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이 슈 분 석

주류 소비 변화와 와인 시장의 확대
마 지 황 수석연구원(okmacool@hanafn.com)

최근 국내 주류 시장은 전반적으로 침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맥주와 와인의 수입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2018년 와인 수입액은 전년대비 16.2%나 증가한 2.4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홈술’과 ‘혼술’
문화의 확산 및 ‘가성비’ 좋은 와인 증가가 최근 와인 시장 확대의 주요한 요인으로 보인다. 한편
‘내추럴 와인’의 인기 또한 시장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와인 제조기
등장, 와인과 음식 페어링 문화 확산 등으로 와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 주류 시장은 전반적으로 침체를 보인 가운데 맥주와 와인 수입은 크게 증가

z 국내 주류 출고금액(수입분 제외)은 2013년 약 8.8조원에서 2015년 약 9.4조원까지


증가하였다가 2017년 약 9.2조원으로 소폭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침체 상태

z 수입분이 포함되는 출고량을 보더라도 시장규모는 2013년 392만㎘에서 2015년


407만㎘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하여 2017년 398만㎘를 기록

z 그러나 주류 수입분 출고량만 보면 2013년 18만 3천㎘에서 연평균 23.3% 증가하여


2017년에는 42만 3천㎘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맥주 및 와인 수입 증가에 기인

z 맥주 수입액은 국산 대비 경쟁력 있는 맛과 ‘4캔에 1만원’ 행사 등에 힘입어


2013년 9천만 달러에서 연평균 28.1% 증가하여 2018년 3억 1천만 달러를 기록

z 와인 수입은 2000년대 중반 크게 증가하였다가 금융위기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최근 들어 다시 증가 추세('13년 1.7억 달러 → '18년 2.4억 달러, CAGR 7.3%)

∎ 국내 전체 주류 출고량 추이 ∎ 와인 및 맥주 국내 수입금액 추이

4,200 (천 k l) 합산 출고량 (천 k l) 500 350 (백 만 달 러 ) 와인 맥주


수 입 분 (우 )
300
4,100 400
250
4,000 300 200

3,900 200 150

100
3,800 100
50

3,700 0 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주 : 합산 출고량 = 국내 출고량 + 수입분 주 : HS 코드(무역거래 숫자 코드)는 맥주 2203, 와인 2204 기준


자료 : 국세청 자료 : 한국무역협회

4 KEB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Bi-Weekly Hana Financial Focus


이 슈 분 석

„ 2018년 국내 주류 시장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와인 소비의 큰 폭 확대

z 2018년 맥주 및 와인 수입액 증가율을 보면 맥주는 17.7%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된 반면 와인은 16.2%를 기록해 최근 3년 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
╺ 와인 수입액 증가율(YoY) : 0.9%(2016) → 9.7%(2017) → 16.2%(2018)

╺ 맥주 수입액 증가율(YoY) : 28.0%(2016) → 44.9%(2017) → 17.7%(2018)

z 국내 주요 대형마트(이마트 기준)의 주류별 매출 비중을 보더라도 '18년에 처음으


로 와인 매출 비중이 국산 맥주를 넘어섰으며 수입 맥주와도 불과 2.6%p 차이
╺ 주류 매출 비중('18) : 수입 맥주 25.3%, 와인 22.7%, 국산 맥주 21.4%, 소주 17.4%

z 또한 이마트 수입 맥주 구매 고객 수는 2017년 1,058만명에서 2018년 977만명으로


7.7% 감소한 반면 동기간 와인의 경우 334만명에서 350만명으로 4.8% 증가

„ ‘홈술’/‘혼술’ 문화 확산 및 ‘가성비’ 좋은 와인 증가 등이 와인 시장 확대의 주요 요인

z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문화 확대 등에 따라 집에서


술을 즐기는 ‘홈술’ 문화가 확산되면서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와인 소비 증가
╺ 특히 20~30대 여성층에서 ‘즐기는 술’ 문화가 보편화되면서 와인 선호도 상승

z 대기업 계열 와인 수입업체에서의 대량 수입을 통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좋은 와인이 다수 출시되면서 와인 접근성이 개선된 점 또한 소비 증가의 요인
╺ 대표적인 대기업 계열 와인 수입업체는 신세계L&B와 롯데칠성음료(주류 부문)

z 한편 집에서 혼자 술을 즐기는 ‘혼술’ 문화 확산도 와인 시장 성장에 기여하였는데,


실제 2018년 편의점(GS25 기준) 와인 매출은 전년대비 45.2%나 증가함

∎ 대형마트 주류 판매 비중 변화 추이 ∎ 편의점 와인 매출 성장률 추이


(% ) 수입맥주 와인 50 (% )
국산맥주 소주 45.2
기타
18.4 18.1 40
17.4
30.2
25.1 21.4 30
27.2
22.3

22.7 20
18.2
20.5
10
26.1 25.3
20.5
0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주 : 이마트 기준 주 : GS25 기준
자료 : 이마트, 보도자료 재인용 자료 : GS25, 보도자료 재인용

제9권5호 2019.3.18~3.31 5
이 슈 분 석

„ 최근에는 ‘내추럴 와인’이 큰 인기를 끌면서 국내 와인 시장 성장을 더욱 견인

z 최근 국내 와인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트렌드는 ‘내추럴 와인’의 열풍이며 이러한


내추럴 와인의 인기 또한 소비자의 와인 관심 및 소비 증가에 크게 기여
╺ ‘내추럴 와인’이란 포도 재배에서부터 양조까지 화학적 요소를 배제한 와인

z ‘내추럴 와인’ 트렌드는 약 3년 전 프랑스에서부터 시작되어 유럽과 일본을 거쳐


국내에서는 지난해부터 와인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양상

z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내추럴 와인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판매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청담동을 중심으로 내추럴 와인 바(Bar) 또한 점점 증가하는 추세
╺ 내추럴 와인 전문 판매점(예시) : 비노스앤(판교), 비노테카(연희), 꺄브뱅베(전주)

╺ 내추럴 와인 바(예시) : 피크닉(회현), 6-3(청담), 슬록(이태원), 에세테라(압구정)

„ 향후에도 와인 시장은 디지털 기술 접목, 음식과의 페어링 문화 등으로 지속 성장 가능

z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즉석 와인 제조기 ‘빈퓨전’이 등장하는 등 디지털


기술이 와인에 접목됨에 따라 와인 보편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
╺ ‘빈퓨전’은 고객 취향에 맞게 와인을 블렌딩하며, 고객 표정을 감지하여 와인 추천

z 또한 홈파티 문화가 확산되면서 와인과 음식과의 페어링(Pairing)이 더욱 대중화될


것으로 보이며 ‘작은 사치’를 즐기는 문화도 와인 시장 성장의 주요 배경
╺ ‘작은 사치’는 먼 미래보다 현재의 나에게 보상을 주는 소비심리로 최근 확산

z 한편 ‘혼술’ 문화가 점차 증가하면서 소용량 와인 제품의 수요가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맞춰 최근 750ml 미만의 와인 제품이 다수 출시됨

∎ 자연주의 와인 구분 ∎ 즉석 와인 제조기 ‘빈퓨전(Vinfusion)’


구분 내용 인증여부

- 화학비료나 살충제, 제초제 등을


유기농 미국 O
사용하지 않고 재배된 포도로
와인 유럽 X
만든 와인

바이오 - 유기농 와인과 비슷한 개념이나, 전 세계


다이나믹 친환경 비료도 사용하지 않는 700개
와인 등 유기농보다 더욱 엄격 양조장 인증

- 유기농 혹은 바이오다이나믹
내추럴
농법을 사용하는 동시에 양조 없음
와인
방식에서도 화학적 요소 배제
자료 : 보도자료 종합,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료 : Gadgetify

6 KEB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Bi-Weekly Hana Financial Focus


이 슈 분 석

„ 산업 측면에서는 대기업 계열 와인 수입업체가 와인 시장 성장의 가장 큰 수혜

z 와인 수입업계는 금융위기 이후 침체기 동안 중견 와인 수입업체가 매각 혹은


파산되면서 대기업 계열 와인 수입업체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
╺ 2017년 5월, 국내 6위권 와인 수입업체인 길진인터내셔날 파산 신청

╺ 2017년 6월, 국내 2위 와인 수입업체인 금양인터내셔널 꺄뮤이앤씨에 매각

z 2017년에는 신세계L&B가 매출액 665억원을 기록하여 처음으로 와인 수입업계


1위로 올라섰으며 롯데칠성음료와 하이트진로 또한 와인 사업을 확대 중
╺ 2017년 롯데와 하이트진로의 와인 매출액은 각각 540억원과 130억원으로 추정

z 특히 대기업 계열 와인 수입업체는 다양한 유통 채널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규모 수입이 가능하여 해외 와이너리가 거래를 선호하며, 규모의 경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 와인 시장 성장에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

„ 와인 시장 성장에도 불구 주점업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

z 와인 시장 성장에도 불구하고, 홈술과 혼술 문화가 더욱 보편화되면서 주점업에


끼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경기전망지수 또한 하락 추세
╺ 최근 주점업 경기전망지수 추이 : 62.5p(18.2Q) → 60.7p(18.3Q) → 59.7p(18.4Q)

z 다만 내추럴 와인 바(Bar)가 최근 인기를 누리는 것과 같이 몇몇 차별화된 와인


바의 경우에는 젊은층의 선호도가 높아지며 쏠림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

z 한편 최근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이 업계 최대 규모의 와인 복합 매장을 오픈하는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온라인 구매가 어려운 주류매장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여 소매업계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

∎ 주요 와인 수입업체 매출 추이 ∎ 주점업 경기전망지수 추이

800 (억 원 ) 66 (P t )
700
64
600
62
500
400 60
300
58
200 신 세 계 L&B
금양인터 56
100 아 영 F BC
0 54
2013 2014 2015 2016 2017 16.2Q 16.4Q 17.2Q 17.4Q 18.2Q 18.4Q

주 : 개별재무제표 기준 자료 : 통계청
자료 : Kis-Value

제9권5호 2019.3.18~3.31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