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한국경제의 이해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이충열 교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1
1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1 인당 GDP 가 매우 빠르게 성장함 : 1962 년 89.8 달러에서 7 차 5 개년 계획이


마치는 1996 년에는 13,397.6 달러 , 150 배가 증가함 .

< 그림 1> 1 인당 GDP ( 미달러기준 )


16,000
13,397.6$ 1996
14,000

12,000 10,383.1$ 1994

10,000

8,000 5,817.7$ 1989

6,000

4,000
1,095.9$ 1977
89.8$, 1962
2,000

2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한국의 1 인당 GDP 가 1960 년에는 세네갈의 1/3, 아르헨티나의 7% 에


불과하였으나 ,
Senegal 313 $
Kenya
Ghana
Portugal
Spain
1 인당 소득 ($) 1960 년
Greece
Brazil
Argentina 1,156
Turkey
Iran
Thailand
India
Korea 79 $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3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한국의 1 인당 GDP 가 1960 년에는 세네갈의 1/3, 아르헨티나의 7% 에


불과하였으나 , 1996 년에는 이들보다 높아졌다는 사실 !
Senegal 720
Kenya 1 인당 소득 ($) 1996 년
Ghana
Portugal
Spain
Greece
Brazil
Argentina 7,721
Turkey
Iran
Thailand
India
Korea 13,403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4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7 차 , 35 년에 걸친 5 개년 계획중에서 목표 경제성장율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는 제


4 차 1977-81 년 한번에 불과하다는 점 : 항시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였음 .

목표 경제성장률과 실제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
목표치 (%) 실제치 (%)
1 차 (1962-66) 7.1 7.8
2 차 (1967-71) 7.0 9.6
3 차 (1972-76) 8.6 9.2
4 차 (1977-81) 9.2 5.8
5 차 (1982-86) 7.6 9.8
6 차 (1987-91) 7.3 10.0
7 차 (1992-96) 7.5 7.9
5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경제성장률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함 : 경기순환 : 그러나 이 기간 중 매우 높은
경제성장율을 기록하였음

< 그림 2> 경제성장률 ( 원화 기준 , 실질 , %)


16
14
12
10
8
6
4
2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2
-4

국내총생산 ( 실질성장률 ) 경제개발계획 평균성장률


6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또한 1960-80 년대 초까지 물가상승율이 매우 높았고 , 특히 1970 년대는


고물가 시대였으나 1980 년 대 이후는 안정세를 찾음 .

소비자물가상승율 (%)
35
30
25
20
15
10
5
0
9 66 968 970 972 974 976 978 980 982 984 986 988 990 992 994 996 998 000 002 004 006 008 010 01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7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국제유가가 1 차 오일쇼크와 2 차 오일쇼크 때 매우 크게 상승하였고 , 이는 한국


물가상승율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음 .
 1985 년부터 국제유가는 크게 하락함 .

국제 유가 (1 배럴당 가격 $)
40
35
30 2 차 오일쇼크 (78-79)
유가하락 (85-86)
25
20
1 차 오일쇼크 (73-74)
15
10
5
0

8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수출이 매우 빠르게 증가 : 1962 년 5481.4 만달러 수출 => 1964 년 1 억달러 ,
1977 년 100 억달러 , 1996 년 1,297.2 억달러 , 2020 년 5,127.8 억 달러로 증가 .

180
160
140
120
100
한국의 수출
80
60
40
20
0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한국의 수출증가율은 세계 평균에 비하여 크게 높았음

한국과 세계의 수출증가율 (%)


60

50

40

30

20

10

0
197 197 197 197 197 197 197 197 197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9 199 199 199 199 199 199 199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10

한국 세계

10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수입도 수출과 함께 매우 빠르게 증가하였음
 수출 증가에 따른 원자재증가 , 투자 증가에 따른 자본재 수입 증가

한국의 수출과 수입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수출 (10 억달러 ) 수입 (10 억달러 )

11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한국의 수입증가율은 세계 평균에 비하여 크게 높았음 : 원자재 및 자본재를 계속
수입하여야 하는 구조임 .

한국과 세계의 수입증가율 (%)


40
35
30
25
20
15
10
5
0
197 197 197 197 197 197 197 197 197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8 199 199 199 199 199 199 199 199
-5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10

한국 세계

12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세계 평균에 비하여 크게 높았음 .

경제성장률 (%)
16
14
12
10
8
6
4
2
0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2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4

한국 고소득국가 중소득국가 세계

13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상품수지 혹은 무역수지 ( 수출 - 수입 ) 은 1962 년 -1984 년까지 적자 지속
 1985-89 년 흑자 발생 , 1998 년 이후 지속적 흑자 유지

한국의 무역수자
15000 10

10000
5

5000
0
0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5000 -5

-10000
-10
-15000

-20000 -15

금액 ( 천만달러 , 왼쪽축 ) GDP 비율 (%, 오른쪽축 )

14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한국의 서비스 및 소득 수지는 1970 년대 후반 항시 흑자를 기록함 :


중동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이 많은 돈을 벌어 왔음 .

( 백만달 서비스와 소득 수지
경상수지 상품수지 비상품수지
러) 수지 수입 지급
1975 -1,886.9 -1,671.7 -442.2 94.2 405.5 311.3
1976 -313.6 -590.5 -71.8 413.6 944.7 531.1
1977 12.3 -476.6 266.0 914.2 1,959.1 1,044.9
1978 -1,085.2 -1,780.8 224.0 1,270.7 3,072.7 1,802.0
1979 -4,151.1 -4,395.5 -194.6 1,651.7 3,105.1 1,453.4
1980 -5,320.7 -4,384.1 -1,385.9 1,396.8 2,818.6 1,421.8
1981 -4,646.0 -3,628.3 -1,518.4 1,492.0 3,344.5 1,852.5
1982 -2,649.6 -2,594.4 -554.2 2,325.7 3,881.6 1,555.9
1983 -1,606.0 -1,763.5 -434.6 1,803.5 3,578.6 1,775.1
1984 -1,372.6 -1,035.9 -877.6 1,671.2 3,495.7 1,824.5
1985 -887.4 -19.0 -1,446.1 165.4 1,824.5 1,659.1

15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1986-89 년 대호황시대에 3 저 효과에 따라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경제성장률도 높음 .
 3 저 효과는 저유가 , 저금리 및 저환율 ( 혹은 저물가 ) 에 기초함
• 저유가 : 석유가격이 낮아져 석유수입에 따른 수입 대금이 감소
• 저금리 : 이자율이 낮아져 외채에 대한 상환 이자 금액이 감소
• 저물가 혹은 저환율 : 우리나라 물가가 낮아져 우리나라 상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지게 됨 .

16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농업중심의 국가에서 제조업 및 서비스업 중심국가로 산업구조가 개편됨 .
100%
90%
80%
70% 서비스업
60% 건설업

50%
40%
30%
20% 제조업
10% 농업
0%
960 962 964 966 968 970 972 974 976 978 980 982 984 986 988 990 992 994 996 998 000 002 004 006 008 010 012 014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17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그림 3> 산업별 생산 (%)
100%
기타
90% 4.6 11.3 8.2
80%
서비스업
70% 38.8 서비스업
62.4 서비스업
60% 48.0
50% 10.3 제조업
40%
30% 24.7 27.7
제조업
20% 46.1 농업
1.8 제조업
10% 16.0
농업
0%
1955 1980 2019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Manufacturing
Services Others
18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 인구의 대부분이 농부에서 제조업 및 서비스업 노동자로 .


산업별 고용
100

90
서비스업
80

70

60

50

40 제조업
30 농업
20

10

0
1965 1970 1980 1990 2000 2010 2015 2019

19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한국제조업의 업종별 생산구조


산업별1960
고용 1980 2000 2018
제조업 전체 100.0 100.0 100.0 100.0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36.5 10.7 6.1 4.4
섬유 및 가죽제품 제조업 25.2 23.2 7.9 4.1
목재 , 종이 , 인쇄업 9.2 4.8 4.2 2.7
석탄 및 석유제품 및 화학 제조업 3.4 2.5 2.9
9.7
화학제품 제조업 16.5 12.8 13.6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4.9 6.4 4.0 2.6
1 차 금속 및 금속제품 제조업 10.3 13.3 13.5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5 8.1 9.0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 13.0 10.6 24.9 31.8
정밀기기 제조업 1.7 1.4 2.1
20 운송장비 제조업 5.3 13.1 11.8
5-1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성과 한국경제의 이해
01 < 그림 4> 제조업 부문별 생산 비율

100%
90%
80% 기계전자금속산업
70%
60%
50%
40%
30%
화학 및 비금속산업
20% 노동집약적산업
10%
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19
Labor Intensive Industry Petrochemical and Non-metal Industry
Metals, Elctronics and Machinery Others
2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