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9호 2022년 9월 pp.

19 ~ 33 ISSN 1229-2427 (Prin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ISSN 2288-646X (Online)
Vol.38, No.9, September 2022 pp. 19 ~ 33 https://doi.org/10.7843/kgs.2022.38.9.19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Geotechnical Exploration Technologies for Space Planet
Mineral Resources Exploration

1
류 근 우 Ryu, Geun-U
2
유 병 현 Ryu, Byung-Hyun

Abstract
Planarity geotechnical exploration missions were actively performed during the 1970s and there was a period of decline
from the 1990s to the 2000s because of budget. However, exploring space resources is essential to prepare for the depletion
of Earth’s resources in the future and explore resources abundant in space but scarce on Earth, such as rare earth and
helium-3.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space technology ha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future industry development.
The competition among developed countries for exoplanet exploration has recently accelerated for the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space resources. For these missions and resource exploration/mining, geotechnical exploration is required.
There have been several missions to explore exoplanet ground, including the Moon, Mars, and asteroids. There are Apollo,
LUNA, and Chang’E missions for exploration of the Moon. The Mars missions included Viking, Spirit/Opportunity,
Phoenix, and Perseverance missions, and the asteroid missions included the Hayabusa missions. In this study, space
planetary mineral resource exploration technologies are explained, and the future technological tasks of Korea are described.

요 지
우주 행성 지반 탐사 미션은 1970년대에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1990~2000년대에는 예산 문제로 쇠퇴기를 맞았다.
그러나 미래에 지구 자원 고갈에 대비하고 헬륨-3 및 희토류와 같이 우주에는 풍부하지만 지구에는 부족한 자원을
탐사하기 위해서는 우주 자원 탐사는 필수적이다. 또한, 우주 기술 발전은 미래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우주 자원 탐사 및 활용을 위해 최근 10년 동안 우주 행성 탐사를 위한 선진국 간의 기술 경쟁이 다시 가속화되고
있다. 이 우주 행성 자원 탐사/채굴 및 기지 건설 미션을 위해서는 지반 탐사가 필요하며 현재까지 달에 대한 탐사
미션으로는 Apollo 미션과 LUNA 미션, Chang’E 미션 등이 있고 해당 미션에서 유인 및 로버를 활용한 무인 시추
미션을 수행하였다. 화성 미션으로는 Viking, Spirit/Opportunity, Phoenix, Perseverance 미션, 소행성 탐사 미션은 하야
부사(Hyabusa) 미션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 기술에 대해 서술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기술과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Keywords : Drill, Exoplanet, Planarity geotechnical exploration, Probes, Soil sampler

1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Member, Post Docto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임연구원 (Membe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el: +82-31-910-9233, Fax: +82-31-910-0561, tnt306@kict.re.kr,
Corresponding author, 교신저자)
* 본 논문에 대한 토의를 원하는 회원은 2023년 3월 31일까지 그 내용을 학회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저자의 검토 내용과 함께 논문집에 게재하여 드립니다.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19
1. 서 론 et al., 1976; Perko, 2007). 하지만, 직접 인력을 보내 채
굴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탐사선에 시추 및
냉전시대 체제경쟁이 촉발하였던 우주개발 경쟁은 샘플링 장비를 부착하여 샘플을 채취하고 이를 연구해
냉전이 끝나면서 침체기에 들어섰었다. 하지만 최근 10 야 한다. 그러나 우주 행성은 지구와 환경이 매우 상이
년 동안 미래 산업 발전의 원동력과 더불어 미래 지구 하고 한 번 채굴에 실패하면 돌이킬 수 없으므로 우주행
자원 고갈에 대비하고 희토류와 같은 희귀 자원 획득을 성 시추 및 샘플링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위해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의 선진국들이 우주 기술 1970년 소련의 Luna 16은 달 표면의 35cm 깊이까지
에 다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우주 개발 및 달과 화 채굴하여 101g의 달 토양을 지구로 가져오는 것에 성공
성을 포함한 우주 행성 탐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했다(Magnani et al., 2006). 미국은 1961년 아폴로 계획
(Lacerda, 2010; Hashimoto et al., 2014; Musilova et al., 을 통해 드릴을 사용하여 달 토양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
2020). 특히, 유럽우주국(ESA)은 2030년에 달 착륙선을 왔다. 최근에는 2020년 중국의 Chang’E-5 달 뒷면의 토
달에 보낼 계획이며, 미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양을 채굴하였으며, 2021년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은 달에 2028년까지 가 화성에 착륙하였고 최신기술들을 활용하여 화성 지
거주 가능한 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다(Musilova et al., 반의 시료를 채취하고 지구로 보낼 계획이다(Farley et
2020). 더불어 미국 민간 업체 Space X는 2029년까지 al., 2020; Li et al., 2022; Jayathilake et al., 2022). 더불
화성에 사람을 이주시키고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뿐 어 일본의 하야부사 프로젝트는 2회에 걸쳐 기술적 난
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우주행성 탐사를 위한 연구 제를 극복하고 소행성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지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우주발사체 나로호 발 로 가져왔다(Watanabe et al., 2017).
사가 성공하면서 7대 우주강국(Space club)의 반열에 들 본 논문에서는 우주 행성의 지구와 상이한 환경에서
어섰다(Wang et al., 2016; Jin et al., 2021; Na et al., 지반 및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채굴 기술의 발전
2022). 과정을 소개하며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기술이 나아가
우주행성 지반탐사는 우주 행성에 자원을 탐사하고 이 야 할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후발주자인 우
를 활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지구 자원 고 리나라 우주 행성 지반 탐사 기술 및 향후 발전과제에
갈에 대비하고 인류의 활동범위를 우주로 넓힐 수 있다. 대해 추가로 기술하였다.
물의 분포 탐사 및 채굴은 향후 우주 개발을 위한 연료
생산에 중요하며, 동시에 향후 해당 행성에 인류가 거주 2. 우주 행성의 환경
할 경우 물과 산소의 공급처로 활용할 수 있다(Bennett
et al., 2020). 리튬은 연료와 산화제로 이용 가능하고, 황 우주 행성의 환경은 극저온을 비롯한 극심한 일교차,
은 건설재료 활용할 수 있다(Geer et al., 2021; Benaroya 저중력, 운석충돌, 방사선 등의 문제로 인하여 지구에
et al., 2018). 또한, 지구 자원은 한정적이고 인류활동의 비해 지반 탐사에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
존속을 위해서는 이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따라 대체에 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법을 모색하기 위해
너지 및 대체물질을 개발하고는 있지만, 동시에 무한한 대상이 되는 우주 행성의 환경을 이해하여야 한다. 2장
우주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법이다. 에서는 탐사 목표가 되는 천체들에 대한 환경을 다루었
채굴 미션은 우주 행성의 지반 탐사를 통해 존재 유무를 으며, 이 환경이 어떻게 지반 탐사에 영향을 주는지에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인류 거주에 지원을 줄 수 있다 대해 서술하였다.
(Anand et al., 2012).
가장 기본적인 우주 행성 자원 탐사 방법은 궤도 위 2.1 달
성을 통해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그러나 탐사선의 사진
등으로부터 얻는 광학적 데이터만으로는 얻을 수 있는 달의 기압은 0.3 nPa로 거의 진공에 가까운 대기압을
우주행성의 지반 정보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직접 갖고 있다. 따라서 장비 냉각과 시추공의 안정성을 위해
채굴을 통해 지반 및 토양에 대한 지반강도, 토양특성, 활용할 수 있는 유체가 없다(Knez et al., 2006). 과열된
구성성분 및 자원분포 등의 정보를 얻어야 한다(Carrier 장비는 토양의 정보를 왜곡할 수 있으며, 대기가 없으므

20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로 달 표면 낮과 밤의 기온차가 200°C 이상으로 크기 너지를 저장하기에는 부족하여 화성의 적도부근 표면
때문에 시추 장비의 부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대기 온도는 -113 ~ 7°C로 달에 비하면 양호하지만 여전히
의 부재로 인해 운석충돌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미세한 극심한 기온차이를 보인다(Zhang et al., 2021).
운석충돌(Micrometeor)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달 표면
에서 약 100m까지 지반이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다(Taylor 2.3 소행성
and Meek, 2005; Zhao et al., 2015). 이러한 지반 불안정
성은 시추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Lore et al., 2000). 소행성은 달보다도 더 채굴에 가혹한 환경을 갖고 있
또한, 미세한 운석충돌로 인해 부서진 암석은 대기의 부 다. 소행성 별로 매우 상이하지만, 소행성 이토카와의
재로 인해 풍화현상을 겪지 않아 매우 날카롭고 미세하 중력 가속도는 대략 0.0001m/s이다. 이러한 저중력 환
다(Farries et al., 2021). 이 미세한 먼지로 인해 민감한 경은 WOB가 무의미하여 드릴 같은 자중을 이용한 채
시추장비가 마모되고 고장 날 수 있으며 정전기로 인한 굴이 매우 어렵다. 또한, 대기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유체를 활용한 장비 냉각도 힘들다. 따라서 후에
달의 중력은 지구의 1/6 수준으로 시추장비의 자중 소개할 하야부사 임무에서는 소행성 표면을 발파하여
감소로 인해 Weight on the bit(WOB)를 저하시켜 충분 시료를 채굴하였다(Watanabe et al., 2017).
한 반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시추장비의 전력과 크
기가 제한될 수 있다(Zhao et al., 2015). 3. 우주 행성 지반 탐사 미션

2.2 화성 서술한 우주 행성 환경에 이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주 행성에서 활용되어진 우주 행성 지반 탐사 기술들
화성의 경우, 중력은 지구의 1/3이고 대기압이 0.5-1.0 에 대해 서술하고, 향후 기술의 발전을 위한 과제와 그
kPa로 고진공 상태인 달과 달리 미미하지만 대기압을 방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갖고 있다(Zhao et al., 2008). 하지만 여전히 매우 낮은
대기압으로 유의미한 유체 활용이 어렵다(Knez et al., 3.1 달
2006). 따라서 여전히 장비의 냉각에 기술적 난제가 존
재한다. 또한, 여전히 지구에 비해 낮은 대기압은 열 에 Table 1에는은 달 탐사 미션을 나열하였으며, Table 2

Table 1. Lunar exploration missions

Missions Year Landing point Return sample (g)


Apollo 11 1969 Mare Tranquillitatis 21,550
Apollo 12 1969 Ocean of Storms 34,350
Apollo 14 1971 Fra Mauro 42,280
Apollo 15 1971 26.1322°N 3.6339°E 77,000
Apollo 16 1972 Descartes Highlands 95,710
Apollo 17 1972 Taurus-Littrow 110,520
Luna 16 1970 0.5137°S 56.3638°E 101
Luna 20 1972 3.7863°N 56.6242°E 55
Luna 24 1976 3.7863°N 56.6242°E 170.1
Chang’E-5 2020 Mons Rümker 1,731

Table 2. Lunar exploration equipment comparison

Mission name Power (W) Size (cm) Weight (kg) Nations References
Apollo 15~17 430 58 x 24 x 12 13.4 USA Simmons, 1972
Luna 16, 20, 24 140 69 x 29 (Tubes) 13.6 Soviet Union Anttila, 2004
Chang’E-5 > 800 Φ3.8 40 China Zheng et al., 2022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21
에는 달 탐사 미션에서 활용된 드릴 장비의 스펙을 나열 해 두배로 커졌고 공간률도 7.4%로 대폭 낮아졌다(Carrier
하였다. Apollo 11부터 13호 미션까지 우주비행사들이 et al., 1971).
직접 수동으로 달의 표토를 채취해 지구로 가져왔다 Apollo 15~17 미션은 드릴(Fig. 2) 이용해 달 표토를
(Knez et al., 2006). Apollo 11 미션에서는 우주비행사가 채취하였다. 드릴의 자중은 13.4kg, 크기는 580 × 240
Reverse-flare 비트를 갖춘 코어 튜브를 15~20cm 달 표 × 120mm이었으며 운용 전력은 약 430W를 활용하였다.
면에 삽입시켜 달의 표토 샘플을 채취하였다(Bar-Cohen Apollo 15의 드릴은 우주비행사가 복잡한 조립과정을
et al., 2009). 하지만 Apollo 11 미션에서 사용한 Reverse- 거쳐 운용하여야 했다. 우주비행사가 드릴을 조립하고
flare 비트의 형상(Fig. 1(a))으로 인하여 채취한 달 표토 시추하다 원하는 깊이에 도달하면 플루트(Flut)를 제거
의 교란이 매우 심했다. 반면, Apollo 12~14 미션에서 하고 시료를 채취하였다. 오거(Auger)는 3m 길이로 약
3
활용한 비트의 형상은 Fig. 1(b)와 같았으며, 채취한 시 940cm 부피의 달 토양을 채취할 수 있었다. 이 때, 사
료의 교란을 Apollo 11 미션에 비해 개선하였으나, 비트 용된 코어 튜브는 Apollo 15 미션부터 전 미션에서 사용
벽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 비트의 공간률(Area ratio)이 한 것 보다 경량화 시켰다. 또한, Apollo 17 미션에서는
140%에 달했다. Apollo 15 미션에서 활용된 비트는 Fig. 납 오염을 줄이기 위해 오거를 질산 처리하고 은 및 구
1(c)와 같으며 비트의 직경은 Apollo 12~14의 비트에 비 리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비트에서 브레이징 화합물을

(a) Apollo 11 (b) Apollo 12~14 (c) Apollo 15


Fig. 1. The shapes of the bits for the each Apollo missions (Carrieer et al., 1971)

(a) Apollo 16 lander/Rover (Johnstn and Hull, 1975) (b) Apollo 15~17 drill (Simmons, 1972)
Fig. 2. Lander, Rover, and drill of Apollo missions

22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a) Layout (b) Sampling mechanism
Fig. 3. Drill and sampling devices of Chang’e-5 (Zheng et al., 2022)

제거하였다(Allton, 1989).
소련에서 실시한 LUNA 16 미션에서는 회전기능만
을 장착한 드릴을 로봇 팔에 장착하여 달 표토 샘플을
채취하였고, LUNA 20 미션에서는 단단한 암석을 부수
기 위한 충격장치가 포함되었다(Shi et al., 2014). 이들
은 고정된 드릴 매개변수로 시추 과정을 수행해야 했으
며, 이는 복잡한 달 환경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었다
(Chen et al., 2016). 소련에서 마지막으로 실시한 달 표
토 채굴 미션인 LUNA 24 미션에서는 드릴 장치에 기계
Fig. 4. Drill components of Chang’e-5 (Dd = 38 mm, d1 = 13.8
적 방식의 자율 드릴링을 위한 적응형 메커니즘을 탑재
mm, and Ld = 18 mm) (Liang et al., 2022)
하였다(Chen et al., 2016). 하지만 드릴 장비에 대한 부
하로 인해 LUNA 24 미션에서 채굴 과정은 2번이나 재 되면, 유연한 코어링 튜브는 드릴에서 당겨진다. 하지만
시작해야 했다(Shi et al., 2014; Chen et al., 2016). 채굴과정 중 드릴 내부 벽과 내부 코어링 튜브 사이에
중국은 2020년 Chang’E-5를 발사하여 달에 착륙시켰 달의 표석 끼어 공정이 중단되었다(Linag et al., 2022).
다. Fig. 3은 Chang’E-5에 장착한 드릴 및 샘플링 장치
를 도식적으로 나타냈다(Zheng et al., 2022). Chang’E-5
3.2 화성
의 드릴 시스템에 내장된 충격 모터와 회전 모터는 달의
표토를 절취 및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정렬 모터를 미국은 1976년 화성의 생명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배치하여 코어 드릴 공정 중에 양력을 제공함으로써 드 Viking 1과 Viking 2(Fig. 5(a))를 화성에 보내 화성 표토
릴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Chang’E-5의 드릴은 시료를 채취하였다. 해당 미션에서는 탐사선에 SSA(the
비트와 오거로 구성되며 내부 및 외부 고정 튜브 및 유 Surface Sampler Assembly)로 명명된 샘플러(Fig. 5(b))
연한 코어링 튜브 그리고 당김 로프로 구성되어졌다(Fig. 를 장착하고 수십 cm의 화성 표토를 긁어내어 착륙선에
4). 드릴은 일정한 회전속도와 관통속도로 지면을 관통 장착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기기에 전달하도록 제
하며, 달 표토의 샘플이 채취되는 동안 유연한 코어링 작되었다. SSA의 끝에는 180° 회전 기능을 갖춘 Scoop
튜브는 내부 고정 튜브로 뒤집혀 들어간다. 과정이 완료 형태의 수집기가 있는 3m 길이의 Rolled-up tubular boom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23
이 장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덮개, Backhoe, 기반암의 표면을 솔질할 수 있었다(Zacny et al., 2013).
수집기는 다양한 샘플을 채취 및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 2003년 발사한 Sprit과 Opportunity에는 암석을 연마
되었다. Backhoe에는 솔이 부착되어 채취하고자 하는 하는 장비인 Rock Abrasion Tool(RAT)을 가지고 암석 탐
사를 수행하였다(Zhang et al., 2021). RAT은 길이 12.8cm,
직경 8.5cm의 원통 하우징에 3개의 모터로 구성되어 로
버의 로봇 팔 또는 Instrument Deployment Device(IDD)
에 장착되어 있었다(Fig. 6)(Gorevan et al., 2003; Thormson
et al., 2013; Indyk et al., 2018). RAT의 연삭비트는 중
심 축에 장착되어 연삭 모터를 통해 최대 3,000rpm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모터에 의해 중심 축에 대해 최대
2rpm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직경 4.5cm, 깊이 0.5cm의
마모 면을 암석에 형성할 수 있다(Thormson et al., 2013).
2007년 발사된 Phoenix는 화성 북극에 착륙하여 땅을
(a) Viking lander (Soffen and Snyder, 1976) 파고 과거의 물에 관한 정보를 탐사했다(Cull et al., 2010).
Phoenix에 로봇 팔과 얼음 토양 수집장치(Associated Icy
Soil Acquisition Device, ISAD) 장착되어 화성의 토양
을 채취하였다. Fig. 7은 Phoenix의 착륙선이고 Fig. 8은
ISAD는 Phoenix에 장착된 로봇 팔과 ISAD다. 토양을
긁어내기 위한 1차 및 2차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Scoop
과 얼음 토양을 얻기 위한 줄(Rasp)로 이루어졌다(Bonitz
et al., 2007). 로봇 팔은 손목에 장착된 ISAD와 Thermal
Electrical and Conductivity Probe(TECP)로 구성되었다.
로봇 팔은 어깨 방위각, 어깨 높이, 팔꿈치, 손목 피시에
대한 움직임을 제공하여 4의 자유도를 갖는다. ISAD는
(b) Components of SSA in Viking 1 and 2 (VJ, O)
전면에 티타늄 재질의 날을 갖춘 Scoop와 Scoop 바닥에
Fig. 5. Viking mission components

(a) RAT body (b) RAT cutting head


Fig. 6. RAT components (Garevan et al., 2003)

24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Fig. 7. Phoenix lander (Backes et al., 2004)

(a) Robot arm


텅스텐 재질의 카바이드 스크레이퍼 날, 후면에는 줄로
구성되었다. Scoop는 티타늄 재질의 날에 의해 굴착된
토양을 수용하는 앞방과 갈고리를 수용하는 뒷방으로
나뉜다. 두 챔버는 샘플 전송을 위한 플레이로 분리된
다. 전면 챔버는 티타늄 재질의 블레이드로 화성 표면을
긁거나 화성 표토를 채취하는데 활용되며, 수집된 재료
를 슬롯(Slot)으로 수송하는 깔대기가 포함되어 샘플
Dropoff 기능이 향상되도록 설계되었다. ISAD의 Scoop
과 깔대기는 높은 내마모성 아노다이징(Anodizing) 처
리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었다. 또한 텅스텐 카바이
드(Tungsten cabide) 날은 티타늄 재질의 날보다 더 단
(b) ISAD
단한 암석을 관통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Bonitz et al.,
2008; Arvidson et al., 2009).
2020년 발사하여 2021년에 화성에 착륙한 화성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는 현재도 화성탐사 미
션을 수행 중이며 지금으로서는 가장 최신 기술들이 탑
재되어 있다. Fig. 9은 퍼서비어런스 착륙선이고 Fig. 10
은 퍼서비어런스에 장착된 코어(Corer)의 구성을 나타
냈다. 드릴 코어를 채취하기 위한 코어는 회전 및 충격
식 암석 드릴링 매커니즘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5개의
엑추에이터 구동 장치(Chuck, Spindle, 충격장치, Spindle
Twin-Input Gearbox(STIG), Core Break Lockout(CBLO),
Feeder)로 구성되었다. 해당 매커니즘은 안정기, 접점
스위치, 공급 가이드 롤러 및 코어 전면의 4개의 도킹 (c) Cross section of ISAD

포스트와 결합하여 코어 내부를 형성하고, 코어 내부에 Fig. 8. Components of Phoenix sampler (Bonitz et al., 2008)

는 Feeder가 설치되어 있다. 여러 비트들은 샘플 처리


및 캐싱 기능을 담당하는 적응형 캐싱 어셈블리 내에 냈었다. 명목상 채굴 중 Spindle 속도는 코어링의 경우
저장되어 퍼서비어런스는 상황에 맞는 비트를 선택할 200rpm이고 연마의 경우 37rpm이며 WOB는 80-120N
수 있게 설계되었다. Fig. 11은 코어의 아키텍쳐를 나타 이다(Moeller et al., 2021).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25
3.3 소행성

미국은 1999년 발사된 Stardust호는 빌트 2 혜성의 먼


지를 채집하여 지구로 보내는 미션을 수행하였다. Stardust
호에는 Sample canister가 탑재되어 채취된 시료를 보관
하고 내부에 지구 대기압과 같은 기압조건을 만들어 지
구에서 개봉 시 시료의 오염을 방지하였다(Tsou et al.,
2003). 또한, 에어로겔(Aerogel) 포획 장치를 활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Tsou et al., 2003). 이는 혜성에 착륙
하여 채굴과정을 거친 것이 아니라 우주공간에 흩뿌려
지는 혜성의 구성물질을 낚아챈 것이다(Sandford, 2011).

Fig. 9. Perseverance rover (bell et al., 2021) 일본에서는 2003년 하야부사(Hayabusa, Fig. 12(a))가

Fig. 10. The components of the corer (Moeller et al., 2021)

Fig. 11. The corer hardware architecture (Moeller et al., 2021)

26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a) Hayabusa (Kuboto et al., 2006) (b) Hayabusa-2 (Watanabe et al., 2017)
Fig. 12. Probes of Hayabusa missions

소행성(Asteroid) Itokawa의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 발사 중시키고 부서진 파편을 수집할 계획이었다(Kunota et


되었다. 최초로 시도된 해당 미션에서는 지속적인 기기 al., 2006). 하지만 탄환이 발사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
고장으로 인한 많은 우여곡절 끝에 소행성 Itokawa에 어 실패한 것으로 판정되었다(Yano et al., 2006). 따라
도달했다. 도달 후에도 착륙과정에서 오류로 인해 착륙 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하야부사가 소행성에 착륙할 때
후 다시 이륙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충격량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착륙속도를 정하여 착륙
소행성 표면 탐사선 미네르바(MINERBAR)를 소실하 시 충격으로 부서진 파편을 수집하였다(Yano et al., 2006).
였다(Kawaguchi et al., 2008). 하야부사 미션에서 원계 일본은 하야부사 미션 성공 후 하야부사-2(Fig. 12(b))
획은 소행성의 작은 중력으로 인해 채굴장비를 사용하 를 소행성 162173를 향해 2014년 발사하였다. Fig. 13은
기 어렵기 때문에 쇠구슬을 쏘아 소행성 Itokawa에 명

Fig. 13. The Process of sampling of Hayabusa-2 (Tsuda et al., Fig. 14. The Process of crater in Hayabusa-2 (Tsuda et al., 2013)
2013)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27
하야부사-2의 샘플링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냈다. 하 의 표토에 대한 정보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야부사-2는 수직하강 속도를 0.1-1m/s로 제어하며 소행 보다 깊은 지하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반정보를 획득함
성으로부터 고도 100m까지 접근한다. 이 때 고도 500m 으로써 달 기지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물이나
이상에서 Small Carry-on Impactor로부터 작은 폭탄이 헬륨-3와 같이 인류 거주를 지원할 수 있는 자원 분포를
발사되어 크레이터를 만든다(Fig. 14). 여기서 폭발물이 확인하여 장기 유인탐사 지원을 위한 자원 정보를 획득
원뿔 모양으로 성형작약 되어 있는 약 2kg의 폭탄은 최 해야 한다(Bennett et al., 2020). 이를 위하여 보다 깊은
소 2km/s 이상의 속도로 발사되었다. 그 후 자세를 제어 지하를 탐사하기 위한 장비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동
하며 착륙하여 샘플을 채취하였다(Tsuda et al., 2013; 시에 시료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Saiki et al., 2017). 한다.
최근 화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을 발견하였고, 따라서
3.4 기술전망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대기가
얇고 자기장이 매우 약한 화성의 특성상 지표에서 생명
현재 NASA를 포함한 여러 국가 우주기구가 참여하 체를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Michalski et
여 달에 대한 유인탐사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 미 al., 2018). 따라서 생명체 발견 및 자원 탐사를 위해 보
션이 준비 중이며, 2021년 우리나라도 10번째 참여국이 다 깊은 지하를 탐사할 필요가 있다. 달과 마찬가지로
되었다. Fig. 15에서는 아르테미스 미션의 계획을 간략 보다 깊은 곳을 탐사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고 향후
하게 표현하였다(Hawkins, 2021). 아르테미스 미션에는 미래에 화성 장기탐사를 위한 지반정보 획득을 위해 역
향후 달의 자원 탐사 및 과학적 임무 수행을 위한 장기 시 시료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유인 달 탐사 지원용 달 기지 건설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한다.
(Cristello and Otero, 2022). 달 유인탐사를 위해서는 보 달, 화성, 소행성만이 아니라 다양한 우주 행성의 지
다 자세한 자원분포를 포함한 지반 정보가 필수적이다. 반을 탐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장비의 개량 및
하지만 과거의 달 탐사 미션에서 획득한 지반정보는 달 개발이 필요하다. 지구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욱

Fig. 15. Artemis Missions plan (Hawkins, 2021)

28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장비의 경량화가 필요하다. 또한, 적은 공간에 적재 가 체인 나로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고, 7대 우주강국으
능하도록 장비의 장치들을 고집적 되도록 제작하여야 로서 Space Club에 이름을 올렸다.
하며, 추가적인 전원장치로부터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 이러한 정부계획과 세계추세에 맞춰 현재 정부출연
므로 고효율 및 저전력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더불어 연구소 및 산᛫학연을 중심으로 달 자원 탐사 연구를 수
한 번 장비를 우주로 발사하면 회수 및 수리가 불가능에 행 중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 한국형 발사
가까움으로 장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우주 행성 환 체와 달 착륙선을 개발 중에 있고(Hwang et al., 2021).
경에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개발해 나가야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국형 2022년 발사되는 달 궤도선
다누리에 중적외선(Mid-Infrared) 분광기(Fig. 16)를 싣
4. 대한민국 우주 자원 탐사 기술 동향 고 이를 활용하여 고위도 지역에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
는 물의 존재 유무 및 분포를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
현재 우리나라는 우주 행성 자원 탐사 계획은 달에 고 있으며(Pack et al., 20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감
국한되어 있다. 2007년에 1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 마선 분광기, X선 분광기, 중성자 분광기를 개발해왔고,
을 수립하였으며, 2011년에는 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 달 궤도선 다누리에 감마선 분광기를 설치하여 달 표면
획을 발표하고, 2020년 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을 의 원소 분포를 조사하고, 달 지질/자원분포 등을 조사
발표하였다. 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 할 예정이다(Kim, 2022). 하지만 광학적인 간접적 데이
년 착륙선을 달에 보낼 계획이며, 향후 추가적인 탐사를 터만으로는 지하자원의 분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
수행할 계획이다(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어, 결국 시추장비를 통해 시료를 채취하여 직접적인 성
2019). 그리고 2022년 시험용 달 궤도 탐사선을 NASA 분분석이 필요하다(Carrier et al., 1976; Perko, 2007). 따
와 협력하여 발사할 예정이다(Korea Institute of Con- 라서 광학적으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달 표면을 시
struction Technology, 2021). 2030년 쏘아 올리는 달 착 추하여 샘플을 채취하고 이를 분석하여야 한다.
륙선에는 한국형 차세대 발사체가 사용될 예정이다. 현 이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단 한 종의 비트만을 활
재 NASA는 6~8기의 달 착륙선을 보내 달의 지질학적 용하여 모든 지반을 시추할 수 있는 우주 행성 시추 장
역사 및 내부를 탐사하기위한 프로젝트인 국제 달 탐사 비 및 활용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Fig. 17)(Korea Institute
네트워크(International Lunar Network, ILN)에 참여할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21). 해당 시추 장비는
것을 제안하였다(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 구동체와 회전체로 구성되어져 있고 오거는 정밀제어
nology, 2021). 이에 맞춰 우리나라는 최근 한국형 발사 를 위해 감속 기어비가 1:230인 46.6의 엔코더 결합형

Fig. 16. Lunar infrared spectrometer (Nam et al., 2019)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29
구 수행 플랫폼을 갖추고 있으며, 대량 생산 가능한 월
면토 모사체인 KLS-1을 개발하여 관련 연구에 활용하
고 있다(Ryu et al., 2018;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21; Kim et al., 2021). 또한, 더 세밀한
달 환경 모사를 위하여 월면토 모사체를 대전시키는 연
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들에 비하면, 아직 우
주 행성 자원 탐사 기술은 매우 미약한 편이다. Table
3은 각 국가별 수행된 달 탐사 미션과 계획을 나타냈다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20). 미국은 이미 1970년대에 Apollo 미
션을 통해 인류를 달에 보내는데 성공하였으며, 소련은
그보다 앞선 시기인 1957년에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였고, 1961년에는 우주 비행을 성공시켰다. 또한,
두 국가는 여러 차례의 생물체 우주 비행을 통해 유인
Fig. 17. Drilling equipment being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탐사를 위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였다. 일본의 경우, 달
Construction Technology 궤도 탐사선 셀레네(Selene)를 2007년 발사하여 달에 대
한 과학적인 데이터 획득 임무를 수행하였다(Hashimoto
유성감속 DC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를 장착하여 et al., 2014). 반면, 우리나라는 2022년에 달 궤도선 다
회전된다. 드릴 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24 V, 2,850A 누리를 발사하고 2030년이 되어서야 달 착륙선을 발사
의 출력으로 3,550rpm의 정격 회전수에 맞춰 구동되어 할 예정이기에 현재 우주 행성 지반 탐사 데이터는 선진
진다(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21). 국에서 공개한 정보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가속화되
더불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달 환경을 모사할 수 있 는 우주 개발 기술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고 아르테미스
3 -2 -4
는 실대형 지반열진공챔버(50m , 10 ~10 mbar, -190~ 미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향후 달 착륙
150°C)를 구축하여 달 자원 탐사 기술 개발을 위한 연 선에 시추 장비 및 로버를 탑재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Table 3. Comparison of lunar exploration performance and plans for each country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20)

Nations Crafts Year Missions


Manned exploration
Apollo Missions 1970s
Lunar soil return
USA.
Unmanned the Earth-the moon orbital tests
Artemis-1 2022
13 cube satellites launch
Selene 2007 The Moon orbital exploration
Japan
SLIM 2022 Landing on the Lunar surface
Russia LUNA 25 2021 Landing in the lunar south pole
Landing on the far side of the moon
Chang’E-4 2018
Send the relay satellite to the L2 point
2 m deep drilling on the lunar surface
China
Chang’E-5 2020 Collection and return of lunar ground samples (approximately 2 kg)
Temperature measurement
Chang’E-6 2023~24 Resource gathering
Chandrayan No. 2 2019 Loon Soil Analysis
India
Chandrayan No. 3 2022 Orbiters and Landers
Orbitals (Danuri) 2023 Lunar orbit exploration
Korea
Lander 2030 Landing on the lunar surface

30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수집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유인 우주 탐사 지원을 위 “A Brief Review of Chemical and Mineralogical Resources on the
Moon and Likely Initial in Situ Resource Utilization (ISRU)
한 자원의 분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Applications”, Planetary and Space Science, Vol.74, No.1, pp.42-48.
3. Anttila, M. (2004), “Concept Study for the Subsurface Sampling
System for the Pasteur Payload of the ExoMars Mission”, Genesis,
5. 결 론
Vol.8, p.76.
4. Arvidson, R. E., Bonitz, R. G., Robinson, M. L., Carsten, J. L.,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되었던 우주행성 채굴 Volpe, R. A., Trebi‐Ollennu, A., Mellon M. T., Chu P. C., Davis
K. R., Wilson J. J., Shaw A. S, Greenberger R. N.. Siebach K.
미션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록 1970년대부터 인류의 우
L, Stein T. C., Cull S. C., Goetz W., Morris R. V., Ming D. W.,
주행성에 대한 채굴 탐사가 이루어져 왔지만, 경제적인 Keller H. U., Lemmon M. T., Sizemore H. G., and Mehta, M.
문제로 인해 오랜 기간 동안 탐사는 침체되었다. 하지만 (2009), “Results from the Mars Phoenix Lander Robotic Arm
Experi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Planets, Vol.114,
최근 다시 우주 개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많은
No.E1.
선진국들이 우주행성에 대한 채굴 탐사 기술을 개발하 5. Backes, P. G., Norris, J. S., Powell, M. W., and Vona, M. A.
고 있다. 특히, 달이나 화성에 인류가 거주할 수 있는 (2004), “Multi-mission Activity Planning for Mars Lander and
Rover Missions”, In 2004 IEEE Aerospace Conference Proceedings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IEEE Cat. No. 04TH8720), Vol.2, No.887-886.
현재까지 이루어진 우주행성에 대한 채굴 방식은 시 6. Bar-Cohen, Y. and Zacny, K. (Eds.). (2009), “Drilling in Extreme
Environments: Penetration and Sampling on Earth and Other Planets”,
료의 교란이 심해 지구로 반환하여 분석을 진행하여도
John Wiley & Sons.
해당 우주행성의 지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힘들 7. Bell, J. F., Maki, J. N., Mehall, G. L., Ravine, M. A., Caplinger,
다. 또한, 우주 행성의 표토를 채취하였지만, 채굴 깊이 M. A., Bailey, Z. J., Brylow S., Schaffner J. A., Kinch, M. B.,
Madsen, K. M., Winhold, A., Hayes, A. G., Corlies, P., Tate, C.,
가 얕아 우주 행성 자원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불가
Barrington, M., Cisneros, E., Jensen, E., Paris, K., Crawford, K.,
능하다. 따라서 차후 우주행성이 인류가 거주가능한 기 Rojas, C., Mehall, L., Joseph, J., Proton, J. B., Cluff, N., Deen,
지를 건설하고자 한다면, 정확한 설계를 위해 비교란 시 R. G., Betts, B., Cloutis, E., Coates, A. J., Colaprete, A., Edgett,
K. S., Ehlmann, B. L., Fagents, S., Grotzinger, J. P., Hardgrove,
료를 얻을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유인 탐사 지원을 위한 C., Herkenhoff, K. E., Horgan, B., Jaumann, R., Johnson, J. R.,
자원 획득을 위해 보다 깊은 깊이의 채굴 기술이 필요할 Lemmon, M., Paar, G., Caballo-Perucha, M., Gupta, S., Traxler,
C., Preusker, F., Rice, M. S., Robinson, M. S., Schmitz, N.,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장비의 소형화, 고효율, 저전
Sullivan, R., and Wolff, M. J. (2021), “The Mars 2020 Perseverance
력, 경량화 및 신뢰도향상에 대한 연구개발이 향후 필요 Rover Mast Camera Zoom (Mastcam-Z) Multispectral, Stereoscopic
하다. Imaging Investigation”, Space science reviews, Vol.217, No.1,
pp.1-40.
현재 대한민국은 우주 개발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따
8. Benaroya, H. (2018), “Materials and ISRU. In Building Habitats
라서, 선진국과 기술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기 on the Moon. Springer”, Cham, pp.178-196.
술들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9. Bennett, N. J., Ellender, D., and Dempster, A. G. (2020), “Commercial
Viability of Lunar In-situ Resource Utilization (ISRU),” Planetary
and Space Science, Vol.182, pp.104842.
감사의 글 10. Bonitz, R. G., Shiraishi, L., Robinson, M., Arvidson, R. E., Chu,
P. C., Wilson, J. J., Davis K. R., Paulsen G., Kusack A. G., Archer
D., and Smith, P. (2008), “NASA Mars 2007 Phoenix Lander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obotic Arm and Icy Soil Acquisition Device”, Journal of Geophysical
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사업으로 수행되었습니다(과 Research: Planets, Vol.113, No.E3.
11. Carrier III, W. D., Johnson, S. W., Werner, R. A., and Schmidt,
제번호 20220124-001, 극한건설 환경 구현 인프라 및
R. (1971), “Disturbance in Samples Recovered with the Apollo Core
TRL6 이상급 극한건설 핵심기술 개발). Tubes”, In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Proceedings,
Vol.2, p.1959.
12. Carrier III, W. David, and James K. Mitchell (1976), ““Geotechnical
참고문헌 (References) Engineering on the Moon.” Lunar Science Inst.”, Abstracts of Papers
Presented at a Special Session of the Seventh Annual Lunar Science
1. Allton, J. H. (1989), “Catalog of Apollo Lunar Surface Geological Conference on Utilization of Lunar Materials and Expertise for
Sampling Tools and Containers”, NASA Lyndon B. Johnson Space Large Scale Operations in Space.
Center. 13. Chen, C., Quan, Q., Shi, X., Deng, Z., Tang, D., and Jiang, S.
2. Anand, M., Crawford, I. A., Balat-Pichelin, M., Abanades, S., Van (2016), “Multi-state Autonomous Drilling for Lunar Exploration”,
Westrenen, W., Péraudeau, G., Jaumann, R., and Seboldt, W. (2012), Chinese Journal of Aeronautics, 29(5), 1397-1404.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31
14. Cristello, G. and Otero, L. D. (2022), “Development of Simulation Acta Astronautica, Vol.62, No.10-11, pp.639-647.
Framework for Impact Analysis of Launch Delays on Lunar Base 28. Kim, K.J. (2022), “New Vision & Current Lunar ISRU Research
Station”, In 2022 IEEE International Systems Conference (SysCon), Activities at KIGAM”, Abstracts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pp.1-6. and Space Sciences Conference, pp.503-504.
15. Cull, S. C., Arvidson, R. E., Catalano, J. G., Ming, D. W., Morris, 29. Kim, Y. J., Ryu, B. H., Jin, H., Lee, J., and Shin, H. S. (2021),
R. V., Mellon, M. T., and Lemmon, M. (2010), “Concentrated “Microstructur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Microwave-
perchlorate at the Mars Phoenix landing Site: Evidence for Thin sintered KLS-1 Lunar Regolith Simulant”, Ceramics International,
Film Liquid Water on Ma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37, Vol.47, No.19, pp.26891-26897.
No.22. 30. Knez, D. and Khalilidermani, M. (2021), “A Review of Different
16. Farley, K. A., Williford, K. H., Stack, K. M., Bhartia, R., Chen, Aspects of Off-Earth Drilling”, Energies, Vol.14, No.21, p.7351.
A., de la Torre, M., Hand, K., Goreva, Y., Herd, C. D. K., Hueso 31.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21), Final report,
R., Liu, Y., Maki, J. N., Martinez, G., Moeller, R. C., Nelesse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imulator and Advanced Construction
A., Newman, C. E., Nunes, D., Ponce, A., Spanovich, N., Willis, Technologies Over TRL6 in Extreme Conditions (VI)”.
P. A., Beegle, L. W., Bell III, J. F., Brown, J. A., Joel A, S. H.. 32. Kubota, T., Hashimoto, T., Kawaguchi, J. I., Uo, M., and Shirakawa,
Hurowitz, S. M., David, A., Paige, J. A., Rodriguez-Manfredi, M. K. I. (2006), “Guidance and Navigation of Hayabusa Spacecraft
S., and Wiens, R. C. (2020), “Mars 2020 Mission Overview”, for Asteroid Exploration and Sample Return Mission”, In 2006
Space Science Reviews, Vol.216, No.8, pp.1-41. SICE-ICAS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pp.2793-2796.
17. Farries, K. W., Visintin, P., Smith, S. T., and van Eyk, P. (2021), 33. Kubota, T., Otsuki, M., Hashimoto, T., Bando, N., Yano, H., Uo, M.,
“Sintered or Melted Regolith for Lunar Construction: State-of-the-art Shirakawa, K., and Kawaguchi, J. I. (2006), “Touchdown Dynamics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onstruction and Building for Sampling in Hayabusa Mission”, In AIAA/AAS Astrodynamics
Materials, Vol.296, P.123627. Specialist Conference and Exhibit, p.6539.
18. Gorevan, S. P., Myrick, T., Davis, K., Chau, J. J., Bartlett, P., 34. Li, C., Hu, H., Yang, M. F., Pei, Z. Y., Zhou, Q., Ren, X., Liu,
Mukherjee, S., Anderson, R., Squyres, S. W., Arvidson, R. E., B., Liu, D., Zeng, X., Zhang, G., Zhang, H., Liu, J., Wang, Q.,
Madsen, M. B., Bertelsen, P., Goetz, W., Binau, C. S., and Richter, Deng, X., Xiao, C., Yao, Y., Xue, D., Zuo, W., Su, Y., Wen, W.,
L. (2003), “Rock Abrasion Tool: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and Ouyang, Z. (2022), “Characteristics of the Lunar Sampl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Planets, Vol.108, No.E12. Returned by the Chang’E-5 Mission”, National science review,
19. Greer, C. J., Peters, J. A., Manahan, M. P., Cor, J. J., and Rattner, Vol.9, No.2, p.188.
A. S. (2021),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Lithium-carbon 35. Liang, J., Tao, L., Zhang, W., Tang, J., Pang, Y., and Jiang, S.
Dioxide Combustion in Batch Reactors for Powering Venus Landers”, (2022), “Analysis of the Lunar Regolith Sample Obstruction in the
Acta Astronautica, Vol.181, pp.235-248. Chang’E-5 Drill and its Improvement”, Advances in Space Research,
20. Hashimoto, T., Hoshino, T., Tanaka, S., Otake, H., Otsuki, M., Vol.69, No.5, pp.2248-2258.
Wakabayashi, S., Morimoto, H., and Masuda, K. (2014), “Introduction 36. Lore, J., Gao, H., and Aydin, A. (2000), “Viscoelastic Thermal
to Japanese Exploration Study to the Moon”, Acta Astronautica, Stress in Cooling Basalt Flow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104, No.2, pp.545-551. Solid Earth, Vol.105, No.B10, pp.23695-23709.
21. Hawkins, L. (2021), “Artemis and Human Landing System Program 37. Magnani, P. G., Re, E., Senese, S., Cherubini, G., and Olivieri, A.
Overview”, In JANNAF 2021. (2006), “Different Drill Tool Concepts”, Acta Astronautica, Vol.59,
22. Hwang, S., Kim, M., Choi, K.S., and Sim, H.S. (2021), “Review No.8-11, pp.1014-1019.
of Autonomous Flight Safety System for Next-generation Korea 38. Michalski, J. R., Onstott, T. C., Mojzsis, S. J., Mustard, J., Chan, Q.
Space Launch Vehicle”,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H., Niles, P. B., and Johnson, S. S. (2018), “The Martian Subsurface
in Aerospace, Vol.19, No.2, pp.74-82. as a Potential Window into the Origin of Life”, Nature Geoscience,
23. Indyk, S., Spring, J., Ford, S., Luczek, K., and Paulsen, G. (2018), Vol.11, No.1, pp.21-26.
“Operating the Rock Abrasion Tool (RAT) after Thirteen Years of 39.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 Originally Ninety Day Mission”, In 2018 SpaceOps Conference, (2020), Technical report, “A Study on White Paper Publication on
p.2322. Korea Space Development in 2020”, p.210.
24. Jayathilake, B. A. C. S., Ilankoon, I. M. S. K., and Dushyantha, M. 40. Moeller, R. C., Jandura, L., Rosette, K., Robinson, M., Samuels, J.,
N. P. (2022), “Assessment of Significant Geotechnical Parameters Silverman, M., Brown, K., Duffy, E., Yazzie, A., Jens, E., Brockie,
for Lunar Regolith Excavations”, Acta Astronautica. I., White, L., Goreva, Y., Zorn, T., Okon, A., Lin, J., Frost, M.,
25. Jin, H., Lee, J., Ryu, B. H., Shin, H.-S., and Kim, Y.-J. (2021), Collins, C., Williams, J.B., Steltzner, A., Chen F., and Biesiadecki,
“The Experimental Assessment of Influence Factors on KLS-1 J. (2021), “The Sampling and Caching Subsystem (SCS) for the
Microwave Sintering”,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Scientific Exploration of Jezero Crater by the Mars 2020 Perseverance
Vol.37, No.2, pp.5-17. rover”, Space Science Reviews, Vol.217, No.1, pp.1-43.
26. Johnston, R. S. and Hull, W. E. (1975), “Apollo missions”, Biomedical 41. Musilova, M., Nunes, A., Kerber, S., Pouwels, C., Wanske, A.,
Results of Apollo, eds RS Johnston, LF Dietlein and C. Berry D’Angelo, J., Foing, B., and Rogers, H. (2020), “The Second
(Washington, DC: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EuroMoonMars IMA at HI-SEA Field Campaign: An Overview
pp.9-40. of The EMMIHS-II Analog Mission to the Moon,” In European
27. Kawaguchi, J. I., Fujiwara, A., and Uesugi, T. (2008), “Hayabusa—Its Planetary Science Congress, pEPSC2020-1020.
Technology and Science Accomplishment Summary and Hayabusa-2”, 42. Na, J.H., Lee, S.D., and Shin, H.S. (2022), “A Study for Generation

32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8권 제9호


of Artificial Lunar Topography Image Dataset Using a Deep Learning 56. Tsuda, Y., Yoshikawa, M., Abe, M., Minamino, H., and Nakazawa,
Based Style Transfer Technique,”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S. (2013), “System Design of the Hayabusa 2—Asteroid Sample
Vol.32, No.2, pp.131-143. Return Mission to 1999 JU3”, Acta Astronautica, Vol.91, pp.356-
43. Nam, H. J., Kim, S. K., Bae, I. H., Choi, Y. J., and Ko, J. H. 362.
(2019), “Performance Evaluation of Mid-IR Spectrometers by Using 57. VJ, O. “VIKING ENCOUNTER”, Gas, Vol.39, p.41.
a Mid-IR Tunable Optical Parametric Oscillator”, Korean Journal 58. Wang, S.C. and Han, J.T. (2016), “Experimental Study of Lunar
of Optics and Photonics, Vol.30, No.4, pp.154-158. Rover Wheel’s Motion Performance on Korean Lunar Soil Simulant”,
44. Park, S.J., Choi, Y.J., and Jeong, W.S. (2015), “The Conceptua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2, No.11, pp.
Optical Design of Prototype Infrared Spectrometer for Korean Lunar 97-108.
Exploration”, Abstracts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59. Watanabe, S. I., Tsuda, Y., Yoshikawa, M., Tanaka, S., Saiki, T.,
and Space Sciences Conference, pp.1493-1496. and Nakazawa, S. (2017), “Hayabusa2 Mission Overview”, Space
45. Perko, H. A. (2007), “Geotechnical Techniques Used in Planetary Science Reviews, Vol.208, No.1, pp.3-16.
Exploration”, In GEO-Volution: The Evolution of Colorado's Geological 60. X. Lacerda, M. (2021), “A Preliminary Systems Design on the NASA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Practice, pp.109-119. Lunar Modular Habitat with a Human-Autonomous Coordinated
46. Ryu, B. H., Wang, C. C., and Chang, I. (2018), “Development Operation: Design through the Integrated Product and Proces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Properties of KLS-1 Lunar Simulant”, Development Method,” In Earth and Space 2021, pp.1033-1036.
Journal of Aerospace Engineering, Vol.31, No.1, pp.04017083. 61. Yano, H., Kubota, T., Miyamoto, H., Okada, T., Scheeres, D.,
47. Saiki, T., Imamura, H., Arakawa, M., Wada, K., Takagi, Y., Hayakawa, Takagi, Y., YOSHIDA K., ABE M., and Yoshikawa, M. (2006),
M., Shirai, K., Yano, H., and Okamoto, C. (2017), “The Small “Touchdown of the Hayabusa spacecraft at the Muses Sea on
Carry-on Impactor (SCI) and the Hayabusa2 Impact Experiment”, Itokawa”, Science, Vol.312, No.5778, pp.1350-1353.
Space Science Reviews, Vol.208, No.1, pp.165-186. 62. Zacny, K., Paulsen, G., McKay, C. P., Glass, B., Davé, A., Davila,
48. Sandford, S. A. (2011), “The Power of Sample Return Missions- A. F., Marinova M., Mellerowicz B., Heldmann J., Stoker C.,
Stardust and Hayabus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Cabrol, N., Hedlund, M., and Craft, J. (2013), “Reaching 1 m
Union, Vol.7, No.S280, pp.275-287. Deep on Mars: the Icebreaker Drill”, Astrobiology, Vol.13, No.12,
49.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9), Final report, pp.1166-1198.
“Promoting Strategies for Space Industry”. 63. Zhang, T., Wang, B., Wei, H., Zhang, Y., Chao, C., Xu, K., Xilun,
50. Shi, X., Tang, D., Quan, Q., Jiang, S., Hou, X., and Deng, Z. (2013), D., Xuyan, H., and Zhao, Z. (2021), “Review on Planetary Regolith-
“Development of a Drilling and Coring Test-bed for Lunar Subsurface sampling Technology”,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s, Vol.127,
Exploration”, In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p.100760.
and Biomimetics, pp.2124-2129.. 64. Zhao, D., Jiang, S., Tang, D., Hu, X., Hou, X., and Deng, Z.
51. Simmons, G. (1972), “On the Moon with Apollo 17: A Guidebook (2015), “The Application of CBN on the Lunar Rock Drill”, In
to Taurus-Littrow”,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Vol.101. and Technology, p.789.
52. Soffen, G. A. and Snyder, C. W. (1976), “The First Viking Mission 65. Zhao, L., Adamiak, K., and Mazumder, M. (2008), “Numerical
to Mars”, Science, Vol.193, No.4255, pp.759-766. an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Electrohydrodynamic Pump for
53. Taylor, L. A. and Meek, T. T. (2005), “Microwave Sintering of Sampling System on Mars”, In Proc., ESA Annual Meeting on
Lunar Soil: Properties,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Aerospace Electrostatics pp.1-10.
Engineering, Vol.18, No.3, pp.188-196. 66. Zheng, Y., Mengfei, Y. A. N. G., Xiangjin, D. E. N. G., Shengyi,
54. Thomson, B. J., Bridges, N. T., Cohen, J., Hurowitz, J. A., Lennon, J. I. N., Jing, P. E. N. G., Yan, S. U., ... and Zhang, N. (2022),
A., Paulsen, G., and Zacny, K. (2013), “Estimating rock compressive “Analysis of Chang’e-5 Lunar Core Drilling Process”, Chinese
strength from Rock Abrasion Tool (RAT) grinds”, Journal of Journal of Aeronautics.
Geophysical Research: Planets, Vol.118, No.6, pp.1233-1244.
55. Tsou, P., Brownlee, D. E., Sandford, S. A., Hörz, F., and Zolensky, Received : July 14th, 2022
M. E. (2003), “Wild 2 and Interstellar Sample Collection and Earth Revised : August 17th, 2022
Retur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Planets, Vol.108, No.E10. Accepted: August 20th, 2022

우주 행성 광물 자원 탐사를 위한 지반 탐사 기술 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