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한국경제의 이해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이충열 교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1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1. 공공재와 경제인프라
국민경제의 순환
수입 지출
재화와 용역 시장
재화용역 판매 재화용역 구입

기업 가계

생산요소 구입 생산요소 공급
생산요소 시장
임금 , 이자 ,
소득
지대 , 이윤
2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자연 독점산업 : 규모의 경제효과가 너무 큰 산업 : 전기 , 철도 등


• 규모의 경제효과 : 생산할 수록 평균비용이 하락하는 산업
• KTX 을 1 명이 타기 위한 비용 : 엄청난 전체 건설 비용 ( 철로 , 역사 등등 ) =>
그런데 2 명이 타고 가면 인당 비용은 반값 => 1,000 명이 타면 1/1000, => 1
억명이 타면 ? 보다 많은 사람이 타 수록 평균비용이 하락하는 산업임 .
• 이 경우 2 개의 회사가 각자의 철도라인을 갖는 것보다 , 하나의 라인을 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 .
• 이렇게 설치 비용이 크고 , 규모의 경제 효과가 큰 사업은 자연적으로 독점이 되는
산업임 .
• 독점이 되면 기업들은 함부로 가격과 생산량을 조절하여 국민들이 피해를 받음 =>
독점 기업의 문제점 발생
• 때문에 자연독점산업의 기업은 정부가 규제하거나 공사를 통하여 운영함 :
철도공사 , 도로공사 , 한국전력 등등
3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3. 1960-70 년대의 열악한 경제인프라

 전기공급의 부족
• 원래 북한의 수력 전력이 풍부하였음 . 그러나 해방 이후 북한에서 남한을
향한 전력 사용에 대한 대금을 청구하고 , 전기공급을 끊음 .
• 수도 서울도 일주일에 몆번씩 정전이 발생함 .

 통신시설은 ?
• 절대적으로 부족한 통신 시설
• 1965 년도 인구 100 명당 ( 유선 ) 전화보유대수 0.8 명
• 부자들만 전화 소유 : 동네 이웃들의 전화를 한집에서 받아 주었음 .

4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한국 전쟁과 ( 경제 ) 인프라
• 도로와 철도 등 그나마 있는 경제인프라는 한국전쟁때 파괴되었음 .
• 한국정부는 이를 복구할 자금이 없었음 . 따라서 해외 원조자금을
활용하게됨 .
• 대체로 원조자금 및 차관은 상대적으로 낮은 이자율에 장기 (20-30 년 후
상환하는 구조임 .
• 건설 후 해당 기업이 사용자에게 서비스요금을 받고 , 이 요금으로 차관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함 .
• 예 ) 발전소 건설 후 전기 생산 => 전기요금 청구 => 한전의 수익 =>
이자 및 원금 납부함

5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한강인도교의 복구
• 1950 년 한국전쟁 발발후 폭파되었으나 다리를 복구한 철강이 없었고 이를 사올
돈도 없었음 : 미국의 지원을 기다림
• 결국 8 년 후인 1958 년에 복구함
• 2022 년 3 월 서울 한강에는 대교 28 개와 철교 4 개 등 총 32 개교가 있음

6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지하철 1 호선 : 지하철을 만든 자금도 기술도 없었음 .


• 일본으로부터 272 억 엔의 자금을 받고 , 일본의 기술을 사용하여 1974 년 완공함 .
• 서울 청량리에서 서울역까지 , 인천 , 수원으로 연결되어 수도권 전철의 시작 .

7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소양강댐 : 춘천 북쪽의 다목적 댐으로 1973 년에 준공됨 .


• 123m 의 높이 , 530m 길이의 댐 .
• 농업용수 확보 , 홍수 방지 , 전기 공급 및 서울 시민의 식수 확보
• 1967 년 미국의 기술지원 , 일본으로 부터 14 백만 달러의 차관을 받아
완공됨 .

8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4. 경부고속도로의 건설
 경부고속도로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416.1km 고속도로로 항시
자동차로 북적이는 곳 :

서울

부산

9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최초 편도 2 차선에서 지금은 편도 3-4 차선으로 확대되었음 .


 1968 년 2 월 1 일부터 1970 년 7 월 7 일 : 2 년 5 개월 소요
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B%B6%80%EA%B3%A0%EC%86%8
D%EB%8F%84%EB%A1%9C

10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경부고속도로가 필요하였는가 ?
•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에서 대외개방적인 경제정책을 수행하려면 반드시 필요함 .
• 수도권의 생산과 영남권의 항구간 연결이 반드시 필요함 .
• 그러나 워낙 교통량이 적어서 외국 기관들은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았음 . (1965 년도
전국 5 만대 )
< 그림 1> 승용차 대 ( 만대 )
(10,000)

11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박정희대통령은 어떻게 경부고속도로를 지을 수 있었는가 ?.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1450897
• 세계은행은 한국정부의 차관 요청을 거부하였음 . 때문에 한국정부는 국내
자금만으로 건설을 추진함 .
• 국내 많은 정치가들이 반대함 : 이는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임
• 이것이 도박이었는 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대성공으로 판명됨

< 표 1> 경부고속도로 건설비 재원

연도
백만원 총금액 구성비 (%)
1968 1969 1970
전체 7,557 25,444.0 9,972 42,973.00 100.0
국내 자원 6,738 24,471.5 9.972 41,081.50 95.6
대일청구권 자금 819 1,072.5 - 1,891.50 4.4

12
4-3 경제인프라의 구축 한국경제의 이해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원은 왜 서울 구로동과 경기도 안산에 위치하는가 ?


• 고려대학교는 1970 년대 말 의과대학 병원을 건설하고 싶었지만 자금이 없었음 .
• 이에 독일 개발은행 (Kreditanstalt für Wiederaufbau) 의 차관을 받아 건설에 착수하였음 .
• 독일개발은행은 반드시 공업단지에 병원을 건설하여 노동자들이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
(1980). => 서울 구로공단과 안산 반월 공단 근처에 병원을 건설함 .
• 때문에 이들 병원은 근로자들의 응급의료와 외상 치료 전문기관으로 성장함 .

1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