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제6편 거시경제이론의 입문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13.1 거시경제 이론의 기본 개념

• 미시경제이론과 거시경제이론
– 경제학의 두 기둥
– 1930년대까지는 미시경제이론 부분에 집중되어 있었

• 상품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며, 소득이 어떻게 분배되느냐에
관심
– 1930년대 케인즈혁명(Keynesian revolution)
• 거시경제이론이 체계적인 이론으로서 등장
– 현재 거시경제이론과 미시경제이론 사이의 장벽이 허
물어지고 하나의 일관된 체계로 통합됨
• ‘거시경제이론의 미시경제적 기초’
국민총생산

•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 총생산이 증가하면 국민소득이 늘어남
• 197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총생산의 변화추이
– 국내총생산이 지속적으로 상승
– 해마다 성장률이 조금씩 다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의 변화추이

• 우리 나라 국내총생산의 변화추이
경제성장

• 경제성장(economic growth)
– 국내총생산의 장기적 추세
– 장기추세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중요함
경기변동

• 경기변동(business fluctuation)
– 국내총생산의 단기적 동향
– 실제의 국내총생산이 장기추세치 주위에서 더 높아지
기도 하고 더 낮아지기도 하는 일이 반복되는 현상
– GDP갭: 국내총생산의 실제움직임과 장기추세 사이의
차이
경기순환의 여러 국면

• 경기순환의 여러 국면
경기변동

• 호황기(boom)
– 실제의 국내총생산이 장기추세치보다 더 높아 GDP갭
이 양(+)의 값을 가질 때
• 불황기(recession)
– 실제의 국내총생산이 장기추세치보다 더 낮아 GDP갭
이 음(-)의 값을 가질 때
• 경기변동은 상당히 불규칙적인 양상
– 주기(cycle)와 변동폭이 일정치 않음
• 공행성(comovement)
– 경기변동의 과정에서 여러 변수가 일정한 관련을 갖
고 함께 움직이는 경향을 보이는 것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총생산량 결정원리

• 총생산을 결정하는 요인
– 자원의 증대
– 기술의 발전
– 자본재(기계)시장의 규모확대
• 자본재구입의 증대=투자의 증대
– 경제학에서는 투자를 오직 자본재 구매로만 정의
– 따라서 금융투자라는 용어는 없으며,
– 경제학에서 금융투자는 저축임
• 저축의 증대, 대출의 증대, 낮은 이자율
– 실업이 있다면 실업해결
총생산과 시장

• 금융시장
– 대출이 증가하면 이자율이 증가함.
– 따라서 이자율을 낮추어 투자를 증가시킬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함.
• 화폐시장
– 화폐공급이 이자율을 낮출것인가?
– 아니면 물가만 상승시킬 것인가?
금융시장
총생산량 결정원리

• 금융이 없는 경우
– 모든 국민이 소비할 만큼 일함
• 금융이 있으므로
– 많이 일하여 저축을 하게 됨
– 저축과 투자와의 관계에 의해 한 나라의 총생산량이
결정됨
저축과 투자와의 관계에 대한 2가지 견해

• 고전학파(장기경제)
• 저축=투자, 물가변화율=임금변화율
• 임금의 신축성으로 인해 완전고용 달성
• 이자율을 통해 저축과 투자가 일치됨
• 경제는 안정적임
• 케인즈학파(단기경제)
• 저축>투자, 물가변화율>임금변화율
• 임금의 경직성으로 인해 실업이 발생
• 이자율을 통해서도 저축과 투자가 일치되지 않음
• 경제는 안정되지 못함
저축과 투자의 관계와 총생산량

• 고전학파경제
– 저축과 투자가 일치하므로
– 언제나 총생산은 그 만큼의 총수요를 야기함
– 따라서 현재 기술수준에서 최대생산을 하게 됨
• 케인즈학파경제
– 일반적으로 저축이 투자보다 더 많으므로
– 결국 총수요만큼만 총생산되어짐
– 따라서 현재 생산능력보다 적게 생산하게 됨
저축과 투자와 경제성장 및 경기변동과의 관계

• 고전학파경제
– 성장을 하기 위해 더 많은 저축이 필요
• 더 많은 자본재 생산이 중요
– 저축이 많은 나라가 더 많이 성장함
– 예) 일본의 경제발전 과정
• 케인즈학파경제
– 많은 저축이 오히려 경제를 침체 시킴
• 초과공급된 자본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
– 저축의 역설, 절약의 역설, 소비의 미덕
– 예) 일본의 1990년대(잃어버린 10년)
물가와 인플레이션

• 물가(price level)
– 모든 상품 가격의 평균적인 수준을 의미
• 인플레이션(inflation)
–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 70년부터 03년까지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7.3%수준
– 05년의 물가는 70년에 비해 10배 높은 수준
물가상승률 변화추이

• 1980년대부터 그 이전에 비해 물가상승률이 현저히 줄


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3.2 총수요와 총공급

• 총수요곡선(aggregate demand curve; AD)


– 각 물가수준에서 국민경제 전체로 보아 얼마나 많은
상품이 수요되는지를 나타냄
• 총공급곡선(aggregate supply curve; AS)
– 각 물가수준에서 국민경제 전체로 보아 얼마나 많은
상품이 공급되는지를 나타냄
– 수평축: 국내총생산
– 수직축: 대표상품의 가격, 즉 물가
개별 상품의 시장과 대표상품의 시장

• 두 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균형이 이루어짐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의 이동

• 총수요 증가
– 예) 해외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수요 증가
– 총수요곡선의 오른쪽 이동
– 국내총생산 증가, 물가수준 상승
• 총공급 감소
– 예) 국제석유가격의 급격한 상승
– 총공급곡선의 왼쪽 이동
– 국내총생산 감소, 물가 수준 상승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의 이동

–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의 이동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