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본 장은 정책에 관한 장으로 수요공급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책을 분석


함.
- 이를 통해 정책조언자들이 의도하거나 예상하지 않은 효과들이 나타나는
경우를 발견할 것임.
■직접적인 가격통제에 대해 알아봄.
- 임대료 통제, 최저임금법 등
- 가격통제를 통해 공평성을 높이려하지만, 가격통제도 그 나름대로 불공
평한 결과를 가져옴.
■조세의 효과에 대해 알아봄.
- 세금부과에 이들 세금의 효과에 대해 분석함.
- 근로자 임금에 세금이 부과되면 그 부담은 기업이 지는지? 근로자들이
지는지? 수요공급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해보기 전에는 답이 분명치 않음.

6.1. 가격통제
■가격통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아이스크림 시장의 예를 다시
살펴봄.
- 아이스크림이 정부의 간섭없는 경쟁시장에서 거래된다면 수요와 공급은 일치함.
- 균형가격에서 소비자들이 사려는 아이스크림의 개수와 공급자들이 팔고 싶어하
는 수량과 정확히 일치함.
-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아이스크림의 개당 균형가격이 3$라고 가정함.
■자유로운 경쟁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이 누구에게나 만족스럽지는 않음(3$).
-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싸다고, 공급자들은 가격이 낮다고 주장하면서, 두 단체는
제 각기 정부에 로비하여 직접적인 가격통제를 통해 시장가격을 변동해달라고
요청함.
- 소비자연대의 로비가 성공한다면 정부는 아이스크림 판매가격의 최고치를 법으
로 정하는 ‘가격상한(price ceiling)제’를 채약할 것임.
- 제조업협회의 로비가 관철되면 법정 최저가격을 규정하는 ‘가격하한(price floor)
제’가 도입될 것임.
- 이하에서는 두 유형의 가격통제를 차례로 살펴볼 것임.

6.1.1. 가격상한제(price ceiling)가 시장에 미치는 효과


■가격상한제가 도입된다면 다음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음.
- 균형가격보다 높은 상한제, 낮은 상한제
■가격상한이 시장가격 3$보다 높은 4$로 설정되면 이 가격상한은 시장가격과 거
래량에 아무런 효과가 없음(non-binding).
- 이 경우 시장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은 원래의 균형에서 형성되고, 가격상한

1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함(그림 (a)).

■균형가격 3$가 정부가 설정한 가격상한 2$보다 높은 경우 이 가격상한은 시장에


실질적 영향을 미침(binding).
- 시장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은 균형가격으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일단 가격
상한에 도달하면 더 이상 오를 수 없음. 따라서 2$가 곧 시장가격이 됨.
- 이 가격에서 수요량(125개)이 공급량(75개)보다 많으므로 초과수요로 인한 물
량부족이 생김.

■가격상한제로 인해 아이스크림 부족현상이 생기면 부족한 아이스크림을 할당하


는 방식이 고안됨.
- First Come First Serve(선착순 판매)
- 판매자의 취향에 따라 일부 소비자들에게만 공급 등

2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소비자들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취지에서 아이스크림에 대한 가격상한제가 도입


되지만, 초과수요로 인한 공급부족으로 인해 모든 소비자들이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함.
■아이스크림 시장에 대한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일반적으로 성립함.
- 정부가 경쟁시장에 실효성있는 가격상한제를 도입하면 그 재화의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판매자들은 다수의 잠재적인 고객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희소한
재화를 배당할 수밖에 없음.
- 하지만 가격상한제에서 고안되는 할당(rationing)방식은 대부분 바람직하지 못함.
■하지만 자유경쟁시장에서 작동하는 배분방식은 효율적이며 사람을 차별하지도 않
음.
- 아이스크림 시장의 균형에서는 누구든지 그 가격을 지불하면 아이스크림을 살
수 있음.
- 시장에서는 가격이 재화를 배분하는 것임.
사례연구 : 주유소에 늘어선 줄
■1973년 오일쇼크 당시 세계원유가격은 폭등했음. 원유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휘발
유의 공급은 줄었음. 운전자들은 겨우 몇 갤런의 휘발유를 사기 위해 주유소에
줄을 서서 몇 시간씩 기다려야 했음.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 사람들은 대부분 OPEC을 비난했음. 물론 OPEC이 원유가격을 올리지 않았다
면 휘발유 부족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임.
-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정부의 규제 때문에 정유회사들이 휘발유 가격을 올릴
수 없어서 긴 줄이 생겨났다고 보았음.

3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그림(a)에서 원유가격 인상이전의 휘발유균형가격은  으로 가격상한보다 낮아



가격상한제는 실효성이 없었음.
- 그러나 원유가격이 인상되자 상황이 바뀌었음.
-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휘발유 생산비용이 상승하여 휘발유의 공급곡선은 그림
(b)의 에서 로 왼쪽으로 이동했음.
- 시장에 아무런 규제가 없었다면 균형가격이 에서 로 상승하고 물량부족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겠지만, 가격상한제 때문에 시장가격이 균형가격 수준으
로 오를 수가 없었음.
- 가격상한에서 생산자들은 만큼 팔려고 했고, 소비자들은 만큼 사려고 했
음. 따라서 공급곡선의 이동으로 가격상한에서 심각한 휘발유 부족이 야기된
것임.
■결국 휘발유 가격통제는 폐지되었음.
- 오늘날에는 원유가격이 변하면 휘발유 가격이 시장수요와 공급량을 일치시키
도록 조정됨.
사례연구 : 임대료 규제의 단기효과와 장기효과
■임대료 규제도 가격통제의 흔한 예임.
- 많은 미국도시의 주정부는 집주인이 세입자들에게서 받을 수 있는 임대료의
상한을 규제하고 있음.
- 이 정책의 목적은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려는 데 있음.
-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오히려 임대료 규제가 저소득층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
는 데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비난함.
■단기에는 임대주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비탄력적임(임대주택 수 고정, 주거수
준을 조정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4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그림(a)는 임대료 규제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단기효과를 보여줌.


- 임대료규제는 주택부족현상을 초래함.
- 그러나 단기에는 수요와 공급이 모두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임대료 규제로 발
생하는 주택부족의 규모는 작음.
- 단기적으로 임대료규제의 주된 효과는 임대료 하락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임대주택의 수요자와 공급자들이 시장여건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장기효과는 단기효과와 매우 다름.
- 공급측면 : 임대료가 낮아짐에 따라 임대주택을 새로 짓지 않고, 기존의 임대
주택을 제대로 유지하지도 않음.
- 수요측면 : 임대료가 낮아짐에 따라 임대주택을 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도
시로 유입되는 인구도 늘어남.
■그림(b)는 주택시장의 장기상황을 보여줌.
- 임대료 규제로 임대료가 균형수준보다 낮아지면 임대주택의 공급은 크게 줄고
수요는 크게 늘어 주택부족규모는 커짐.
■임대료 규제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림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는
원리를 기억할 필요가 있음.
- 자유시장경제에서 임대주택 주인들이 집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려는 것
은 양질의 주택에 임대료를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임.
- 그러나 임대료가 규제되어 주택부족이 발생하고 세입자들이 줄을 서서 기다린
다면 소비자들의 요구에 신경 쓸 이유가 없음.
- 결국 세입자들은 낮은 임대료를 내는 대신 질 낮은 주택에 사는 것임.
■정책담당자들은 임대료 규제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적인 규제를 도입하
는 경우가 많음.
- 인종차별을 금지하거나, 집주인들에게 임대주택을 최소한 일정 기준 이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의무화함.
- 이러한 법규들은 집행하기가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게 됨.
- 반면 임대료 규제가 폐지되고 시장경쟁의 힘에 따라 주택시장이 운영되면 이
런 법들은 필요가 없음.
- 규제가 없는 시장에서는 가격변동에 따라 재화의 부족이 해소되므로 집주인들
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할 수 없음.

6.1.2. 가격하한제(price floor)가 시장에 미치는 효과


■아이스크림 시장의 예를 통해 또 다른 유형의 가격통제정책(가격하한제)에 대해
알아봄.

5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가격하한제도 가격상한제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가격을 시장균형과 다른 수준


으로 유지하려는 시도임.
- 가격상한제가 가격의 법정최고수준을 규정하는 데 반해, 가격하한제는 법정
최저수준을 규정함.
■정부가 아이스크림 가격하한제를 도입한다면 두 가지 경우가 가능함.

■균형가격이 3$이고 가격하한이 2$에 설정되면 가격하한은 균형가격보다 낮기 때


문에 실효성이 없음.
- 시장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은 원래의 균형에서 형성되고 가격하한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함.
■그림(b)는 가격하한이 4$에 설정되는 경우의 효과를 보여줌. 이 경우 가격하한이
시장에 실질적 영향을 미침.
- 시장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가격은 균형가격으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일단 가
격하한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가격이 내려갈 수 없음.
- 따라서 가격하한 4$가 시장가격이 됨.
- 이 가격에서 공급량(120개)이 수요량(80개)보다 많으므로 아이스크림을 팔려는
일부 공급자들은 팔 수 없음.
- 즉 실효성 있는 가격하한은 공급과잉을 야기함.
■가격하한제와 그에 따른 공급과잉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배분방식이 채택됨.
- 반면에 자유경쟁시장에서는 가격이 배분기능을 담당하므로 균형가격에서 누
구든지 아이스크림을 판매할 수 있음.
사례연구 : 최저임금제
■최저임금제는 가격하한제의 좋은 예임. 최저임금제는 고용주가 피고용인에게 노
동의 대가로 지불해야 하는 최소한의 임금수준을 법으로 규정하는 제도임.

6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최저임금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노동시장에 대해 살펴봄.

■그림(a)는 다른 시장과 마찬가지로 시장수요와 공급의 원리가 적용되는 노동시장


을 나타냄.
- 근로자들이 노동공급을 결정하고 기업은 노동수요를 결정하며, 정부의 개입이
없으면 대부분의 경우 노동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도록 임금이 조절됨.
■그림(b)는 최저임금제가 적용되는 노동시장을 나타냄.
- 최저임금이 균형임금보다 높으면 노동의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여 실업이
발생함.
- 따라서 최저임금제가 시행되면 직장이 있는 근로자들의 소득은 상승하지만 직
장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의 소득은 하락함.
■최저임금제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경제든 노동시장이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부류의 근로자들로 구성된 다양한 노동시장이 있다는 사
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
- 최저임금제의 효과는 근로자들의 기술과 경험에 따라 좌우됨.
- 높은 기술력과 오랜 경험을 갖춘 근로자들의 임금은 시장균형수준보다 높기
때문에 최저임금제의 영향을 받지 않음.
- 따라서 이들에게는 최저임금제가 실효성이 없음.
■최저임금제는 10대 청소년 노동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 10대 인력은 숙련도와 경험이 가장 낮은 계층이기 때문에 균형임금도 낮은 편
임. 최저임금제는 노동시장의 다른 계층보다 10대 인력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경우가 많음.
■최저임금제는 노동에 대한 수요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의 공급량에도 영
향을 미침.

7
N.G. Mankiw's ESSENTIALS OF ECONOMICS Chapter 06.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최저임금이 증가하면 청소년들의 노동공급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10대 청소년


층의 실업이 증가함(노동공급증가로 인해).
■최저임금제에 대해서는 찬반양론이 존재함.
- 찬성 : 저소득층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함. 비록 최저임
금제가 실업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이 있지만 정도가 심하지 않고, 전체
적으로는 장점이 더 많으며, 최저임금이 높을수록 저소득 근로자들에
게 이득이라고 생각함.
- 반대 : 빈곤을 퇴치하는 최선의 방책이 아니라고 주장함. 최저임금이 높아지면
실업이 발생하고, 10대들의 학업중단을 조장하며, 미숙련근로자들에게
필요한 직장훈련기회를 박탈한다고 주장함. 이 제도의 목표계층이 바람
직하지 않다고도 지적함(정말 빈곤층이 혜택을 받지 못함.).

6.1.3. 가격통제에 대한 평가
■10대 기본원리 중 하나는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라는 것임.
- 이 원리를 근거로 경제학자들이 가격상한제나 가격하한제에 항상 반대하는 것
임.
- 가격은 우연한 과정에서 형성된 결과가 아니고, 수요와 공급의 이면에 있는 수
많은 소비자들과 기업들의 의사결정의 결정체라고 봄.
- 가격은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고 경제활동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함.
- 정책담당자들이 법령으로 가격을 결정하면 경제의 희소한 자원을 배분하는 가
격의 정상적인 신호기능이 흐려짐.
■또 다른 기본원리 중 하나는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임.
- 정부가 가격통제를 도입하는 것은 시장에서 결정된 결과가 불공평하다고 판단
하기 때문임(가난한 사람들을 도울 목적).
- 그러나 가격통제는 돋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음(ex : 임
대료규제와 최저임금제의 부작용 등).
- 가격통제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길이 있음(ex : 임대료
보조금, 임금보조제도, 근로소득세 환급제도 등).
- 대체적인 정책수단은 가격통제보다 우월하지만 이들 역시 완벽한 것은 아님.
- 임대료보조나 임금보조에는 재원이 필요하므로 정부가 세금을 인상해야 하며,
세금은 그 나름의 사회적 비용을 초래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