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엔지니어링 리포트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 내진보강 공사
Seismic Retrofit Techniques for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Deoksugung)

황 대 성 Hwang, Dae Sung


비코비엔(주) 대표이사
CEO, BCOBEN
bcoben10@gmail.com

머리말 중 발생한 화재로 석조의 구조만을 남기고 전부 소실되


었으며 이를 1953년에 수리하여 현재까지 미술관으로 사
2016년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 발생으로 경주의 문 용되고 있다. 한국의 근현대 미술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
화재가 다수 피해를 입은 이후 도서관과 박물관, 미술관 는 국립현대미술관은 2013년 건립된 서울관을 제외하고
의 내진설계 및 내진보강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러한 덕수궁관을 포함한 나머지 미술관에는 내진설계가 적용
시설은 국가 문화자원 및 지식정보자원 등이 보관된 곳 되지 않았기 때문에 2016년부터 이에 대한 내진보강 설
인 만큼 지진으로 인한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정확한 실 계 및 내진보강 공사에 관한 사업이 추진되었다. 국립현
태 점검과 시급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국 대미술관 덕수궁관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문화재보호법
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1998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 에 따라 관리되는 문화재적 특성을 고려하여 내진보강
관으로 정식 개관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에 위치한 미술 공사로 인한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 건물과 조화를 이
관이다. 덕수궁 석조전은 1936년에 지어졌으나 한국전쟁 룰 수 있도록 보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림 1.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 전경

72 건축 I 제66권 제06호 I 2022년 06월호

www.dbpia.co.kr
Engineering Report

여기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내진보강 공 최소한의 용접작업으로 조립 및 설치하기 때문에 매우


사에 사용된 공법과 그 적용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안전한 시공방식이다.

H형강 창호프레임 내진보강 공법의 성능검증


현장개요 본 공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높이 7.2m, 폭 3.55m
의 2층 규모를 가지는 실물크기의 골조를 제작하여 유사
공 사 명 :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 내진보강공사 동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동일 지진하중 200gal
발 주 처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현대미술관 을 가했을 때 지진응답변위는 무보강 골조 시험체 대비 H
공사기간 : 2022. 03. 25. ~ 2022. 05. 10 형강 창호프레임 내진보강 공법을 적용한 시험체의 최대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덕수궁 하중은 3.2배 향상되었으며, 지진응답변위는 약 76% 억
준공연도 : 1936년 제된 것으로 나타나 효과적인 내진보강이 가능한 공법인
구 조 : 철근콘크리트, 석조 것으로 판단되었다.
규 모 : 3층 / 3,428.47m2

H형강 창호프레임(방재신기술 60-2호) 내진보강 공법

H형강 창호프레임 내진보강 공법의 개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H형강 창호프레임 내진보
강 공법은 H형강을 프레임 형태로 제작하여 보와 기둥으
로 이루어진 기존 입면의 면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강 그림 2. H형강 창호프레임 시스템 기술(매립형)
도 및 강성 증진형 보강기술로서 수평내력 및 변형능력
에 매우 효과적이다. H형강 창호프레임은 수평재와 수직
재, 그리고 수평재 및 수직재의 중간에 위치한 그림 3의
컨트롤 박스(control box)로 구성된다. 수평재와 수직재
의 결합으로 프레임이 구성되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시공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컨트롤 박스를 통해
수평재 및 수직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그림 4
와 같이 타원형의 슬롯 홀(slot hole)을 통해 시공시 기존
그림 3. 컨트롤 박스(control box) 그림 4. 슬롯 홀(slot hole)
부재의 철근과 앵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H형
강 창호프레임에 원활한 하중 분포를 위해 Panel zone에
추가적인 보강재가 시공된다.
프레임을 기존 구조물의 내부에 끼우는 형식으로 설치
되기 때문에 입면에 변화가 없고 공간에 장애 요소가 없
다는 장점이 있다. 외부 마감을 보존해야 하거나 철거 작
업을 최소화해야 하는 등의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매립
형, 입체형, 삽입형의 시공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장에서 제작하고 이를 이동하여 현장에서 그림 5. 실물성능실험 전경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I 2022.06 73

www.dbpia.co.kr
엔지니어링 리포트

레임은 그림 8과 같이 지상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모두


27개소에 보강 적용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H형강 창호
프레임은 실내 반입시 컨트롤 박스를 중심으로 4개 부재
로 분절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후 조립.설치된다. 반
입된 H형강 창호프레임은 상부 보에 설치된 인양도구로
프레임을 인양하고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한다. 이 때, 안
전한 현장 작업을 위해 상부 및 하부에 2개소 이상의 줄
을 설치하고 인양속도를 5m/sec 이하로 한다. H형강 창
호프레임의 거치가 완료되면 신속하게 낙하방지용 앵커
를 수직부재 좌측 및 우측에 각 2개소씩 시공한다. 이후
그림 6. 무보강 시험체의 하중-변위
드릴을 사용하여 계획된 위치에 천공 작업을 실시하고
내부 이물질 제거, 케미컬 앵커액 주입, 앵커볼트 삽입
순으로 케미컬 앵커 시공을 통해 H형강 창호프레임을 기
존 구조체에 긴밀하게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기존
구조체와의 이격이 생긴 부분에는 무수축 모르타르 및
에폭시를 충전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2022년 3월 25일에 시작한 덕수궁관 내진보강공사는
현재 진행중이며 2022년 5월 10일 전후로 완료될 예정
이다.

그림 7. H형강 창호프레임으로 보강한 시험체의 하중-변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내진보강


그림 8. 3D 모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1938년에 준공된 건물로


콘크리트 압축강도 12.6MPa, 철근 인장강도 180MPa로
측정되었다. 또한 2단계 상세평가 결과, 강도 및 강성이
부족한 상태로 본 공법을 사용한 강성보강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덕수궁관은 문화재 시설로, 공사로
인한 훼손이 없어야 하며, 특히 외관은 본래의 모습을 유
지해야 했다. 또한 전시시설인 만큼 공간 활용성을 저하
시키거나 미관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보강이 수행되어
야 했다. 따라서 미관을 해치지 않는 곳에 H형강 창호프
레임을 내부 끼움형태로 보강하여 공간 활용성 또는 평
면계획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덕수궁관의 내진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H형강 창호프 그림 9. H형강 창호프레임 설치 전경 1

74 건축 I 제66권 제06호 I 2022년 06월호

www.dbpia.co.kr
Engineering Report

그림 10. H형강 창호프레임 설치 전경 2 그림 11. H형강 창호프레임 설치 전경 3

맺음말 관의 내진보강 공사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지진은


자연재해로 그 발생을 막을 수는 없지만, 적절히 대처한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국가적으로 또는 문화유적으로 다면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최소화할 수 있다.
보존할 가치가 있는 미술관 및 박물관 등은 내진설계를 이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도 지진에 대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문화재 비한 안전한 건축물이 될 수 있도록 우수한 내진보강 공
의 특성상 철거 및 훼손에 대한 제약이 많고 전시시설이 법 개발 및 적용에 지속적인 관심이 유지되기를 기대한
라는 특수성 때문에 내진성능이 부족한 미술관 및 박물 다.

58 퍼블릭 스페이스 in 도쿄 _새로운 도시 공간을 위한


코퍼레이티브 디자인

“도쿄 퍼블릭 스페이스의 58가지 매력” 2020년 2월에 출간한「역·도시 일체개발 46의 매력」에
이은 두 번째 시리즈 발간으로써, 도쿄의 다양한 퍼블릭 스페이스의 구조와 그 형성의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퍼블릭 스페이스가 도시만들기에 있어서 중요한 테마의 하나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도쿄의 무수한 퍼블릭 스페이스 중에서도 1990년
버블경제 붕괴 후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비교적 새롭고 도심에 가까운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생활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공공과 민간이 협력의 과정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는 프로젝트의 구상과 계획 단계에 그치지 않고, 준공이후 운영까지의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꼼꼼히 살펴보고 있어 미래의 도심환경을 만드는 데 실효적인 힌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병균, 김미화_역자 | 2022년 3월 30일 | 도서출판대가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I 2022.06 75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