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플랫폼 기업의 독점, 괜찮은 것인가?

2023508069 장아영

작년 10 월, 카카오의 불통 사태로 인해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각종 메신저, 결제 및 예약 서비스


등이 국민의 삶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요소가 되어 있음에도 위기 대처 능력은 한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이로 인해 플랫폼 기업의 독점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화두가 되었다.
플랫폼(platform)이란, 일반적으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연결하고 교환할 수 있는 일련의 도구,
서비스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를 제공하여 사용자 또는 엔티티 그룹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디지털 인프라 또는 에코시스템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카카오톡을 들 수
있으며, 배달의 민족, 야놀자 등이 있다. 플랫폼은 네트워크 효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더
많은 사용자나 개발자가 가입함에 따라 플랫폼의 가치가 상승하여 지배력을 강화하는 선순환을
만든다. 플랫폼은 많은 산업에서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방해하여 혁신, 경쟁 및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창출했지만,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경쟁 및 규제와 관련된 우려가 제기되는데,
그중에서도 ‘독점’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플랫폼 독점은 새로운 기업의 진출에 어려움을 일으킨다. 독점 플랫폼의 높은 시장 점유율에 따라
신규 기업의 출현이 거세되기 때문이다. 플랫폼 분야는 네트워크 효과와 쏠림 현상으로 인해 후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이 구조적으로 어려우며, 기존 플랫폼 독점 기업의 데이터 독식 또한 신규 기업
진출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플랫폼 기업의 경우 소비자의 개인 정보를 활용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기도 하기에 스타트업 기업 등은 데이터가 부족해 대형 기업과 경쟁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또한, 플랫폼 독점의 ‘문어발식 확장’으로 문제점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한 플랫폼에
대한 독점으로 자본과 신뢰를 확보한 플랫폼 독점 기업이 다른 분야로까지 플랫폼을 확장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카카오의 대리운전, 꽃 배달, 미용실 등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대형 플랫폼 기업이 상대적으로 우월한 자본과 정보를 가지고 시장에 진입해 불공정 경쟁을
발생시킬 수 있어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플랫폼 기업의 독점적인 이점 중 하나는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치가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함에 따라 증가할 때 발생하는데,
플랫폼 기업의 경우 플랫폼에 더 많은 사용자가 있을수록 모든 사용자에게 더 많은 가치가 있으며,
이는 더 많은 사용자가 더 많은 사용자를 유치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된 경험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플랫폼은 사용자 행동 및 선호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맞춤형 콘텐츠 및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참여도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겟 광고 또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통해 추가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플랫폼 기업의 독점적인 이점에는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화된 환경을 구축하고,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결론적으로, 플랫폼 기업의 문제는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플랫폼 기업들은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시장을 통제하고 경쟁을 억제할 수 있는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 정책
입안자들은 플랫폼 기업의 잠재적 함의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플랫폼 기업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플랫폼 기업의 이점을 실현하는 동시에 이러한
기업과 관련된 잠재적인 과제와 위험을 해결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달려 있는 것 같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