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건설환경공학 소개

홍익(弘益)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건설환경공학이란?

2
건설환경공학이란?

건설환경공학(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자연재해(Natural Hazard)와 인공재해(Man-made Hazard)
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고 인류문명을 실현시켜 문명사회를
유지시키는 기본학문

➢문명사회를 만드는 공학 (문명공학)

신이 인간에게 준 가장 큰 선물 ‘상상력’ ?
인간이 상상하고 꿈꾸는 능력은 오랜 시간 동안 인류의 삶을 여러 번 바꾸어 놓음
만약에 인간이 꿈을 꾸지 못하게 되거나, 무엇인가를 상상하지 못하게 된다면?
사람들은 저마다의 시간과 장소에서 ‘상상’을 통해 삶의 질을 높여 가고 있음
인류의 문화와 역사는 이렇게 시작되었고 발전하게 됨

3
건설환경공학이란?

문명사회

4
건설환경공학이란?
현실과 상상의 세계

상상했던 건설환경 없는 세상 vs. 지금 (여러분이) 바라보는 도시의 모습 오버랩


(화성에 동떨어져 있다고 상상해 보라)
건설환경은 마치 공기와 같아서
건설환경이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 쉽지 않음
마치 당연히 있어 온 것 같은 것들이 건설환경의 산물
이러한 것들을
계획, 설계, 시공, 그리고 지속적으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애쓰는 학문 ‘건설환경공학’

도로 교량 터널 상수도 하수도 정수장 발전소

5
건설환경공학이란?
또다른 세상

내비게이션 시스템 기술의 발전 :


건설환경공학기술 발전이 우리 사회와 문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으며,
만약 우리에게 이러한 기술이 없었다면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에 대한 상상을 할 수 없게 함

6
건설환경공학이란?
또다른 세상

고속철도의 발달은 시간과 공간의 빠른 소통을 낳음


속도전인 미래사회의 코드와 일치
빠르게 변화를 추구하는 한국인들의 속성과도 비슷

7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8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사람이 사람다운 생활을 하기 위해


필요한 대사업"

BC 4000~2000년 사이에 시작된 건설환경기술


유목생활 벗어나 정착생활
삶의 터전 개척/개발
주거환경 구축
서울 암사동 유적의 움집 (출처: 서울암사유적지)
경제활동을 위한 시설 구축
식수와 농작물 경작을 위한 용수 공급
왕성하고 원활한 사람 및 물자의 왕래
평탄한 도로 및 다리 건설

우리나라의 돌다리 – 진천 농다리 (출처: 진천군)

9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Step Pyramid of Zoser): BC 2611
세계 최초 석조 건물 (계단식 피라미드)
Imhotep (건설 책임자): 역사에 기록된 최초 건설환경기술자
109m x 125m (높이 65m)

임호테프가 건설한 조세르 왕의 계단식 피라미드 (출처: Creative Commons)

10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이란, 카나트 (Qanat): BC 1000~500년
산간지역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마을에 공급 (건조한 기후 지역)
최대 70여 km의 지하수로 (물의 증발 방지)
최고 360m 깊이의 우물을 파는 기술 보유

카나트의 지하수로 (출처: Wikipedia) 카나트 종단면도 (출처: Creative Commons)

11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아피아 가도 (Appian Way):
BC 312년경, 로마제국
넓은 영토 통치를 위해 군대를 비롯한 사람
과 물자의 빠르고 원활한 수송
우천 시에도 기능 유지
포장: 돌
배수: 현대의 도로 구조와 유사
⇒ 도로 단면 중앙부 높이고 가장자리 낮게 하여
아치형으로 설계
⇒ 도로 가장자리에는 움푹 패인 배수구 설치

아피아 가도 (출처: Creative Commons)

12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Machu Picchu (잉카제국)
페루 우르밤바 계곡 (해발 2430m)
14세기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오늘날까지 원형 보존
도시건설 기술
기초 설계
수로 시스템 기술
배수 시스템 (비를 잘 흡수하도록…) 마추픽추 (출처: Creative Commons)
⇒ 집중 호우 대비
돌끼리 서로 잘 맞게끔 가공

태양의 사원 (출처: Wikipedia)

13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Empire State Building (1931년): 102층, 381m

World Trade Center (1970년): 110층, 417m, 415m


911 사태 이후, 새롭게 시공

Sears Tower (1973년): 108층, 442m

Empire State Building World Trade Center – 이전 (좌), 현재 (우) Sears Tower
(출처: Creative Commons) (출처: Creative Commons) (출처: Creative Commons)

14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시공기간: 2004~2009년
층당 3일 공사 기법

높이 828m, 163층
세계 최고층 빌딩
최고 높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
최다 층 보유 빌딩

규모 비교
코엑스몰의 4배 면적
여의도 공원의 2.5배 면적
남산의 3배 이상 높이

부르즈 할리파 (출처: Creative Commons)

15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Golden Gate Bridge (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수교 형식
시공기간: 1933~1937년
주경간: 1,280m (건설 당시 최대)
도전적 프로젝트
조류, 깊은 수심, 강한 바람, 안개
공사현장 많은 인력 소요

높은 기술적, 예술적 가치
Golden Gate Bridge (출처: Creative Commons)

Golden Gate Bridge (출처: Creative Commons)

16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쿠웨이트 자베르 코즈웨이 해상교량

자베르 코즈웨이 해상교량


17 (출처: 현대건설)
건설환경공학의 역사
카타르 국립 박물관 (사막의 장미)

카타르 국립 박물관(출처: 현대건설)

18
건설환경 미래분야

19
건설환경 미래분야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구축

섭취량 2 L/day 6 L/min 2 kg/day

20
건설환경 미래분야
자연 질서 회복과 물질의 선순환

오염물질 = 또다른 자원
예) 폐기물에서 수소 생산

21
건설환경 미래분야
새로운 세계 개척

22
건설환경 미래분야
4차 산업 기반 건설환경

미국 NASA의 달나라에서의 3D 프린팅 시공모형도

23
건설환경 미래분야
건설환경은 최소한의 자연 파괴를 전제로, 최대한 인간의 생활을 풍요롭게 해주는 학문
나아가 자연을 이용한 에너지 개발,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과 공생할 수 있는 방법에 이르기
까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는 학문

구조물 환경 청정에너지 기후변화 대응 생태이동통로


영향평가 개발 기술 조성

24
건설환경 미래분야
선(善)한 존재감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


로마의 귀족들은 토목사업을 통해 사회적 의무를 도덕적으로 실천
그들은 자신의 재산을 공공시설물 건설 혹은 개보수에 직접 사용
이들 사업에 본인의 이름을 남겨 가문의 영광으로 삼았음
건설환경은 다른 어떤 학문보다도 공공(사회 약자, 소외된 이웃 포함)을 위해 존재

한탄강 주상절리교 한강공원 보행육교 및 승강기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

2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