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건축은 인간의 활동을 담는 그릇

그릇: 공간 (空間, space)

건축가의 공간: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3차원의 영역

실내공간 / 실외공간

건축의 3요소: 기능, 구조, 미


건축과 문화

인간 생존의 3요소: 衣, 食, 住 환경으로부터 보호

농업혁명
문화의 발전
도시의 형성과 발전

건축물
산업혁명
근대화 사회
기능성, 합리성, 도시, 환경을 중시

근현대 건축과 도시
도시 주거환경 문제의 대두 (19C후반~20C전반)

1. 산업화에 의한 도시의 인구집중 – 열악한 도시환경


2. 새로운 이상도시 계획 추구
- 하워드의 전원도시
모도시: 6000acr(약2500ha), 인구 58,000명
소도시: 인구 32,000명 X 6개 = 192,000 명
주위 6개의 방사형 철도로 연결
도시주위의 농경지 확보(2,000ha)
자도시-자급자족 인구규모 제한
토지의 공유 – 개인에게 임대
도시 농촌 결합 – 농업용토지 영구히 보존
개발이익의 사회환원 – 그 도시에 투자
1903년 레치워스, 1920년 웰윈에 건설
- 르 코르뷔제의 도시계획
인구 300만명의 현대적 도시계획 제안(1922년)
직선적 요소 사용
광대한 오픈스페이스에 둘러싸인 업무지구에 +형 마천루
요철형, 중정형 아파트(300명/ha, 8층)
– 슈퍼블럭 구성: 400X600m
교통로는 3층의 입체적 체제 도입 – 보차분리
도시계획의 4원칙: 도시중심지구의 과밀을 완화시킬것
거주의 밀도를 높일 것
교통수단을 늘릴 것
수목면적을 높일 것
우리나라 도시 주거환경 문제 (20C후반)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근대화 – 한국전쟁 이후 진행


한국전쟁 이후, 농촌인구 대도시(특히 서울)로 대거 유입
서울은 도시시설, 주거시설 매우 부족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쳐 서울로 인구유입 가속화
1980년대 매우 심각한 주택난
1990년대, 심각한 주택난 해결하고자 제1기 신도시건설
- 단지계획 및 도시계획적 접근

단독택지의 다가구주택 건설 허용 (용적율 완화)


과밀상태의 다가구 주택 – 새로운 주거 환경 문제
주거환경개선사업 – 일종의 재개발

1980년대 공급 저층 아파트단지 – 재개발


2000년대 신도시 및 대도시 주변 준농림지 난개발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국민, 공동주택에 거주

공동주택 단지의 계획이 중요시

최근 지속가능한 건축의 필요성 증가 –


공동주택 단지의 새로운 방향성에 대한 니즈
단지계획의 개념

- 사람의 생활과 활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외부의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는 기술


건축, 토목, 조경, 도시계획 등의 경계영역에 속하는 기술
- 사람이 좋은 환경과 공간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자연적 환경과 인위적 환경에 대하여, 공간구조, 거주자의 요구, 건물의 축조 등을
조화롭게 종합적으로 조직하는 기술

- 단순한 건물과 가로의 결합이라기 보다는


환경요소, 구조물, 기타 다양한 세부사항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직화 하는 과정

住 住居 : Residence, 삶을 영위하는 용기 (삶: 생활+활동, 행위의 집합)


住宅 : 건물의 의미 (House)
居住 : 安住나 定住의 의미(settlement), 삶의 행위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음
단지계획의 목표
1. 건강성
2. 안전성
3. 쾌적성
4. 기능의 충족성(적합성)
5. 편리성
6. 미적 만족성
7. 이웃과의 유대(근린 커뮤니티 증진)
8. 환경 선택의 자유
9. 개발 비용의 효율성(경제성)
10. 변화에 대한 적응성(융통성)
11. 다양성
단지계획의 특성

- 종합계획: 대지 위에 각종 시설물을 계획 및 배치하기 위하여


가구 및 획지계획, 도로계획, 하부구조계획 등을 고려하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계획

- 기본계획: 단지를 구성하는 모든 공간과 시설에 대하여,


기획, 계획, 설계, 시공, 관리 등 전과정을 총괄하는 기본적 계획

- 지구계획: 종합화된 환경계획적 성격을 띄지만


광역적 차원에서는 도시계획의 하위계획인 지구계획의 성격
< 단지계획의 공간적 규모 >
- 도심부에서는 1 ha 정도. 교외부에서는 100 ha 정도의 규모가 필요
- C. A. Doxiais의 인간정주 과학이론 (EKISTICS: science of human settiement)
지리적 공간적 단위를 하나의 인간에서 출발하여 15단계로 구분
주거군(40인), 근린분구(250인),근린주구(1500인), 소도시(9000인)등….
단지계획의 주요 내용
1. 인구 및 주택 계획
2. 생활권 계획
3. 토지이용계획
4. 도로계획 (자동차, 보행자, 자전거, 주차장 등)
5. 가주 및 획지 계획
6. 주동계획 및 주동배치계획
7. 오픈스페이스 계획 (공원, 녹지, 광장 등)
8. 경관계획
9. 생활편익시설 계획 (상가, 관리실, 주민공동시설, 운동시설, 놀이시설 등)
10. 공급처리시설 계획 (상하수도, 전기 및 통신, 가스, 물류, 쓰레기처리 등)
단지 개발의 유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