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230914

3-4주차 경제개발, 산업화, 도시화, 농촌해체

I. 경제개발과 산업화

- 산업화(industrialization), 경제발전의 경과, 사회적 변화에 주목

표 산업분류별 GDP 및 취업자 구성 (단위:%)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생산액*** 40.0 31.7 17.8 9.0 4.7 2.4 2.0
농림어업
취업자 68.3 50.4 34.0 17.9 10.8 6.5 5.4
생산액 14.3 19.3 25.3 29.4 31.6 27.4 27.2
광공업
취업자 14.1 14.4 22.5 27.6 20.2 17.0 16.3
생산액 45.7 49.0 56.9 61.6 63.7 70.2 70.7
사회간접자본,
기타 서비스 취업자 17.6 35.2 43.5 54.5 69.0 76.5 78.3

*14세 이상 산업별 인구
**취업자는 2017년 기준 자료 사용
***시장가격 기준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연보 각호, KOSIS DB

- 불균형성장이론 기반 (“선도 부문=공업” 발전 우선),


외자 의존, 저임 노동력(과잉인구) 활용 – 노동집약형 산업(섬유, 신발, 조립형 중화학)

- “산업화 세력론 = 군사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 합리화” vs “노동자의 희생과 기여”

- 최초의 경제개발 계획은 민주당 정권이 입안(1960)


1960 –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1960-1962 종합경제개발 3개년 계획, 균형성장,
고용, 노동생산성 증가 강조,

4.19 이후 , 1962-1966 5개년 계획으로 수정 (1962~1996)

5.16 이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수정, 실행

1982-1986 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용어 사용

1992-1996 7차 계획으로 마감 = 외환위기 반영 - 정부 역할 축소, 시장 주도



규제완화, 신자유주의, 고용불안(유연성 문제)

- 1 -
- 박정희 시대 (1961-1979)
1) 혼합경제(정부의 시장 개입, 발전국가), 중농정책, 수입대체 산업화,
“재건국민운동(5 16 군정) → 새마을운동(유신정권)” “대중동원과 Fascism”

- 2 -
https://youtu.be/V_xYeDoXP_s (새마을노래)

1965년 한일협정-청구권 자금(무상 3억$, 유상 2억$), 차관과 부실기업, 외채 망국론



민족경제론(내포적 공업화, 농공병진) - 변형윤, 박현채, 유인호,

민주화운동, 재야의 이론적 배경,

* 농촌 분해와 이농, - <앞의 표 , 취업구조, 산업구조>,

2) 1970년대 수출정책 (3:00-3:55)


차관 원리금 상환 문제 – 수출드라이브
노동집약적 경공업 (과잉인구의 존재)

1970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동조합 및 노동쟁의 조정에 관한 임시특례법”.


“수출자유지역 설치법‘ = 마산, 이리
(2000년,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등에 관한 법률, ’자유무역지역‘으로 명칭 변경)
https://pl-pl.facebook.com/cwopenspace/videos/2525006917576768/

선진국 시장의 무역마찰 발생, 임금상승 압력 발생

1973.1.12. - 중화학공업화 선언 (고부가가치산업) (방위산업-’자주국방‘)

- 3 -
1974 4차계획 – 중화학공업화 - 방위산업
조립가공형 중화학공업(조선) → 방위산업, 중화학공업단지 = 창원
“부품산업 하향식 육성 ?”

창원공단 전경

1973 석유파동과 중동경기

https://youtu.be/XbKnC7PPcLw - 중동건설 홍보 영상

노동시장의 전환점 (농촌 과잉인구 해소, 1977, 1978 시작) = 노동자의 교섭력 발생

노동시장 직종별 수급 불균형(mismatch)와 실업 문제의 혼동 계속

1979년 8월 YH여공 신민당사 농성 사건

- 4 -
II 고도 경제성장과 사회변동

5개년 계획 기간별 경제성장률 및 수출입증가율 (단위: %)

연평균 경제성장률 연평균 수출증가율 연평균 수입증가율


제1차 62-66 7.9 43.6 17.8
제2차 67-71 9.6 33.7 27.3
제3차 72-76 9.2 48.5 29.7
제4차 77-81 5.8 22.5 24.4
제5차 82-86 8.6 10.3 3.9
자료: 이상철, 2005, ’수출주도 공업화 전략으로의 전환과 성과‘, 이대근 외,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나남출판, p.398

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5/dc7b2b53-6cfd-42d6-95dd-
1bb24b0c11f4.jpg 2020.9.25.13.25 접속

- 직업 구조의 변화

직업별 취업자 2020


계 100.0
* 관리자·전문가(1,2) 21.8
1 관리자 1.5
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20.4
3 사무 종사자 17.4

- 5 -
* 서비스·판매 종사자(4,5) 22.1
4 서비스 종사자 11.3
5 판매 종사자 10.8
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5.1
* 기능·기계조작·조립·단순노무 종사자(7~9) 33.5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8.7
8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11.0
9 단순노무 종사자 13.8

<계급 분화 - 노동자계급, 신중간계급의 등장>



전태일 사건(1970.11.13.), YH사건(1979.8.), 동일방직사건(1977-78),
한국노총의 어용화, 산업선교-지식인-종교인의 노동운동 주도,

유신 (1972.10.17.) = 노동자의 경제적 동원, 정치적 탈동원 ,


최장집, 1988,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황석영 – 객지, 돼지꿈>, <유해우(삼원섬유)-어느 돌멩이의 외침>,


<석정남(동일방직)-불타는 눈물>

<비참한 여공 vs 해방된 여성 vs 여공문학 Ruth Barraclough>


여공문학 섹슈얼리티, 폭력 그리고 재현의 문제
루스 배러클러프 저 / 김원, 노지승 공역 | 후마니타스 | 2017년 07월

3) 1980년대
중화학 중심, 남성노동자의 조직화
무역흑자 전환,

1987 노동자대투쟁 = 임금인상, 규모별 노동조건 격차 (정이환 참조)


노동조건의 기업내 균질화, 기업간 이질화 진행

*** 신흥공업국으로 등장 ***


NICs, NIEs, ANIEs (4마리의 용) = 한국, Taiwan, HK, Singapore

남미 기반 종속이론 (dependency theory)의 부정 ? semi-periphery ?
유교자본주의론 (漢字문화권론)의 등장

- 6 -
***국내 - 자본주의 논쟁 등장 (한국은 자본주의인가, 식민지반봉건사회인가)***
⇩ ⇩
PD파 노동(계급)운동 NL파 반미(통일)운동
<현재 80년대 민주화운동권 출신 정치세력 성향을 규정>

4) 1990년대

- 고소득 노동자의 등장

- 1997 외환위기와 구조조정, 유연성(flexibility)담론

- 1996-1997 노동법 개정 파동,


민주노총 합법화(제3자 개입 금지 조항 철폐)와 “정리해고 허용”

- 노동집약적 제조업의 해외이전과 업종의 교체 (구로공단의 IT 산업) 200910 촬영

지식산업센터 = 아파트형 공장

- 7 -
유통거점으로 변한 공장

기억 보존용 박물관

- 8 -
- 이주노동자 유입

이주민 대량유입과 행정적 관리 = 통계조사 - 안산 풍경 140623

안산의 구인광고 140623

- 9 -
- 1998 DJ 정부 – 규제완화(신자유주의) = 시장화, 산업정책 축소,

* 논의 = “금 모으기 운동의 평가” vs 고용 불안 문제,
정신동원으로 문제 회피 ? 대기업-중소기업-불공정 거래-방치

https://youtu.be/8SFqwFpI3rg (금모으기 운동)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12241.html IMF 외환위기와 정리해고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62765

- 10 -
III 도시화와 농촌해체

<프레시안 2020.2.29. 서민철, 수도권 인구 50% 초과 기사>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내일신문 2019.10.11. 이종구, 고향 소멸 칼럼>

- 도시화 상황 = 귀성 인파 vs 역귀성 (코로나와 귀성, 성묘 자제 캠페인)

1) 도시화 경향 (인구 기준)


1997 2000 2010 2020
도시지역
87.2 88.3 90.9 91.8
기준
도시지역 인구비율(%)
행정구역
85.9 87.7 89.6 90.2
기준

도시지역기준- 지목 50% 이상 도시 용도,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용도지역 기준과 행정구역 기준으로 구분
- 용도지역 기준 : 전국 인구에서 도시지역내 거주인구의 비율
* 도시지역 : 주거·상업·공업·녹지 지역
* 비도시지역 : 관리, 농림, 자연환경보전지역
※ 2003년도 이전 도시인구는 도시계획구역내 인구,
2003년 이후부터 도시지역내 거주인구
- 행정구역 기준 : 전국인구에서 읍급이상 거주인구의 비율
도시지역 인구비율 = (읍급이상 인구/전국인구)*100

- 도시지역기준 : 주거·상업·공업·녹지 지역
* 비도시지역 : 관리, 농림, 자연환경보전지역

- 11 -
-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국토 약 16.7%(1만7789㎢)에 국민 열중 아홉이 살고 있다.

-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1970년 50.1%를 기록한 이래 1980년 68.7%, 1990년 81.9%, 2000년
88.3%, 2019년 91.8%로 증가 추세다.

- 도시화는 세계적 시야에서 이해 필요: “세계의 농촌” ⇨ “세계의 도시”= “이주민”

- 12 -
한겨레: 2015.6.30

-“상주인구” - “호적인구” = 민공(民工), 농민공, 내부의 이주노동자.


호구(戶口)제와 농촌 인구 유출 억제, 새로운 노동운동의 주체로 등장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871612.html
https://youtu.be/M9vKGPKLz0U (님을 위한 행진곡-원곡)
https://youtu.be/vSUIj3Rp0fc (님을 위한 행진곡 - 중국-농민공 집회 공연)

- 13 -
- 한국의 도시화 속도에 주목 필요 ⇨ 기반시설 부족과 도시문제, 지역간 불균형 심화
일본 - 1960~1970년대의 주민운동, 한국-1970년대의 도시빈민 운동,

2) 수도권 집중과 지방 공동화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인구 50% 초과의 심각성 → 지방의 소멸, 지방대의 위기

수도권 인구 집중 추이 (경향 2020.6.29.)

- 14 -
지방대 붕괴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부산=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국대학노동조합 부산경남본부가 지난해 11월 '지방대 붕
괴 및 지역 소멸 근본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21.11.29
[전국대학노조 부산경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 지방(농촌)의 인구유출, 고령화, 지방소멸의 가시화

- 소멸 예상 지자체 등장

220429-전국 시군구 절반은 소멸 직면…수도권 외곽도 위험 _ 중앙일보.pdf

고령인구비율(시도_시_군_구).pdf

2019년08 2019년08
2019년08월_평균연
행정구역 월_남자 월_여자

평균연령 평균연령
경상북도 43.6 47.2 45.4
상주시 47.8 53.3 50.6
문경시 47.4 52.5 50
군위군 53.8 59.1 56.4
의성군 53.6 59.1 56.4
청송군 52.1 57.1 54.6
영양군 51.6 56.9 54.3
영덕군 50.8 56.5 53.8
청도군 52.1 57.1 54.7
고령군 49.3 53.3 51.2
성주군 50.1 54.5 52.3
봉화군 51.6 56.3 53.9

- 15 -
3) 농촌의 고령화, 국제결혼, 다문화 가정의 증가 (3:30-3:50)

- 귀성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 = 고향의 기억 ?


코로나와 귀성, 성묘 자제 캠페인의 효과 ⇨ 해체된 가족 공동체의 확인 ?

- 국제결혼은 축복인가 ? 적응해야 할 현실인가 ?

- 농촌의 존재 = 식량 지급 기반 or 문화적 보존 대상인가 ?

자료: 농민신문 2020.6.17.

- 16 -
통계표명: 국가별 국제결혼 건수
단위: 건
2000 2005 2010 2015 2020
국제결혼 총건수 11,605 42,356 34,235 21,274 15,341
한국남자+외국여자 6,945 30,719 26,274 14,677 11,100
- 중국 3,566 20,582 9,623 4,545 2,524
- 태국 240 266 438 543 1,735
- 베트남 77 5,822 9,623 4,651 3,136
- 일본 819 883 1,193 1,030 758
- 미국 231 285 428 577 432
- 러시아 70 234 119 110 275
- 필리핀 1,174 980 1,906 1,006 367
- 기타 768 1,667 2,944 2,215 1,873
한국여자+외국남자 4,660 11,637 7,961 6,597 4,241
- 미국 1,084 1,392 1,516 1,612 1,101
- 중국 210 5,037 2,293 1,434 942
- 베트남 3 28 67 432 501
- 캐나다 150 283 403 465 257
- 일본 2,630 3,423 2,090 808 135
- 영국 64 104 178 196 146
- 기타 519 1,370 1,414 1,650 1,159

국제결혼-간략화-2000-2021.xls

아주경제 2020.3.19.

- 대안 모색 제안 ⟹ Corona19의 교훈과 저밀도 시회 조성의 긴급성 ?


‘재택근무’, ‘비대면 수업’의 경험과 인구 분산 가능성 ?
‘대면 접촉’의 가치를 높이는 ‘연줄망’의 문제 해소 가능성 ?

- 17 -
3) 이론적 해석 (4:00-4:50)

(최병두 2009, 2장, “도시 공간의 미로 속에서, 한울)

- 해방 분단 = 해외 귀환인구, 피난민의 도시집결 – 도시화율 상승


(1940 국세조사, 도시인구 20%)
인구 부양 능력 저조, 빈곤과 무허가 정착촌(해방촌 – 이범석의 오발탄)

-1960년대 이후 본격적 자본주의화 = 수출, 고도성장 = 국토공간 재편 + 도시 발전


수도권, 동남해안 지대 공업단지 건설, 도시인구의 급증(이농)
⇨ 지역 불균등 발전, 도시 내부의 주택 및 사회적서비스(교육, 의료보건) 부족

- 노태우 = 200만호 공급과 수도권 1기 신도시(분당, 일산), 토지 공개념 도입

- 1980년대 후반 – 포드주의적 축적 본격화


Fordism =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중문화, 대중민주주의
conveyer belt = 단순 조립공(이주노동자, 농촌 출신 노동자, 대량 소요),
구상(conception)과 실행(execution)의 분이

기업의 구상(R&D, 인사, 경영)과 실행(생산) 기능 공간적 분화


⇩ ⇩
서울, 수도권 분공장 및 하청 공장

- 도농 불균등 발전 ⇨ ‘서울, 수도권’ vs ‘지방도시와 그 주변’의 불균등 발전

- 도시 내부 공간의 재편과 생활양식 변화


서울, 수도권의 주택, 교통, 환경 문제 해결 정책 시도 ⇨ 인구의 추가 유입 초래
(신도시, 재개발, 재건축)
(강남=빗장 도시 gated city=주거지의 분화, 소비, 교육 의료보건, 문화의 최고)

”The Gated City“, Ryan Avent, : America's most innovative cities have become
playgrounds for the rich, repelling a cost-conscious middle class and helping to
concentrate American wealth in the hands of a few.

* Apt생활 = 개인주의적 폐쇄적, 배타적 공간


* 도로망 확충 = 자동차용, 민자 유료도로 vs 보행자 배제
* 여가 = 상품화된 소비 공간 (극장, 커피숍, 유흥장, 오락장, 체육관)
= 자연과의 관계, 인간다운 삶 배제

- 쟁점 = 삶의 질 향상과 탈상품화의 가능성,

- 18 -
공동체 담론은 유효한가 ? (관주도 축제, 마을 만들기 운동)

서울 성미산 공동체 Model ? https://sungmisan.org/INTRO

”공동체를 그리워 하는 이유 ? ” “과연 공동체를 좋아하는가 ?”

** Sassen의 세계도시 World City, Global City

- “세계 경제, 금융의 중심 본사 소재지, 금융 보험 정보통신 첨단산업”


vs “생산자서비스 중심 저임금 고용”
(제조업 쇠퇴), (비공식 부문, 건물-개인서비스, 이민자), (빈부 이중구조화)

도심 재활성화(상층의 지대 지불 능력 증대), 중간층 중심 대중문화와 소비행태 소멸

지방정부의 기업가주의적 도시정책, 초국적 자본 유치, 내부 공간 양극화

- 사진; SFC

SEOUL FINANCE CENTER.pdf

- 19 -
220422-대구-모스크건축-2심승소.pdf

- 20 -
이주노동자 - 서울 남구로역 근방 2013.5.18.

- 21 -
서울 광희동(동대문) 근방 은행의 러시아어 안내 230909

이주노동자 문제를 보여주는 상담센터 광고

- 22 -
IV 2000년대 : 현황 인식과 과제

- 제조업 강국, 정보고속도로와 IT

- First Mover ? Identity 전환 과제

- 고도 경제성장의 비용 문제 = 생활의 희생(저출산 등),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위험사회(산업재해) ,
분배-복지-재벌개혁의 과제

- 국제적 위상과 책임의 문제 = 무역규모 상위, 개발원조 책임, 낮은 국제정치 위상

- 23 -
PKo = peace keeping operations

https://www.koica.go.kr/sites/koica_kr/index.do

211021-韓国 に抜 かれた日本の平均賃金 上がらぬ理由は生産性かそれとも… [2021衆院選]:朝日新聞デジタル.pdf

220222-賃上げで学 ぶべきはアメリカよりも“お隣の韓国 ”。物価 は上がるのに、賃金は上がらない日本…。 _ Business Insider Japan.pdf

220308-“韓에 역전당한 日, 한국을 따라해야 미래 있다” 美전문가의 조언.pdf

- 24 -
- nationalism과 국제감각의 상충 ? 한미일 동맹과 중국 견제 ?,
한일 과거사 분쟁과 국내 정치 ?

- 25 -
<문헌>
오원철, 2006,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동서문화사
이대근 외, 2005,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나남출판
변형윤 김윤환 편저, 1977, “한국경제론”, 유풍출판사

- 2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