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Ⅱ.

미국의 도시재생 사례조사

5. 미트패킹 구역
(The meat Packing District)

111
page
5. 미트패킹 구역 (The Meat Packing District)

5.1 사업개요

5.1.1 사업의 목적 및 특징

1) 19세기 중반이래 육류와 가공품 도매사업이 주를 이루던 제조업 지역을 역사보존 지


구로 지정하여, 역사적인 건물, 고가철로, 가로조직 등의 지역특유의 역사적 가치들을
보존하면서도 민간인 투자를 유치하여, 맨하탄에서 가장 활기찬 고급 소매업 및, 유흥
상업지역으로 개발한 사례임.

2) 지역 주민 단체가 주요 수행주체가 되어 성공적으로 수행된 도시개발 사례로서, 최근


의 고학력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계획되고 추진되는 상향식 bottom-up 도시
개발 경향을 반영하는 대표적 사례임.

3) 자발적으로 조직된 지역내 두 단체들 (하이라인의 친구들Friends of Highline, 그리니


치 빌리지 역사보존 협회Greenich Village Society for Historic Preservation) 이 단체의
개별적인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동시에 장기적으로 지역 전체의 이익과 공익에도 기여
하기 위하여, 지역주민과 공공기관 사이의 조정자 입장을 취하며 전체 사업을 계획하
고 진행해감.

5.1.2 사업의 규모

1) 대상지역 : 미트패킹 지역은


맨하탄의 서부 지역으로서 남
부의 갠스보트 가와 동쪽의 허
드슨 가, 서쪽의 웨스트 가와
북쪽의 16번가에 둘러싸여 있
음.

2) 사업의 역사적 배경 : 주로
중저층 규모의 건물들로 구성
된 지역으로서, 19세기 중반
이래 수상 Hudson River 교통
수단과 고가 철로 (초록색 라
112

인, 하이라인 Highline)에 의한 [그림 Ⅱ-5-1] 미트패킹 지역 위치도


운송사업에 힘입어, 200개 이
page

상의 육류포장, 낙농 및 도매 사업이 번성하던 창고 지역임. 1990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부분의 창고 사업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가자, 기존의 제조업 시설들은
민간 개발업자들에 의해 고급 레스토랑, 바, 호텔, 겔러리 및 소매점으로 대체되어 가며,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시작함. 이에, 지역 주민들은 미트패킹 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
하기 위하여, 직접 주민단체를 조직하여 시의 지역 재개발 정책에 개입함.

3) 주요 사업 내용

(1) 갠스버트 시장 보존지구 지정 및 웨스트 챌시 리조닝

-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 협회 (GVSHP: Greenich Village Society for Historic


Preservation) 이라는 지역주민 단체가 주체가 되어 추진.
- 육류 가공 도매업의 역사를 담고있는 104개의 건물로 구성된 지역의 역사지구
지정계획을 통한 기존의 건물보존 및 밀도유지
- 리조닝 계획을 통해 주거시설을 제한하고, 상업시설의 개발을 촉진함.

(2) 방치된 하이라인Highline의 보존 및 공원으로 전환

- 1930년에 건설되어 미트패킹 지역 일대의 운송업들을 뒷받침하던 고가철로로서,


1980년 이래 방치됨.
- 하이라인 하부의 토지를 저가에 구매한 토지 소유주은 구조물 철거를 위해 로비
활동을 벌이고, 2001년 뉴욕시 줄리아니 시장은 퇴임이전에 하이라인의 철거에
동의하는 서명을 함.
- 이에 하이라인의 친구들 (FHL) 이라는 주민단체는 구조물 철거 승인에 대해 ‘충
분한 공청회 및 공공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이 배제되어 있다는 이유로, 법적 소
송을 벌여 승소를 함.
- 하이라인의 철거계획 철회 이후, 하이라인의 재활용에 대한 국제 아이디어 공모
전 실시, 계획안 선정 및 시행 등의 후속 사업을 주도함.

(3) 가로경관 개선 streetscape improvement

- 사용이 저조한 도로 및 교차로 교통섬 공간 등을 시민들을 시민들을 위한 작은


광장으로 전환함.
- 이는 모든 뉴욕 시민들이 보도로 10분 이내에 적절한 오픈스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뉴욕시 DOT: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의
일환임.
113
page
5.2 관련 법, 제도 및 프로그램

5.2.1리조닝 & 역사 보존지구 지정

1) 리조닝 경과

(1) 그리니치빌리지 역사보존협회의 대표인 앤드류 버만Andrew Berman이 설립한


SGMT는 육류 도매업자들의 조합 및 식당 주인들의 조합으로서, 지역 내에 주거개
99
발을 저지하기 위하여 리조닝 역사보존지구 지정 추진사업을 시작함. 이는 주민
들이 지역내 상업, 제조업 활동으로 인한 교통 및 소음 등에 민원을 제기할 것을 우
려하였기 때문임. 이후 3년에 걸쳐 법정 싸움을 벌임.

(2) 2003년 9월 갠스버트 시장지역은 역사보존지구로 승인되고, 웨스트 첼시 리조닝


제안이 뉴욕시에 제시됨.

(3) 2004년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 협회 (GVSHP)는 미트패킹 지역 남쪽의 파 웨스


트 빌리지Far West Village도 랜드마크지역으로 지정하는데 압력을 행사함.

(4) 2005년, 웨스트 첼시(북쪽 회색 부분) 지역은 복합용도 및 주거 지역으로 리조닝


(용도변경) 승인을 받음, 역사보존지구로 승인된 갠스버트 시장지역은 M1-5 조닝으
로 승인되어 최대 5의 개발 용적비를 허용받음: 신축건물의 고도제한 마련. 맨하탄
서부지역을 따라 역사지구의 범위를 확장함.

99
. 2002년 8월에 터파기를 시작한 12층 규모의 건물인 갠스버트 호텔의 개발과 더불어
워싱턴가와 리틀웨스트 12번가에 32층 주거 타워가 제안되자, SGMT은 추가적인 개발을
114

저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낌. 이는 지역내 주거지가 개발될 경우, 새벽부터 움직이는 육류


포장 산업으로 인한 소음 및 냄새와 안락한 환경을 희망하는 주민들과의 충돌 가능성이
page

지극히 높았기 때문임. Urban Revitalization in the US; Private, Public & Community-led
Projects, C2ARL., GSAPP, Columgia University, 2009
[그림 Ⅱ-5-2] M1-5 Zoning District Highlighted in Red

2) 겐스버트 시장 역사 보존지구 Historic District 지정 (2005)

(1)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 협회에서 갠스버트 시장 지역과 지역내 건물들의 랜드


마크 지정을 위한 신청서와 연구보고서를 랜드마크 보존위원회에 제출하였으며,
2003년 랜드마크보존 위원회는 갠스버트 시장 지역 내의 104개 건물을 역사지구로
지정함.

(2) 갠스버트 시장지역 랜드마크(역사 보존지구)지정보고서 내용중 일부100

- ‘1840Z년에서 1940년대에 지어진 건물은 4대 주요 발전 단계의 표상이자 목적


에 따라 지어진 구조물로서 당시의 유행하던 스타일대로 설계되어 후에 시장 용
도로 바뀐 것’
- ‘벽돌을 입면 자재에 주로 사용하고 1~6층 규모로 지어졌으며 시장 건물을 짓
는데 전문가였던 건축가가 모두 설계한 건물들로서, 시장 용도로 설치된 철재 캐
노피와 벨기에식 블록 포장이 여전히 대부분의 거리에 남아 있는 거리 풍경으로
인해 시각적 통일성이 제공되고 있다’.

(3) 이후의 리조닝 절차를 거쳐 상업과 제조업 용도를 유지하게 되나, 주변 주거지역의
개발로 부동산 가치가 상승함

(4) 기존 사업 종사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는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동산


가치로 인해 기존의 토박이 업체들은 외부로 이전해가고 새로운 고급 유흥, 오락시
115

설 및 디자이너 부띠끄 등이 들어섬.


page

100
Gansevoort Market Historic District Designation Report
[그림 Ⅱ-5-3] 2003년에 역사 보존지구로 승인된 지역

101
3) 웨스트 첼시 리조닝 (2005)

(1) 과거 이 지역의 중심부와 남쪽 부분에 있는 제조업 용도지구는 자동차 부품, 주차


장, 차고와 같은 자동차 관련 산업이 대부분이었음.

(2) 리조닝 이후 상업용도지역


은 주로 예술 갤러리와 박물관
으로 이용되며, 11번 애비뉴를
따라 블록 중간쯤에 위치함.
102
(우측그림 )

(3) 하이라인 구조물 보전을


위한 조닝 규정 : 개발권의 이

[그림 Ⅱ-5-4] west chelsea district control

- 하이라인 하부 또는 인근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주들이 자신의 개발권을


블록 중앙부분에서 인근 가로 부분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허용함.
- 이전까지의 개발권 이전은 인근 납세용도 필지에서는 제한되어 있었으나, ‘ 특정
지역 내의 개발권 이전이 블록 간에도 가능’하게 변경함으로써 매도자의 수익을
보장할 수 있게 됨.
- 그 결과, 모든 자산 소유주들에게 손해를 입히지 않으면서도 구조물을 유지한 채
공원으로 개발권하게 됨: 하이라인 설계 지침 역시 관하이라으로 접근로 뿐만 아
116

101
그림13의 상부 회색부분 http://www.nyc.gov/html/dcp/html/westchelsea/westchelsea3a.shtml
page

102
http://www.nyc.gov/html/dcp/html/westchelsea/westchelsea3a.shtml
니라 및 주변 건물의 채광 및 환기를 고려한 특정 후퇴선 등을 규제함.

[그림 Ⅱ-5-5] 하이라인 공원 전(좌), 후(우) <출처:하이라인의 친구들 FHL>

(4) 하이라인 공원화 사업 경과

- 2001년 하이라인 철거 승인
- 하이라인의 친구들 ( FHL) 항소
- 2002년 3월 FHL 승소.
- 2003년 1월 FHL에 의해 국제 아이디어 공모전 ‘designing the High Line’개최 :
36개국에서 720여개팀이 참가
- 2003년 7월 그랜드센트럴 터미널에서 하이라인아이디어 공모전 전시 (150여개
팀)
- 2003년 디자인팀선정, 설계시작
그림 1 하이라인 공원 전(위),후(아래)
- 2004년 시공팀 선정 < 출처: 하이라인의 친구들 FHL >
- 2005년 뉴욕시에서 하이라인의 운영
권 취득. / 착공
- 2009년 1차 완공, 남측 일부 (미트패킹 지역) 오픈.

(5) 리조닝 이후 개발 현황

- 11번 애비노를 중심으로 다수의 고급형 콘도미니엄이 개발되었거나 현재 공사


중임. 젋은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설계한 최대250피트 높이
의 고층주거들이 들어서고 있음.
- 아직 281에이커의 토지가 제조업 용도로 남아있으나 이들 업체에 대한 보호 정
책은 거의 없다.
117
page
5.2.2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 NYC plaza program103

1) 모든 뉴욕시민이 10분 보행거리 이내에 오픈스페이스에 도달할 수 있게끔 하고자 하


는 취지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서, 이용이 미비한 거리 혹은 교차로 공간을 를 사회적
이고 활기찬 오픈스페이스로 변경하는 사업임. DOT는 뉴욕플라자 프로그램 대상지로
선정된 오픈스페이스의 설계와 사업수행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함.

2) 대상지역 선정 : 대상지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DOT에서 명시한 조건에 합당한 비영리


조직단체에 의해 제안되어야 함.

3) 맨하탄 서부에 위치한 미트패킹지역은 옛 그리니치 빌리지의 가로와 맨하탄의 격자형


가로가 45도로 만나는 지역으로서, 독특한 삼각형의 교차공간을 형성하며, 가로의 대
부분은 소위 벨기에식 블록 자갈로 덮여 있음. 이와같은 물리적 특색을 고려하여, 미트
패킹지역의 도로는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정됨

(1) 2007년, 9번 애비뉴와 14번가 교차 지점의 4,500 평방피트의 공간에 의자, 테이블
화분등을 설치함.

(2) 2008년 9번 애비뉴와 갠스버트 사이의 교차로에 보행로 확보 및 의자, 식수를 위한


자갈 포장을 실시

5.2.3 레일 뱅킹 rail banking104

1) 미국 전역의 이용이 중단된 철로를 위락형 보행로로 재활용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


하고 거주 환경을 개선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취지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
로서 연방정부기관인 STB 이 관할함.

2) 2002년 12월 뉴욕시는 STB와 함께 ‘하이라인 육교에 대한 보행로 이용 허가’를 얻어내


고자 청원을 제출함. : 신청 절차는 비영리 단체인 철로-보행로 보존협회Rail-to-Trail
Conservancy(RTC)의 지원을 받아 진행됨.

3) 현재 RTC는 미국 전역의 수백개 지역의 철로의 보행로화 과정을 지원하여 전체


13,935마일에 이르는 철로보행로를 건설에 기여함.
118

103
http://www.nyc.gov/html/dot/html/sidewalks/publicplaza.shtml
page

104
http://www.railstotrails.org/resources/documents/resource_docs/tgc_fs_railbank.pdf
5.3 주요 수행 주체

5.3.1 주체간 협력방식의 특징

공공기관 관련 민간 단체 지역주민/ 단체

뉴욕 시 정부 기관 하이라인 설계팀 주요 수행기관

• The Mayor’s Office for • Field Operation • The Greenwich Village


Economic Development • Diller Scofidio Society for Historic
and Rebuilding +Renfro Preservation: Coalition

• DCP: Dep.of City • FHL: Friends of the


Planning Highline

• EDC: Economic 자선/기부 단체


Development Corp.
• 민간 자선가들
• Dep. of Parks and
• 민간 지역 사업체
Recreation
(eg. Google)
• Landmarks Preservation 기타 수행기관

Commission • MPDI: Meatpacking

• DOT: Dep. of District Initiative

Transportaion • Preservation League of


New York State
연방 정부 기관
• Manhattan Community
• STB : Federal
Board 2 and 4
SurfaceTransportation
Board

1) 기간관 정규 회의 설립

(1) 하이라인의 보존과 해당구조물을 공원으로 추가 개발하기 위해서 모든 해당 시 기

[표 Ⅱ-5-1] Meatpacking District 수행기관 구성]

관은 격주마다 서로 업무, 문제점, 충돌점 및 절차를 논하기 위해 모임.


119

(2) 각 기관의 프로젝트 담당자간의 개인적이고 직접적인 활동(서면으로 주고받는 전


형적인 형태와 반대)은 의사 결정 과정의 중심이었으며 각기 다른 이익간의 충돌을
page

제거함.
2) 주민조직의 정부기간 회의 참여

(1) 하이라인의 친구들(FHL) 은 기관간 회의에 주요 참여자였으며, 정부의 결정에 대해


지역 대표자와의 조정을 실시하고 이를 지역주민의 절차에 직접적으로 반영함

(2) 하이라인의 친구들(FHL)과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협회(GVSHP) 모두 지역주민


의 연결과 계획 연구, 자금 모금등과 같은 기관 협력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에
만전을 기함.

5.3.2 공공기관

1) 경제개발재건 사무국 Mayor’s Office for Economic Development & Rebuilding

(1) 닥터로프 부시장의 주도 하에 몇몇 시 기관을 지도, 조정하여, 제조, 창고, 산업 용


도 건물과 하역장으로 이루어진 맨하탄 서부 지역 대부분의 재생을 담당함. : 미트패
킹 구역은 이 계획의 최남단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역사보존, 오픈스페이스의 창
조 및 복합용도 개발의 리조닝을 혼합한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음.

(2) 리조닝, 역사보존지구지정, 경제 개발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지는 서로 다른 프


로젝트간의 조정자 역할을 담당함.

- 의사 결정 회의에 참여한 시 기관들의 이해관계를 조율


- 하이라인의 친구들과의 긴밀한 협력 및 소통.

105
2) 뉴욕시 랜드마크 보존 위원회 NYC Landmarks Preservation Commission

(1) 1965년 설립됨 : 1963년, 펜실배니아 역의 재개발로 보존 가치가있는 건축적 자산


을 잃게 되면서, 뉴욕 시민과 정부 모두 남아있는 건축적,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보
호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설립하게 됨.

(2) 현재까지 뉴욕시 전체 지역에서 1,150개 이상의 건축물과 80여개의 역사지구를 지


정했으며, 매해 그 수를 늘려가고 있음. 랜드마크 보존 위원회의 기본적인 역할은 다
음과 같음.

- 랜드마크 건물 및 보존지구 제안/ 신청서의 검토 및 지정/공표


- 지정된 건물/ 지역에 랜드마크 법 NYC Landmark Law 을 적용하며, 구체적인 법
120

적 규제사항에 관하여는 뉴욕시 도시계획과와의 조정단계를 가짐.


page

105
http://www.nyc.gov/html/lpc/html/home/home.shtml
3) 뉴욕시 도시계획과 NYC Dep. of City Planning

(1) 뉴욕시 전체의 조닝 및 리조닝 계획을 추진하고 조정하는 주체로서, DCP는 최근의
NYC 2030을 통해 도시인구의 성장을 고려한 첼시 서부와 허드슨 야드의 리조닝 계
획(2천4백만 평방피트의 업무공간과 13,000여 호의 주거시설, 20에이커의 오픈스페
이스를 허용하며 저가 주택을 제공 )을 발표함.

- 하이라인 인근의 건물 (웨스트 챌시, 파 웨스트 챌시지역)에 대한 리조닝 및 설계


지침 마련.
- 리조닝 및 토지이용 계획에 관한 공청회 실시.

(2) 갠스버트 시장의 역사 보존지구를 제외한 주변 지역만을 리조닝 대상으로 함으로


써, 랜드마크 보존 위원회에 의한 역사보존지구 지정계획과의 충돌을 피함.

4) 뉴욕시 경제개발 공사 EDC : NYC Economic Development Corp.

(!) 뉴욕시 도시재생사업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준 공공기관으로서 뉴욕시 전반


의 부동산 개발 및 도시재생 사업 등 경제 성장을 증진할 목적의 사업을 수행하는
주체임. 비록 뉴욕주 법에 의한 중개기관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뉴욕시의 프로젝트
에 한하여, 법적 중개기관인 엠파이어 스테이트 개발 공사 ESDC에 준하는 특권을
지님.

(2) EDC는 하이라인 공원화 사업 수행에서 하이라인의 친구들(FHL)과 더불어 주도적


인 역할을 수행함.

- 2003년 하이라인 아이디어 공모전 결과에 준하여, FHL과의 합의하에, 조경 건축


업체인 필드 오퍼레이션 Field Operation과 건축가 딜러 스코피디오 + 렌프로
Diller Scofidio+Renfro를 최종 디자인 업체로 선정하여 설계를 시작함.
- 공사를 담당한 민간 사업자 선정과정은 2004년 3월부터 6개월간 진행됨. 52개
팀이 첫 심사에 참가하였으며 7개 팀으로 범위가 좁혀졌으며 최종적으로 4개의
팀이 선정됨.
- 1억 7천만 달러 규모의 공사의 시작에서부터 완료에 이르는 전 시기에 걸쳐, 민
간 및 공공에 의한 자금조달을 지원함.

5) 공원 위락부 The Dep. of Park and Recreation .

(1) 뉴욕 시의 14%에 달하는 2만9천 에이커 토지를 대리 운영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양키스 스타디움과 센트럴 파크에서 커뮤니티 가는과 그린스트릿에 이르는 4천여개
121

의 사유지도 포함됨.
page

- 시민을 위한 공공 체육 시설을 제공.


- 6십만 그루의 가로수와 2백만 그루이상의 공원목을 운영.

(2) 205년 11월, 하이라인의 운영권이 뉴욕시에게 주어진 이래 하이라인을 관할함.

- EDC , FHL 과 함께 하이라인의 설계/공사 를 감독 ( 공원 관리부의 안전기준에


준하도록 )
- 공원의 유지 및 관리/운영: 비록 관할권은 공원위락부가 지닌다 하더라도 대부분
의 경우 관리와 운영은 비영리 협력기관에 위임됨. (예. 센트럴 파크 보존협회
Central Park Conservation, 허드슨 강 공원 신탁Hudson River Park Trust)

6) 뉴욕시 교통국 DOT: NYC Dep. of Transportation .

(1) 4천명 이상의 임원이 뉴욕시내 약 5,800마일의 도로, 보행로, 고속도로 및 789개의
교량과 6개의 터널 표지, 교통 신호등, 가로등 및 주차 미터기를 감독, 설치 및 유지
함.

(2)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미트패킹 지역의 두 곳에 공원을 설치함. 2007


년과 2008년에 각각 시행된 두 공원들 모두 저예산 사업임.

7) 연방 지상교통 위원회 STB : Federal Surface Transportation Board

- 하이라인을 공용 공원으로 바꾸는 법적 승인절차를 담당함.

5.3.3 지역 주민 단체

1)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 보존협회 (GVSHP: the Greenwich Village Society for Historic
Preservation)

(1) 1980년 , 그리니치 빌리지, 노호 및 이스트 빌리지의 문화적, 건축적 유산을 보호하
기 위한 목적의 비영리재단으로 설립.

(2) 주요활동

- 그리니치 빌리지의 역사와 건축에 대한 강연, 교육, 전시 및 출판활동


- 다양한 역사 보존 활동에 관한 자문 역할.

(3) 2003, 갠스버트 시장 역사 보존 지구 지정을 위한 노력


122

- 2000, 시장지역의 주민들과 시장 상인들로 구성된 SGM : Save Gansevoort


page

Market Task Force 라는 산하기관 설립. 미트패킹 지역의 역사보존지구 지정과


관련한 연구, 지원 활동을 함.
- 갠스버트 시장 및 주변지역의 주거시설 개발과 관련한 리조닝과 관련한 청원활
동을 수행함.

106
2) 하이라인의 친구들 (FHL: Friends of Highline)

(1) 1999년 하이라인의 친구들(FHL)은 맨하탄 서부의 1.5마일 길이의 역사적인 고가


철로 구조물인 하이라인의 보존과 재생을 목적으로 두 명 (조슈아 데이비드 Joshua
David 와 로버트 해먼드 Robert Hammond) 의 첼시 주민이 설립함.

(2) 하이라인의 보존의 필요성에 대한 캠페인 활동 및 사업계획서 마련.

- 사업의 초기단계인 캠페인 및 계획단계에서부터 전문 자문단을 고용할 필요를


107
인식하였으며 무료 봉사단에 그다지 의존하지 않았음.
- 정치가와 유명인들의 지지를 받아낸 것과 더불어 모든 뉴욕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포용적이고 개방적인 대화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하이라인 보존 사업에
대한 뉴욕 시민의 지지를 키워감.
- 2002년 초반, 하이라인 되찾기Reclaiming HighLine 계획안 : FHL 은 공용 공간
설계 신탁 Design Trust for Public Space와 협력하여 완성한 보고서를 새로 취
임한 마이클 블룸버그 시장에 제출함. 보고서 내용은 기존 시장이 승인한 하이라
인 철거사업에 반대하며, 하이라인 보존시 기대되는 경제적 이익에 관한 내용을
논하고 있음.

2) 하이라인 공원화 사업의 추진.

- 하이라인 사업의 기획 및 계획 연구
- 아이디어 공모전 주최 및 설계안 선정과정에의 참여
- 사업을 위한 자금의 모금 : 연예인과 정치인 등을 포함한 약 1,500명의 회원의
지원을 받아 이 구조물의 보존을 위한 모금활동 및 홍보활동을 벌임
- 치가와 유명인들의 지지를 받아낸 것과 더불어 모든 뉴욕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
는 포용적이고 개방적인 대화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하이라인 보존 사업에 대
한 뉴욕 시민의 지지를 키워감.

3) 미트패킹 지역 이니셔티브 (MPDI : Meatpacking District Initiative)

106
http://www.thehighline.org
123

107
‘ FHL은 새로운 주민 지원단의 가장 활동적인 사례일 것이다. 낡은 주민 중심의 행동주의와 기업
가의 통찰력, 포괄적인 운영과 좋은 설계의 힘에 대한 강한 인식이 어우러진 잠재력이라 할 수 있다’
page

Metropolis Magazine, November 21, 2005


(1) 2003년, 웹사이트, 지도 및 정기 이벤트를 통해 지역 근린 사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108
목적으로 설립. 약 200여개의 업주들이 납부하는 연회비로 운영됨 .

(2) 4천명 이상의 임원이 뉴욕시내 약 5,800마일의 도로, 보행로, 고속도로 및 789개의
교량과 6개의 터널 표지, 교통 신호등, 가로등 및 주차 미터기를 감독, 설치 및 유지
함.

(3)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미트패킹 지역의 두 곳에 공원을 설치함. 2007


년과 2008년에 각각 시행된 두 공원들 모두 저예산 사업임.

4) 맨하탄 제 2, 제 4 지역 주민 의회 Manhattan Community Board 2 and 4

(1) 지역주민 의회(CB)는 지역주민 지구(CD)를 대표하는 비영리 단체로서, 최대 50명


의 무임금 회원으로 구성되며,시 의원회에 의해 지정됨.

(2) 행정적인 권한은 없으나 지역의 요구와 관련한 요청을 시 행정부에 제출할 수 있으
며 토지 이용 및 개발과 관련한 추천안을 제시할 수 있음.

(3) 지역주민회의 표결결과 및 제안 내용들은 시 의회의 정책 결정에 대한 참고자료이


긴 하지만, 선출된 안건에 대해 시 의회 표결에서 거의 반대 표결을 내지 않을 만큼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

(4) 미트패킹 지역의 맨하탄 제 2, 제 4 주민 지구의 두 개의 CB는, 2003년 공청회에


갠스버트 시장 역사 지구의 랜드마크 지정을 지지하는 표결안을 제출하였으며, 뉴욕
의 과거역사를 대표하는 복합 용도의 시장 보존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함.

5) 뉴욕주 보존협회 the Preservation League of NYS

(1) 1974년 설립된 PLNYS는 시민과 지역단체, 및 사회단체와 공공기관으로 구성된 역


사 보존 활동 지원 단체임.

(2) 2002년, 갠스버트 시장 전체가 연방정부와 주정부에서 지정한 역사 지구 State and


National Registers of Historic Places 목록에 오르게 되자, 같은 해에 PLNYS 에서도
‘지켜야 할 7곳’중에 갠스버스 시장을 포함함.

108
BID는 민간-공공 협력 활동으로서 특정 지역의 재산 소유주가 해당 지역의 공공 활동과 환경 등을
개선하는 자금에 대해 추가적인 세금을 부담하는 것이다. MPDI는 납세 의무 등으로 자금을 모으지
124

않으며 자발적인 연회비로 운영되고 있음. 콜럼비아 대학에의한 연구 당시 MPDI의 임원들은 이 단체


가 정규 BID로 전환될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으나 이 단체가 정확히 같은 기능을 기본
page

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함.


6) PLNYS의 이와 같은 지정 활동은 사회적 인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 효과가 있음. : 랜
드마크 보존 위원회의 회장인 세리다 폴슨Sherida E. Paulsen은 ‘보존에 관심이 있는
다른 단체가 결정했다는 것은 중요한 역사 보존 이슈라 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이
단체의 회장인 스캇 헤일Scott P. Heyl 역시‘우리가 7개 지역에 올리게 되면 경계심을
109
가지고 다년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함. 실제로 999년 이후 PLNYS
는 뉴욕주의 28개의 사라져가는 역사 지구를 선정하였는데, 이중 6개가 보존되고 2개
는 폐쇄되었으며,갠스버트 시장은 이 목록의 4번째 지역이었음

5.4 재원 조달 및 보조금

5.4.1 민간 단체에 의한 재원조달 방식

1) 미트패킹 지역의 보존 및 개발 사업은 민간 자본에 의해 주로 주도되어 왔기 때문에


이 사례와 관련한 공식적인 ‘프로젝트 비용’은 없음.

2) 사업에 필요한 대부분의 자금은 두 개의 비영리 단체인 하이라인의 친구들(FHL)과 그


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협회(FVSHP)의 다각적인 정치, 사회적 활동을 통한 기부금, 보
조금으로 조달되었음. 두 단체 모두 사업 접근 방식에 있어서 매우 전문적으로 커뮤니
티 단체를 운영하였음.

5.4.2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 협회GVSHP의 재원조달

1) 2007년, 그리니치 빌리지 역사보존 협회GVSHP는 연간 운영 예산을 $502,807로 책정


2) 회원비가 이 예산의 43%를 충당함. : 그리니치 빌리지에 해당하는 제 7 인구조사지역


의 가계 소득은 2000년 당시 $75,300이었으며 시 전체 평균인 $38,300의 두배에 가까
움.

3) 시 정부의 보조금은 $126,300으로서 예산의 25%를 충당함.

4) 모금 운동을 통해 $133,223을, 관광 수익 및 기타 재정 수익으로 $26,706을 벌어들임


125

5) 예산의 대부분은 다섯명의 임원진에게 전달되어 보존 캠페인을 진행하고 교육 프로그


page

109
New York Times, December 08, 2002
램을 주도하는 데 사용됨.

5.4.3 하이라인의 친구들 FHL의 재원조달

1) 초기부터 진행된 캠페인을 통한 모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였으며, 그 자금은 하


110
이라인 홍보와 그 보전 사업에 지출함.

2) 공원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자금은 시의 공공자금에 1억3355만달러를 지원받았고,


건축 공사비에 해당하는 나머지 3645만 달러는 추가 모금 캠페인을 통해 조달함

3) 현재, 하이라인의 완공이후 시민 및 언론의 호응이 커지자, 관련 책자, 옷, 소품등을 개


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그 수익금으로 필요한재원을 조달함.

5.5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그램

5.5.1 기존 업종들의 번화, 지역 활성화

1) 미트패킹 지역의 보존지역 등록이후, 더 많은 유사업종들이 들어서면서 뉴욕의 가장


111
활기찬 상업,유흥지역으로 번화해감. 미트패킹 지역 이니셔티브(MPDI : Meatpacking
District Initiative)는 지역의 지도를 작성하고 업체를 홍보 하고 있으며, 현재 현재 70개 이
상의 바, 식당, 나이트클럽 및 소매상점들이 목록에 올라 있음.

126

110
고학력, 고소득층의 회원들로 구성된 FHL은 지역 유명 인사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유명인과 연계
하는 데 성공적이었는데, 이로 인해 그들의 유명세만큼의 재정적 자원을 확보하게 되었다
page

111
http://www.meatpacking-district.com/
[그림 Ⅱ-5-6] (좌) 하이라인의 진입부 디자
인 (우) MPDI 브로셔 지도

2) 하이라인의 진입구가 미트패킹 지역 남쪽에서 이어지는 관계로, 하이라인에 대한 지속


적인 관심과 인기는 미트패킹지역의 상업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침.

[그림 Ⅱ-5-7] 하이라인 진입부 근처 미트패킹지역 야경<출처:field operations>


127
page
5.5.2 기존 사업 종사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 부재

1) 하이라인 홍보와 그 보전 사업에 지출함기존 사업 종사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


치는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동산 가치로 인해 기존의 토박이 업체들은 외부로 이
전해가고 새로운 고급 유흥, 오락시설 및 디자이너 부띠끄 등이 들어섬.

[그림 Ⅱ-5-8] 10번가 미트패킹 상업지구 활성화 이전 (좌) 이후 (후)

2) 플로렌트 모아레의 이주 : 식당’플로렌트’의 주인이자 게이 커뮤니티의 일원인 플로렌


트 모아레는 지역 주민의 상당수를 이루는 게이의 인권운동가이며 이 지역의 랜드마크
지정을 강력히 지지하여 지역의 개선에 앞장섰음에도 불구하고, 시장논리에 의해 해업한
지 23년이 지난 2008년, 식당을 닫음.

[그림 Ⅱ-5-8] 플로렌트 모아레, 2008년 폐업.


128
page
5.6 시사점

- 고학력, 고소득의 회원들로 구성된 비영리 민간단체의 전문적인 사업수행력 :


FHL과 GVSHP는 이전의 공공부문에서 진행하던 업무를 민간단체에서 맡아 진행
하는 최근 21세기 미국 시민활동의 경향을 반영함.
- 지역 기반 이익집단과 모든 참여 기관 대표자들의 정기적인 회의과정을 통해 이
112
해 관계의 충돌을 최소화함 .
- 10년이하의 짧은 기간동안 수행된 사업으로서, 지역의 역사적 특성을 유지하면
서도 중심상업, 유흥지로 성공적인 개발을 이뤄낸 점에서, 다른 도시들의 과거
산업 지역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귀감이 됨.

112
미트패킹 지역의 사례는 다자간 주체가 자신들의 개별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어떻게 개별적인 역
129

량을 협력하여 즉각적인 통합 과정을 진행하는지 보여줌. 특히 FHL이나 GVSHP와 같은 지역 주민 단


체는 시 기관과 기타 이익집단간의 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2002년 12월에서 2004년 3월까지
page

의 짧은 시간 동안의 시간 계획을 신중하게 처리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