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www.khidi.or.kr, www.khiss.go.

kr

발행일_ 2014. 12. 22 발행처_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발행인_ 정기택


보 건 산 업 브 리 프 Vol. 156
통계분석 | 정책제도 | 동향전망

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특성 분석


보건산업정보통계센터
박종숙

Ⅰ 개 요

향수 사용도가 높은 집단(하루 최근 스몰 럭셔리(Small luxury) 현상 1)과 셀프 힐링(Self-healing)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2회 이상)은 평소 사용하는 향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향수 및 코롱 등 방향용
향수의 개수 및 향수 구입 제품류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는 양상임. 과거와 달리 소비자들에게 향수는 단순한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제품’이 아닌 ‘감성적 만족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향수를 고르는 기준에 문화적
향수 구입을 위해 더 많은
트렌드가 적용됨에 따라 추후 향수 시장은 세분화될 것으로 보임
비용을 지불함
몇 년 전부터 에스쁘아 같은 국내 향수 브랜드가 생기며 국내산 향수의 성장이
주 4~7회 향수 사용 집단은 두드러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향수라고 하면 수입브랜드 제품을 떠올리는 것이
평소 단일 제품을 사용하는 사실이며, 수입되는 향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임
경향이 강하며, 국내산 향수
선호도(37.5%)가 다른 집단에 - ‌2013년 기준 향수 수입규모는 전체 화장품 수입의 8.5% 수준인 8,278만 달러로, 연평균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 (2008~13)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전통적 향수 수입국인 프랑스로부터의 수입
또한 본인 또는 가족이 직접 비중은 2008년 39.7%에서 7.8%p 증가한 47.6%에 달함
향수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높음
따라서 소비자가 국산 향수를 더 선호하고 선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향수 구매 및 사용에 대한 태도 등 소비자 행동을 파악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집단은 있도록 제품 생산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
선물로 받은 향수를 사용하는
본고는 향수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의 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
비율이 50.9%로 구입한
비율(48.1%)보다 높으며, 선호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향수 사용에 대한 태도, 소비 행동 등을 밝히고자함. 이는
제조국이 없는 경우(10.5%)가 관련 업계에 향수에 대한 소비자 태도 파악, 시장 세분화 및 브랜드 이미지 설정 등을
상대적으로 많음. 또한 위한 전략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
믿을 수 있는 면세점(21.8%)을
선호함

1)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적은 제품을 통해 명품이 주는 만족감을 대신 느끼려는 소비 행태를 의미함


1
보건산업브리프

화장품 향 수
(단위: 만달러) (단위: 만달러)

120,000 연평균증가율 9,000 연평균증가율 8,278


6.2% 13.6%
97,196 8,000
100,000
7,000
80,000 71,994 6,000
5,000 4,379
60,000
4,000
40,000 3,000
2,000
20,000
1,000
- -
2008년 2013년 2008년 2013년

[그림 1] 화장품 및 향수 수입 현황

2008년 2013년

(단위: %)
(단위: %)
영국 독일 1.1%

이탈리아 영국 이탈리아 6.2%


30.8% 11.6% 30.3%
미국
11.9%
독일
10.7% 기타국
2.9%
미국 5.7%

기타국 1.5%
프랑스 프랑스
39.7% 47.6%

[그림 2] 연도별 향수 수입국 현황


자료 : 의약품수출입협회,
‌ 화장품 수입실적 통관예정보고 자료, 각 연도

Ⅱ 자료원 및 분석방법

■ ‌분석대상 및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화장품 제조·유통 실태조사(2014년 조사)』 중 화장품 사용 및 구입


실태 파악을 위한 일반소비자 대상 조사 원자료를 활용함
- 2014년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조사 2)
- 조사내용 : 화장품 유형별 3)(11개) 사용 및 구입 실태

<표 1>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조사 대상 조사 방법 조사 실시 기간
20세 이상 성인 남녀(2,000명) 온라인 설문 2014. 10. 07 ~ 2014. 10. 31

2) ‌소비자 조사는 전국의 일반 인구를 대표하도록 구성된 닐슨의 온라인 패널 조사 인구 중에서 추출하여 조사함. 조사 대상 인구의 선정은 표본
할당에 기초하여 닐슨 온라인 패널 전체 인구를 성·연령·지역별로 층화한 후 계통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인구 중에서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인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함. 온라인에 구축되어 있는 조사 시스템에 들어와 각 설문 문항에 대하여 자기 기입식으로 응답함
3)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대상 조사로 ‘영.유아용 제품류’는 대상 유형에서 제외하였으며, ‘기능성 화장품’은 별도 항목으로 조사함

2
통계분석 ㅣ 정책제도 ㅣ 동향전망

<표 2> 조사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사용 목적 •피부고민 및 고민 해결 방법
•세부 유형별 사용 현황(사용 개수, 사용 횟수)
사용 현황
화장품 사용실태 •유기농, 한방, 기능성 유무 및 선호 제조국
사용 만족도 •화장품 유형별 만족도 및 불만족 이유
클레임 •클레임 경험 유무 및 클레임 사례
•화장품 구매 요인
구입 과정
•화장품 정보 획득 경로
화장품 구입실태
•세부 유형별 구입 여부(구입, 선물, 기타(DIY 등))
구입 현황
•월평균 구입금액 및 구입횟수, 주 구입처

■ ‌분석방법

향수에 대한 소비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의 향수 사용도에 따라 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향수 사용 및 구매 태도를 분석함. 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은 향수 사용 빈도에 의해
향수를 하루 2회 이상 사용, 주 4~7회 사용, 주 3회 이하 사용하는 경우로 분류함
- ‌향수 사용도에 따른 세부 집단의 향수 사용 및 구매 태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 -test) 및 대응분석 4)을 수행함

Ⅲ 분석내용
■ ‌향수 사용 현황

2014년 10월 2,000명 대상으로 향수(Fragrances) 사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814명(40.7%)이 향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여성의 향수 사용(44.0%)이 남성(37.4%) 보다
많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의 향수 사용(52.3%)이 가장 많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향수 사용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임(교차분석 결과 p<0.05)
- ‌직업별로는 학생의 향수 사용이 56.6%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전문가 및 고위관리자 51.4%, 사무직 46.7%
순으로 사용 비율이 높음. 또한 전반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향수 사용 비율이 높으며, 특히 월평균
600만원 이상 소득자의 향수 사용 비율은 56.9%로 가장 높게 나타남

(N=2,000 , 단위: %)

52.3%
49.4%
44.0%
40.7% 40.8%
37.4% 35.0%
28.5%

전체 남성 여성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그림 3] 성별 및 연령별 향수 사용 현황

4) ‌범주형으로 관측된 두 변수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두 변수의 각 범주들을 공간(이차원 공간)상에 점으로 표현하여 범주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며 본 내용에서는 여러 변수들 간의 관계를 한눈에 살펴보기 위해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활용함

3
보건산업브리프

직업 월평균 소득
(N=2,000 , 단위: %) (N=2,000 , 단위: %)
사무직 200만원 미만
기타 판매직 서비스직
46.7% 200만원 이상~
40.0% 31.3% 600만원 이상 35.3% 300만원 미만
56.9%
무직 전업주부
32.7% 38.1%
33.8%

34.8%
전문가 및 51.4% 자영업 36.7%
고위관리직 45.3%
34.2% 500만원 이상~ 300만원 이상~
28.6%
56.6% 600만원 미만 43.7% 400만원 미만
학생 기술직
농업, 어업, 임업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그림 4] 직업 및 월평균 소득에 따른 향수 사용 현황

향수 사용자(814명) 대상으로 평균 향수 사용 횟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주 4~7회인 경우가 51.6%로


가장 많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주 4~7회 향수 사용 비율이 56.5%로 여성(47.6%)보다 8.8%p
높게 나타남
-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의 하루 2회 이상 향수 사용 비율이 17.3%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으며, 30대에서
50대까지는 절반 이상이 주 4~7회 향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직업 구분에 따라서는 전문가 및 고위 관리자, 자영업자, 사무직 종사자의 주 4회 이상 향수 사용 비율(하루


2회 이상, 주 4~7회)이 70%를 넘으며, 농업, 어업, 임업 종사자와 전업주부, 학생 등은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비율(100.0%, 48.9%, 40.6%)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표 3>응답자 특성별 향수 사용 횟수


(단위: %)

사용도(사용 횟수) 사용도(사용 횟수)


구분 하루 2회 주 3회 구분 하루 2회 주 3회
주 4∼7회 주 4∼7회
이상 이하 이상 이하

남성 12.9 56.5 30.6 20대 17.3 48.1 34.6


성별
여성 13.3 47.6 39.1 30대 12.6 55.3 32.1

사무직 13.5 57.2 29.2 연령 40대 13.5 54.5 32.0

판매 및 서비스직 16.7 47.2 36.1 50대 10.1 51.4 38.4

전업주부 7.6 43.5 48.9 60대 이상 9.8 48.0 42.3

자영업 18.8 53.1 28.1 200만원 미만 11.0 45.7 43.3


200만원 이상-
기술직 9.3 59.3 31.5 300만원 미만 12.1 45.2 42.7
직업
농업, 어업, 월 300만원 이상-
임업 종사자 0.0 0.0 100.0 400만원 미만 10.6 55.0 34.4
평균
400만원 이상-
학생 17.2 42.2 40.6 소득 500만원 미만 12.9 62.9 24.2
전문가 및 500만원 이상-
고위 관리자 19.4 56.9 23.6 600만원 미만 16.5 48.5 35.1

무직 10.0 46.0 44.0 600만원 이상 18.3 55.0 26.7

기타 10.0 35.0 55.0 전체 13.1 51.6 35.3

4
통계분석 ㅣ 정책제도 ㅣ 동향전망

■ ‌향수 사용도에 따른 향수 소비 태도

향수 사용도에 따른 향수 소비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향수를 중심으로 평소


사용하는 향수의 개수[그림 5], 선호 제조국<표 4>, 주 구입처<표 5>, 구입 태도(구입 여부<표 6>,
구입 시기<표 6>, 구입횟수 및 구입비용<표 7>) 등을 향수 사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함
구분된 집단별로 평소 사용 중인 향수의 개수를 파악한 결과, 향수 사용도가 높을수록 평소
사용하는 향수의 개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즉, 향수 사용도가 하루 2회 이상인 집단은 평소 두
가지 향수를 사용하는 비율이 37.4%로 가장 높으며, 3개(11.2%) 및 4개 이상(16.8%)의 향수 사용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 반면, 주 4~7회,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집단은 단일 제품 사용
비율이 각각 70.5%, 64.1%로 가장 높게 나타남

하루 2회 이상 주 4~7회 주 3회 이하

(단: %) (단위: %) (단위: %)


4개 이상 4개 이상
4개 이상 3개 6.2%
16.8% 3개 9.1%
6.9%
8.0%
1개
34.6%
3개 2개
11.2% 16.4%
2개
18.8%

1개 1개
70.5% 64.1%
2개
37.4%

[그림 5] 평소 사용 중인 향수 개수

사용 중인 향수의 선호 제조국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국외산 향수에 대한 선호도(59.8%)가 높으며,


프랑스 향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향수 사용도에 따라서는 하루 2회 이상 사용 집단의
72.0%가 국외산 향수를 선호하며, 특히 프랑스 향수에 대한 선호도(50.5%)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 반면, 주 4~7회 향수 사용 집단은 국내산 향수 선호도(37.5%)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집단은 국외산 선호 비중이 60.3%로 가장 높지만, 선호
제조국이 없는 경우가 10.5%에 달함

<표 4> 향수 선호 제조국 현황


(단위: 명, %)

국외산
구분 N 한국 상관안함
미국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기타국가

하루 2회 이상 107 21.5 72.0 8.4 50.5 3.7 6.5 2.8 6.5

주 4∼7회 421 37.5 56.3 10.9 39.4 1.0 3.6 1.4 6.2

주 3회 이하 286 29.3 60.3 13.6 37.6 2.8 4.2 2.1 10.5

전체 814 32.5 59.8 11.5 40.2 2.0 4.2 1.8 7.7

5
보건산업브리프

사용 중인 향수의 주 구입처는 온라인 5)(21.4%), 일반전문점(18.9%), 면세점(18.1%)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향수 사용도에 따라 구매 장소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하루 2회 이상 향수 사용 집단은 백화점(21.6%) 및 온라인(19.6%)을, 주 4~7회 향수 사용 집단은 온라인
(22.1%) 및 일반전문점(21.7%)을 구매 장소로 더 선호하며,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집단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 믿을 수 있는 면세점(21.8%)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표 5> 향수 구입처 현황


(단위: %)

구분 일반전문점 브랜드숍 온라인쇼핑 백화점 대형마트 면세점 기타

하루 2회 이상 17.6 15.7 19.6 21.6 7.8 13.7 2.0


주 4∼7회 21.7 14.0 22.1 18.3 4.7 17.4 1.3
주 3회 이하 12.9 13.9 20.8 14.9 9.9 21.8 3.0
전체 18.9 14.2 21.4 17.8 6.5 18.1 1.8

제조국 구입처
0.3

0.2

▲ 상관안함
0.2

▲ ● 하루 2회이상
0.1

▲ 영국 ▲
백화점 ▲ 대형마트
일주일 3회이하 ▲미국 기타
● ▲ 브랜스숍
0.1

▲ 기타
0.0

● 일주일 3회이하
▲ 일반전문점 ▲ 온라인쇼핑
0.0

하루 2회이상 ● 일주일 4회~7회


-0.1

한국
● ▲ 프랑스 ▲ ▲ 면세점
▲ 이탈리아 ●
-0.1

일주일 4회~7회
-0.2
-0.2

-0.4 -0.3 -0.2 -0.1 0.0 0.1 0.2 -0.2 -0.1 0.0 0.1 0.2 0.3 0.4

[그림 6] 향수 선호 제조국 및 구입처 현황

사용 중인 향수의 구입 여부에 대해서 하루 2회 이상 및 주 4~7회 향수 사용 집단은 구입한


비율(각각 51.9%, 66.3%)이 선물로 받은 비율보다 높은 반면,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집단은 선물로
받은 비율이 50.9%로 구입한 비율(48.1%)보다 높게 나타남

<표 6> 향수 구입 현황
(단위: %)

구입 (본인 및 가족)
구분 선물로 받음 기타(DIY등)
2014년 2013년(최근 1년 이내) 구입한지 1년 이상
하루 2회 이상 51.9 50.9 40.0 9.1 45.3 2.8
주 4∼7회 66.3 47.1 37.1 15.8 33.3 0.5
주 3회 이하 48.1 32.6 39.9 27.5 50.9 1.0
전체 58.0 43.3 38.2 18.5 41.0 1.0

5) PC 및 모바일로 거래하는 인터넷쇼핑, 홈쇼핑, 기타 통신판매(카탈로그 판매)를 포함함

6
통계분석 ㅣ 정책제도 ㅣ 동향전망

최근 1년 동안 구입한 횟수는 평균 1.4회이며, 향수 사용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p=.000). 하루 2회 이상 향수 사용 집단은 평균 1.9회, 주 4~7회 사용 집단 평균 1.4회, 주 3회 이하
사용 집단 평균 1.2회로 향수 사용 횟수가 많을수록 자주 구입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또한 월평균
구입비용도 하루 2회 이상 사용 집단(47,385원), 주 4~7회 사용 집단(44,647원), 주 3회 이하 사용
집단(41,287원) 순서로 높게 나타나 향수 사용이 많을수록 더 많은 구입비용을 쓴다고 볼 수 있음

<표 7> 향수 구입횟수 및 월평균 구입비용 6)


(단위: 회, 원)

평균의 95% 신뢰구간


구분 평균 중위수 표준편차
하한 상한
하루 2회 이상 1.9 1.3 2.4 1.3 1.920

최근 1년간 주 4∼7회 1.4 1.3 1.5 1.0 1.014


구입횟수 주 3회 이하 1.2 1.0 1.3 1.0 0.682
전체 1.4 1.3 1.5 1.0 1.123
하루 2회 이상 47,385 37,761 57,010 42,453 34,001
최근 1년간 주 4∼7회 44,647 40,138 49,156 40,000 35,051
월평균
구입비용 주 3회 이하 41,287 35,458 47,116 45,000 29,323
전체 44,135 40,777 47,493 41,572 33,491

구입횟수 월평균 구입비용


(단위: 회) (단위: 원)
2.0 1.9 평균 48,000 47,385 평균
1.8 중위수 47,000 중위수
46,000 44,647
1.6 1.4 45,000
45,000
1.4 1.3
44,000
1.2
1.2 43,000 42,453
1.0
1.0 42,000
1.0 41,000
0.8 40,000 41,287
40,000
0.6
39,000
0.4 38,000
하루 2회 이상 주 4-7회 주 3회 이하 하루 2회 이상 주 4-7회 주 3회 이하

[그림 7] 향수 구입횟수 및 월평균 구입비용

Ⅳ 요약 및 시사점

『의료기기·화장품 제조·유통 실태조사(2014년 조사)』의 ‘화장품 소비자 조사’ 자료를 이용해 일반


소비자의 향수(Fragrances) 사용 및 구입 실태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일반소비자 2,000명 중 814명(40.7%)이 향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응답자 특성별로는 여성의 향수
사용(44.0%)이 남성(37.4%) 보다 많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의 향수 사용(52.3%)이 가장 많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향수 사용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임(교차분석 결과 p<0.05)

6) 분산의 동질성 검정에 따라 구입 횟수는 일원배치 분산분석, 월평균 구입비용은 Kruskal-Wallis 검정을 수행함

7
통계분석 ㅣ 정책제도 ㅣ 동향전망

- ‌향수 사용자(814명)의 평균 향수 사용 횟수는 주 4~7회인 경우가 51.6%로 가장 많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주 4~7회 향수 사용 비율이 56.5%로 여성(47.6%)보다 8.8%p 높게 나타남.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의
하루 2회 이상 향수 사용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향수 사용도에 따른 향수 소비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구분된 집단별로 분석한 결과, 평소 사용하는


향수의 개수, 선호 제조국, 주 구입처, 구입 태도 등 향수 소비 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향수 사용도가 높은 집단(하루 2회 이상)은 평소 사용하는 향수의 개수 및 향수 구입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향수 구입을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국외산 향수(프랑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구입처로 온라인 및 백화점을 선호함

- ‌주 4~7회 향수 사용 집단은 평소 단일 제품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며, 국내산 향수 선호도(37.5%)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 또한 온라인(22.1%) 및 일반전문점(21.7%)을 구매 장소로 선호하며,
본인 또는 가족이 직접 향수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높음

- ‌주 3회 이하 향수 사용 집단은 단일 제품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선물로 받은 향수를 사용하는


비율이 50.9%로 구입한 비율(48.1%)보다 높은 수준임. 또한 선호 제조국이 없는 경우가 10.5%에 달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 믿을 수 있는 면세점(21.8%)을 선호함

이와 같이 향수를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향수와 관련된 소비자 행동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장세분화나 상표이미지 전략, 판촉진 등 마케팅 전략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 즉, 향수를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향수에 대한 관심이 많고, 구매력이 크기
때문에 마케팅에 있어 중점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크며, 가끔 사용하는 집단은 경제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므로 중저가 전략이 적절할 것이며, 시향의 기회를 제공해 제품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이경화 등,2000)

■ 참고문헌

강승구, 김희경(1999). 향수 및 향수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교차 태도. 광고학 연구, 10(2), 63-95.


김경숙, 김민식, 김주덕(2011). 여대생의 한방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태(서울시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17(4), 711-721.
김유성(1997). 우리나라 외국제품 선호도에 관한 연구(향수제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여은아(2004). 향수제품 소비 및 구매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9).
이경화, 류은정, 김경화(2000). 여대생의 향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집단별
특성을 중심으로). 복식, 50(6), 143-153.
지혜영, 조완현(2009).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품목을 이용한 고객의 예측모델 설계.
한국데이터정보학회지.

⊙ 집필자 : 보건산업정보통계센터 박종숙 ⊙ 문의 : 043-713-8456


⊙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 본
 간행물은 보건산업통계포털(http://www.khiss.go.kr)에 주간단위로 게시되며 PDF 파일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8 보건산업정보통계센터
Center for Health Industry Information & Statistic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