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막걸리 시장의 Trend 분석

1. 막걸리는 한국의 전통 술의 하나로 삼국시대 이후 전래된 술이다. 급변하는

주류시장에서의 Trend를 분석하여 막걸리 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수입쌀
농업(물,쌀)

다이어트
소비자 주조

한류열풍
판매 유통

2. 막걸리 시장의 Trend 변화

* 막걸리의 소비층에 변화가 있는가?

2017년 기준 편의점 CU가 3년간의 막걸리 매출을 분석한 결과, 막걸리의

기존 주요 소비층인 40~50대의 매출 비중은 줄어든 반면, 20~30대의 비중

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U 매출에서 20대 고객이 차지

하는 비중이 2014년 9.2%에서 2015년 11.4%로 늘어났으며 2016년엔 13.9%

까지 확대되었고 30대 고객의 비중도 2014년 13.2%에서 2016년 17.1%로


뛰었다
막걸리의 주요 소비층이 점차 젊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출처 : https://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5025

* 막걸리의 해외판매량 변화(한류열풍)

일본에서 2009년~11년 사이 대일 막걸리 수출량은 18.767톤이었지만


2015년 2,972톤으로 84%가량 폭락한 상태다. 한일관계의 악화로 한때 일

본에서 열풍이었던 막걸리 붐은 거품처럼 사라졌다. 2011년을 정점으로 지

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내수에도 영향을 미쳐 2011년을 기점으로 출

고량, 소비량, 수출량 모두 감소하였다.

위의 표와 같이 2016년 전체 주류 시장은 9.3조 원이고 막걸리는 4천5

백원이며 이중에서 막걸리 내수시장은 4,540억 정도이며 이중 수출은

145억원으로 3.2%를 차지한다.

막걸리의 판매량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많지 않다.

출처 : https://brunch.co.kr/@koreasool/18
* 막걸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다이어트)

술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칼로리가 높은 편이다. 막걸리를 한 병


마시면 420칼로리를 섭취하게 되고 이것은 공깃밥(300칼로리)를 섭취하는

것보다도 많다.

특히 한국은 술로인해 168칼로리를 섭취하고 있으며 이것은 독일 145칼로

리, 일본 124칼로리, 러시아 116칼로리, 프랑스 109칼로리 순으로 나타났

으며 다른 나라보다도 월등히 많은 칼로리다.

출처 : https://blog.naver.com/inganhs/222296997774

* 막걸리 생산과 쌀과의 관계

2017년 시점에서 한국에서 생산되는 막걸리의 76.7%는 한국산 쌀이 아니

라 수입쌀로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수입쌀을 국산

으로 속여 판 업체도 무려 69개 업체에 달했다. 매출 1~3순위를 점유하는

업체들 역시 수입쌀을 선호하고 있다.

국회의원 홍문표는 “막걸리 소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이유는 오래된


수입쌀을 사용하다보니 품위가 떨어져 품질이 나빠지기 때문이다”며 “막

걸리 열풍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100% 국산쌀을 사용한 품질고급화가 선

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처 : http://www.eve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33

3. 트렌드 분석

* 한류열풍의 분위기와 막걸리 수출과의 관계는 상관관계가 없다. 한때 일본

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막걸리열풍은 2~3년의 호황을 끝으로 장기간 침체

되어있는 상태이며 업체들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 남녀노소 누구나 관심이 있는 다이어트에도 막걸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

는다. 비단 막걸리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젊은 층에선 막걸리 보다는 와인

이나 증류수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0~30대의 막걸리 소비량이 늘


고는 있지만 그것은 막걸리를 선호하는 취향이 낮아진다는 의미일 뿐이지

막걸리의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 국산을 선호하는 트렌드에 맞지 않게 막걸리의 주요 재료인 쌀이 대부분

수입쌀로 만들어지는 것 또한 부정적인 요소이다. 알몸으로 배추를 세척하

는 중국산 배추의 제조과정이 공중파에 방송되면서 중국산 재료에 대한

불신이 높아졌으며 이것은 막걸리의 수입쌀 사용이라는 점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4. 결론

막걸리 산업은 장기적으로 투자가치가 없는 사업이라고 판단됨 최신 트렌드

에 맞출 수 있는 뚜렷한 해법이 보이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업체들을 비롯하

여 소규모 탁주공장까지 이미 포화상태로 보여지며 큰 자금을 투자한다면 원

금을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