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건설환경공학부는 건설환경공학의 학문적 특성과 교육기관으로서 교육목표를 부합하는 4가지 교육목표를 수립하여 운영

하고 있습니다.

A. 인류의 번영, 국가의 발전, 자아의 실현에 기여하는 건설환경공학계의 리더 양성


B. 동시대적 문제를 인지하고 전문 공학인으로서 윤리의식을 갖추고, 세계적 기술발전과 문화 창달을 주도할 수 있
건설환경공학부의 최우선의 목표는 학생들이 미래의 학계 및 산업계의 지도자로 는 능력 제고
성장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인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습니
다. 건설환경공학부는 기초 및 응용 연구를 통해 학문을 심화하고, 새롭게 등장하 C. 공학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해결하는 데 필요한 수학 및 과학 및 인문학의 응용 능력과 전문기술의 배양
는 기술들을 통합하며, 새로운 사회와 산업계가 원하는 해답을 제공하고자 합니
다. 또한 전문적인 지식을 통해 다양한 공학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학의 학문적 D. 환경,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사회기반 시스템을 계획, 설계, 시공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연구를 선도하고자 합니다.

건설관리 도시계획 교통공학 지반공학


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도시의 제반문제를 사전에 예 효율적인 교통 체계의 구축과 지반의 공학적 활용에 필요한
#서울대학교 #건설 #환경 #교통 #구조 #설계 수행하기 위해서 계획, 설계, 측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이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며, 제반 이론들을 다루는 분야로
#수공 #공간 #지반 #토목 시공, 유지보수의 프로젝트 전문분야로 도시의 바람직한 사회, 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서 지반의 역학적 특성을 이
전 생애주기에 걸쳐 비용관리, 발전방향, 도시공간구조의 형 따른 인간의 활동증가로 발생 해하고, 실제 지반구조물들의
공정관리, 품질관리 등 종합 태와 기능구성, 물리적 환경 되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석 및 설계, 시공 및 유지관
적인 사업관리를 추구하는 전 조성, 그리고 이의 실현을 위 한 학문분야 리 등과 지반의 환경적 오염
http://cee.snu.ac.kr/ 문 기술 분야 한 각종 정책들을 모색하는 문제들을 연구하는 분야
02-880-7343 / snucee2020@gmail.com
공학관6 (35동) 323호
사회적 기술
공간정보공학 수공학 구조공학 환경공학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공 다양한 수자원 문제를 공학적 교량, 발전소, 댐 등의 사회기 지구상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
건설환경공학부 전공소개 영상 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고 으로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 반시설에 속하는 구조물을 설 는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생
측정대상의 특성을 해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며, 유체와 물 계하는데 주도하는 역할이며, 활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후
학문으로 지형, 도로, 교통시 의 역학 및 양적 거동에 관한 목적은 구조물들의 이용기간 세에도 인류의 지속적인 발전
을 위해서, 인간과 환경을 별
설 등 지표상의 대상물뿐만 연구뿐만 아니라 환경에서 발 동안 지진하중, 파압의 작용,
개시하는 발상으로부터 인간
아니라, 지하매설물, 그리고 생하는 오염의 예측, 제어기 차량의 동적인 영향, 중력, 풍
과 환경을 동일시하는 발상으
자동차, 항공기, 인공위성 등 술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중 하중 등의 다양한 하중 조건 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어,
의 이동체에 대한 위치 및 관 점적으로 수행 에서 견딜 수 있는 안전한 구 인류의 지속가능한 환경친화
공공기관: 행정부(청와대, 감사원, 국가정보원, 국방부, 국 련 속상 정보가 포함된 분야 조물을 설계하는 것 적 발전에 최우선적으로 공헌
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안전행정부, 환경부, 한국환 하는 분야
경공단, 기상청 등), 지방자치단체(서울시 등), 중앙인사
위원회 외 다수
정부투자기관 경기도시공사, 대한지적공사, 한국가스공
사, 한국공항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도로공사, 한
 건설환경공학부에는 총 8개의 세부전공이 존재하기 때
국석유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
문에 다양한 분야를 접해보고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나는 미래 도시 문명 건설에
택공사 외 다수
있으며, 이 여러 분야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할 관심이 많다.
시공회사 DL E&C, 대우건설, 동부건설, 두산건설, 롯데 수 있습니다.
건설, 삼성물산, 쌍용건설, 포스코건설, 한라건설, 한화건 나는 사회환경을 내 손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고
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나 사회기반 인프라가 필요 싶다.
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SK에코플랜트, GS건설 외
다수 하기 때문에 우리 학부는 꼭 필요하고,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재난재해, 생태계 및 환경파괴 나는 협동심이 강하다.
설계 및 감리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금호엔지니어링, 대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더욱
우엔지니어링, 도와엔지니어링, 동명기술공단, 동부엔지 나는 큰 건물을 성공적으로 건설해 성취감을 맛
강조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겪고있는 환경문제
니어링, 동일기술공사, 삼성엔지니어링, 삼안건설기술공 보고 싶다.
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첨단 융합기술을 함께 엮어
사, 유신코페레이션, 제일엔지니어링, 한국전력기술 외
다수 스마트 도시(smart city), 지속가능한 환경(sustain-
나는 새로운 것에 시도해보는 창의성에 관심이
able environment) 등의 분야를 선도하고 개척해 나 많다.
일반 기업체 네이버, 넥슨재팬, 농협중앙회, 다음, 대우 가고 있습니다.
인터내셔널, 대우증권, 두산중공업, 딜로이트 안진회계 나는 지속 가능한 환경에 대해 고민해 본 적이
법인, 미래에셋, 삼성 SDI, 삼성증권, 삼성태크원, 삼일  우리 학부는 각 학부생마다 지도교수님이 배정되어 매
있다.
회계법인, 아산테크노벨리, 우리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학기 1회 이상 학부생활에서 어려운 점이나 고민 등을
한화, 현대중공업, 효성물산, LG, LIG넥스원, KT 외 다수 상담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교수님은 부지도교
나는 수학과 물리, 화학이 내 손 안에 있다.
수님으로 지정하여 전공 공부와 진로 계획에 있어서 많
학회 및
학회, 연구소
연구소 진출
진출
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학: 전임강사 이상 교수직 약 300명 나는 공간감각력 및 설계도에 대한 이해도가 뛰
 35동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대부분의 과 활동이 같은 건 어나다.
• 연구소: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경기개발연구원, 공간정
물 내에서 이뤄지고, 학부 차원에서 1박2일 행사, 체육대
보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국방과학연구원, 국토교육
과학기술진흥원, 국토연구원, 서울연구원, 포항산업과 회, 종강행사인 해피투게더 등을 진행하여 많은 학부생 나는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
학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 뿐만 아니라 교수님들과도 소통이 자유롭고 활발합니다.
과학기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 다수
전문직 변호사, 변리사, 감정사, 세무사 외 다수
해외 진출 해외 대학 및 회사 연구소 재직, 학업 수행
건축학『알기 쉬운 건축 이야기』장정제, 시공문화사
전공 동아리 (2015)
고시동아리, 외국인 동아리, 창의융합동아리(융),
밴드동아리(CEENUS), 축구동아리(GeoSakas), 토목공학『토목을 디자인 하다』시노하라오사무, 동녘
야 구 동 아 리 (Civil Hunters), 봉 사 동 아 리 ( 물 (2010)
[M1586.003300] 건설환경공학입문 _SSWAN)
환경공학『침묵의 봄』레이첼 카슨, 에코리브르(2011)
건설환경공학의 역사와 현대사회에서의 중요한 역할에 대
전공 행사 『이중나선』제임스 왓슨, 궁리출판(2019)
해 논하고,건설환경공학 모든 세부 분야의 현재 트렌드와
대학원 전공 설명회, 건설환경공학부 해피투게더
미래의 도전을 최신 연구결과와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소개 도시공학『꿈의 도시 꾸리찌바』박용남, 녹색평론사
(종강행사), 건설환경공학부 1박2일, 비정상회담,
하는 교과목이다. 명견만리 등 (2009)
기계공학부는 5개의 응용연구분야(미래 모빌리티(Future Mobility), 로보틱스(Robotics), 스마트제조
(Smart Manufacuring), 에너지 및 환경(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 생체기계공학
(Biomechanics & Biosystems)를 다룹니다. 5개의 트랙으로 세분화하여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트랙을
선택하고 졸업시 이수증을 수여합니다.
기계공학은 힘과 에너지에 관련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인류의 문명 발전과 삶 창의적인 M-DNA(Mechanical Engineering-Data, Network, AI) 교육을 위하여 “창의공학설계” 교과
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계 장치의 설계, 제작, 제어, 진단 등에 관한 기초 및
응용분야를 취급하는 공학 분야입니다. 기본적으로 4대 역학이라고 불리는 고체 목 및 “기계시스템설계와 로봇 프로그래밍의 기초” 교과목을 통해 컴퓨터 코딩, AI, 기계-전자 시스템에
역학, 열역학, 동역학, 유체역학을 중심으로 주변 학문분야와 연계된 다양한 영역
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계공학은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미래 모빌리티, 로봇, 스마트 팩토리, 에너지 및
환경, 바이오 의료기기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계공학의 여러 분야는 다
른 학문분야와 융합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과 결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세부 전공 개요 핵심 연구실
역학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수송분야와 같이 다양한 구조물의 김도년 - 시뮬레이션 주도 구조설계 연구실
동적/정적 거동을 역학적 관점에서 창의적 해석을 도모하고 김윤영 - 멀티피직스시스템 설계 연구실
Mechanics
해석결과를 통해 시스템 설계・생산・운용을 최적화함을 양진규 - 트랜스포머티브 아키텍쳐 연구실
#미래모빌리티 #로보틱스 #스마트제조 목적으로 합니다. 윤병동 - 시스템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연구실
#에너지및환경 #생체기계공학 #M-DNA 조맹효 - 지능구조설계 연구실

열공학 미래의 저탄소, 고효율 에너지 변환 및 효율적 이용을 목표로 고승환 - 응용나노 및 열공학 연구실
열역학/열전달/연소/전기화학 관련 지식에 기반을 두고 김민수 - 냉동시스템 및 컨트롤/연료전지시스템 연구실
Thermal
고효율/저공해 내연기관, 친환경 수소 연료전지, 초고효율 김찬중 - 전산열설계 연구실
Engineering
http://me.snu.ac.kr/ 하이브리드 에너지 변환 시스템, 친환경 열펌프 시스템, 김태용 - 나노 에너지 전달 공학 연구실
02-880-1911 / mechanical@snu.ac.kr 고성능 열전달 장치, 신재생 에너지원 등에 관해 연구하고 도형록 - 반응성 유동 실험실
제1공학관 (301동) 116호 개발합니다. 민경덕 - 동력공학 연구실
박상욱 - 친환경 에너지 및 나노열 연구실
송한호 - 어드밴스드 에너지 시스템 연구실

동역학/제어 자동차, 로봇, 기전 시스템 등과 같은 동적거동이 중요한 강연준 - 음향 및 진동연구실


기계공학부 전공소개 영상 Dynamics 공학문제를 위한 혁신적인 기계시스템 개발 및 창의적인 박종우 - 로봇 자동화 실험실
시스템거동 모델링/해석/제어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이경수 - 차량동역학 및 제어연구실
/Controls
이동준 - 인터랙티브/네트워크 로보틱스 연구실
조규진 - 바이오로보틱스 실험실

유체공학 에너지변환과 생명체 활동의 근본이 되는 유체의 운동과 관련 김호영 - 마이크로유체 및 소프트물질 연구실
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여, 자동차, 가스터빈으로부터 박형민 - 다상유동 및 유동가시화 연구실
Fluids
초미세생체모방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기 송성진 - 터보기계 연구실
Engineering
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해천 - 난류, 유동제어 및 CFD/생체모방공학 실험실
황원태 - 에너지 및 환경 유동 실험실
약 70%의 졸업생이 삼성, 현대, LG 등 대기업으로 설계/생산 지능형 기계 시스템 구현을 위한 로봇, 메카트로닉스, 센서 및 김아영 - 로봇 인식 및 공간 지능 연구실
액츄에이터, 지능재료 등의 분야와 함께, 미래 에너지 산업의 박용래 - 소프트 로봇 및 바이오닉스 연구실
취업을 하고, 국내외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수여 Design
성장 동력인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의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 박희재 - 정밀 측정 및 박막공정 연구실
/Manufacturing
한 졸업생은 교수와 연구소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스마트 안성훈 - 혁신설계 및 통합생산 연구실
팩토리, 자율형 무인 시스템으로도 분야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윤석 - 에너지 디바이스 및 나노공학 연구실
최근 학생 때 창업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노기술 제조공정, 바이오/나노재료가공 등을 이용한 이호원 - 첨단 생산 기술 및 스마트 소재 연구실
혁신적인 생산 공정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석원 - 재생 에너지 변환 실험실
한경원 - 헬스케어 로보틱스 연구실

나노/바이오 나노/바이오그룹은 기계공학을 에너지, 전자, 바이오소자 등에 신용대 - 생체 시스템 공학 연구실


접목하고 관련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여, 차세대 이정훈 - 나노/마이크로 시스템 연구실
Nano/Bio
솔라셀, 바이오센서, 바이오기계, MEMS 등에 필요한 기술을 전누리 - 멀티스케일 의기계공학 연구실
개발하고 있습니다.

‼ 어렸을 때 혹시 SF 영화를 보며 로봇을 만들고 싶었 웹검색에는 네이버보단 구글이 좋다고 생각한다.


던 적 있으셨나요? 아니면 날아다니는 자동차 같은
걸 개발하고 싶다는 소망이 있으셨나요? 그렇다면 저 어릴 때 아이언맨이 되고 싶었다.
희 기계공학부에 오시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기계(로봇, 공장, 등)를 보며 ‘얘는 어떻게 움직
이는 걸까?’라는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있다.
‼ 기계공학부는 4대 역학을 기본으로 고체역학, 동역
학/제어, 열공학, 유체역학, 설계/생산, 나노/바이오 '캐드/퓨전/솔리드웍스' 를 들어본 적이 있다.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 폭넓게 배울 수 있는 과입니
다. 기존의 내연기관 위주의 연구에서 최근에는 로봇 솔직히 물리 중 역학이 재미있다.
및 구동기를 다루는 로보틱스, 자율주행/전기 자동차
와 UAM 같은 미래 모빌리티, 제조 공정과 공장에 자동차나 로봇 분야에 관심이 있다.
SNU RTY(런투유): 자작 자동차 동아리
AI/ICT를 접목한 스마트 매뉴팩처링, 친환경 에너지
자주 입는 회색 후드티가 있다.
생산과 관리, 의료기기와 약물 전달 장치를 연구하는
SNUZERO: 자율주행 SW 개발 동아리
바이오메디컬 등의 분야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처
나는 새벽 팀플에 경험이 있다(or 자신이 있다).
럼 기계공학은 많은 응용 분야의 기초 학문이며, 최근
Mech-SSENGER: 기계공학부 기자단 에는 주목받는 분야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 결합 기계(컴퓨터, 등)를 조립, 분해해본 경험이 있다.
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MACCA: 기계공학부 전산실&복사실 관리 동아리
‼ 이렇게 많은 분야의 전문가
가 될 수 있는데, 기계과에
ZITHER: 기계공학부 밴드 동아리
오지 않으면 후회하겠죠?
1. 공학자의 사고법, 혼마 히데오 저/김윤경 역, 2016
MAKERS CREW: 기계공학부 박희재창의공간 트레 2. 기계의 재발견 「볼펜에서부터 영구기관까지」, 나카야
이너, 3D 프린터 및 제조설비 교육 동아리 마 히데타로 저/김영동 역, 2021

3. 확률론적 로보틱스 「로봇공학의 기초부터 SLAM과


Visioneering: 자율 주행까지」, 세바스찬 스런, 볼프람 부르가트, 디터 폭스
저/남궁영환 역, 2020
Vision을 가지고 공학(Engineering)을 하는 전기정보공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 중, 물리 관련 교과목
4. WE: ROBOT 우리는 로봇이다, 데이비드 햄블링 저/백승
학부, 컴퓨터공학부, 기계공학부, 우주항공공학과 동아리 수학 관련 교과목 민 역, 2019

5. 쉽게 배우는 기계공학 개론, 유주식 저, 2022


현대 사회는 정밀기계, 전기전자, 우주항공, 에너지공학, 환경공학 등의 첨단산업 발달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분야 발전의 근간이 되는 분야가 바로 재료공학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살펴보면 인류문명을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문명의 발달 정도가 당
시대의 사람들이 사용하던 도구를 이루고 있는 재료를 통해 가늠되었기 때문이다. 혹자는 현재를 신-철기시대, 신-석기시대, 실
리콘 시대, 플라스틱 시대 등으로 관점의 차이에 따라 달리 부르고는 있지만, 사용하고 있는 재료의 발달 정도에 의해 인류문명이
The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DMSE) has been developing 분류되는 상황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우수한 재료를 개발하지 않는 문명은 자연도태 되기 마련이
education program to teach students who will work in the field of advanced 고 국가와 국가 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우수한 재료의 개발 없이는 선진국에의 기술적 예속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materials. The faculty members, graduate students and staffs are striving to lead
research in the relevant fields. We promise to devote ourselves and become global 이렇듯 재료공학이란 한 나라의 산업발전에 근간이 되는 공학분야이며, 국가 경쟁력을 말해주는 척도가 된다. 우리나라가 공업선
leaders of education and research o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MSE).
As industries of Korea are changing to become similar to developed nations, the 진국으로 발돋움 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자동차, 조선공업을 비롯한 기계공업의 발전 뒤에는 든든한 철강재료가 자리 잡고
importance of materials is being emphasized throughout various industries. It is 있으며, 도시, 건설, 토목의 발전 뒤에는 각종 무기 재료가 자리 잡고 있다. 정보통신화에 필요한 반도체공업의 발전 뒤에는 수많
most important to develop and secure technologies of materials with multi/high
function and high performance to manufacture world class products with best 은 재료공학도의 공정개발노력이 있었고, 웰빙 및 바이오, 유비쿼터스 산업을 통해 열려질 새로운 세상을 위해서는 신개념 플라스
quality. Accordingly, new materials like polymer, metal, ceramics, semiconductor 틱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렇듯 재료공학은 항상 과제 해결의 중심적 역할을 해왔다.
and composite materi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particular, new
material technologies based on nano technology such as photoelectron, memory,
environmental/energy, super high strength, and bio materials are regarded as 재료공학에서 취급하는 재료는 크게 고분자 재료, 금속재료, 무기재료, 바이오 재료, 전자재료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재료로부터 원
major technologies that determin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DMSE 하는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에 대한 거시적(macroscopic) 이해와 미시적(microscopic) 이해가 동시에 필요하다.
of SNU developed education programs to provide high-quality scientists
/engineers in the field of advance materials. 성능에 대한 판단은 재료의 거시적 이해가 있어야 가능하며, 그 성능을 얻게 하기 위해서는 구조-공정-성질에 대한 재료의 미시
적 이해가 있어야 가능하다. 재료공학에서는 원하는 성질(properties)을 얻기 위해 공정(processing), 미세 구조(structure)를
#재료공학 #신소재 #에너지 #환경 #반도체 #금속 조절하게 되는데, 이들 3가지를 일컬어 재료의 미시적 이해라 하며 구조-공정-성질 간의 깊은 연관관계에 의해 재료의 거시적 이
#고분자 #세라믹 해인 성능이 좌우된다.
과거 인류는 재료의 변화와 함께 진화해 왔으며 앞으로의 무한한 발전을 위해서 지금도 계속적인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 있다. 특
히, 나노기술(NT)의 대두로 기존 재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성질들이 발견되고 있는 바, 새로운 재료의 개발 및 산업의 도래
가 예상된다. 이러한 나노기술과 재료공학의 접목은 인류의 영속적 발전과 번영을 약속할 것이며 꿈으로 생각해왔던 미래사회를
http://mse.snu.ac.kr/
이끌 원동력이 될 것이다.
02-880-7185
공학관4 (33동) 121호

Materials Science Structural Materials AI, Computational Material Science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materials The study of advanced structural Computational approaches enable
science, also commonly known as materials provides a broad knowledge shifts from the traditional trial-and-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of the fundamental concepts of the error approach to logical design of
재료공학부 재료공학부 재료공학부 재료공학부 involves the discovery and design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metallic material development, thereby short-
전공소개 Youtube 뉴스 공지사항 new materials, with an emphasis on and composite materials, advanced ening the development period of high-
solids. Researchers use analytical metallic and composite materials, performance materials. Recently, the
thinking from chemistry, physics, and fracture mechanics, damage tolerance application of AI in material design is
engineering to understand phenomen- and durability, failure analysis and producing promising results, opening
ological observations in metallurgy prevention, nondestructive evaluation, up an era of data-centered material
 취업 and mineralogy. Materials science in- structural integrity and life prediction, engineering.
corporates elements of physics, chem- and design of aerospace structures.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 디스플레이, 재료연구소, istry, and engineering.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과학기술정
Electronic Materials Bio Materials Energy and Environmental Materials
책연구원, 삼성전기 등 연구소 및 학계 (국내외 대학 교수)
Electronic materials are used as core Biomaterials science encompasses Energy is the fundamental mover and
 창업 elements , such as, memories, displays, elements of medicine, biology, chem- shaker in the universe. There are many
LEDs and could be easily seen in daily istry, tissue engineering and materials alternative, renewable, and sustain-
 대학원 진학 electronic gadgets such as mobile science. Biomaterials can be derived able energy technologies, but each has
phones, computers, laptops, tablets, either from nature or synthesized in inherent limitations that prevent wide-
 국가고시
GPS devices, LED bulbs, TVs and the laboratory using a variety of spread implementation. In almost
 유학 준비 monitors. The study requires fundam- chemical approaches utilizing metallic every case, the prime limitation is
ental understanding about the elec- components, polymers, ceramics or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materials
tronic properties of various materials composite materials. They are often properties of the active substances
and at various length scales as well as used and/or adapted for a medical involved. Materials science and eng-
forms. This is complemented by con- application, and thus comprises whole ineering research can provide answers
current advances in the processing and or part of a living structure or bio- that could bring these technologies to
재료공학은 재료의 구동 원리 및 물리, 화학적 성질 등을 fabrication technologies, in particular medical device which performs, aug- fruition.
기준으로 크게 “고분자, 금속, 무기, 바이오, 전자 재료” related to thin film and nanostructure ments, or replaces a natural function.
processing.
의 5개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학부에서는 재
료의 성질을 거시적, 미시적으로 파악하는 방법부터, 이러
한 성질이 실생활 곳곳에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에 이르
기까지 폭넓은 범주의 지식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재료 및 소자’와 같이 한 분야 전체 석기/청동기/철기시대처럼 미래 문명을 여는


에 관한 거시적인 이해를 돕는 과목과,‘열역학, 반응속도 재료한마당 새로운 재료에 관심 있는 학생
론, 결정학’등 재료의 미시적 성질에 관한 이해를 돕는 과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해 서울대학교에서 지원하
목들을 배웁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재료를 개발해 기 는 “SNU 10-10 Project”와 교육부에서 지원하 AI/뉴로모픽 미래 반도체를 다루고 싶은 학생
술 발전의 기반을 닦음으로써 미래 산업 성장에 이바지할 는 “4단계 BK21 사업”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
인재로 성장하게 됩니다. 으로 2014년부터 매년 개최되어 왔습니다.
친환경 고분자를 개발하고 싶은 학생
대학원생들에게 연구결과를 서로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 간의 소통을 통한 혁신의 장을 열
고자 하는 취지와 함께, 산업체에 종사하시는 분들 인공 바이오 소재로 삶의 질을 높여보고자 하
을 초빙하여 우리 학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를 는 학생
소개하는 행사입니다.
고강도 합금으로 제조의 혁신을 만들어 보고
재료공학부 복수전공자 공학인증 이수기준에 따른 교양 싶은 학생
재료공학부 교외교육
MSC과목(수학, 과학, 컴퓨터) 30학점 이수
전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및 사제간의 대화 신재생 에너지로 지구 환경을 지키고 싶은 학
○ 수량적 분석과 추론 12학점 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는 행사로, 2년에 한 생
○ 과학적 사고와 실험 16학점 번씩 진행됩니다. 재료공학부 구성원 전체가 교외
○ 컴퓨터와 정보 활용 2학점 의 장소에서 1박2일에 걸쳐 진행됩니다. 다용량 에너지 저장 물질로 인류의 에너지 문
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생
재료 세미나 & 콜로키움
나노 소재에서 공학의 혁신을 찾고자 하는 학

나는 신기한 물질을 만들고 싶다』김도연·조욱, 지속 가능한 소재 분야의 혁신 기업을 창업하


랜덤하우스코리아(2006) 고자 하는 학생
세계적인 연구중심학부를 지향하며 전기공학과(1946년 설립), 전자공학과
(1947년 설립), 제어계측공학과 (1978년 설립)를 통합하여 1992년에 출발한
전기·정보공학부는 전자, 전기 및 정보공학분야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창
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전기·정보공학부에는 62명의
교수가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고 있으며, 964명의 대학원생, 988명의 학사 과정
학생들이 전력/전기에너지시스템, 통신/신호처리, 로봇/제어시스템, 디스플레
이/광공학, 반도체/회로, 컴퓨터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임베디드시스템, 생체전
자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다.

#전기정보공학부 #반도체 #전기에너지 #제어


#컴퓨터 #전자물리 #통신 #바이오 #인공지능
#빅데이터

http://ece.snu.ac.kr/
02-880-1808
제1공학관 (301동) 319호

전기전자공학 전공소개 Prezi


 대학교수 및 연구소: ADD, ETRI, KIST 등
 국내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SKT, 현대차, LG전자 등
 해외기업: Amazon, Google, Apple, MS, Facebook, NVIDIA, Qualcomm 등
 벤처 창업: 게임빌, 슈프리마, 퀸타매트릭스, 퀀다 등
세부 전공 개요  기타: 법률(변호사/변리사), 금융(벤처캐피탈, 컨설턴트, 펀드매니저) 등
나노포토닉스 나노세계의 빛과 분자가 여는 새로운 과학과
및 분자전자물리 기술의 시대

디스플레이 및 유연소자 곡면에 부착가능하고 착용감이 탁월한 유연


신축성 플랫폼 상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전자 기술 개발 ✚ 연구 분야 및 진로가 다양하다.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인간과 기계간 더 나은 소통을 위한 멀티미디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배울 수 있다.


어 신호처리 과방에서 밤 샌 적 있다.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다루고 있는 전기정보
무선 및 전파공학 공간 속을 자유로이 흐르는 정보에 의한 미래
혁명 공학부의 연구 분야는 크게 컴퓨터, 디바이스, 시스템 왜 안되지? 왜 되지?
3가지가 있다. 일반적인 전기과, 전자과와 달리, 반도
비쥬얼 컴퓨팅 영상의 화질 개선, VR/AR을 위한 실감 영상신 건전지 사느라 돈이 많이 깨진 적이 있다.
호 처리, 영상내 사람 혹은 사물 인식, 표준 영 체, 프로그래밍, 전력수송 등 넓은 분야를 아울러 배
상 압축, 빅데이터 영상 처리, 컴퓨터 애니메이 울 수 있는 것이 우리 전공의 장점이다.
션기술 밥 대신 납을 먹는다.

빅데이터 다양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 아직 기계가 안될 땐 때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및 인공지능 플랫폼

반도체 물리 및 소자 반도체와 산업은 우리나라 산업의 중추이자, 잘 안돼서 센서 탓을 했는데 알고보니 내 잘못인 적 있다.
각종 전자 산업의 근간 ✚ 다양한 실험/실습 과목이 마련되어 있다. 나는 비흡연자이지만 내 기계는 흡연자다. (기계에서 연
생체전자정보 의학, 생체바이오공학, 전기화학, 나노전자공 기 난 적이 많다.)
학, 나노광학, 정보공학, 뇌영상학 등이 융합되 ✚ 전공 지식을 다른 분야에 응용하기 쉽다.
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창출 배터리 양극 음극을 바로 연결해보고 싶은 충동을 느껴
✚ 대학원 진학을 통해 심화 연구를 진행할 수 있 보았다.
스마트 임베이드 시스템 스마트 기기 상의 플랫폼 설계기법과 성능 및
및 스마트 자동차 전력소모 최적화, 보안 기술, 안전하고 편리한 는 환경이 잘 마련되어 있다. 살짝이라도 감전돼 보았다.
미래형 이동체 실현
✚ 여러 기업에서 전기정보공학부 학부생/대학원
인공지능 및 머신 러닝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주는 미래의 핵심 기술
생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진행한다.
양자전자공학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통신 등의 혁신적인 응
용 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  학부생의 수가 매우 많아,
전기에너지 시스템 지속가능발전과 환경문제해결의 핵심기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
교양 [035.001]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그들을 참고할 수 있다.
전력 시스템 및 경제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전력시스템을 설계하
고 운영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 정책 및 경제적 전공 [400.018] 창의공학설계
요소
전공 수업을 통해 전기정보공학부에서 어떤 내용
제어공학 제어이론에 기반하여 동적 시스템의 동작이 을 배우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 실습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으로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지능 및 로봇공학 지능로봇과 공존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세상 산업체 인사 초청 세미나: 국내외 기업의 임직원들을
초빙하는 산업체 인사 초청 세미나를 3개의 교과목을 통
집적회로 반도체 공정기술과 설계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에 힘입어 지난 60년간 개인용컴퓨터(PC)시 해 개최해 오고 있다. 초빙된 산업체 인사들은 주제 강연
대와 모바일시대를 여는 중요한 견인차 역할 을 통해 취업에 도움이 되는 현장 실무 및 기업 현황을 공

차세대 컴퓨팅 기존의 컴퓨팅 방법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 유하고 있다. 또한 비정기적으로 삼성전자, Apple, Intel,
는 기술에 대한 연구 IBM, Amazon 등 다양한 국내외 우수 기업 연사를 초빙
통신 네트워크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 하여 다수의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기계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숀 게리시 저/이수겸 역,
및 시스템 받을 수 있는 유무선 통신시스템 기술 및 네트 이지스퍼블리싱, 2019)
워크 기술 영화감상회: 동기 및 선배와 교류하고 공동체 의식 고양
보이지 않는 초소형 기계들이 움직이는 세계 과 정서 함양을 할 수 있도록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좋 반도체 제국의 미래 (정인성 저, 이레미디어, 2021)
회로 및 시스템
및 MEMS 은 영화를 무료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컴퓨터 분야의 교육 및 연구 내용은 공학 및 과학의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한 논리적 추리 및 독창적 사고력
을 요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는 매우 긴밀한 유기적 연관을 갖기 때문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
어에 관한 전문 지식을 함께 공부하며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데이타베이스, 프로그래밍언어,
컴퓨터공학은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에 있어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학문으로서, 성 컴퓨터 통신, 컴퓨터이용설계, 인공지능, 알고리즘, 자연언어처리, 멀티미디어시스템, 객체지향시스템, 분산
능이 우수한 컴퓨터를 설계 제작하고 운영 및 응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
하여, 산업 전반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학문이다. 컴퓨터공학은 이론적인 시스템, 실시간시스템 등에 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새로운 이론 정립 및 실험 연구를 수행한다.
측면에서의 기반 기술 연구와 이를 실생활에 직접 응용할 수 있는 응용 연구를 추
구하고 있다. 현대의 모든 산업들은 점차 그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를 통
한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컴퓨터공학은 이러한 융합적, 통섭적 사고와 연구 컴퓨터 산업은 대표적인 기술 및 두뇌 집약형 산업으로서 국책 산업의 하나로 지정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지원, 육성되고 있다. 미래를 선도할 AI 기술 개발, 고성능 컴퓨터 개발, 차세대 인터넷 및 통신 기술 개발,
인간 친화적 지능형 소프트웨어 기술 등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산업 전반에 걸쳐 역할을 증대하고 있다. 이
에 따라, 컴퓨터 고급전문인력에 대한 산업계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는 첨단 컴퓨터 기술 연구와 이를 통한 인력 양성의 구심체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프로그래밍 #컴퓨터 시스템 #알고리즘 #빅데이터
#인공지능 #정보 #IT #AI

http://cse.snu.ac.kr/
02-880-1526 / bulletin@cse.snu.ac.kr
Academic excellence 코딩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봤다.
제1공학관 (301동) 316호 Best education
Collaboration을 통한 들어본 적 있는 코딩 용어가 5개가 넘는다.

세계 일류의 교육 및 연구가
블록체인, 자율주행, AI 등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우리 컴퓨터 공학부의 목표입니다. 검색해보는 편이다.
세부 전공 개요 해당 연구실 세계 최상위 수준의 교수진, 우수한 교육 및 연구 실적,
그래픽스 및 사람 중심의 시각 컴퓨터그래픽스및이미지처리연구실 우수한 학생 실적, 자랑스러운 졸업생, 풍부한 장학금, 프로그래밍 경진 대회 출전 경험이 있다.
운동 연구실
사람 중심 컴퓨팅 기반 컴퓨팅 기술 우수한 시설,
휴먼-컴퓨터 인터액션 연구실
연구그룹 인간 중심 컴퓨터 시스템 연구실 논리적으로 사고하기를 좋아한다.
우수한 동아리, 교외교육 컴씨까지 다양한 활동도 할
네트워크 미래 인터넷이 열어 인터넷 융합 및 보안 연구실
갈 소통과 교류의 이동 컴퓨팅 및 통신 연구실
수 있습니다.
연구그룹 일 진행의 세부 과정 (장단점 고려하며) 계획 세워
미래 세상 암호 및 프라이버시 연구실
10년 안에 세계 Top 10을 목표로 하는 명문 컴퓨터 진행하기 좋아한다.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에서 가치 빅데이터 분석 연구실 공학부입니다!
및 빅데이터 를 추출하는 연구 지능형 데이터 시스템 연구실
연구그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구실 1인 기업, 스타트업 창업에 관심이 많다.
데이터 마이닝 연구실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 지구적인 서비스 분산시스템 연구실


IT 기술로 세상을 바꿔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실
및 분산시스템 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구조 연구실 적이 있다.
연구그룹 천둥 연구실
컴퓨터 시스템 및 플랫폼 연구실
ComSee(컴씨)
이론과 실제가 분산시스템 연구실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가 궁금하다.
이론 및 교수.학부생.대학원생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려 친목을 도모
만나는 연구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실
금융공학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구조 연구실 하는 컴퓨터공학부의 대표적인 행사로서, 초청강연, 연구
연구그룹 천둥 연구실
컴퓨터 시스템 및 플랫폼 연구실 실 탐방, 미니게임, 교수님과의 대화 및 경품 추첨 등 다양
인공지능 인간처럼 학습하는 바이오지능 연구실 한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컴퓨터 생물정보 및 생명정보 연구실
연구그룹 <2021학년도>
시각 및 학습 연구실
머신러닝 연구실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아쉽게도 비대면으
언어 및 데이터지능 연구실
비주얼 컴퓨팅 연구실 로 진행되었지만,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
컴퓨터구조 및 스마트 임베디드 통합설계 및 병렬 처리 연구실 전까지는 경험할 수 없었던 행사가 되었습 교양 [035.001]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임베디드 시스템 연구실
임베디드 시스템 시스템이 지배하는 니다. 2021년 11월 12일 개최된 메타버 [033.014] 공학수학 1
미래 실시간 유비쿼터스 시스템 연구실
연구그룹 컴퓨팅 메모리 구조 연구실 스 ComSee(컴씨) 영상을 아래 링크에서
아키텍처 및 코드 최적화 연구실 [033.015] 공학수학 2
양자정보 및 양자컴퓨팅 연구실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학년도>
프로그래밍 시스템 SW 원천기술, 즐거 프로그래밍 연구실
운 프로그래밍 신세 소프트웨어 원리 연구실 3년만에 부활한 대면 컴씨를 강원도 원주 오크밸리에서 진

SW공학 연구그룹 계를 여는 핵심엔진 행했습니다! 회비는 학생당 1만원이고 학생회와 행정실이
소통하여 주축으로 진행해서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학부생 연구 기회 프로그램(UROP)
① 학부 학생들이 컴퓨터공학부 대학원 연구실을 방문하여
1.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조와 해석, 해럴드 애빌슨
과제나 연구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컴퓨터공학 분야의
외 3인 공저 | 인사이트, 2016
최근 주제에 대한 연구 경험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② 지원 대상: 컴퓨터공학부 주전공 학생(자유전공학부 포 2.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 세상을 바꾼 컴퓨터,
함), 컴퓨터공학부 복수/부전공 학생 소프트웨어의 원천 아이디어 그리고 미래, 이광
김정주 (학사 86학번)
③ 지원 시기: 6월, 12월 근 저, 2017
1994년 Nexon 설립

학점인정인턴 프로그램 3. 퓨처마인드: 디지털 문화와 함께 진화하는 생각


① 학부 학생들이 협약업체* 인턴십을 이수하고 정규학기 의 미래, 리처드 왓슨 저 | 청림출판, 2011
교과목(공학지식의 실무응용)을 수강하면 학점을 부여
이해진 (학사 86학번)
1999년 Naver 설립
합니다. ☞ 협약업체: 라인플러스, 몰로코, 삼성전자,
4.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 샘 라이트스톤 저 | 한빛미
SAP, SK하이닉스, NC소프트, 현대카드) 디어, 2012

② 지원 대상: 컴퓨터공학부 주전공 학생(자유전공학부 포 5. 언어본능: 마음은 어떻게 언어를 만드는가?, 스


김택진 (대학원 97학번)
함), 컴퓨터공학부 복수/부전공 학생(입학 후 4학기 이 티븐 핑커 저 | 동녘사이언스, 2008
1997년 NCSOFT 설립
상 이수)
③ 지원 시기: 5월, 11월
화학 및 생물공학 산업의 원료와 소재를 공급하는 기초산업부터 새로운 첨단 분야까지, 필요한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여,
국내외 산업계, 학계, 연구소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학부입니다.

화학 및 생물공학 산업의 원료와 소재를 공급하는 기초산업부터 새로운 첨단 분


야까지, 필요한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여, 국내외 산업계, 학계, 연구소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학부입니다.

#공정시스템 #무기소재 #유기소재 #전기전자소재


#고분자소재 #생물 #환경

http://cbe.snu.ac.kr/
02-880-7400
제2공학관 (302동) 909호

화학생물공학부 전공소개 영상

화학공정공학

물질 및 에너지 수지, 공정유체역학, 반응공학1,

관련 반응공학 2, 화공열역학, 열 및 물질전달,


교과목 공정제어 및 설계, 분리공정, 화학생물공정실험,
공정 및 제품설계, 촉매개론, 화공전산응용,

이윤우, 안경현, 김도희, 이종민,


교원
이원보, 김지현, 남재욱, 강종헌

무기화학 / 전기화학공학

물리화학 1, 물리화학 2, 분석화학,


관련
무기 및 재료화학, 양자역학의 기초,
교과목
전기화학, 기기분석  다양한 진로
일상생활 속 물질들의 화학
김재정, 성영은, 현택환, 김연상, 정인, 화학생물공학부는 여러 세부 분야가 존재합니다. 이를
구조를 생각한다.
교원 테면 유기화학에서는 ‘분자의 합성을 공부하는가’
최장욱, 이규태, 김대형, 박정원
아니면 ‘반응을 더 잘 일어나게 하는 촉매를 공부하 화학, 생물을 좋아하지만 물리도 좋다.
유기화학 / 고분자 공학 는가’ 에 따라 세부 분야가 나뉘고, 물리화학에서는
반도체나 슈퍼 커패시터와 같이 연구대상에 따라 세부 알코올 도수를 볼 때 부피 퍼센트라 적히지 않은
것이 불편하다.
유기화학 1, 유기화학 2, 분야가 나뉘며, 생물학 같은 경우에도 줄기세포 및 조
관련 직공학 관련 연구실, 시스템생물학 연구실, 단백질공 육각형을 보면 벤젠이 떠오른다.
고분자화학, 화학생물합성실험,
교과목 학 연구실 등 다양한 연구실이 있답니다. 이처럼 화학
고분자물성, 유기정밀화학 과 생물을 바탕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춰 여러 세부 분 공학용 계산기를 항상 가지고 다닌다.
야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졸업 후에는 대학원 진학, 교
김영규, 차국헌, 이종찬, 오준학, 음주 후 운동하면 근육 합성이 저해되는 것을 화
교원 육기관, 국/공립 연구소, 국내기업 및 외국기업, 정부
유동원, 김소연 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관 등 다양한 진로 모색이 가능합니다.
생물공학 20가지 아미노산 구조를 외우고 있다.
 다채로운 활동
화학생물공학부는 그 어느 학부(과)보다 다채로운 활 코로나19 백신의 작용 원리가 궁금하다.
공학생물, 응용생화학 1, 응용생화학 2,
관련 동이 많습니다. 기본적인 개강파티, 학번별 MT는 물론
분자생물공학, 생물화학공학, 세포생물공학, 이고, 2년마다 한화그룹과 화학생물공학부 총동창회 302동에서 1교시 수업이 가능하다.
교과목
환경공학개론, 환경생물공학 의 지원을 받아 학부생부터 대학원생 그리고 교수님과
다같이 2박 3일로 떠나는 학부 총MT(GLT), 매 학기
김병기, 박태현, 윤제용, 백승렬, 김병수, 종강 후 진행하는 교수님과 학생간 대화할 수 있는 자
교원
한지숙, 이창하, 황석연, 서상우 리인 해피아워 등 화학생물공학부 고유의 행사도 많이
있습니다. 이처럼 교수님과 함께하는 활동이 많다는
<기업체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것이 큰 장점인 것 같네요! 교수님과 함께 여러 행사를
전공 [400.023] 화학생물공학개론
공학지식의 실무응용(400.313) 안내 자료 하다 보면 자신의 고민을 해결하거나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합니다. * 타학과(부)생을 위한 개론 교과목
건축학과에서는 5년제 건축학 전공(Architecture) 및 4년제 건축공학전공(Architectural Engineering)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 건축학전공 프로그램: 건축학사(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과정

 건축공학전공 프로그램: 공학사(Bachelor of Scienc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학위과정

건축학과에서는 2016학년도 입학생부터 통합과정으로 선발하고 있으며, 1,2학년에는 각 전공의 기초적인 내용을 습득하
고, 2학년(4개 학기)을 마친 학생은 ‘건축학/건축공학’ 전공배정을 통해 해당 전공과목을 이수함으로써 관심분야에 대
새로운 세기 우리의 도시와 건축 환경을 담당할 미래의 전문가들이 청춘을 바쳐
한 보다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들의 꿈을 이루어 나가는 곳,
건축학 분야와 건축공학 분야의 최첨단의 아이디어가 등장하고 소통이 되고 또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곳,
국내외의 건축 관련 정보가 쉼 없이 소통되는 곳 교과목 구성

#디자인 #공간 #건축 #설계 #시공 #구조 #환경

http://architecture.snu.ac.kr/
02-880-7433
대학원교육연구동 (39동) 535호

건축학과 전공소개 영상

통합과정
건축학 전공 건축공학 전공
기술을 이해하는 건축사, 디자인을 이해하는 엔지니어 양
성을 목적으로 1학년과 2학년의 건축학/건축공학 교과 졸업 후 건축사자격증 및 관련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전문 졸업 후 대학원 학위취득 및 건축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
과정인 <통합교과과정>이 시작되었다. 적인 실무를 수련할 수 있다. 대학원 학위과정으로 학업의 길 여 전문적인 실무를 수련할 수 있다. 또한 건축설계, 인
을 걸을 수 있으나, 주 진출 분야는 건축설계 관련 사무소이며, 테리어 디자인, 감리 및 CM 회사, 건축관련 공기업 및
4개의 기초 스튜디오와 컴퓨터, 구조, 환경, 시공 및 재료
건축설계, 실내설계, 설계감리, 인테리어 디자인, 건축관련 공 연구소, 건축직 공무원, 건설회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등 기술 과목들이 연계되어 학생들이 건축의 다양한 분야
들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돕고, 개인의 적성과 특기에 맞 기업 및 연구소, 건축직 공무원, 건설회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추어 세부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통합과정을 마친 후 전공배정을 통해 심화과정(건축학전
공, 건축공학전공)으로 진입하게 된다.

건축학 전공
 건축학과는 아랫 공대의 명당인 39동에 위치해 있으 전공 동아리
미학, 철학, 인류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문적 소
며 주위의 두 개의 24시간 편의점과 카페 머그, 봉구 타 학과, 학교 간의 교류 및 선후배들 간의 친목까
양을 바탕으로 건물의 설계와 건축의 역사 및 이론을 연
구하는 분야이다. 스 밥버거, 출력실, 학과 도서관, 샤워실, 수많은 간이 지 얻는 즐거운 동아리!
침대, 지하 1층 아이디어 팩토리, 그리고 헬스장을 두
건축학 전공에서는 개별 건물의 내‧외부 공간 및 환경 등  축구 동아리'아키사커’  밴드 동아리 '반다크’
을 설계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물과 건물, 건물과 도시, 건 고 있습니다. 이러한 훌륭한 풍수지리와 시설 덕분인
 축구 동아리 '아르케’  건축 탐구 동아리 '인뎁스’
물과 자연 등의 관계도 함께 고찰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는 몰라도 39동은 다수의 건축학도의 유사 본가로
있다. 건축학 전공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위해선 공과대학 사용되기도 합니다. 1학년부터 밤 10시 이후까지 이  야구 동아리 '애니멀즈’  템플스테이 동아리
에서 요구하는 수학, 물리, 지구과학 등의 이공계 교과목 어지는 야간수업과 수많은 밤샘으로 인해 대게 야행성  족구 동아리 '족구연’ '아키템플’ 등
의 공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그와 더불어 사회, 역사,
으로 생활패턴이 변화하는 양상이 보이고, 설계 스튜
디자인 등에 이르는 다양한 교과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
다. 또한 아이디어를 실제로 표현해내는 능력이 필요하며, 디오 수업이 몰려 있는 화요일, 금요일 전날에는 새벽
이는 설계를 구체화하는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활용된다. 까지 39동의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불이 꺼지
지 않는 이유는 꼭 설계가 아닌 게임, 축구 관람, 야식
건축공학 전공
섭취 등도 있으며 이렇게 북적이는 설계실에서의 추억
건축의 공학적인 모든 부분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건축물 이 매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안전하게 설계되고 시공될 수 있도록 연구하는 구조설 [M1498.000800] 기초스튜디오 1 (건축과 표현)
 1, 2학년부터 학생들의 주 생활공간으로 사용되는 설
계, 설계대로 건축물이 건설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는
건축시공, 그리고 건축물에서의 빛, 음, 열 등을 연구하는 계실은 관악에서 유일하게 학생들에게 개인 지정 좌석 [4013.204] 건축구조 시스템
건축환경 분야로 크게 나누어진다. 세부적으로 환경, 시공, 이 주어진다는 메리트를 지니고 있으며, 여가, 학업,
건설경영, 구조 및 구조재료 등을 배우고 연구하게 된다. 과제, 식사, 주거… 등 모든 역할을 전담해 오고 있습
구체적으로 건축공학전공에서는 공과대학에서 요구하는 니다. 건축학과의 학생 사용공간은 세계 최고 수준이
수학, 물리 등 이공계 교과목의 이수가 필수적이며, 그와 라고 알려져 있으며 전공분리가 이루어지는 2학년 말
더불어 공학수학, 유체역학, 열역학 및 열전달, 건설경영, 까지 이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장점도 있습니다. 설계
시공기술, 재료역학, 구조역학, 구조설계 및 계획설계 등
실은 다른 전공에서 맛볼 수 없는 건축학과 생활의 특
에 이르는 교과목을 공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창의적 『건축가가 말하는 건축가』이상림 등,
인 공학설계를 통하여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건축물의 징이며 학생들에게는 천국과 지옥 사이에 있습니다.
부키 (2011)
설계기술 능력을 갖추게 된다. 우리 학과는 건축공학의 다
양한 설계기술 능력과 엔지니어로서의 기본지식을 활용 『나무, 돌, 그리고 한국 건축 문명』전봉희,
하여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사람이 사용하기에 편리 21세기북스 (2021)
하고 편안한 건축물을 구현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더하여
『DD 44: XS S M L XL』Studio Fuksas,
내진, 내풍, 내화, 내구성 및 보수보강 등의 현실적인 문제
담디 (2019)
를 공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면을 강조한다.
산업공학 이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공학적 원리를 결합하여 최적의 프
로세스와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함으로써 “무엇인가를 더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문입니다. 산업공학도들은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생산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거나, 신기술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발하거나, 업무
를 보다 쉽고 가치 있게 만드는 것 등에 기여해 왔습니다.

공학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산업공학은 산업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분야를 조화롭게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학문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는 “새로운 과학기술과 혁신적 경영관리 기법의 융합을
입니다. 다른 공학 분야가 특정산업의 전문적 기술이나 원리를 연구 개발하고 제공한다면, 산업공학은 과학적 원리와 경
통해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 더 나은 세상과 미래를 영전략을 접목하여 기업업무과정을 혁신하고 체계화하며 합리적인 방법을 도출하고 종합적 경영전략을 운영하는 과학
위해 일하는 창의적인 리더 양성”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
물인터넷, 블록체인, 핀테크 등 4차 산업혁명시대에 혁신적이고 선도적 역할을 적 이론과 실무적 기법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담당하는 세계 최고의 산업공학도를 배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
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를 선도하는... 산업공학 전공자들은 제조분야와 관련된 전통적인 영역 외에, 교통, 통신, 물류, 병원경
높은 꿈, 뜨거운 열정, 따뜻한 인성을 갖춘 최고의 인재들에게 서울대학교 산업공
학과의 문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영, 서비스업에 이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금융, 마케팅, 인사 행정 (Human
Resource Administration) 등을 포함한 산업시스템과 교통, 국방, 공공 행정 (Public Administration) 등의 광범위한
사회시스템으로 산업공학 적용 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무와 숲을 동시에 보는... 산업공학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 하에서 복잡한 시스템의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한 지식은 물론
각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시스템 전체에 대한 각종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필요한 시점에 효과적인 서비스를
#최적화 #생산성 #효율성 #경제성 #4차산업혁명 제공할 수 있도록 나무와 숲을 모두 볼 수 있는 안목을 갖춘 공학도를 양성하여 시스템의 설계, 설치 및 개선을 다루는 학
문입니다.

http://ie.snu.ac.kr/
02-880-7180 산업공학과에서는 전문성과 수월성을 추구하는 다양한 연구실들이 운영되고 있
대학원교육연구동 (39동) 335호
습니다. 각 연구실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합니다.

- 수학, 통계학, 경영과학, 컴퓨터공학, 경제학 등에 바탕을 둔 정략적 이론 도출


산업공학 전공소개 Prezi - 실험, 실습, 설계, 제작 등의 방식을 통해 경험적이고 실용적인 공학기술 개발
- 실제 사례를 대상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하는 전문성 함양

최근 Apple의 팀 쿡 최고경영자,
카카오 김범수 의장, ㈜LG 권봉석
부회장, KT 구현모 대표이사 등 산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졸업생은 심층적 연구 활동을 업공학 전공자들이 국내외 주요 기
위해 학부 졸업 후 대학원 과정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많 업들의 최고 핵심 위치에 오르고
습니다. 있습니다. 산업공학이 산업계를
- 학부 졸업생의 약 45%는 국내외 대학원으로 진학하며, 선도하는 리더십과 사회적 니즈를
그 중 80% 이상이 서울대학교 대학원으로 진학 충족시키는 팔로우십을 동시에 추
- 석사 졸업생의 약 30%는 국내외 대학으로 박사 진학 (서 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울대학교, Georgia Tech, Stanford, MIT 등)
- 박사 졸업생의 약 15%는 학계로 진출하여 연구 활동을
지속

산업공학과 학부, 대학원 졸업생은 물류, 유통, 통신, 금


융, 제조,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계로 진출하고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는 각종 행사 및 단체 활동을 통해 산공
있습니다. 주어진 환경에서 체계적으로 문제를 분석하 인들의 친목 도모와 학과 발전에 힘쓰고 있습니다. 산업공학과에서 진행하는
고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내는 산업공학 전공자들은 사
다양한 동아리/행사들은
회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산공인의 밤: 2007년부터 시작된 ‘산공인의 밤’ 행사
- 졸업생의 약 30%는 제조 분야에 진출 (삼성전자, LG전 모든 다전공 학생들에게도
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개최하
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등) 열려 있습니다!
는 정기 축제로, 학생들과 교수들이 한 곳에 모여 저녁을
- 졸업생의 약 15%는 IT 및 정보통신 분야에 진출 (네이버,
먹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면서 친목을 다지는 학
카카오, NC소프트, SKT, Tmax 등)
과 대표 행사입니다. 졸업생 초청강연, 이중한 상 시상식,
- 이외 금융, 서비스, 컨설팅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
각종 축하공연, 선후배 교류의 시간, 경품 추첨 등 다채로
진출 (현대카드, 두나무, BCG, LG CNS 등)
운 이벤트가 함께 진행됩니다.

• 각종 환영회 및 파티: 신입생 환영회, 개강파티, 종강파


티 등 재학생, 휴학생, 졸업생 등이 모여 친목을 도모하는 전공 [406.434] 산업공학의 이해
카카오 김범수, 애플 팀 쿡과 같은 CEO가 되고 싶다. 자리를 갖습니다. 또한 산업공학과 학생회의 주도 하에 학
[406.211] 과학적관리
생들의 복지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중간고사 간식뿌림, 게
공학도 궁금한데 경역학도 궁금하다. 임대회, 스터디 프로그램, 졸업생과의 만남 등)들이 기획되
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들어봤거나 찾아본 적이 있다.

• People in Industrial Engineering (PIE): PIE는


전통적인 학문과 새로운 학문을 두루 접하고 싶다.
매달 졸업생, 학부생, 교수님 등 산업공학인들을 인터뷰하

졸업 후 진로의 폭을 넓히고 싶다. 는 프로젝트로, 산업공학과 학생들에게 여러 분야로 진출


한 산업공학인들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산업
1. 공학의 마에스트로 산업공학, 대한산업공학회 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다. 공학과 이덕주 교수를 시작으로 일레클 프로덕트 오너 서
2015
다영, BCG 컨설턴트 오상민,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박
변화하는 시대에 뒤처지고 싶지 않다. 새롬 교수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인터뷰 내 2. 스마트 세상을 여는 산업공학, 대한산업공학회
용은 카드뉴스 형식으로 정리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저, 2016
최적화, 효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3.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설계한다, 대한산업공학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회 저, 2018
자원, 에너지, 환경을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

에너지자원공학과는 광물자원과 에너지자원 분야 다양한 주제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교육과 산업을 이끌
어 갑니다. 광물자원과 에너지자원의 지속가능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탐사, 회수, 처리, 활용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
방면에 능숙한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위해 에너지자원이 다변화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핵심자원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자원 확
보의 관건이 지정학적 위치에서 기반기술 선점도로 변화함에 따라,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를 고려한 에너지·자원의 개발, 생산, 저장, 변환 기술의 개발,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정책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에너지·자원의 공급을 통해 에너지·자원 안보와 환경, 사회,
지배구조 (ESG) 가치를 달성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 설립된 서
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는 4가지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에너지·자원 개발/생산, 2) 에너지·자원 저장/변환, 3) 에너지·자원 환경,
4) 에너지·자원 기술 경영
에너지자원공학과에서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 자원은 석유, 가스 등 전통에너지원
은 물론 태양광, 지열,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원을 포함하며, 광물 자원은
철, 구리, 우라늄, 금, 은, 다이아몬드, 석재, 골재 등의 전통 산업광물과 니켈, 리
튬, 코발트, 희토류 등 전략광물을 모두 포함합니다.

#에너지 #자원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에너지자원정책

http://ere.snu.ac.kr/
02-880-8782
글로벌공학교육센터 (38동) 311호

 소수정예 학과 전기차 혹은 전기 시내버스를


공과대학 내 정원이 적은 학과로 교수님들의 가르침을 받 이용해 봤다.
에너지·자원 개발/생산 에너지·자원 환경
기에 좋고, 선후배동기간 끈끈한 유대감을 자랑합니다! 인
원이 적은 만큼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으로서 자부심을 배달 음식 주문할 때 일회용품 수저포크 안받고
 석유가스 자원  환경오염 방지·처리 느끼며 수학해 나갈 수 있어요. 먹기를 실천했다.
 광물 자원  방폐장 건설 및 관리
 스포츠 카페 개인 텀블러를 자주 사용한다.
 재생에너지  에너지 인프라
에너지자원연구소 지하 1층에는 에자공 학생들만을 위한
 원격탐사  순환자원 스포츠 카페가 있습니다! 탁구대와 당구대가 있어 가볍게 소등 행사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다.
 탄소 지중 저장 게임하기에도 좋고, 와플기계, 전자드럼, 다양한 보드게임
도 있답니다! 38동 학과 건물과 가까워 공강 시간에 이용 신재생 에너지 종류를 3가지 이상 알고 있다.
하기 좋아요. :D
에너지·자원 저장/변환 에너지·자원 기술 경영
CCS 기술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에 대해 들어
 공대 최고의 과방 본 적 있다.
 수소에너지 • 국제 에너지·자원 시장분석 최근 책상과 의자를 교체해 그룹스터디를 하기에 적합해
 자원 비축/저장 • 타당성 평가 졌고, 매달 신간 도서를 구매해 주셔서 여느 북카페 부럽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인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 이차전지 • ESG 평가 않답니다! 더불어 오븐, 냉장고, 얼음 정수기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요. 한번도 쓰레기 무단 투기를 해본 적이 없다.

 공대의 강남 38동! 자동차 기름값은 왜 저렇게 비싸지 라는 생각을


38동은 공과대학 건물 중에서 교통이 가장 좋은 편에 속합 해본 적이 있다.
니다. 바로 앞에 공대입구와 신소재 정류장이 있어, 낙성대
- 국내기업: BHI, General Electric(GE), GS건설, GS에너지, GS 와 서울대입구 모두에서 오기 편리하죠! 또한 준공된 지 얼
칼텍스, IMM investment, KDB산업은행, KEI 컨설팅, (주)LG, 마 되지 않아 시설이 좋고 눈부시게 아름다운 38동 건물의
LG CNS, LG상사, LG인터내LS-Nikko, S-Oil, (주)SK, SK E&S, 3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 1층에는 BBQ 카페가, 지하
SK건설, SK에너지, SK이노베이션, SK 어스온, 고려아연, 건화엔 1층에는 문구점과 한식당, 은행이 입점해 있어 편리합니다.
지니어링, 네이버, 대림산업, 대성에너지, 대우건설, 대우조선해 다양한 행사가 열리는 큰 홀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38동을 전공 [400.024] 에너지자원공학개론
양, 동부증권, 두산경영연구소, 삼성 SDS, 삼성물산, 삼성엔지니 찾고는 한답니다. (에너지자원공학 전 분야)
어링, 삼정KPMG, 삼천리투자, 삼탄, 신흥건설, 에너자이, 어스이 [M1594.001300] 에너지자원재료역학
엔지, 일신회계법인, 전국경제인연합회, 지오제니, 지하정보기술,
(암석역학 및 실험 선이수 교과목)
코데코에너지(주), 코리안리재보험, 코오롱, 포스코, 포스코경영
연구소, 포스코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선급, 한국투자증 [M1594.001400] 에너지자원열역학
권, (주)한화, 한화에너지, 한화케미칼, 한화솔루션(주)/큐셀, 현 (자원처리공학 선이수 교과목)
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 효성중공업, 희송지오텍 등
- 해외기업: Anadarko, Argonne National Lab., Baker Hughes, 학과 행사: 학부생 논문 발표회, 에너지자원공학과
CGGVERITAS, Chevron, CMG Ltd, Fugro Consultants Inc., 멘토링 프로그램, 에너지자원공학과 현장견학, 선배
Exxon, German Research Center for Geosciences(GFZ),
초청 멘토링, 톡톡 Talk, Talk! 탄소중립, 에너지신산
Halliburton, IEA, JPL(NASA), Kanta Kairos, KODECO Energy,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 Oxy, Petronas, Sandia 업 입지분석 경진대회
『석유와 석유공학 이해』최종근, 씨아이알 (2020)
National Lab., Saudi Aramco, Schlumberger, Total, Uniper, etc
학생 행사: 개강파티/종강파티, 에너지자원공학과 바 『에너지디자인』바츨라프 스밀, 허은녕/김태유/이수갑
-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국회예 자회, 에너지자원공학과 체육대회, 크리스마스 파티 옮김, 창비 (2008)
산정책처, 극지연구소, 기술표준원, 녹색기술센터, 대한주택공사,
법무부, 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 서울도시가스, 수도권매립공 과동아리: 밴드동아리 오일쇼크, 축구동아리 ESC, 『2050 에너지 제국의 미래』양수영/최지웅, 비지니스
사,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홀딩스, 온실가스종 탁구동아리 에구에구, 맛집탐방 동아리 에미야 등 북스 (2022)
합정보센터, 한국가스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 『신재생에너지』박형동 외 3인, 씨아이알 (2013)
획평가원,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광해광업공 학회: 한국자원공학회, 한국석유공학회, 한국암반공학
『한국광업사-근대 이전을 중심으로』이정인/이태섭,
단, 한국국방과학연구원, 한국도로공사, 한국산업은행, 한국생산기 회,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등 다양한 국내·외 학회 등
술연구원, 한국석유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에스티엔 (2021)
원자핵공학과에서는 현재 핵분열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시 원자핵공학과를 통해 배출된 1400명 여명의 졸업생들은
스템을 다루는 원자력시스템 공학분야, 핵융합 발전 실현 학계, 연구계, 산업계, 정부기관 및 국제기구 등에서 우리
과 여기에서 파생되는 플라즈마 응용을 다루는 핵융합· 나라 원자력계의 발전을 선도해 왔습니다. 그간 국내 원
플라즈마 공학분야, 방사선의 계측과 활용을 다루는 방사 자력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재 25기의 원전이 국내 전
선 공학 분야의 3대 분야에서 교육과 첨단 연구를 수행하 력의 30% 정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 원자핵공학
원자핵공학은 미시적인 양자공학과 거시적인 시스템공학을 아우르는 거대공학
입니다. 고 있습니다. 2011년 3월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 기술은 세계 최정상급 수준으로 최근 UAE에 원전 4 기와
후 국민의 원자력 수용성이 다소 감소되어 있는 현재에도 요르단에 연구용 원자로를 수출하였으며, 세계 최초 미국
원자핵공학과의 교육목표는 ‘원자핵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의 지속가능
한 발전에 기여할 인재를 양성합니다’ 원자핵공학은 원자핵을 기원으로 하는 에 우리 학과는 가동중인 원전의 안전성을 국민이 안심할 수 과 유럽 동시 설계인증 및 세계 최초 중소형 일체형원자
너지와 입자 및 방사선을 이용하여 인간에게 편익을 제공하는 기술을 대상으로 로 인허가에 성공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원자핵공학과
있는 수준까지 제고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사용후핵연료
하는 학문입니다.
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우라늄 자원의 이용율을 대폭 향 졸업생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습니다.
상시킬 수 있는 고속로 기술, 수소생산 등에 활용할 수 있
원자핵공학과 졸업생들은 또한 국제수준의 핵융합 장치
는 초고온가스로 기술과 같은 미래 원자로 기술, 인류의
의 제작과 실험, ITER 사업 참여 등을 통한 핵융합 기술
궁극적 에너지원이 될 핵융합 발전 기술, 플라즈마 및 방
#에너지 #탄소중립 #초격차기술 #거대과학 의 발전에도 중추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최근 건설이 시
사선의 첨단 산업 및 의료 응용 기술 등을 지속적으로 연
#미래원자로 #방사선기술 #핵융합로 #가속기 #안전 작된 중이온가속기를 비롯한 다양한 입자 가속기, 방사선
구하며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교육을 통해 파급하는 대학
#핵안보 #정책 #국제기구 #소통 #물리 #화학 진단 및 치료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의료장비 등
본연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의 기초 과학 진흥과 국민 복리 증진을 위한 기술개발에
1959 학과 설립(공릉동 캠퍼스) 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원자핵공학은 복합화된 대형 종합
1963 석사과정 시작 과학기술로 핵심 요소기술 연구능력의 강화와 미개척 과
http://nucleng.snu.ac.kr/
02-880-7201 1966 박사과정 시작 학기술 영역에 도전하면서 창조적 연구개발 및 과학기술
공학관3 (32동) 112호 1980 관악 캠퍼스로 이전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2009 원자핵공학과 반세기 기념식

원자핵공학과 전공소개 영상

본 학과는 3대 원자핵공학 분야에서 연구개발, 산업


활동, 교육 및 공공활동 등을 선도할 인재의 양성에
교육과 연구에 중점을 둡니다.

원자력시스템공학
핵분열 반응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해
▣ 원자핵공학과의 현재 다양한 공학분야를 통합적으로 공부해 보고 싶다.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제반 시스템을 연구
2023년 현재 전세계는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
핵융합 및 플라즈마 자력은 현재 에너지생산원 중 단위에너지 당 이산화탄소 배출이 안정적인 직장을 얻고 싶다.
핵융합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시키는 가장 적은 에너지원으로, 탄소중립목표 달성에 있어 필수적인 에
플라즈마의 이용과 핵융합 시스템을 연구 너지 생산원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미래산업의 주역이 되고 싶다.
핵융합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무거운 원자핵으로 합쳐지는 과정
방사선 공학
입니다. 이러한 기술에서 우리나라는 선두주자로 기술강국들과 세계 1등 기술을 배워보고 싶다.
방사선 방호 및 의료 및 산업적 이용을 연구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 KSTAR와 원자핵공학과 나
용수 교수님 연구진의 연구가 Nature에 게시되고, 플라즈마 유
에너지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싶다.
지에 있어 1억도 30초라는 세계기록을 세우는 등 현재 핵융합
분야에 있어 우리나라와 원자핵공학과는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
물리/수학/화학/재료/컴퓨터/전자/기계/건설/
습니다.
화공/경제/정책/국가안보 중 하나라도 흥미있다.
그 외에도 반도체 기술이나 여러 의료기기에 플라즈마나 방사선
기술이 쓰이는 만큼 원자핵공학과의 미래는 굉장히 밝아 보입니 핵인싸가 되고 싶다.
Open Lab
다. 현재 방사선은 암치료와 각종 의학기술, 산업분야, 생명과학,
원자핵공학과 오픈 랩 행사는 원자핵공학과의 연구실에 우주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방사선을 이용 세상을 바꾸고 싶다.
대한 소개, 교수님의 세미나, 대학원생과의 대화, 랩실 투 해 산업 전반에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 등을 경험할 수 있는 행사입니다. 1학기 말이나 2학기 ▣ 분야의 다양성 재미있는 학과생활을 하고 싶다.
초에 진행되며, 격년으로 한 해는 대학원생과의 대화 위주
원자핵공학과의 연구분야는 굉장히 다양합니다. 컴퓨터 시뮬레
로, 한 해는 교수님들께서도 참석하시는 세미나 형식으로
이션으로 중성자나 유체의 운동을 모사하거나, 원자로의 재료를
진행됩니다. 오픈 랩 행사를 통해 현재 연구 동향, 현직자
연구하거나, 반도체 기술이나 생명 관련 기술, 심지어는 정책과
와의 대화를 통한 대학원과 전공의 이해도 향상 등 여러
경제 관련된 연구 등 본인이 하고 싶은, 혹은 잘하는 분야를 살릴
가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핵융합, Garry Mccracken 저 / 유창모 역 | 북스힐,
수 있는 기회가 매우 다양합니다.
2007
원핵의 밤 ▣ 타 전공과의 시너지
2. 원자력 상식사전, 원자력상식사전 편찬위원회 저 |
전공, 특히 연구실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진행되는 Open 분야의 다양성과 연결되어 원자핵공학과는 여러 타 전공들과 좋
박문각, 2016
Lab 행사와는 달리 원핵의 밤에서는 조금 더 편안한 분위 은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가령 정치외교학부와 핵비확산에
기에서 자유로운 주제로 대화가 진행됩니다. 주로 교수님 관련된 연구가 진행될 수도 있고, 재료, 기계, 반도체, 컴퓨터 등 3.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 리처드 A. 뮬러 저 | 살
들과 연구자, 현직자 분들에게 여러 질문을 할 수 있는 시 다른 공학 분야나 물리학, 생명과학, 지구과학과 관련된 수업이 림출판사, 2014
간을 갖고, 후에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진행됩 나 연구 역시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에는 원자핵
4. 체르노빌의 목소리 : 미래의 연대기, 스베틀라나
니다. 교수님들과 현직자 분들께 직접적인 질문이나 대화 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정치외교학부, 행정학과 등 총 14개
알렉시예비치 저 | 새잎, 2011
를 하고 싶으시다면 참석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학과가 참여하는 지속가능 고준위방폐물 관리 융합전공이 대학
원 과정에 설립되었습니다. 이렇듯 본인의 본 전공과 융합할 수 5. 한국형 원전, 후쿠시마는 없다, 이병령 저 | 기파랑,
있는 여지가 많다는 점도 원자핵공학과의 장점입니다. 2019
조선해양공학과는 서울대학교와 역사를 같이 하여 50년이 넘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조선해양공학과 관련된 산업, 연구, 학계를 이끌어
나갈 글로벌 리더를 배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있
습니다.
조선해양공학은 컨테이너선, LNG선, 잠수함, 수중 로봇 등 해양 운송체/이동체
를 다루는 조선공학과 해양 플랫폼, 구조물, 해상 풍력, 인공섬 등 해양 에너지 및 첫째, 조선해양공학 산업, 연구, 학계의 지도자적 인재를 육성한다.
공간을 다루는 해양공학을 연구, 개발, 설계, 제작 및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켜
조선해양공학의 훌륭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둘째, 엔지니어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의사전달 능력을 포함한 기본소양 및 자연과학
적 기초지식을 교육한다.

셋째, 조선해양공학에 관련된 실용적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전공지식을 교육한다.

넷째, 도덕적이며 사회적인 책임감을 갖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배양하고 국제적 시대적 감각을
#조선공학 #해양공학 #조선소 #친환경 선박 갖추도록 교육한다.
#스마트 선박 #딥러닝 #인공지능 #정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http://naoe.snu.ac.kr/
02-880-7320
공학관5 (34동) 417호

조선해양공학과 전공소개 영상

■ Marine Hydrodynamics

유체역학 및 부유체 동역학을 기반으로 선박, 해양구


조물, 수중운송체에 대한 저항 및 추진 성능, 파랑 중
운동 및 안정성, 조종 및 제어 성능 등을 연구

■ Ship and Offshore Design / Production

전통적인 전산설계 및 생산공학을 기반으로 인공지  조선해양공학과는 조선해양 분야에 있어 국내 최 바다를 좋아한다.
능/빅데이터 등 최신 ICT 기술을 접목하여 설계 및
고의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생산 활동에 대한 최적화 및 자동화를 연구 수학과 물리, 그리고 역학에
관심이 많다.
■ Marine Structural Dynamics  높은 취업률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좋아한다.
비선형 구조역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하중 하 구  실제 선박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조물의 구조응답 및 안전성 평가를 바탕으로 구조물 있도록 다양한 연구 설비들이 준비되어 있으며, 작은 구조물보다 큰 구조물이 좋다.
의 설계 최적화를 수행
 커리큘럼에 따라 조선해양공학에 대한 깊이 있는 세계 최고의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
■ Ship and Offshore Process Engineering
배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을 좋아한다.
열역학을 기반으로 선박 연료 공급 시스템, 수소
/LNG/CO2 기화 및 액화 처리 시스템, 해양 원유 및 친환경에 관심이 많다.
가스 처리 시스템 등을 연구
스마트 기술에 관심이 많다.

만들기를 좋아한다.

조선해양공학과 MT 학부생 연구 참여프로그램(UROP)


전체 학부생 대상의 총 MT로 학과 현황 및 소개, 동 UROP는 3학년 이상 학부생들에게 조선해양 분야
아리 활동, 장학금 등 대학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 의 다양한 기술을 접하고 연구해 볼 기회를 제공하
공하며 특강, 졸업생 선배들과의 대화 시간 등을 마 는 단기 연구 지원 프로그램으로 조선해양 분야의 『교양으로 읽는 조선공학』해리 벤포드 저,
련하여 대학생활 및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여 자신의 연구 적성을 탐색 이신형/김효철 공역, 지성사 (2014)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조선소 현장견학
『친절한 공학 열역학』임영섭 저, 성안당 (2021)
매년 학부생을 대상으로 수업시간에 배웠던 이론을 조선해양공학과 동아리
현장에서 접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조선소 현장견학
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장견학을 통해 연구, 시험  여모: 여학생들의 친목 도모 및 정보교환을 위
동 견학 및 선배와의 대화 시간과 건조중인 배를 직 한 여학생동아리
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너울: 수중 로봇 제작 학술동아리
OPEN LAB  F.C BLUE OCEAN: 조선해양공학과 축구동아리
대학원 연구실에 대한 설명과 평소 궁금한 점을 확인  TSUNAMI: 조선해양공학과 농구동아리
할 수 있는 기회로 매년 개최됩니다. 대학원 진학 예
정인 학생들에게 대학원 생활과 연구분야 등 대학원  WAVE: 조선해양공학과 밴드동아리
진학에 대한 유익한 정보가 제공됩니다.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는 국가의 핵심산업체와 전문연구소 등이 요구하는 창의적 연구인력과 대학
의 관련 학문분야 교수요원 육성을 교육목표로 지향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는 기초 학문 분야 (공기 역학, 구조역학, 추진, 제어)


또는 설계지향분야 (항공 분야, 우주분야, 추진기관, 미래 항공 우주), 그리고 다
른 분야와의 융합(항공기술, 위성체기술, 발사체 기술, 항공우주로봇, ST-NT-
BT-ICT 융합기술, 지구 관측, 우주탐사 등)으로 나누어지며 국가의 핵심산업체
와 전문연구소 등이 요구하는 창의적 연구 인력과 대학의 관련 학문분야 교수요
원 육성을 교육 목표로 지향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 #누리호 #다누리 #첨단산업 #항공기


우리학과 특화 연구소/연구센터

http://aerospace.snu.ac.kr/
02-880-7380 / aerospace@snu.ac.kr 항공우주신기술연구소
제1공학관 (301동) 117호
항공우주공학과에는 개강파티, 종강파티, MT와 같
은 평범한 과 행사 외에도 항공우주공학과 만의 특 항공우주기술인력 양성사업단

별한 행사들이 있습니다! 차세대우주추진연구센터


차세대 고속 복합형 무인 회전익기 특화 연구실
어셈블리 서울대학교 우주교육시스템 구축사업단
1년에 한번, 학과 전체 차원에서 신청자에 한해 1박 2일
로 항공 관련 기업들을 탐방하는 행사입니다. 실제 항공
기가 어떻게 제작되는 지 살펴보고, 평소에 책에서만 보
던 내용이나 실험을 하면서 의문점이 들었던 것들을 질문
하는 등 전공 지식을 쌓는 특별한 행사입니다. 또한 밤에
는 학과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며 친해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4대역학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항공전
「인터스텔라」와 「탑건」을 보고 감명을 받았다.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 속해 있는 동아리들의 동
아리 전시회입니다. 항공우주공학과 학부 과정에서 항공
전은 동아리의 경우 주변에 홍보할 수 있고, 체험자의 경 항공기의 이름을 3가지 이상 알고 있다.
우 항공우주 기술을 실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입니다.
NASA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
항조전(조항전)
전통적으로 조선해양공학과와 항공우주공학과가 연합하 누리호의 발사 장면을 실시간으로 시청했다
여 정기적으로 체육대회 및 친목활동을 진행하는 행사입
니다. 예전에 서울대학교 항공조선학과에서 분리된 후,
다누리 프로젝트에 대해 알고 있다.
꾸준히 교류하는 활동입니다.

미사일이나 우주선에 관심이 많다.

수학과 물리학을 좋아하며, 특히 역학을 좋아한다.

드론이나 물로켓, 고무동력기를 만들어서 발사해


본 적이 있다.

항공우주공학과는 최근 한국형발사체 누리 하나로


호 발사 성공과 더불어 현재 탐사중인 다누리 서울대학교 로켓 동아리입니다.
달 탐사선을 포함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
전반적인 로켓 제작 및 발사를 목표로 관련 스터디 및 세
공시키며 한국이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하
미나를 진행합니다.
며 유망한 산업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전공
미국에서 진행하는 Spaceport America Cup에 참여하
[M3229.002900] 항공우주공학입문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한 후 연구원, 항공우 고, 전국대학교로켓연합회 NURA에서 진행하는 학술대회,
주 공학과 관련된 대학교수 및 항공우주 관련 발사대회에 참여합니다.

창업을 할 수 있습니다. 동아리 발사 행사를 포함하여 MT를 진행합니다.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여 취업할 수 있는 불나비


대표 적인 기업으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서울대학교 드론 동아리입니다. 한국로봇항공기 경연대회
KAI(한국항공 우주산업주식회사), KARI(항
에 나가는 것을 목표로 활동합니다.
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이 있 항공우주학개론(제6판), 한국항공우주학회 저,
습니다. 주로 장애물 피하기, 경로 찾기, 임무 수행을 위한 드론의
경문사, 2020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작합니다.
전 공 소 개

•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는 기초 학문 분야 (공기 역학, 구조역학, 추진, 제어)


또는 설계지향분야 (항공 분야, 우주분야, 추진기관, 미래 항공 우주), 그리고 다른
분야와의 융합(항공기술, 위성체기술, 발사체 기술, 항공우주로봇, ST-NT-BT-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는 기초 학문 분야 (공기 역학, 구조역학, 추진, 제어)
또는 설계지향분야 (항공 분야, 우주분야, 추진기관, 미래 항공 우주), 그리고 다
ICT 융합기술, 지구 관측, 우주탐사 등)으로 나누어지며 국가의 핵심산업체와
른 분야와의 융합(항공기술, 위성체기술, 발사체 기술, 항공우주로봇, ST-NT-
BT-ICT 융합기술, 지구 관측, 우주탐사 등)으로 나누어지며 국가의 핵심산업체
전문연구소 등이 요구하는 창의적 연구 인력과 대학의 관련 학문분야 교수요원
와 전문연구소 등이 요구하는 창의적 연구 인력과 대학의 관련 학문분야 교수요 육성을 교육 목표로 지향하고 있습니다.
원 육성을 교육 목표로 지향하고 있습니다.

항 기초 학문 분야 공기 역학 구조 역학 추진 제어

#항공우주 #누리호 #다누리 #첨단산업 #항공기




http://aerospace.snu.ac.kr/
주 설계 지향 분야 항공 분야 우주 분야 추진 기관
미래
항공 우주
02-880-7380 / aerospace@snu.ac.kr
제1공학관 (301동) 117호 공
학 다른 분야와의 항공 위성체 발사체
항공
지구 우주
우주
과 융합 기술 기술 기술
로봇
관측 탐사

세부 전공 및 연구 분야

항공우주공학은 크게 공기역학, 구조 및 재료 응용, 소속 학생의 전공 자랑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추진 및 연소, 유도항법제어 4가지로 나뉩니다.
• 공기역학
항공우주공학의 근간이 되는 유체역학 및 항공역학을 항공우주공학과에는 개강파티, 종강파티, MT와 같은 4대역학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기반으로 전산유체해석 및 풍동실험, 공력소음, 비행체 평범한 과 행사 외에도 항공우주공학과 만의 특별한
설계 및 최적화 등의 연구를 합니다. 행사들이 있습니다!
공력 시뮬레이션 및 디자인, 공력소음 및 소음제어, 극 ‘인터스텔라’와 ‘탑건’을 보고 감명을
초음속 유동, 항공우주 비행체 설계에 대해 연구합니다. • 어셈블리 받았다.
• 구조 및 재료 응용 1년에 한번, 학과 전체 차원에서 신청자에 한해 1박
항공우주시스템의 구조 해석 및 설계를 목적으로 수치 2일로 항공 관련 기업들을 탐방하는 행사입니다. 실제
해석 기법, 공탄성 해석, 나노소자 등에 대한 연구를 합 항공기가 어떻게 제작되는 지 살펴보고, 평소에 항공기의 이름을 3가지 이상 알고
니다. 책에서만 보던 내용이나 실험을 하면서 의문점이 있다.
지능형공탄성 및 헬리콥터, 항공우주 구조 및 재료, 들었던 것들을 질문하는 등 전공 지식을 쌓는 특별한
항공우주 응용역학에 대해 연구합니다. 행사입니다. 또한 밤에는 학과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며
• 추진 및 연소 친해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NASA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
항공기 부품 중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항공우주 • 항공전
용 추진기관에 대한 연구분야로 램제트 엔진, 로켓 추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 속해 있는 동아리들의
진, 가스터빈 등의 연소에 관한 연구를 합니다. 동아리 전시회입니다. 항공우주공학과 학부 과정에서
누리호의 발사 장면을 실시간으로
고에너지 응용 연구, 로켓 추진, 항공우주추진에 대해 항공전은 동아리의 경우 주변에 홍보할 수 있고, 시청했다.
연구합니다. 체험자의 경우 항공우주 기술을 실습할 수 있는 기회의
• 유도항법제어 장입니다.
운동체역학, 유도, 제어, 항법, 항공전자 및 이에 관련 • 항조전(조항전)
다누리 프로젝트에 대해 알고 있다.
된 연구분야로 항법 시스템, GPS, 비행안전성 등에 관 전통적으로 조선해양공학과와 항공우주공학과가
한 연구를 합니다. 연합하여 정기적으로 체육대회 및 친목활동을 미사일이나 우주선에 관심이 많다.
비행역학 및 제어, 위성항법, 자율로봇, 항법전자 진행하는 행사입니다. 예전에 서울대학교
시스템에 대해 연구합니다. 항공조선학과에서 분리된 후, 꾸준히 교류하는
활동입니다. 수학과 물리학을 좋아하며, 특히
역학을 좋아한다.

최신 동향 및 졸업 후 진로 전공 동아리 소개 드론이나 물로켓, 고무동력기를


만들어서 발사해본 적이 있다.
• 항공우주공학과는 최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 하나로
성공과 더불어 현재 탐사중인 다누리 달 탐사선을 서울대학교 로켓 동아리입니다.
포함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며 한국이 7대 전반적인 로켓 제작 및 발사를 목표로 관련 스터디 및 탐색을 위한 권장 교과목
우주강국으로 도약하며 유망한 산업이 되어가고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있습니다. 미국에서 진행하는 Spaceport America Cup에
참 여 하 고 , 전 국 대 학 교 로 켓 연 합 회 NURA 에 서
•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한 후 연구원, 항공우주 진행하는 학술대회, 발사대회에 참여합니다. • 항공우주공학입문
공학과 관련된 대학교수 및 항공우주 관련 창업을 할 동아리 발사 행사를 포함하여 MT를 진행합니다.
수 있습니다.
• 불나비
•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여 취업할 수 있는 대표 서울대학교 드론 동아리입니다. 탐색을 위한 추천 도서
적인 기업으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한국항공 한국로봇항공기 경연대회에 나가는 것을 목표로
우 주 산 업 주 식 회 사 ), KARI( 항 국 항 공 우 주 연 구 원 ), 활동합니다.
국방과학연구소 등이 있습니다. 주로 장애물 피하기, 경로 찾기, 임무 수행을 위한 • 항공우주학개론
드론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작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