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한국의 주류 및 냉방기

시장에 관한 분석

생활 속의 경제
경영학부
2023508069
장아영
1. 서론
우리나라의 술 문화는 일반적인 사회적 활동,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 및 유대감 강화 등 수세기
동안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우리나라의 술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주류의 시장 분석을 해보겠다. 또한, 대한민국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그로 인해 국민소득이 증가하였고 그중에서도 에어컨과 선풍기 등의
소비량도 증가했으며, 냉방기의 시장 분석 또한 해보겠다.
분석을 하기 전,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사용하는 분석 방법의 용어 정리를 먼저 짚고 넘어가겠다.
분석 방법은 “수요공급이론, 정상재⦁열등재⦁대체재⦁보완재, (수요, 소득, 교차)탄력성, 생산자이론”
이다.
구매자의 사려고 하는 의지를 수요(demand)라고 하고, 판매자의 팔려고 하는 의지를 공급
(supply)이라고 하면, 시장의 역할은 이러한 구매자와 판매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정보를 서로에게
전달한다. 수요곡선상의 이동은 다른 요인은 일정한 상태에서 한 상품의 가격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수요량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수요의 법칙에 따라서 시장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보다는 낮은 가격에서 보다 많이 소비하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요의 변화란 해당 상품의 가격은 일정한데 소비자의 화폐소득, 다른 재화의 가격,
소비자의 기호, 인구 등고 같은 다른 조건들이 변할 경우 주어진 가격 수준에서 수요량들이
달라짐으로써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수요곡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요량의 변화에서 나타나는
수요곡선상의 이동은 다른 요인은 일정(불변)하다는 가정하에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라면 ‘수요의
변화’란 가격은 일정한 상태에서 다른 요인들이 변한다는 기본 가정을 달리할 때 나타난다.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늘어나는 상품을 정상재(우등재)라고 말하고, 반대로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줄어드는 상품을 열등재라고 말한다. 대체재(substitute)는 다른 재화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고 같은 목적을 충족시키는 재화를 의미하며, 보완재(complement)는 주로 함께 소비하는 상품을
말한다.
탄력성이란 한 변수의 변화에 따른 다른 변수의 반응 정도를 측정하는 기법이다.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변할 때 수요곡선의 이동 및 방향이 결정되는데 그때 얼마만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지는 탄력성으로 알 수 있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 수준의 변화 비율에 대한 수요량 변화
비율의 상대적 크기로 측정하며, 수요의 교차탄력성은 한 상품의 가격 변화 비율에 대한 다른 상품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 비율의 상대적 크기로 측정한다.
기업이 기업이념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이익의 창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결국 기업은 돈을 벌어야
하는 조직이며,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본질적이고 궁극적인 목표는 이윤의 창출이고 이윤을
극대화(profit maximization)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계비용(MC)이란 생산의 1 단위 증가에
따른 총비용(TC)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업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생산량 결정은 한계수입
(MR)=한계비용(MC)이 같을 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한계수입(MR)=한계비용(MC)이 교차하는
점에서 이윤극대화를 위한 생산량이 결정된다.
2.본론
Ⅰ. 대한민국의 국민소득

(단위: 1,000 원)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이란, 한 국가에 속해있는 국민이 국내와 국외 생산 활동에


참여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하는 대가로 받은 소득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국민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은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상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이다. 국민총소득(GNI)은 국내총생산(GDP)과 달리
외국인이 생산한 부분은 제외하며 내국인이 외국에서 얻은 수익은 포함하기 때문에 한 나라에서
국민이 벌어들인 소득을 의미하여 개인의 생활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1985 년부터 1996 년까지
꾸준한 상승세의 경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1 인당 국민총소득 그래프가 매년 증가한 것으로
보아, 당시 진행되었던 정책과 정책의 결과가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Ⅱ. 시장 분석
가) 주류
위의 그래프를 보면 매년 주류 출고량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에서 말했던 바와 같이 1985 년부터
1996 년까지의 국민소득은 꾸준히 증가했다. 소주는 전체 주류 출고량과 1 인당 출고량 모두에서
꾸준한 판매량과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소주는 정상재(우등재)로 판단된다. 반면, 탁주는 다른
주류들과는 달리 전체 주류 출고량과 1 인당 출고량 모두 점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국내 농가의 농작물들이 기대하고 있던 생산량보다 적은 수확량을 내었을 때의 경우도 있을
것이기에 매년 꾸준히 이어진 것은 아닐 것이며, 공급적 요소이기 보다 수요적 요소로 국내 수요의
변화로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열등재로 판단된다. 맥주와 탁주는 둘 다 곡주이지만,
맥주는 탁주의 출하량 감소와는 달리 두 그래프가 교차하는 1987 년부터 출고량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우리나라의 ‘치맥’ 문화로 인해 증가하는 추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탁주와 맥주
모두 곡주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에, 이 둘은 대체재로 판단된다. 또한, 소주와 맥주는 같은
주류이지만 다른 성격을 띠고 있어 대체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소맥’
문화와 두 주류의 꾸준한 증가 출고량을 보았을 때 소주와 맥주의 관계는 대체재와 보완재 두 가지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글 참고)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변할 떄 수요곡선의 이동 및 방향이 결정되는데 그때


얼마만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지는 탄력성으로 알 수 있다. 탄력성은 한 변수의 변화에 따른 다른
변수의 반응 정도를 측정하는 기법이며, 경제 분석에 널리 이용된다.

△ Qd /Qd
Em=수요량의변화율 / 소득의 변화율=
△ M /M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특히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증가(+)
일지 혹은 감소(-)일지는 상품의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정상재이냐 열등재이냐, 그리고 그것이
필수재이냐 사치재이냐에 따라 소득탄력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소득탄력성의
값이 증가는 아니더라도 양의 값을 가진 소주와 맥주는 정상재라고 할 수 있고, 음의 값을 가진
탁주는 열등재라 할 수 있다.

나) 냉방기

위의 그래프를 보면 룸에어콘은 1993 년도를 제외하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선풍기는 룸에어콘과 달리 꾸준한 증가가 아니라 급격한 변화, 즉 감소하는 부분이 많이 보여
대체재라 판단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에어컨과 선풍기는 대체재의 관계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고 말을 할 수 있다. 1992 년부터 1994 년까지 급격한 감소를 보여주고
있는 선풍기를 보면, 이 과정에서 1 인당 국민총소득이 증가하면서 경기는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지만 생산량이 줄어든다는 것에서 열등재의 성격을 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글 참고)

위의 그래프를 보면 소득탄력성의 값이 증가는 아니더라도 양의 값을 가진 룸에어콘은 정상재


그리고 사치재, 음의 값을 가진 선풍기는 열등재 그리고 필수재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가 흔히 룸에어콘과 선풍기를 대제재의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표를
보게 되면 확연한 대체재의 성격을 띠고 있지는 않다. 몇몇 연도에서는 약간의 연관성을 보이는
부분도 있지만 이 부분으로 연관이 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결론적으로 룸에어콘만이 소득에
따른 탄력성이 높게 나타나는 정상재라고는 할 수 있다.

3.결론
Ⅰ. 정리
국민소득과 주류 시장의 관계는 대체적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주류 또한 함께 증가한다는
점과 주류 출고량의 소득탄력성이 양수이기에 정상재로 볼 수 있다. 반면, 탁주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로 보았을 때 탁주의 출고량 비율이 상당히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소득과 냉방기 시장의 관계 또한 대체적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냉방기의 출고량도
함께 증가하기에 정상재로 볼 수 있다. 또한, 룸에어콘과 선풍기의 관계는 대체재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일부만 그러한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국민소득의 증가가 제품의 출고량의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시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Ⅱ. 느낀점
수업시간에 배웠던 이론들을 실제 시장에 대입하며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어 ‘경제’라는 것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로 연결되어 있음을 또 다시 느끼게 되었다. 경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한 상태로
시작을 했던 것이었어서 처음에는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지 어려움을 느꼈지만, 그래프로 정리하고
이론을 실제 분석과 접목시켜 보니 이해하기 수월해졌다. 수요공급이론, 정상재⦁열등재⦁대체재⦁
보완재, (수요, 소득, 교차)탄력성, 생산자이론 등 이러한 용어를 처음 접한 것이었어서 조사한 것이
많이 어설프고 분석을 제대로 한게 맞는지 걱정도 되지만 이로 인해 조금이나마 성장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수요공급곡선의 이동’ 부분의 이론은 설명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기며 분석을 마치겠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