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사회 올인원

내용
경제 챕터 2 경제 문제............................................................................................................................................................. 7

경제 챕터 3....................................................................................................................................................................... 14

경제
1 단원

챕터 1 경제생활의 이해
- 경제 주체: 실제 경제 활동을 하는 애들

- 경제 객체: 경제 주체가 경제 활동의 대상으로 삼는 것들

- 생산, 소비, 분배:

1. 경제 주체

- 가계 : 소비의 주체 , 만족의 극대화를 위한 존재

) 기업의 생산활동에 참여함- 소득으로 보상 받음

) 개인이 단위가 아니라 엄마 아빠 나 동생 등 한 가구가 한 단위

- 기업 : 생산의 주체로서 이윤의 극대화 추구 {총판매수입 늘리고 비용 줄이고}

가계의 도움을 받아야 생산 가능

- 정부 : 재정 주체 공익을 추구하기 위한 경제활동 함

- 외국 : 무역의 주체

2. 경제 객체 : 경제 주체가 경제 활동을 할 때 갖고 있는 대상{보통 시장에서


거래됨}
- 생산물(기업에서 가계에 판매) : 재화(goods), 용역(service)

- 생산요소(가계가 기업이 할 수 있는 여러 요소 제공) : 노동력, 토지, 자본(


생산설비=화폐자본=실물자본)

3. 경제 활동

- 생산 : 기업이 생산요소 결합하여 생산물 만듦 (부가가치를 부여한다는


개념으로도 이해 가능)

- 소비 : 가계가 생산물 사용하고 소모하는 것

- 분배 : 기업이 가계에게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를 나누어 주는 활동. 소득을


나누어 주는 활동 . 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소득을 분배하는 활동

위의 것은 민간 부문만 있는 기본 모형이고, 정부까지 추가한 것은 확장모형인데,


요즘 주로 기본 모형이 자주 출제됨 ) 핵심은 상호의존성, 경제는 순환한다.
) 해설 정답 4

1. 정부 : 재정을 운용하는 주체이지만, 필요하면 국민 경제의 안정을 위해


생산도 소비도 할 수 있음.

2. 세상에 수요자와 공급자가 일치하는 경우는 없음. 노동의 수요자는 기업이고,


공급자는 가계임.

4. 자본을 기업에 제공하면 즉, 돈을 은행에 맡기면 이자를 받으므로 가계의


소득에 포함된다는 이야기가 맞음.
) 해설 답 ㄷ,ㄹ

가. 보리 구입한 것은 가계가 만족을 위해 구입(소비)한 것.

나. 기업이 생산하기 위해 자본재(보리) 구입(투자), 큰 의미의 생산활동

ㄱ. 갑은 생산활동이 아니라 소비활동

ㄴ. 나의 보리는 소비재가 아니라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본재에 해당함

ㄷ. 기업이 하는 활동은 이윤 추구 활동임

ㄹ. 가계와 기업은 모두 민간 경제 주체이므로 이들의 경제 활동이 나타난 것이


맞음
)해설

실물 : 생산물, 생산요소

화폐 : 가격/ 임금, 지대, 이자, 이윤 -> 실물의 대가로서 반대급부로서 제공하는


1. 가 는 생산활동이 아니라 소비활동의 주체로서 가계

2. 나 기업은 효용의 극대화가 아니라 이윤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3. A 는 생산물이므로 재화와 서비스도 이에 해당되어 맞는 선지

4. 국방이나 치안 기상정보 등은 국가가 공급하는 것.

경제 챕터 2 경제 문제
이것은 희소성(상대적인 개념임)으로 인한 선택의 문제

희소성이란 욕구>자원 일 때 욕구나 자원 둘중 하나로만은 희소성이 결정되지 않음.

욕구 : 사용가치, 유용성 자원 : 존재량

희소성은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결정됨.(경제적가치=교환가치)

희소성 있는 것 : 경제재 -> 욕구>자원

희소성 없는 것 : 자유재(교환가치가 없음) -> 욕구<자원

존재량 위의 차이만큼 희소성

경제 그래프에서는 주로 세로축에 가격을 표시함. 가로축은 수량을 표시함.

공급곡선의 y 축이 0 에서 출발하는 것은 보통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재화를 나타냄

공산품은 공급곡선의 시작이 y 축의 양의 방향에서 시작됨


시장의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수요가 증가한 것.

(공급선의 시작) – (수요선의 시작) = 희소성


희소성이 높은 것. 가격협상이 안되어 못판다.

 희소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

What? 무엇을 얼마나

How? 생산 방법

Whom? 분배 방식

 모든 경제주체가 다 생산, 소비, 분배할 때에 봉착하는 문제

 경제 체제 : 경제문제 해결하는 방식

) 시장경제체제 : 효율성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함 – 자본주의

) 계획경제체제 : 형평성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함 - 사회주의


) 해설

가. 희소성 나. 희귀성 (희소성은 경제재여야만 가질 수 있음)

1. 시장에서 판매되는 재화는 경제재로서, 희소성을 가질 수 잇다.

2. 경제재니깐 시장 가격에 영향을 끼친다.

3. 햇빛은 판매할 수 없으므로 희소성이 있을 수 없다.

4. 희소성이 없다면 시장성이 없는 재화이므로 시장 균형 가격이 형성될


리가 없다.
) 해설 ㄱ,ㄴ 이 맞음

ㄱ. 둘중에 무엇을 운영할지 고민 – 앞서 경제 문제중에 what? 에 해당

ㄴ. 경제문제중에 How 에 해당

ㄷ. 경제문제중에 Whom 에 해당

선지 ㄱ. ‘비용 대비 더 많은 수입을 예상’한 것이 효율성을 고려한 것

선지 ㄴ. How 에 대한 문제 와 관련 있는거 맞음

선지 ㄷ. ㄷ 은 whom 에 관한 것으로 what 에 대해 지칭하고 있기에 틀림

선지 ㄹ.
)해설 답은 ㄱ,ㄷ

ㄱ. 희소성은 경제적 가치와 비례하는거 맞음

ㄴ. 기업의 해외이전은 How 에 해당

ㄷ. 시장경제에서는 기본적으로 효율성에 의한 분배가 이뤄진다.

ㄹ. 가격기구는 경제 객체의 가격을 의미하는 표현. 따라서 임금, 이자율 등의


생산요소가격도 가격기구에 해당됨

 경제 챕터 3 경제문제의 합리적 선택
 경제문제 해결원칙

1. 의미 : 한정된 자원으로 가장 큰 만족을 얻게 하는 선택

2. 원칙 -> 경제적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는 것

1. (경제적 비용 < 편익) OR (경제적 비용 = 편익)

2. 기회비용 = 경제적 비용

명시적 비용(회계학적 비용) + 암묵적 비용(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하는


기회나 가치, = 매몰비용)

3. 매몰비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 기회비용을 이용한 합리적 선택

가게를 오픈해서 쓰게 될 .명시적 비용.은 1 억 7 천 “암묵적 비용”은 2 천 4 백만원

총 기회비용은 1 억 9400 임

1 년 매출이 2 억이므로 600 만큼의 편익을 봄. = 경제적 순편익.


회사 옮기면 명시적 비용: - 400 만원 , 암묵적 비용: 연봉 2400 편익은 3 천이므로

편익이 더 크니까 회사를 옮기는게 낫다.

 대안 고르기 예시

A B C
편익 100 50 60

비합리적 선택은 B,C 이다. -> 기회비용은 A 를 포기하므로 동일. (비합리적


선택들의 기회비용은 합리적 선택보다 크고 또한 같다.)

합리적 선택은 A 이다. -> 기회비용은 C 의 60 이고, 합리적 선택은


기회비용을 작게 하는 선택이다.

문제 12

A : 편익 B : 명시적 비용 C : 암묵적 비용

1. 동일한 재화에 대한 편익은 다를 수 있음


2. 이미 지출해서 회수할 수 없는 것은 매몰비용

3. 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합한 것

4. 합리적 선택을 하는 것은
{A – (B + C)} 기회비용 대비 편익이 더 큰 것

ㄱ : 지출완료한 비용은 매몰비용. 계산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ㄴ 에서 본 명시적 비용은 1100 만원 암묵적 비용은 2400 만원

대학원 가려고 내는 기회비용은 3500

 생산가능곡선
기회비용 -> 경제적 비용 < 편익 에서 경제적 비용을 따질 때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그래프를 활용 1. 생산가능 곡선, 2. 소비가능곡선 (암묵적비용을 심화시킨것)
1. 정의 : 한 기업 또는 국가라는 생산의 주체가 보유한(주어진) 생산요소로 ->
생산할 수 있는 두 재화의 최대 생산량의 조합을 그래프로 그린 것

2. 위치에 따른 :

1. 곡선 위의 점 : 생산 가능한 점, 요소를 다 동원, 효율 ㅅㅌㅊ

2. 곡선 안의 점 : 생산 가능한 점, 그러나 비효율적인 생산

3. 곡선 밖의 점 : 생산 못함
X 재 생산을 늘리면  포기하는 Y 재의 크기 (X 재 생산의 기회비용)

Y 재 생산을 늘리면  포기하는 X 재의 크기 (Y 재 생산의 기회비용)

 소비 가능 곡선
1. 정의 : 가계가 주어진 소득으로 주어진 가격에서 구입할 수 있는 두 재화
구입량들의 조합을 연결한 직선

2. 주의할 점 : 생산가능 곡선과 달리 효율성 여부를 논의하지 않음.

3.
A 구간에서는 X 재 40 개를 생산할 때 Y 재를 늘 일정하게 10 개를 포기하는 것

 X 재 1 개당 Y 재 1/4 개 포기함

B 구간에서는 X 재 10 개 생산할 때 Y 재 50 개를 포기해야 함

 X 재 1 개당 Y 재 5 개 포기함

따라서 A 에서 B 로 갈 때 X 재를 생산할 때의 기회비용이 증가한다.

Cf) 반대로 Y 재를 생산할 때의 기회비용은 A 에서 B 로 갈 때 감소한다.

기회비용이 작다는 것은 기울기의 절대값이 작다는 것.

기회비용이 크다는 것은 기울기의 절대값이 크다는 것


문제를 볼 때는 발문을 먼저 읽으라

해설) 답 4

폐쇄형의 반비례 곡선이므로 소비가능곡선이다.

1. X 재가 Y 재의 2 배 가격이다.

2. 기울기가 일정하므로 기회비용은 일정하다.


‘구입할 수 있는’ 조합 ? 이건 생산이 아니라 소비 가능 곡선이다.

표를 본다면 위의 동그라미 친 양 끝단을 먼저 본다. (그래프에서 양끝을 보는 것과


같은 논리)

방화복 5 개 사려면 헬멧 10 개 버린다.

방화복 1 개당 헬멧 2 개 버린다.

헬멧 1 개당 방화복 1/2 개 버린다.

답은 1 번임
) 해설

생산가능 곡선이 출제되면 문제에서 생산가능 곡선이라고 설명해줌. X 재 1 개를


생산하려면 Y 재 1/2 개 포기해야 함.

1. A 점은 비효율이 아니라 아예 생산 불가함

2. 감소하는게 아니라 일정함. 기울기가 일정하므로

3. X 재 18 개 생산할 때 Y 재 9 개를 포기하므로 효율적이려면 Y 재 11 개를


생산해야 함

 경제정보 1. 비율(%)
1. 의미 : 한 시점에서 비교하고자 하는 두 변수들의 상대적 비중
비율 (%) 실업률, 저축성향

실업자수(원래 수치)  실업률 (비율)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X 100

2. 특징 : 한 시점에서  두 변수 간의 상대적 크기(비중)

3. 공식 : 부분수치/전체수치 X 100

 비율 지표 분석시 유의할 점

1. 비율 지표는 원수치가 아닌 원수치를 가공한 상대적인 수치이다.

2. 비율 지표로 연도별 원수치의 비교는 불가하다.

- 19 년도 실업률 10% 20 년도 실업률 10%일 때 두 년도의 경제활동 인구의


수를 모르기 때매 비율만으로 원수치 비교는 불가함.

3. 일반적으로 분자/분모로 비율을 알 수 있는데, 문제에서 분모의 변화율과


분자의 변화율을 줄 때가 있다. 비율의 변화정도 확인 가능

 변화율(%)
1. 의미 : 두 시점에서  한 변수의 변화 정도를 보는 것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인구증가율, 통행료 인상률

2. 공식 세우기 : 19 년도 GDP  20 년도 GDP 로 변화율 계산

(20GDP – 19GDP) / (19GDP) X 100

변화율은 공식으로 막 계산하려고 하지 말고 직관적으로 보셈

3. 공식 : 변화수치 – 원래 수치 / 원래수치 ) X 100

 변화율 지표 분석시 유의점

1. 변화율 지표는 원래 시점 대비 현재 시점의 변화 정도를 파악한다.

원래 시점 수치란?

변화 시점 수치란?

2. 변화율의 감소와 규모의 감소


- + %변화율

- - %변화율

- 0% 변화율

3. 증가율의 비대칭성 : 그래프에서 증가율이 같다고 해서 그 원래 수치의


증가량이 같은 건 아니므로 비대칭성이라고 함

 이윤증가율을 통한 변화율 지표 분석하기

) 2014 년보다 2015 년도의 이윤이 더 높음


연도 경제성장률
A 14 2
B 15 2
C 16 2

) 해설

ㄱ. A 국의 성장률이 2 프로이므로 실질 GDP 는 증가했다고 봐야 함

ㄴ. 2013 을 100 이라 가정 2014 100 2015 102 2016 102 이므로 실질 GDP 는
2016 년이 더 많음

ㄷ. 2016 의 경제성장률이 0%이므로 실질 GDP 가 같음

ㄹ. 2013 100 ,99, 99.99 2013 년도가 더 크므로 맞는 선지

) 해설
1. 실업자 수 정확히 알 수 없음

2. 실질 증가액 모름

3. 1 인당 실질 GDP 증가율 = 실질 GDP / 인구수

A 국은 감소 B 국은 증가 C 국은 감소

증가율이 젤 높은게 B 국이므로 맞는 말임

 경제 2 단원

 가계의 경제적 역할 (굳이 외우지 말고 읽어만 보고 넘어가라)

1. 가계의 역할

- 생산물 시장의 수요자

- 생산요소 시장의 공급자

- 납세자

2. 가계의 소득

- 로동 : 임금, 토지: 지대 , 자본 : 이자

 생산요소의 종류와 질에 따라 소득이 달라진다.

 가계의 수입과 지출

1. 가계의 수입 : 소득과 기타소득으로 구분됨

- 경상 소득 (정기적) : 근로, 재산, 이전(연금 같은 것)

- 비경상 소득 : 일시적 소득
2. 가계의 지출

- 소비 지출 :

- 비소비 지출 : 조세, 사회보장 부담금, 범칙금

 가계의 다양한 경제활동

1. 소비 : 소비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

 만족의 극대화

2. 저축 : 소득에서 소비지출하고 난 나머지

 미래의 소비를 위해 현재 소비를 유보

3. 영향

- 호경기시 : 저축이 미덕

- 불경기시 : 소비가 비덕 (불경기의 저축은 절약의 역설 발생시킴)

 가계의 합리적 소비

- 기회비용보다 편익이 같거나 크게 하는 것

-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도 고려한다.

- 그러나 매몰비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 총 비용, 총 만족감

: 한계적인 소비를 하라!

경제에서 얘기하는 한계란 Marginal – 추가적으로 한 단위가 더 들어간다고


생각했을 때

한계란 약간 추가적인 것이라는 뜻이라고 이해하라

소비자가 재화를 1 단위 추가적으로 더 소비할 때 느껴지는 만족감(효용)을


뜻함

 합리적 소비를 위한 원칙

1. 기본 원칙 : 동일한 비용의 경우 최대의 효용 – 효율성


2. 합리적 소비의 지점 선택

) 해설

5 개까지 구매 가능.

1. 처음에 2000 원이 있으면 첫 번째 재화 선택은 Y 재 선택함. 편익이 크므로

2. 두번째 재화를 선택할 때 Y 재를 2 개 살 때 증가되는 편익 12 와 X 재 1 개


살때의 편익 10 을 비교하여 Y 재 2 개 사는게 좋으므로 Y 재 선택

3. 세번째는 Y 재 3 개를 선택할때의 편익 추가가 9 이므로 편입 10 의 X 재를


선택할 것.

4. 4 번쨰는 X 재는 2 개를 선택할 때 증가되는 편익이 8 이므로 증가 편익이 9 인


Y 재를 선택할 것

5. 5 번쨰는 Y 재 3 개에서 4 개 선택할 떄의 편익 증가가 6 이고, X 재 1 개에서 2


개 선택할 때의 편익 증가가 8 이므로 X 재를 선택한다.

이 때 제일 합리적인 선택은 X 재 2 개, Y 재 3 개를 살 때이다.

선택지

1. 최대로 얻을 수 있는 만족감은 위의 합리적 선택인 18 + 36 =64


) 해설 답 3

표 1 은 1 단위 추가이므로 한계편익을 나타낸 표임

사과와 배는 각각 1000 원임.

1. 1 개를 살 때는 편익이 큰 배를 사야함

2. 2 개를 살 때는 배를 사도 되고 사과를 사도 됨.

3. 3 개를 살 때는 배를 사야함. 따라서 사과 1 개, 배 2 개 사야 가장 합리적.

선택지

1. 순편익이 가장 큰 것은 C 이다.

3 비합리적인 선택들에서의 기회비용은 모두 같기 때문에 옳은 선지이다.


) 해설

뮤지컬 1 회 편익인 25 를 2 로 나누어야 레스토랑 편익이랑 비교 가능

왜냐면 뮤지컬이 20 만원, 레스토랑이 10 만원이기에

4 번 선지 뮤지컬 1 회 볼 때의 기회비용은 레스토랑의 만족감이다.

이때 1 회 외식할 때의 비용이 증가하면 만족감이 감소하므로

뮤지컬의 기회비용도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감소한다.

 기업의 경제 활동
1. 기업의 경제적 역할

- 생산물 시장의 공급자

- 생산 요소 시장의 수요자

- 납세자

2. 기업의 합리적 생산 : 이윤의 극대화 –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의 기업가 정신

 총비용, 총수입을 파악하는 경우

평균수입이나 비용이 표로 제시되었을 때는 개수를 곱해서 먼저 총 비용,


수입을 구하고 문제 풀이 시작한다.

 추가비용(한계비용), 추가수입(한계수입)
수가비용 – 추가수입 = 추가이윤

4 개일 때 이윤이 최고이고 이후 점점 감소함


) 해설 평균 수입에서 판매량을 각각 곱해서 총 수입을 구한 후에 총 비용을 빼면
이윤이 나온다.

 정부의 경제활동
1. 정부의 경제적 역할
- 사회간접자본이나 공공서비스 생산, 민간 경제활동에 영향  시장실패,
경제대공황 때

2. 정부의 재정 : 조세수입과 정부지출(소비, 투자)로 나누어짐

정부지출은 가계지출과는 다른 개념임

3. 정부 활동의 목적

시장 경쟁의 촉진, 공공재의 공급과 외부 효과의 해결, 소득의 재분배, 경기


변동의 조절

4. 재정의 의미

- 의미 : 정부활동의 재원을 조달하기 위한 정부의 살림살이

- 구성 : 수입(세입), 지출(세출)  예산을 통해 집행함

 조세
1. 징수대상을 기준으로 보면

- 직접세 : 납세자 =담세자 (근로 월급 받을 때)

- 간접세 : 납세자 와 담세자 일치하지 않음 : 조세의 전가 (물건 구입할 때)

2. 적용 세율

구분 직접세 간접세
의미 납세자와 담세자 일치 납세자와 담세자 불일치
조세의 전가
과세 소득, 재산규모, 소비행위 자체
대상 상속액
적용 누진세 비례세율
세율
장점 소득 재분배 효과, 조세 징수가 용이함
공평 과세 조세 저항이 적음
단점 조세 징수 어려움, 조세 부과의 역진성
조세 저항 등 (저소득자에게 상대적으로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원리)

소득 재분배라는 것은 돈 많이 버는 사람에게 많이 걷는 것

조세에 적용되는 세율
 과표 : (=과세표준) , (= 과세 대상 금액), 과세 대상 금액에 적용되는 세금의
%가 세율

 누진세 : 과표가 올라가면 세율도 올라감  과표 X 세율 하면 세액

세액도 과표 오르면 올라감 , 누진적 증가

소득 100 세율 10% 세액 10

소득 200 세율 15% 세액 30

소득 300 세율 20% 세액 60

 비례세 : 과표가 오르면 세율이 일정함 근데 세액은 오름 , 비례적 증가

소득 100 세율 10% 세액 10

소득 200 세율 10% 세액 20

소득 300 세율 10% 세액 30
소득과 세액이 증가하는 속도가 똑같음

CF) 세율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 누진세

세액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 비례세

 역진세 :

소득 100 세율 20% 세액 20

소득 200 세율 15% 세액 30

소득 300 세율 10% 세액 30
) 해설 조세 징수가 용이한 것은 간접세임 따라서 A 가 직접세 B 가 간접세

1. 주로 소비지출에 부과되는건 간접세이므로 틀림

2. 역진성이 나타나는 것은 간접세인 B 이다.

3. 전반적인 시장에 세율만큼 가격 상승이 이뤄지므로 맞는 선지

4. 소득 재분배 효과 들어갈 수 있따.


) 해설 세율 적용 방식 그래프 A 는 과표가 늘면 세율 증가하는 누진세

B 는 과표 늘어도 일정한 비례세 C 는 역진세

ㄱ. 누진세는 주로 직접세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맞는 선지

ㄴ. 세율이 일정하므로 일정 비율로 세액이 증가함. 비례세

ㄷ. 금액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한 알기 힘들다.

ㄹ. 역진성은 역진세인 C 에서 높게 발생
) 해설

과세대상 소득 – 세금 = 과세 후 소득, y=x 그래프상의 점들은 세금이 0 원

빗금친 부분이 세액임

첫 그래프는 세액이 일정하게 증가하므로 비례세

두 번째 그래프는 세액이 뒤로갈수록 증가하므로 누진세


) 해설

(가)는 과세 대상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증가하므로 누진세를 나타냄

(나)는 세액이 일정하게 늘어나므로 비례세

1. (가) 누진세라서 역진성 안 나타남 비례세가 역진성 나타날 수 있음

2. 비례세이므로 맞음

3. 가는 누진 나는 비례

 주제 1 시장

1. 시장의 의미 : 경제 객체가 거래되어 가격이 결정되는 장소 또는 기구

2. 시장의 기능 : 거래 비용의 감소, 경제 활동의 신호, 생산성 향상 (


교환을 통한 특화)

3. 시장 구조에 따른 시장 형태 : 경쟁 시장과 비경쟁 시장

- 시장 진입 허용 정도 (공급자의 수)

1. 경쟁시장

- 완전경쟁시장 : 동질상품  비가격경쟁 없고, 가격으로만 경쟁함, 가격이


원가까지 떨어질 것임

- 다수의 공급자, 완전정보공유, 가격경쟁만,  가격 작동

- 독점적 경쟁시장 : 이질적인 상품 (비가격경쟁이 치열함)

2. 비경쟁 시장

- 독점 : 시장지배적(가격통제력), 가격 증가 공급량 조절 : 시장 실패

- 과점 : 공급자 소수  가격 경쟁, 비가격 경쟁(광고, 경품,마케팅, 품질,)

 비가격경쟁은 원가를 높이고 상품가격이 올라감

시장 실패  가격 담합, 가격 증가될 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