역으로 RNAV 중이었을
경우 비 행계획에 명시된 항로로 합류 / Clearance li
mit까지 비행 후 홀딩
4) 접근 : EFC 시간, EFC 시간이 없을 경우 비행계획상 도착
예정시간에 접근을 시작 / 해당 시간 30분 이내에 착
륙할 것

- 57 - - 58 -
E. Radio Orientation 4. VOR 항법은 몇 도의 정확성이 보장되는가?
1. CDI의 half deflection은 VOR로부터 몇 도의 편차를 나타내는가? 출처 : FAA 2023 AIM 1-1-2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출처 : IFH(2012) 9-11
일반적으로 +-1도 이내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Half scale deflection은 설정한 VOR radial로 부터 5°의 편차를
나타낸다.
5. ADF의 relative bearing은 어떻게 찾는가?
출처 : IFH(2012) 9-3
2. Reverse sensing(역감지)은 무엇인가?
ADF의 Needle이 Relative bearing을 나타낸다.
출처 : IFH(2012) 9-14

역 감지는 VOR 바늘이 정상작동의 역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설정


6. ADF의 magnetic bearing은 어떻게 찾는가?
한 course와 heading의 방향이 같지 않으면 reverse sensing이 발
출처 : IFH(2012) 9-3
생한다. HSI를 사용하는 경우 VOR reverse sensing은 발생하지
Relative bearing과 현재 항공기의 Heading 값을 더하고, 이 값이
않는다. ILS course setting을 반대로 한 경우 HSI도 reverse sen
360이 넘을 경우 360을 감산하여 Magnetic bearing을 구할 수 있
sing이 발생한다.
다.

3. VOR radial을 intercept할 때 어떤 절차에 의해 실시하는가?


출처 : IFH(2012) 9-14 7. ADF의 homing 이란 무엇인가?
출처 : IFH(2012) 9-5
가. 비행하는 course에 대해서 동일 방향으로 원하는 course에 대
해 평행(parallel)하게 heading을 조정한다. ADF homing이란 station 에 도달할 때까지 ADF 바늘이 “0”이
나. 현재 위치와 intercept할 위치사이의 각 차이를 결정. 되도록 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 Intercept 배의 값의 차이가 20°이하 90°이상을 넘지 않게 결


정 8. ADF tracking 이란 무엇인가?
출처 : IFH(2012) 9-5
라. OBS를 원하는 course 또는 inbound course에 맞춘다.
마. Intercept heading으로 선회한다. NDB station 기준으로 한 직선 course를 비행하는 절차이다. Head
ing은 바람 편류를 보상하여 원하는 Track을 유지함으로써 이루어
바. 항공기가 설정한 course(on course)로 CDI가 중앙에 들어 올
진다.
때까지 heading을 유지한다.
사. 선택한 course에 따라 MH로 선회, Course tracking 절차 수
행.

- 59 - - 60 -
9. ADF의 wind correction은 어떤 절차에 의해 수행하는가? 3. Icing을 만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출처 : IFH(2012) 9-5 출처 : ICM(2016) 9-51

Station과 Relative bearing이 0이 되는 헤딩을 유지하면서 ADF n IFR 비행중일 경우 ATC의 허가를 받고,
eedle의 경향성을 판단한다. ADF needle이 움직일 경우 needle이 가. 가시적 수증기로부터의 상승/하강을 통한 이탈
회전한 방향과 같은 방향에서의 측풍을 의미하므로 needle이 움직
나. 외기온도가 어는점 이상 또는 섭씨 -10도 이하인이하인 곳으로
인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 과정을 ADF needle의 움직임이 없어질
변경
때까지 반복한다.
다. 진행중인 코스를 변경 (필요시 180도 선회)

F. Unusual Flight Conditions


4. 어떤 착빙이 가장 위험한가? 그리고 이유는 무엇인가?
1. 만약 뜻하지 않게 뇌우를 만난다면 항공기의 조종을 유지하기 위해
출처 : ICM(2016) 9-49
어떤 계기와 절차를 사용하는가?
출처 : FAA 2023 AIM 7-1-27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6.1.20 Clear icing이 가장 위험,

가. 뇌우를 가장 빨리 통과할 수 있는 경로를 정하고 가능한 선회없이 비교적 큰 물방울이 항공기에 충돌, 표면 위로 펴지면서 느리게 빙
그대로 비행한다. 결된 것으로, 착빙의 형태가 두껍고 딱딱하며 표면에 강하게 고착되
어 제거가 어려우며, Airfoil의 형태에 가장 많은 변화를 발생시킨
나. 착빙을 피하기 위해 기온이 섭씨 -15도 이하인 고도위로 비행한
다.
다.

다. 항공기 메뉴얼 상 기동속도(Va speed)를 유지한다


5. 착빙발생시 랜딩을 하기 전 어떻게 어프로치를 준비하고 랜딩을
라. 번개로 인한 시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종석의 조명을 최대한 실시해야 하는가?
출처 : FAA AC 91-74B flight in icing condition
밝게 하며, 고도계를 제외한 계기에 집중한다.
착륙외장 변경에 주의하고, 외장 변경 중 이상현상 발생 시 Partial
바. 자동조종장치에서 고도/속도 유지를 위한 기능을 Off 한다.
flap 혹은 No flap 랜딩 준비. 높은 속도로 어프로치를 수행하고 플
레어 단계에서 정상 파워보다 높은 파워 사용, 적은 플레어로 착륙
2. 구조적 착빙(Structural icing)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수행.
출처 : ICM(2016) 9-49 (참고) FAA AC 91-74B flight in icing condition
(외장변경) 외장변경 시 Icing인하여 조종성 변화 및 갑작스러운 자세변화가 생
항공기가 비나 구름 물방울과 같이 가시적인 수분을 통과하여 비행
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면서 착륙외장 변경을 진행
대기온도 또는 항공기 표면 온도가 섭씨 0도 이하 또한 Full flap의 사용은 꼬리날개 icing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partial flap 혹
은 no flap 랜딩을 고려
(전방 시야) Icing으로 인한 전방 시야 장애 발생 시 Windshield defroster,

- 61 - - 62 -
Cabin heat등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거하고 측면 창을 이용해 시야를 확보 / 소 3. 모든 VOR station이 DME장비를 장착한 항공기에게 거리정보를
형 일반항공 항공기의 경우 플로터 등 사용가능한 장비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 제공하는가?
거 출처 : ICM (2016) 2-82
(어프로치 속도) POH에서 명시하지 않는 경우, 25프로 이상의 어프로치 속도
를 사용 VOR 중 VOR/DME, VORTAC Station만 DME거리정보를 제공
(플레어) Icing은 날개의 양력감소 및 예측불가능한 양력 변화를 유발할 수 있
으므로 평상시보다 높은 파워 사용 / 적은 플레어 자세변화를 만들어야 한다.
4. HSI는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2-74
G. Radion Navigation
Horizontal Situation Indicator의 약자로, Conventional VOR Indi
1. VOR은 어느 주파수 범위 안에서 운용되는가?
cator과 연동된 Reverse sensing 및 기타 Visualization 문제들을
출처 : FAA 2023 AIM 1-1-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1.2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계기. Flux gate에 slave되어 현재 VOR 계
108.0 ~ 117.95 MHz 기와 HDG indicator가 복합되어 있음

2. VOR의 volume을 설명하라. (T), (L), (H) 5. RMI는 무엇인가?


출처 : FAA 2023 AIM 1-1-3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1.7
출처 : ICM (2016) 2-99

VOR service volume은 국가별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된다. Radio Magnetic Indicator의 약자로, 보통 항공기로부터 두 개의 S
가. (대한민국) 우리나라에는 별도 표준운용범위가 지정되어 있지 tation(VOR, ADF, GPS와 연동가능)으로의 각각의 Magnetic Bea
않으나 항행안전시설 비행검사규정에 따르면 항공로용 시설은 ring을 나타냄
40nm 혹은 COP / 공항용은 25nm까지 통달범위를 검사한다.
또한 AIP에서 시설별 수신 제한사항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6. DME는 무엇인가?
나. (미국) 미국은 VOR 서비스 볼륨을 기존 (T), (L), (H) 및 신설 출처 : ICM (2016) 2-83

된 (VL), (VH) 5가지로 분류한다.


Distance Measuring Equipment의 약자로, 항공기가 DME 수신기
를 장착하고 있다면, DME정보를 제공하는 지상의 Station으로부터
의 거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 이 거리정보는 수평적인 거리가
아닌 항공기와 지상국간의 직선거리(사선거리)이므로, 지상국 상공
6,000ft AGL에서 1nm의 거리정보를 표시해 준다. DME 정보는 Li
ne-of-sight 기준으로 199nm까지 수신이 가능하다. 오차는 1/2
mile or 3% of total distance 중 큰 수치 만큼의 오차를 가진다.

- 63 - - 64 -
7. 언제 DME가 필요한가? H. Airway Route System
출처 : ICM (2016) 2-86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07조 무선설비
1. low airways의 크기는 어떻게 규정되는가?
가.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IFR을 위해서 DME가 필요하다. 출처 : ICM (2016) 5-8 / AIP (23.06) ENR 3.1

나. (미국) FL240 이상에서 VOR navigation을 수행하는 경우 DM 가. (FAA)18,000ft 미만, 일반적으로 항로 중심선으로부터 4nm
E or RNAV 장비가 장착되야 한다. VOR staion 또는 ILS/DM 좌우 폭을 가지며, 총 8nm 폭을 가짐. 102nm를 초과하는 항로의
E, LOC/DME station으로부터의 거리가 필요한 경우(DME Ar 경우 추가적인 크기를 배정받는다.
c 등의 계기접근을 위한 용도 포함) 나. (대한민국) AIP 상 항로별 Airway의 폭이 명시되어 있다.

8. RNAV가 무엇인가? 2. 챠트에 Airway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출처 : ICM 2-92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3.1 출처 : AIP (23.06) ENR 6.1

Area Navigation(지역항법)으로써, 지상 또는 위성 항행안전시설


의 운용범위 내, 자체 탑재된 항법장비의 성능한계 내 또는 이를 조
합하여 원하는 어떠한 비행경로로도 항공기의 운항을 가능하게 하는
항행항법. 지상의 항행시설의 직상공을 항행(Overfly)할 필요 없이,
목적지로 직선으로 비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9. GPS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라


출처 : ICM 2-87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1.11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미국 국방부에서 운용중인


위성을 기반으로 한 항행, 위치 정보 시스템이다.

10. RAIM이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2-89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1.11

Receiver Autonomous Integrity Monitoring의 약자로, GPS 수신


3. Change over point는 무언인가?
기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효용성과, 위성이 제공한 신호가
출처 : ICM (2016) 5-12
옳은 정보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기자체 무결성 감시(RAIM)를
통해 확인한다. RAIM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항공기의 수평 위치 항로를 따라 비행 중 항로의 중간지점 외의 지점에서 VOR 주파수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지점.
에 대한 정확성을 감시하는 기능이다.

- 65 - - 66 -
4. Mileage Break Point는 무엇인가?
출처 : ICM (2016) 5-7
I. Airspace
항공로 차트상에 작은 x자로 표시된 지점으로, 별도의 Intersection 1. A, B, C, D, E and G airspace에 대해 기술하시오.
없이 항로상의 course를 변경해야 하는 지점.

5. Waypoint는 무엇인가?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2023 항공정보매뉴얼 5.3.1

Waypoint는 사전에 정해진 지리적인 위치로 위도와 경도의 좌표로


나타낸다. Waypoint는 단순히 명칭이 부여된 지점일수도 있고, 항
행안전시설이나 교차지점, 또는 fix와 연관이 있는 지점일 수도 있
다. Waypoint는 지정된 경로에서 방향이나 속도 또는 고도의 변경
을 지시하기 위하여 가장 자주 사용된다

6. 차트에 표시된 코스는 트루코스인가 마그네틱코스인가?


출처 : ICM (2016) 5-5

Magnetic Course이다.

7. 더 높은 MEA로 상승하는 것은 언제 상승해야 하나?


출처 : ICM (2016) 5-12

별도의 MCA가 지정되어있지 않다면 MEA가 변경되는 FIX 상공에


도달할 때 상승 시작

8. MCA존재하는 Fix에 접근할 때 언제 상승을 시작해야 하는가?


출처 : ICM (2016) 5-12

MCA가 지정되어 있다면 FIX 도달 시 해당 고도까지 상승이 완료될


수 있도록 미리 상승을 시작하여야 한다.

- 67 - - 68 -
J. Special Use Airspace
1. prohibited, restricted, Military operations, Warning, Alert,
Controlled Firing Area에 대해 기술하시오.

Ⅳ. 입항

- 69 -
A, Approach Control 나. intermediate segment
intermediate segment는, 항공기를 공항을 향하여 최종 강하 하도

1. Star가 무엇인가? 록 해 주며 이 구간에서 보통 속도를 접근속도로 감속하거나, 착륙


출처 : ICM (2016) 6-3 전 체크리스트를 수행을 완료하거나, 접근절차나 적용 가능한 최저
고도에 대한 재확인을 해야한다. 이 구간은 보통 최종접근로로부터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의 약자로, 항로단계에서 appro
30도 이내에 정렬되고, 중간 접근단계는 중간 픽스(IF – Intermedi
ach 단계로 이어지는 transition의 구간이다. ATC 간소화 및 교통
ate Fix)로부터 시작되며, 최종 접근 단계의 시작지점에서 끝난다.
흐름 관리 목적으로 수립된다.
iii. Final segment
Final segment는 계속 접근하여 착륙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용가
2. 만약 ATC가 STAR를 지시했다면 무조건 따라야만 하는가?
능한 시각 참조물과 같은 포인트까지 안전하게 항법비행을 할 수 있
출처 : ICM (2016) 6-3
게 해준다. 실패접근지점에서 이러한 것들을 보지 못했을 경우 실패
조종사 판단에 의해 거절할 수 있다. 접근절차를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정밀 접근에서의 최종 접근단
계의 시작점은 챠트에 표시된 최저 글라이드 슬롭 신호 포착고도에
3. Approach를 위해 Vector를 받을 때, 만약 Cleared for approach를 서 글라이드 슬롭 신호를 포착하는 곳이다. 만일 관제기관에서 더
받았다면 어느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지시받았던 고도로부터 더 낮은 낮은 고도로의 강하를 허가했다면, 그 고도에 맞는 신호포착 지점이
고도로 강하를 시작할 수 있는가? 최종 접근단계의 시작점이 된다. 비정밀 접근에서의 최종 접근단계
출처 : FAA 2023 AIM 5-4-6 의 시작점은 정해진 최종접근지점(FAF – Final Approach Fix) 또
approach course에 정렬된 경우 approach chart에 표시된 고도로 는 최종접근로와 정렬이 완료된 시점이다. 만일 공항 VOR이나 ND
하강할 수 있다. B을 사용하는 접근과 같이 FAF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 이 시작점은
일반적으로 절차선회를 하여 최종 접근로로 들어오게 되는 시점이
된다. 이러한 포인트를 최종접근 포인트(FAP – Final Approach Po
4. 다음을 정의하라 Initial approach segment /intermediate segment
int)라고 부르며, 최종 접근단계의 종료지점은 정해진 실패접근 포인
Final segment / Missed App' segment
트와 착륙 둘 다이다.
출처 : ICM (2016) 7-3
다. Missed App' segment
가. Initial approach segment
Missed segment는 실패접근지점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접근절차
Initial approach segment는 항공기와 접근 진로를 정렬시키는 방 를 시도하거나 또는 다른 공항으로 계속 갈 수 있는 지점까지 안전
법을 제공하는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DME arc 절차나, 절차선회, 하게 항행하도록 해 준다. 모든 계기접근절차는 적절한 방위, 진로,
홀딩, 최종접근구간의 교차와 같은 것들이 이루어지며, Initial Appr 고도 정보를 가진 실패접근 단계를 갖는다. 레이더 접근 중이었다면,
oach Segment는 IAF(Initial Approach Fix)에서부터 Intermedia 관제기관은 실패접근에 대한 지시를 줄 것이다. 실패접근 단계의 시
te Approach Segment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끝난다.

- 71 - - 72 -
작점은 실패접근지점(MAP – Missed Approach Point)이며, 끝나
는 지점은 IAF 또는 항로상 fix와 같은 정해진 지점이다.

5. 표준 계기분리 최저치가 무엇인가? (IFR separation minimums)


출처 : FAA 2023 AIM 4-4-11

ATC는 보통 다른 고도를 정해줌으로써 수직적인 분리를 해 주며,


수평적으로는 다른 경로를 지정해 줌으로써 분리된다. 레이더가 제
공되는 상황 속에서는 레이더 안테나로부터 40마일 이내일 경우 3
마일 분리, 레이더 안테나로부터 40마일 초과시에는 5마일의 분리
를 해 주며 상황에 따라 이 수치는 변화할 수 있다.

- 7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