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공중급유기 도입사업 현황(9.

11)

□ 사업 필요성
ㅇ 요구도 : 한국공군 중원기지 중심 동쪽으로 190 마일(독도인근상공), 남쪽으로 320
마일(이어도인근상공)에서 1 시간 이상 임무 수행이 가능한 공중급유기 필요
ㅇ 현실태
- 한국공군은 F-15K 이외의 기종은 작전구역(독도, 이어도)내 임무수행 제한
ㅇ 필요성
- 항공작전 영역을 확장시키고, 융통성 있는 항공전력 운용으로 전투효과 극대화
- 연료대신 탑재무장 추가로 다수표적 공격능력 구비
- 체공시간 증가 및 항속거리 증가로 다양한 임무 수행 가능
ㅇ 기대효과
- 전력운용 융통성 증대로 전력 창출 효과
- 전작권 전환 대비 제한적 수준의 독자작전 수행능력 구비
- 최근 주변국 영토분쟁 고려 독도, 이어도 영유권 수호 및 해상 교통로 확보
ㅇ 참고사항
- 주변국 공중급유기 현황
• 일본 : 4 대 보유(현재 추가 4 대 도입 추진 중)
• 중국 : 18 대
• 러시아 : 동북아 주변 20 대

□ 사업추진 개요
ㅇ 2014 년 ~ 2020 년까지 공중 급유기 4 대 도입
ㅇ 확보 : 2017/1 대, 2018/1 대, 2019/2 대
ㅇ 2014 년부터 사업 착수
- 해외구매 (신규항공기 구매, 중고기 개조 포함)
ㅇ 총 예산 : 약 1.4 조원

□ 경쟁예상 기종
ㅇ 에어버스 : A330MRTT
ㅇ 보 잉 : KC-46(보잉 767-200ER 기반)
ㅇ 이스라엘 IAI : KC-767 (중고 보잉 767-200ER 기반 IAI 개조)
* 현재 공군보유 항공기 공중급유 방식 : 플라잉 붐(F-15K, KF-16)

□ 사업추진 일정(예상)
ㅇ 2014. 2 월 이전 : 입찰공고 및 RFP 배포
ㅇ 2014. 4 월 : 제안서 접수(RFP 배포 후 45 일)
ㅇ 2014. 4 ~ 5 월 : 제안서 평가
ㅇ 2014. 5 ~ 9 월 : 시험평가 및 협상(종합평가 기법 적용)
ㅇ 2014. 10 월 : 기종결정

□ 예상 군요구 성능
ㅇ 공중 급유 및 수송 능력
ㅇ 통신, 항법, 자체보호장비(CNS), 네트웍 능력 구비
ㅇ 항공기 개조시 MIL-Spec 적용
** 전체적으로는 미공군의 KC-X 사업을 참고하여 작성

□ A330MRTT 와 KC-767 비교
ㅇ A330MRTT
• 에어버스 A330 다목적 공중급유기(MRTT)는 에어버스 A330-200 을 개량한 차세대
공중 급유기로 넓은 기체 내부 공간.
• A330 을 공중급유기로 사용하는 가장 큰 특징은 거대한 내부연료 탑재량임.
111,000kg 연료 수용.
 111,000kg 의 연료는 지상에 주기되어 있는 유로파이터 24 대를 급유 할 수
있는 양 (유로 파이터 내부 연료탱크 : 4,500kg /보조탱크 미장착시)
• 대용량의 연료 적재 가능으로 추가 보조 탱크 불필요
•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다목적 성능과 운용 효율성
 111,000kg 의 연료와 300 명의 병력, 혹은 130 개의 야전병상과 36 톤의
팔레트 적재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어 전략수송 + 공중급유 등 다목적 임무
수행 가능.
(예)
- 공중급유임무 + 130 개의 야전병상 + 8 개의 군용 팔레트 수송
- 공중급유임무 + 300 명의 병력 + 8 개의 군용 팔레트 혹은 34 개의 군용
팔레트 수송
 또한 A330 MRTT 는 두가지 타입의 연료를 동시에 탑재 할 수 있어 공중
급유의 융통성 더욱 발휘 가능.
※ A330 MRTT 는 KC-767 대비 탑승자 측면에서 56%, 야전 침상면에서 55%의
증가된 효율성을 갖추고 있으며, 동시에 36 톤의 적재용량량을 갖춘 화물칸은
항시 사용 가능.

• 현재 4 개 대륙 6 개국 공군에 34 대의 MRTT 가 운용/주문 상태이며, 2012 년


인도 공군도 수송기 도입사업에서 에어버스의 MRTT 를 선정
• 에어버스의 MRTT 는 차세대 최신형 공중급유기로서 완벽하게 인정받은 기종으로
전세계 모든 군에서 사용 가능한 호환성을 지녔으며, 또한 실전에 배치되어 입증
된 공중급유 및 대형 수송기로 최소화된 리스크와 실전에 즉시 투입 가능한 유일
한 기종.
• 특히 MRTT 의 원형인 A330 기종은 전세계 120 개의 운용자를 보유하며, 1,140 대를
주문하여 2013 년 현재 860 여대가 운영되고 있는 베스트 셀러 항공기로 후속
군수지원 보장은 물론 운용유지비가 타 경쟁 항공기보다 탁월하게 저렴.

※ 한국공군이 에어버스의 A330MRTT 를 선택하면 또 하나의 한국공군 염원인 대형


전략 수송기를 도입하는 효과가 있어 공중급유기와 전략 대형 수송기를 동시에
구매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음

ㅇ KC-767
• 보잉 상용기 767-200ER 을 개조한 KC-767 급유기는 최신 공중 급유 플랫폼을
갖추고 있으며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기종으로 효율성이 높으며, 화물, 병력, 여객
수송, 의료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공중 급유기.
KC-767 은 글로벌 전력투사의 핵심으로 전투 운용이 가능하며,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 및 병력 수송에 이용.
• KC-767 급유기는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내부 구조를 갖추고 있음. 객실이
평평한 바닥으로 되어 있어 급유 기능 이외에도 다목적 기기로 개조 가능 :
- 화물기 전용(72 톤/팔레트 19 개)) 혹은 여객 전용기(200 명)로 전환 가능
- 화물, 여객 겸용기로 전환 가능

※ 미공군은 50 년 가까이 운영중인 공중 급유기 KC-135 를 대체하기 위해 고심


중이며, 이에 대한 후보기종으로 보잉의 KC-767 을 염두에 두고 2017 년
초도 구입을 추진 중

ㅇ A330MRTT 와 KC-767 일반제원 비교

A330MRTT KC-767
최초비행 2007 년 6 월 2005 년 5 월
길이 58.8m (193ft) 48.5m (159.5ft)
날개폭 60.3m (198ft) 47.6m (156ft)
높이 17.4m (57ft) 15.8m (52ft)
승무원 3 명(조종사/2, 급유조작/1) 3 명(조종사/2, 급유조작/1)
최대이륙중량 233,000kg (514,000lbs) 186,880kg(395,000lbs)
최대착륙중량 182,000kg (400,000lbs) -
최대적재량 45,000kg (99,000lbs) -
최대연료 111,000kg (245,000lbs) 72,870kg (160,660lbs)
적재량 * 유로파이터 내부 연료탱크 * 유로파이터 내부 연료탱크
4,500kg 기준 24 대 급유가능( 4,500kg 기준 16 대 급유가능
보조탱크 미장착시) (보조탱크 미장착시)
최대항속거리 14,800km (8,000nm) 12,200km (6,385nm)
최대속도 Mach 0.86(570mph, 915km/h) Mach 0.86(570mph, 915km/h)
급유방식 주날개 : 2 개의 probe system 좌동
중앙동체뒤 : 1 개의 boom system
사용국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콜롬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브라질 등 11 대
영국 등 6 대의 A310MRTT 와 28
대의 A330MRTT 운영 중
☞ 참고자료

ㅇ 사업관리 관련 부서 및 담당자
- 합참 : 공중 전력과장 대령 최종태, 담당 중령 김 동호
- 공본 : 전력소요처 전력 1 과장 대령 박종찬, 중령 김구회
- 52 시험평가전대 전대장 대령 온 용섭, 평가실장 대령 여호승
- KIDA 획득 센터 이주영 박사(연구결과보고)
- 방사청 : 사업팀장 대령 조승균, 중령(진) 이준호
분석평가국 대령 백헌영

ㅇ 공군 대형수송기 확보 사업 관련 내용
-배경
• 국내/동남아 지역을 임무대상으로 하는 30 여대의 중•소형 수송기 보유
(22/CN-235, 12/C-130)
• 국제적 요구에 부합하는 全 지구적 1 일 전략 수송 능력 확보 필요
- 현보유 중.소형 수송기 : 북한지역 특수전부대 침투 및 국내, 동남아 지역
임무 수행
- 대륙간 장거리 수송을 위한 전략 수송기 미보유로 각종 임무 수행 불가로
대한민국 위상 손상 초래
→ 전시 긴급 물자 수공
→ 해외파병 및 평화 유지 활동
→ 분쟁지역 재외국민 철수 작전 수행
→ 국제적 긴급지원 및 재난지역 지원

-필요성
• 전쟁지속 능력 증강을 위한 탄약 등의 긴급 수송
• 전.평시 해외 긴급 물자 수송
• 국제적 재해. 재난 긴급 구호 활동
• 국제 평화유지 활동 지원
• 군사외교 활동 지원
• 해외 연합훈련 참가 및 지원
→ 한국 해병대의 우방국과의 연합훈련 참가를 결정하고도 수송기가 없어
다국적 군사 훈련 불참했던 부끄러운 과거 경험
- 결 론 : C-17 급 장거리(대형) 수송기 필요(4 대 이상)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