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학년 반 번 이름 .

Ⅳ. 수송 기술 교과서
단원명 소단원 1. 수송 기술과 시스템 132-139
01. 수송 기술의 세계 쪽수

 수송 기술의 개념과 특징
➊ 수송 기술의 개념
•( ): 사람이나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
• 수송 기술: 수송에 이용되는 방법과 수단
➋ 수송 기술의 특징
• 사람이나 물건 등을 원하는 시간에 목적지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
• 조건에 따라 자동차, 기차, 배, 비행기 등 적절한 수송 수단을 활용하여 수송 효율성 향상
• 도로, 철로, 항로 등 수송 수단이 이동하는 경로나 공간 필요
• 정류장, 주유소, 공항 등 수송 수단이나 인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
) 필요

 수송 기술 시스템
➊ 수송 기술 시스템의 개념
• 사람이나 물건을 수송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모아 구성한 것
• 투입 – 과정 – 산출 - 되먹임으로 구성
➋ 수송 기술 시스템의 구성과 절차
• 투입: 수송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투입
-( ): 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사람이나 물자
- 수송 수단: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수단
-( ): 수송 수단을 조종하거나 지원 시설을 운영하는 사람
- 에너지: 수송 수단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휘발유, 전기 등
- 수송 공간: 수송 수단이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공간, 경로
- 지원 시설: 터미널, 항구, 공항 등 수송에 필요한 각종 시설
• 과정: 수송 수단이 이동
-( ): 수송 수단에 승객을 태우거나 화물을 실음.
- 이동: 수송 수단을 운전하여 정해진 시간까지 정해진 장소로 이동
- 하차, 하역: 수송 수단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내림.
• 산출: 승객이나 화물이 정해진 시간에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함.
• 되먹임: 정해진 계획에 맞게 수송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 평가하여 다음 수송 계획에 반영
함.
 수송 수단의 효율적인 이용
➊ 수송 수단의 차이
• 같은 목적지까지 이동하더라도 다양한 수송 수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음.
• 종류에 따라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나를 수 있는 승객의 수나 화물의 양, 비용 등 다양한
조건에서 차이가 발생함.
• 수송 수단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송 대상, 비용, 시간 등 수송과 관
련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함.
➋ 수송 수단의 종류

종류 내용

• 동력 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도로 위를 이동


자동차 • 용도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양함.
( ) • 기차에 비해 수송 효율은 낮은 편이나, 경로의 변경이 비교적 자유로움.
수송 수단 • 동력 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 ) 위를 이동
기차 • 여객용, 화물용 등으로 이용
• 수송 효율이 높으나, 정해진 선로 외에서는 이동할 수 없음.
• 동력 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으로 스크루를 회전시켜 물 위에서 이동
해상 수송
배 • 여객용, 화물용 등으로 이용
수단
• 이동 속도는 느리나, 사람이나 화물을 대량으로 운송할 수 있음.
• 동력 기관에서 발생한 추진력과 날개에서 발생한 ( )으로 공중
을 이동
항공 비행기
• 여객용, 화물용, 군사용 등으로 이용
・ • 이동 속도는 빠르나, 연료 소비가 심하여 수송 비용이 많이 듦.
우주 수송
• 동력 기관에서 발생한 추진력으로 우주 공간을 이동
수단
우주선 • 탐사용, 위성 운반용 등으로 이용
• 1회 수송 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 아직 민간에선 이용하지 못하고 있음.

❸ 수송 수단에 이용되는 동력 기관의 종류


• 피스톤 기관: 연소 가스의 압력으로 피스톤이 왕복하면서 축이 회전하여 동력 발생
•( ): 코일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자기장의 힘으로 축이 회전하여 동력 발생
• 제트 기관: 공기를 흡입하여 만든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를 뒤로 분사하여 그 반동으로 추
진력 발생
• 로켓 기관: 연소 가스를 분사하여 추진하며, ( )를 탑재하여 스스로 산소
공급
❹ 자동차 동력 기관의 변화
• 내연 기관 자동차
- 휘발유, 경유, LPG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피스톤 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
- 연료를 동력으로 변환하는 효율이 낮고, 배기가스가 많이 발생함.
• 하이브리드 자동차
- 내연 기관과 전동기를 함께 이용하는 자동차
- 저속에서 전동기를 사용하고 고속에서 내연 기관을 사용하며, 감속 시 남는 에너지를 이
용하여 충전함.
• 연료 전지 자동차: 연료인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결합하면서 발생하는 전기로 전동기를
작동시켜 주행함.
•( ):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로 전동기를 작동시켜 주행함.

••• 형성 평가 •••
1. 사람이나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데 이용되는 방법과 수단을
( )(이)라고 한다.
2. ( )은/는 연료인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결합하면서 발생하는
전기로 전동기를 작동시켜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Ⅳ. 수송 기술 교과서
단원명 소단원 2. 수송 기술의 발달 140-145
01. 수송 기술의 세계 쪽수

 동력 기관 이전의 수송 기술
➊ 동력 기관 이전의 육상 수송 기술
• 인력, 축력 이용: 사람이 직접 짐을 지고 나르거나 동물의 등에 실어 나름.
•( )의 발명
- 고대 육상 수송 기술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침.
- 수레와 마차를 사용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쉽게 나를 수 있게 됨.
➋ 동력 기관 이전의 해상 수송 기술
• 통나무배나 뗏목을 만들어 손으로 노를 저어 이동
• 범선의 개발
-( )의 힘을 이용하여 항해하는 범선 개발
- 원거리 항해가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국가 간 무역이 발달함.
※ 항공 수송 기술의 시작
• 열기구: 몽골피에 형제가 열기구를 이용하여 최초로 비행에 성공함.
• 글라이더: 릴리엔탈이 양력을 이용한 현대적 비행기의 원형인 글라이더를 개발함.
 동력 기관의 등장과 수송 기술의 발달
➊ 증기 기관의 이용
• 증기 기관
- 보일러에서 물을 끓여 만들어진 ( )의 압력으로 피스톤이 왕복하면 피
스톤과 연결된 축이 회전하면서 동력을 만들어 내는 기관
- 자동차, 기차 선박 등에 이용되어 자연의 힘을 이용하던 한계를 극복하고 많은 사람이나
물자를 멀리 수송할 수 있게 됨.
• 증기 기관을 이용한 수송 수단
-( ): 동력 기관을 이용한 최초의 자동차로, 속도는 시속 4km였음.
- 증기 기관차: 증기 기관을 이용한 열차로, 많은 사람과 물자를 먼 거리까지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게 됨.
- 증기선: 바람의 방향과 관계없이 물 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됨.
➋ 동력 기관의 발달과 이용
• 피스톤 기관의 이용: 피스톤 기관은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의 압력으로 피
스톤이 왕복하면 피스톤과 연결된 축이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기관으로, 덩치가 크고
효율이 낮은 증기 기관을 대체함.
- 라이트 형제의 동력 비행기: ( )을 장착한 최초의 동력 비행기
- 프로펠러 비행기: 가솔린 기관의 성능이 향상되어 더 빠르고 효율적인 수송이 가능해짐.
- 내연 기관 자동차: 가솔린 기관과 디젤 기관을 이용한 내연 기관 자동차의 등장으로 본격
적인 자동차 기술의 발달이 시작됨.
- 디젤 기관차: 디젤 기관을 이용하여 증기 기관차보다 큰 동력으로 빠르게 수송할 수 있게
됨.
- 디젤 기관선: 증기 기관보다 작고 효율이 높은 디젤 기관을 장착하여 수송 속도가 향상
됨.
• 제트 기관, 로켓 기관의 이용: 제트 기관은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를 뒤로 분사하여 그 반동으로 추진하는 기관으로, 매우 큰 추진력을 발생함. 로켓 기
관은 제트 기관과 같은 분사 추진 기관이지만, 연료와 산화제를 동시에 공급하여 공기가 없
는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
- 제트기: 제트 기관을 이용하여 먼 거리를 빠르게 이동하는 비행기로, 여객기와 화물기 등
으로 이용됨.
- 우주선: ( )을 이용하는 우주선이 인공위성, 탐사선 등을 우주로
운반하여 인간의 활동 영역을 우주 공간으로까지 넓힘.
• 전동기의 이용: 전동기는 연료 대신 전기를 사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큰 동력을 얻을
수 있음.
- 하이브리드 자동차: 내연 기관과 전동기를 함께 사용하는 자동차
- 전동차: 전차선에서 받은 전기로 전동기를 구동하여 달리는 기차로, 고속 열차와 (
)에 이용됨.
• 원자력 기관의 이용: 원자력 기관을 사용한 군함, 쇄빙선 등의 원자력선은 소량의 우라늄
연료로도 장기간 항해할 수 있음.
• ( ): 자석의 반발력으로 선로 위에 떠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기차로 소
음과 진동이 거의 없음.

 첨단 수송 기술과 미래 전망
➊ 수송 기술 분야의 미래
• 첨단 기술의 적극적인 도입
• 편리하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발달
➋ 첨단 수송 수단의 종류
• 전기 자동차
- 전동기를 작동시켜 달리는 자동차로,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음.
- 주행 거리 개선, 충전 속도 개선, 충전 시설 확충이 이루어지면 현재의 내연 기관 자동차
를 대체하게 될 것임.
•( )
- 외부의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
- 운전자의 실수, 운전 미숙, 외부 요인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하며, 이동하는 동안
다른 활동을 할 수 있음.
• 드론
- 원격 조종이나 프로그래밍에 따라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장치
- 영상 촬영, 택배 배달, 경찰 업무 보조, 수색, 구조, 승객 수송 등 생활의 다양한 영역에
서 활용
•( )
- 진공에 가깝게 만들어진 튜브 속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튜브 중앙에 떠서 이동하는 차세대
고속 열차
- 공기 저항, 철로와의 마찰 없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음.
• 친환경 선박
- 기존 선박보다 연료 소비가 적고 오염 물질 배출이 적은 선박
- 물의 저항을 줄이고 동력 기관의 효율을 개선하며 태양광, 풍력 등을 보조 에너지원으로
사용
• 민간 우주선
- 민간 기업에서도 관광, 여객용 우주 항공기를 개발
- 미래에 다른 행성을 개척하고 우주 도시를 건설하는 시기가 되면 우주를 이동하는 주요
수송 수단이 될 것임.

••• 형성 평가 •••
1. ( )은/는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의 압력으로 피스
톤이 왕복하면 피스톤과 연결된 축이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기관이다.
2. 로켓 기관은 제트 기관과 같은 분사 추진 기관이지만, 연료와 ( )을
/를 동시에 공급하여 공기가 없는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