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1주차

> 다음 중 G20 해당 국가가 아닌 것은?

a. 영국 b. 베트남 c. 미국 d. 한국

// G20 국가: 호주,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인도, 러시아, 남아프리카, 터키, 아르헨티나, 브
라질, 멕시코,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 다음 중 본 강의가 설명하려는 내용이 아닌 것은?

a. 일제강점기의 한국경제

b. 1960-80년대 한국경제의 고도성장기

c. 20세기 세계 경제의 흐름

d. 고용과 실업, 소득분배 등 최근 한국경제가 겪는 문제들

> 16세기 대항해 시대에 유럽인들이 아시아로 가서 구입하려 했던 물품은?

a. 은 b. 후추 c. 비단 d. 노예

> 본 강의의 강의 성격이 아닌 것은?

a. 한국경제 변화의 시대순 설명

b. 각종 경제 및 사회 통계지표를 활용

c. 세계 경제 속에서 한국경제의 위상을 중심으로 설명

d. 많은 경제이론을 집중하여 설명

> 2차 세계 대전 이후 1990년대까지 자유시장주의 국가들 사이에서 세계 무역 질서를 담당하였


던 조약은?

a. WTO b. GATT c. 제국주의 조약 d. UN


> 1960년 초반 한국의 연간 1인당 GDP는 대략 얼마인가?

a. 10,000달러 내외

b. 5,000달러 내외

c. 1,000달러 내외

d. 100달러 내외
2주차

> 이집트가 경제발전을 위하여 80년대 이후 선택한 산업은?

a. 관광업 b. 농업 c. 제조업 d. 항구업

> 카타르 지역의 특징은?

a. 사막 b. 극지방 c. 열대 정글 d. 산악지역

> 네팔을 둘러싼 나라가 아닌 것은?

a. 중국 b. 인도 c. 파키스탄

> 생산함수란?

a. 상품의 소비와 가격 간의 관계식

b. 경쟁시장에서 가격이 싼 상품이 팔리는 이론

c. 투입물과 산출물 간의 관계식

> 다음 중 한국과 한국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

a. 1차 대전에 직접적인 참전 국가이다.

b. 단일민족 국가이다.

c.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다.

d. 19세기 후반에 서양문물을 처음 접하였다.

> 한국의 기후는?

a. 한대기후 b. 극지방 기후 c. 열대기후 d. 온대기후


3주차

> 1950년대 한국의 소득 원천은 어디에서 왔는가?

a. 싱가포르 b. 카타르 c. 일본 d. 미국

>다음 중 1960-70년대 중반까지 실시된 한국의 제 1~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특성이 아닌
것은?

a. 물가안정정책

b. 적극적인 산업정책

c. 성장우선정책

d. 수출주도형정책

> 다음 중 경재개방도를 의미하는 것은?

a. (수출+수입)/GDP

b. (수입)/GDP

c. (수출)/GDP

d. (해외투자)/GDP

> 1950년대 우리나라가 많이 갖고 있었던 생산요소는?

a. 기술 b. 노동 c. 자본 d. 원자재

> 한국이 쌀 생산을 늘리기 위하여 만든 쌀은?

a. 정부미 b. 안남미 c. 백미 d. 통일벼

> 다음 중 20세기에 들어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하지 않은 국가는?

a. 미국 b. 한국 c. 소련(러시아) d. 중국
4주차

> 고려대학교 안산 및 구로 병원 건설에 자금을 지원한 국가는?

a. 미국 b. 독일 c. 일본 d. 영국

> 다음 중 한국이 산업정책으로 사용한 방법이 아닌 것은?

a. 정부의 육성 산업 선택

b. 산업단지 조성

c. 노동력 개선

d. 금융기관을 통한 금융지원

> 다음 중 1976년 현대자동차를 처음 수출한 국가는?

a. 미국 b. 멕시코 c. 일본 d. 에콰도르

> 한국에서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는?

a. 영동고속도로

b. 호남고속도로

c. 경인고속도로

d. 경부고속도로

> 다음 중 한국이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시 풍부하였던 생산요소는?

a. 노동 b. 자본 c. 원자재 d. 기술

> 다음 중 1960-70년대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 혹은 업종이 아닌 것은?

a. 전자기계산업 b. 섬유업 c. 농업 d. 가발생산업


5주차

> 다음 중 물 오염으로 인한 사건은?

a. 원진레이온사건

b. 노동자근로조건

c. 수도권 인구 집중 사건

d. 낙동강 페놀 사건

> 다음 중 간접금융시장의 대표적인 금융기관은?

a. 은행 b. 증권사(금융투자사)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업들을 포함하는 주가지수는?

a. KOSDAQ b. KOSPI c. NASDAQ d. KORNET

> 다음 중 세계 석유가격이 급등하였던 시기는?

a. 1980년대 b. 1960년대 c. 1970년대 d. 1950년대

> 6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간중인 1987-1991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에 가까운 것은?

a. 5% b. 2% c. 10% d. 20%

> 다음 중 한국 경제발전 계획의 부작용이 아닌 것은?

a. 지역간 불균형성장

b. 대기 오염

c. 대기업 활성화

d. 첨단산업 육성
6주차

> 은행위기를 설명하는 것이 아닌 것은?

a. 기업들의 투자 활동은 계속할 수 있음

b. 시스템 위험이라고도 부름

c. 은행이 문을 닫거나 파산

d. 은행 시스템 자체가 붕괴됨

> 채무상환불능 은행위기를 설명하는 것이 아닌 것은?

a. 자본침식이 일어남

b. 무수익여신이 자본금보다 작은 경우 일어남

c. 경제 전체가 불경기가 될 수 있음

d. Bankrun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 은행의 업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닌 것은?

a. 예금을 받고 대출하는 기관

b. 대출과 유가증권 관리

c. 국내 주식, 채권, 부동산 구입만 관리

d. 예금자에게 원금과 이자 제공

> 대차대조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함

b. 자변에는 자산, 대변에는 부채와 자본을 씀

c. 자본 = 부채 + 자산

d.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함


> 20세기 한국의 은행 산업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 한국의 은행들은 일찍이 자율성이 보장되었다.

b. 한국의 은행들은 소비자 대출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c. 한국의 은행들은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d. 한국의 은행들은 외국계 은행에게 개방되어 있었다.

> 한국의 금융기관 중 가장 자산(혹인 재산)이 많은 금융기관은?

a. 은행

b. 종합금융회사

c. 신용협동기구

d. 보험회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