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CHINA M arket Report

마켓 리포트 전화 : 86-10-6505-2672/3
이메일 : beijingk@kita.net

중국의 싱글 이코노미

목차

1. 1인 가구 규모 및 특징
2. 관련 유망 제품 및 서비스
3. 시사점

요약

최근 중국은 만혼, 결혼율 하락, 이혼율 상승 등으로 싱글인구,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중국 민정국은 2018년 싱글인구 규모는 2.4억 명, 2021년 1인 가구 규모는
1억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싱글인구의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습관 변화 등으로 싱글소비 관련 제품과 서비스가


꾸준히 각광을 받고 있음

식품은 '1인 식품', '식사대용 식품', '반조리식품' 등 품목이 인기를 끌고 있고, 가전은 '소형가전',
'미니가전', '스마트 소형가전', '가정용 헬스용품', 여성 소비는 '화장품', '사치품', '액세서리' 등이
성장세

이밖에 '애완동물 식품', '애완동물 스마트기기' 등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 서비스 분야는
'온라인 쇼핑', '음식배달 서비스', '신선식품 배달서비스' 등의 수요도 지속 증가세

중국의 젊은 싱글들은 건강유지와 여가생활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헬스앱, 미니KTV(노래방)의


이용자도 늘어나고 있으며 1인 관광객의 소비수준도 일반 관광객보다 높게 나타남

우리 기업은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프리미엄’으로 브랜딩하고 자신에게 투자를 아까지 않는


이른바 중국의 골든 싱글족을 타겟으로 시장 진출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임

China Market Report ● 1


1. 1인 가구 규모 및 특징

최근 중국의 인구 증가와 더불어 1인 가구 비중이 상승하는 추세로, 중국 민정국은 2018년 싱글인구


규모는 2.4억 명, 2021년 1인 가구 규모가 1억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중국의 전체 인구는 2019년 기준으로 14억 명을 돌파했고, 도시 인구 비중이 60%를 웃돌았으며, 남성


인구가 여성 인구보다 3,079만 명 정도 많은 것으로 집계됨

2015~2019년 중국 인구 분석
전체 인구 성별 구분 지역 구분
연도
(만 명) 남성(만 명) 비중(%) 여성(만 명) 비중(%) 도시(만 명) 비중(%) 농촌(만 명) 비중(%)
2015 137,462 70,414 51.2 67,048 48.8 77,116 56.1 60,346 43.9
2016 138,271 70,815 51.2 67,456 48.8 79,298 57.4 58,973 42.7
2017 139,008 71,137 51.2 67,871 48.8 81,347 58.5 57,661 41.5
2018 139,538 71,351 51.1 68,187 48.9 83,137 59.6 56,401 40.4
2019 140,005 71,527 51.1 68,478 48.9 84,843 60.6 55,162 39.4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최근 1인, 2인 가구 비중이 상승하고 3인, 4인 가구 비중은 하락, 특히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의


13.1%에서 2019년의 18.5%로 상승하여 2019년 기준 1인 가구는 총 8,610만 가구로 추산됨

2015~2019년 중국 가구 구성
총 가구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10인 가구
연도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만 가구)
(만 가구) (%) (만 가구) (%) (만 가구) (%) (만 가구) (%) (만 가구) (%)
2015 41,005 5,392 13.1 10,367 25.3 10,833 26.4 7,340 17.9 7,074 17.3
2016 43,540 6,135 14.1 11,222 25.8 11,361 26.1 7,753 17.8 7,069 16.2
2017 44,572 6,945 15.6 12,143 27.2 11,029 24.7 7,628 17.1 6,826 15.3
2018 45,271 7,556 16.7 12,810 28.3 10,592 23.4 7,452 16.5 6,862 15.2
2019 46,663 8,610 18.5 13,802 29.6 10,400 22.3 7,431 15.9 6,421 13.8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무역협회 베이징지부(*통계국 샘플 수치로 재작업)

사회적으로 만혼(晚婚), 성혼율 하락, 이혼율 상승 등에 따라 싱글인구가 증가하는 추세

최근 25~29세 젊은이들이 결혼 주력군으로 부상하였고 2005~2019년 사이 20~24세 기혼 인구 비중은


47.0%에서 19.7%로 급감한 반면 30세 이상 기혼 인구 비중은 18.7%에서 45.7%로 상승

- (고학력 증가) 학사 이상 학력 인구가 증가하면서 이들 결혼이 늦춰지고 있음. 2015~2019년 기준 재학


중인 박사는 33만 명에서 42만 명, 석사는 148만 명에서 244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석·박사 비중이
10.8%에서 14.1%로 상승

China Market Report ● 2


- (독립의식 강화) 신세대 젊은이들은 독립, 자유, 생활의 질을 추구하며 결혼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갖고
있음. 특히 경제발전 및 교육수준 제고로 여성들은 직장을 통해 자아실현 및 자기가치를 실현하려 하고,
고학력 여성들이 배우자로서 자신보다 조건이 우월한 남성을 선호하며 싱글 여성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음

2005년 혼인신고 인구 연령대 분포 2019년 혼인신고 인구 연령대 분포

출처 : 중국 민정국 출처 : 중국 민정국

최근 혼인율이 하락하고 이혼율이 상승하는 추세로, 2015~2019년 사이 중국 혼인신고 건수는 연평균


6.7%씩 감소한 반면, 이혼 수속 건수는 연평균 5.2%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 (결혼 부담) 현재 높은 주택가격과 자녀교육비 지출은 젊은이들이 결혼을 미루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대도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남

- (이혼에 대한 인식 변화) 사회 전반적으로 이혼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이혼이 더 이상 사회적으로 지탄받을


일이 아니게 되었으며, 경제적 독립으로 여성들도 이혼 후 안정적인 생활 영위 가능

- (지역경제 영향) 경제가 발달한 지역의 혼인율이 낮은 반면 서부지역 혼인율이 높았으며, 인구가 유입되는
도시는 혼인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2019년 혼인율은 서부지역의 구이저우(9.9‰), 칭하이(9.6‰), 닝사(8.8‰)가 1~3위로 가장 높았고, 쓰촨(7.3‰),


충칭(9.9‰), 안후이(8.5‰) 등도 높게 나타남. 상하이(4.1‰), 저장(5.0‰), 산둥(5.3‰)이 하위 1~3위를 기록했고, 그
뒤로는 광둥, 푸젠, 톈진 순이며, 베이징시(6.0‰)는 하위 8위로 전국 평균 수준을 하회함. 이혼율은 헤이룽장(4.5‰),
지린(4.5‰), 랴오닝(3.6‰) 등 동부지역이 높았음

2015~2019년 결혼 및 이혼 인구
결혼 이혼
연도
결혼 등기(만 쌍) 증감률(%) 결혼율(‰) 이혼 수속(만 쌍) 증감률(%) 이혼율(‰)
2015 1,225 -6.3 9.0 384 5.6 2.8
2016 1,143 -6.7 8.3 416 8.3 3.0
2017 1,063 -7.0 7.7 437 5.2 3.2
2018 1,014 -4.6 7.3 446 2.0 3.2
2019 927 -8.5 6.6 470 5.4 3.4

출처 : 중국 민정국

China Market Report ● 3


2. 관련 유망 제품 및 서비스

(1인용 식품) 1인 가구, 싱글인구 증가에 따라 '1인용 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음. '1인용 식품'은 전통식품에
냉장·냉동 기술을 활용해 업그레이드한 식품으로 자체 발열 샤브샤브, 라면, 즉석밥 등의
인스턴트식품(方便速食)과 반조리식품(半成品菜)이 포함됨

티몰에서 발표한 '2019~2020 국민의 맛'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소포장 주류·쌀 등 '1인용 식품'
판매량이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음. 특히 자체 발열 샤브샤브 등 새로운 인스턴트식품 판매량이 50%
증가하고, 반조리식품 판매량은 무려 111% 증가하였음

- 자체 발열 샤브샤브 브랜드인 즈하이궈(自嗨锅) 2019년 매출은 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한 2억 4,500만


위안(약 420억원)으로 티몰 편의식품 중 1위를 기록. 프랑스 모엣(酩悦) 샴페인은 중국시장을 겨냥한 200ml
소포장 샴페인을 출시하여 주류업체 소포장 붐을 불러일으켰고, 0.5kg 포장 쌀이 90허우(90后·90년대생)로부터
인기를 끌었으며, 식용유 브랜드 진룽위(金龙鱼), 루화(鲁花) 등도 500ml 소포장 제품을 출시

주요 1인용 식품
자체 발열 샤브샤브 라면(뤄쓰펀) 자체 발열 백미 즉석밥 백미(0.5kg 포장) 샴페인(200ml)

출처 : 티몰(天猫)

또한 냉동기술의 발전과 콜드체인 운송 원가 하락으로 반조리식품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여, 중국내 반조리식품
관련 기업은 7만 개사에 근접하며 최근 2년간 급증함. 반조리식품은 가격대가 20~50위안(약 3,428~8,571원)
사이로 냉동제품이 아닌 경우 2~3분이면 요리가 완성되며, 130g, 150g, 170g 등의 1인용 소포장 제품이 등장

궈하이증권사(国海证券)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반조리식품 시장규모는 3,000억 위안(약 51조원)으로 전체


식자재 규모의 10% 미만이며, 향후 6~7년 사이 1조 위안(약 171조원)으로 성장할 전망. 생산업체는
대부분 중소기업이고 시장집중도가 낮으며 지역적 특징을 띄고 있음. 전국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대형업체가 소수인 가운데, 선도기업 웨이즈샹(味知香)이 2020년 12월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

주요 반조리식품
사오뉴러우(烧牛肉) 커우러우(小扣肉) 후추생선(黑椒鱼排) 탕추리지(糖醋里脊) 위샹러우스(鱼香肉丝)

출처 : 징둥(京东)

China Market Report ● 4


(식사대용 식품) 싱글들은 체중관리, 헬스 목적으로 식사대용 식품을 선호하며 관련 제품들이 인기임

아이메이(艾媒) 컨설팅에서 발표한 ‘2021년 1/4분기 중국 식사대용 식품(代餐)산업 발전 및 시장연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0년 중국의 식사대용 시장규모는 연평균 68.8%씩 성장하였고, 2020년
시장규모는 473억 위안(약 8조원), 2021년에는 924억 위안(약 15.8조원)으로 성장할 전망

- 조사에 따르면 식사대용 식품의 소비자 중 38%는 체중관리, 그 외 미용, 숙면, 근육량 상승, 탈모 방지
등으로 구입했으며, 주요 품목으로는 오트밀, 식대대용 쉐이크, 단백질바, 육류제품 등이 있음

- 식사대용 식품 관련 기업수는 2016년의 1,082개사에서 2020년의 2,350개사로 증가하였고, 유명 음료


브랜드 뿐 아니라 스타트업 브랜드 왕바오바오(王饱饱), ffit8, WonderLab, Smeal 등도 세분화된
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며 자본과 소비자의 인기를 끌고 있음

주요 식사대용 식품
과일오트밀 단백질 쉐이크 단백질바 닭가슴살 프로바이오틱스

출처 : 징둥(京东)

(1인 식당) 요식업 분야도 1인 소비자를 위한 '1인 식당'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소비자의 눈길을 끌고 있음

기업정보 플랫폼 톈옌차(天眼查)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중국내 184개 기업이 기업명, 경영범위, 제품서비스
혹은 상표에 '1인식(一人食)'을 포함했고, 2020년 신규 등록 업체는 79개사로 전년 대비 82% 증가하였음

- 2018년 베이징시에 설립된 이삼인석(二三坐)요식유한회사가 2018년 베이징시에 설립된 후 '1인식


면식점'을 오픈했으며, 2019년 일식 샤브샤브 브랜드 인더우예차이춘(伊豆野菜村)에서 '1인식 불고기'
점포를 오픈 후 한식 불고기 브랜드 취안진청(权金城)도 베이징시에 '1인식 불고기' 점포를 오픈하였음

'중국 요식업 빅데이터 2020'에 따르면 2019년 메이퇀디엔핑(美团点评) 플랫폼에 '1인식'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 대비 132% 증가했으며, 검색자수도 전년 대비 137% 상승하였음

1인 식당
샤브샤브 전문점 중식당 불고기 전문점

출처 : 바이두(百度)

China Market Report ● 5


(소형가전) 2012~2019년 소형가전 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13.3%이며, 2019년 시장규모는 4,015억
위안(68.7조원)임.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부피가 작고 사용이 간편한 소형가전 제품이 인기이며,
미니가전, 스마트 소형가전 등도 새로이 유행의 물살을 타고 있음

소형가전은 주방용과 생활용을 포함하며 첸잔(前瞻)연구원은 2023년 중국의 소형가전 시장규모를 6,460억
위안(약 111조원)으로 전망함. 소형가전 관련 업체수는 40만 개사에 달하며 유명 브랜드는 Midea(美的),
Joyoung(九阳), SUPOR(苏泊尔), FLYCO(飞科电器), ECOVACS(科沃斯), 샤오슝전기(小熊电器) 등임. 이
중 ECOVACS와 샤오슝전기는 온라인 시장에서 급성장한 신예 브랜드임

AVC컨설팅에 따르면 2020년 주방용 소형가전(11종) 판매액은 전년 대비 11.3% 감소한 566억 위안(약
10조원), 이 중 온라인 판매액은 9.4% 증가한 366억 위안(약 6조원)으로, 초고속블렌더, 전기베이킹팬
등이 인기 품목으로 나타남

2020년 주방용 소형가전 온·오프라인 판매 현황


온라인 시장 오프라인 시장
품목
판매액(억 위안) 전년 대비 증감률(%) 판매액(억 위안) 전년 대비 증감률(%)
전기밥솥 85 7.1 60 -34.0
초고속블렌더 48 56.8 55 -30.4
압력밥솥 38 4.2 27 -33.0
전기레인지 32 -5.7 21 -34.6
전기포트 37 5.7 11 -39.7
믹서기 32 12.1 9 -24.2
전기베이킹팬 25 60.6 5 -10.1
약탕기 22 5.7 4 -39.7
두유제조기 19 4.9 3 -54.8
멀티쿠커 18 4.1 3 -40.5
착즙기 10 -27.4 2 -58.5
출처 : AVC컨설팅

1인 가구를 겨냥한 미니냉장고, 미니세탁기, 미니전기밥솥 뿐 아니라 미니초고속블렌더, 미니압력냄비,


미니두유기 등의 다양한 미니가전들이 출시되고 있음. 티몰에 따르면 2019년 미니전자레인지와 미니세탁기
구매자수가 각각 전년 대비 970%, 630% 증가하였음

주요 미니가전
미니드럼세탁기(5kg) 미니전기밥솥(2L) 미니초고속블렌더(420ml) 미니압력냄비(1.8L) 미니두유기(0.3L)

출처 : 징둥(京东)

또한 스마트 소형가전이 인기로 인공지능형 스피커, 스마트 램프 뿐 아니라 스마트 손세정기, 스마트
디퓨저, 스마트 살균기, 스마트 휴지통 등도 젊은이들의 인기를 끌고 있음. 2019년 중국의 인공지능형
스피커 시장이 급성장했으며 출하량이 전년 대비 109.7% 증가한 4,589만 대에 달함
China Market Report ● 6
- 2020년 3월부터 올해 3월 초까지 총 29개 소형가전 업체가 30억 위안(약 5,145억원) 규모의 기관투자를
받았는데, 이 중 스마트 소형가전 브랜드가 15개사로, 스마트 조명 브랜드 YEELIGHT(易来), 스마트 칼 홀더
브랜드 huojikitchen(火鸡电器), 스마트 욕실가전 브랜드 diiib(大白) 등이 포함됨

스마트 소형가전
인공지능형 스피커 스마트 손세정기 스마트 디퓨저 스마트 칼 홀더 스마트 휴지통

출처 : 징둥(京东)

신예 브랜드는 특화된 소형 가전시장에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제품을 선보이면서 대형 주방가전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임

(애완동물)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싱글들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 소비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

중국의 애완동물(애완견·애완묘) 소비시장은 2015~2020년 연평균 16.1%씩 성장하여 2020년 시장규모는


2,065억 위안(약 35조1,050억원)에 달함. 애완견은 전년 대비 5.1% 감소한 5,222만 마리, 애완묘는 전년
대비 10.2% 증가한 4,862만 마리였고, 애완견 소비시장은 전년 대비 5.1% 감소한 1,180억 위안(약
20조원), 애완묘 소비시장은 전년 대비 13.3% 증가한 884억 위안(약 15조원)으로 집계됨

- 애완동물 소비 중 식품(사료, 간식, 건강보조제) 소비 비중이 54.7%에 달했고 애완동물 식품, 완구 외


애완동물용 음식배달, 애완동물 전용 호텔 등의 업종도 출현하기 시작함

- 애완동물 사료 수입은 전년 대비 102.1% 증가한 6.2억 달러로, 캐나다, 미국, 뉴질랜드, 태국, 독일
5개국으로부터 수입이 전체의 90%를 차지. 최근 애완동물 식품 수입상들이 국경 간 전자상거래 방식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애완동물 식품은 기저귀, 분유,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을 이은 국경 간 전자상거래
유망품목으로 부상함

2018~2020년 중국 애완동물 식품·용품·서비스 소비 비중


연도 사료 간식 건강보조제 의약품 애완용품 진료 샤워·미용 트레이닝 위탁 양육

2018년 39.2% 11.5% 1.5% 5.0% 18.4% 14.8% 7.4% 0.7% 1.5%
2019년 39.4% 19.5% 2.5% 9.0% 11.7% 10.0% 5.8% 0.5% 1.6%
2020년 35.9% 17.8% 1.0% 9.6% 13.6% 16.2% 4.1% 0.5% 1.3%

출처 : 2020 중국 애완동물 산업백서

애완동물 스마트기기도 인기로 3대 품목은 스마트 음수기, 스마트 급식기, 스마트 고양이 화장실이며, 특히
스마트 고양이 화장실은 '2020년 티몰 10대 스마트 가전' 중 유일하게 명단에 오른 애완동물 제품임

China Market Report ● 7


애완동물 스마트기기
스마트 음수기 스마트 급식기 스마트 급식기 스마트 고양이 화장실 스마트 고양이 화장실

출처 : 징둥(京东)

(온라인 쇼핑 및 음식·신선식품 배달) 싱글들은 온라인 쇼핑과 음식배달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과일·야채 등 신선식품도 배달시키는 추세

닐슨(Nielsen)이 발표한 '중국 싱글경제 보고서(2020.7)'에 따르면 싱글 소비자 중 97%는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고 62%는 음식배달 서비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2020년 사회 소비재 판매액은 전년 대비 3.9% 감소한 40조 위안(약 6,851조원)인 반면, 온라인 판매액은
10.9% 증가한 11.8조 위안(약 2,021조원)이며, 이 중 상품 온라인 판매액이 전년 대비 14.8% 증가한
9.8조 위안(약 1,680조원)에 달함

- 왕징사(网经社)에 따르면 2020년 징둥은 매출 1위, 알리바바는 순이익 1위, 핀둬둬는 이용자수 1위를
달성. 핀둬둬(7억 8,840만 명), 알리바바(7억 7,900만 명), 징둥(4억 7,190만 명)의 이용자수는 증가한
반면 중소 전자상거래 업체의 이용자수는 감소세를 보였고, 핀둬둬의 이용자수가 알리바바를 추월

- 후룬(胡润)연구원이 발표한 2020년 7월 발표한 '2020 후룬 중국 10대 전자상거래 업체 리스트'에 따르면


1~3위는 알리바바, 메이퇀, 징둥이며, 베이징시 소재 업체가 5개사로 가장 많았음

2020 후룬연구원 선정 중국 10대 전자상거래 업체


시가 시가
NO. 로고 업체명 본사 소재지 NO. 로고 업체명 본사 소재지
(억 위안) (억 위안)
알리바바 시트립
1 (阿里巴巴) 41,090 항저우 6 (携程) 1,090 상하이

2 메이퇀 9,190 베이징 7 웨이핀후이 950 광저우


(美团点评) (唯品会)

3 징둥 7,490 베이징 8 쑤닝이꺼우 820 난징


(京东) (苏宁易购)
핀둬둬 처하오둬
4 (拼多多) 7,280 상하이 9 (车好多) 600 베이징

디디 메이르유센
5 (滴滴) 3,600 베이징 10 (每日优鲜) 210 베이징

출처 : 후룬연구원

음식배달 시장은 2020년 말 기준 이용자가 5억 명, 시장규모가 8,352억 위안(약 143조원)에 달했으며,


음식배달 플랫폼 메이퇀(美团)에 따르면 섣달 그믐 저녁 '1인식' 주문량이 전년 동기대비 66% 증가하였고,
아이메이 컨설팅에 따르면 2021년 기준 32.9%의 소비자가 장기적으로 홀로 식사하는 것으로 조사됨

China Market Report ● 8


신선제품 전자상거래 시장도 빠른 성장세로 2019년 신선제품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36.7%
성장한 2,796억 위안(약 48조원), 2023년에 이르면 8,000억 위안(약 137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됨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신선제품 전자상거래 B2B에서 '지역단지 공동구매' B2C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대기업들이 트래픽 확보를 위해 '야채판매' 플랫폼 구축을 본격 추진

- 알리바바는 스후이퇀(⼗荟团), 텐센트는 싱성유쇈(兴盛优选), 스샹후이(⾷享会)에 투자하였고, 메이퇀은


메이퇀유쇈(美团优选), 메이퇀마이차이(美团买菜), 핀둬둬는 둬둬마이차이(多多买菜), 콰이퇀퇀(快团团),
알리허마는 허마유쇈(盒马优选), 허마윈차오(盒马云超), 디디(滴滴)는 청신유쇈(橙⼼优选) 등의 플랫폼을
구축, 바이트댄스는 진르마이차이(今⽇买菜), 징둥은 징둥유쇈(京东优选) 플랫폼 구축을 준비 중임

- 핀둬둬는 둬둬마이차이 플랫폼 운영에 10억 위안(약 1,715억원)을 투자하였고, 디디 CEO도 청신유쇈
투자에 상한을 두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메이퇀도 2020년 3/4분기에 20억 위안(약 3,43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였는데, 이 또한 지역단지 전자상거래에 대한 투자 때문인 것으로 조사됨

- 한편 메이르유센(每日优鲜)과 딩둥마이차이(叮咚买菜)는 미국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이며, 메이르유센은


2014년 설립된 후 총 150억 위안(약 2.6조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고, 딩둥마이차이(叮咚买菜)는 올해
4월에 7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D1)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음

(싱글 선호 모바일 앱) 싱글들은 생활 편리와 정보 교류 등을 위해 어러머, 메이퇀, 메이르유센, 시트립


등의 온라인 플랫폼을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아이메이(艾媒)컨설팅에서 발표한 '2019년 중국 인터넷 소비자 소비행위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싱글들은


생활서비스, 신선식품 배달, 혼인·연애, SNS, 온라인 관광 등의 서비스 관련 앱을 선호

2019년 기준 중국 싱글 선호 모바일 앱
앱 로고 명칭 소개 앱 로고 명칭 소개
- 설립 : 2008년 - 설립 : 2014년
어러머 Run
- 유형 : 음식·생활용품 배달 - 유형 : 헬스
(饿了么) (悦跑圈)
- 이용자 : 2.6억 명 - 이용자 : 6,300만 명
- 설립 : 2011년 - 설립 : 2014년
메이퇀 메이르유센
- 유형 : 음식·생활용품 배달 - 유형 : 신선식품 배달
(美团) (每日优鲜)
- 이용자 : 5.1억 명 - 이용자 : 1.2억 명
- 설립 : 2016년 - 설립 : 1999년
시트립
Soul - 유형 : SNS - 유형 : 티켓·관광서비스
(携程)
- 이용자 : 1억 명 - 이용자 : 3억 명
- 설립 : 2005년 - 설립 : 2005년
전아이왕 58퉁청
- 유형 : 혼인·연애 - 유형 : 생활서비스
(珍爱网) (58同城)
- 이용자 : 2억 명 - 이용자 : 5억 명
- 설립 : 2011년 - 설립 : 2018년
Momo 페이주
- 유형 : SNS - 유형 : 관광서비스
(陌陌) (飞猪)
- 이용자 : 1억 명 - 이용자 : 3.2억 명
출처 : 아이메이(艾媒)컨설팅, 베이징지부 자체 조사

2020년에는 더우인(抖音), 콰이서우(快手) 등 짧은 동영상 플랫폼이 상품 판매 사업을 본격 추진하면서 이용자수가


급증했으며, 올해 4월 기준, 더우인 일간 이용자 수는 6억 명, 콰이서우 일간 이용자 수는 2.6억 명으로 증가함

1) 시리즈 D : 스타트업 투자 단계중 하나를 의미하며 시리즈 C 투자부터는 기업 비즈니스 모델이 성숙되고 대량의 이용자를 확보하여 상장을 준비
China Market Report ● 9
(여가생활) 젊은 싱글들은 고품질, 고소비 라이프스타일과 새로운 소비방식을 추구하고 학력이 높으며,
자신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특징이 있음. 점차 많은 사람들이 '1인 고독'을 즐기며, 특히
90허우(90后·90년대생), 00허우(00后·2000년대생)는 홀로 식사, 관광, 오락을 즐기는 것이 일상화 되었음

즈옌(智研)컨설팅에서 발표한 '2018~2024년 중국 싱글경제 시장 발전모델 연구·투자 추세보고서'에 따르면,


골드 싱글족(黄金单身)2)이 가장 많은 8곳은 상하이, 베이징, 선전, 항저우, 광저우, 창사, 난징, 우한으로 나타남

닐슨(Nielsen)이 발표한 '중국 싱글경제 보고서(2020.7)'에 따르면, 싱글 소비자 중 42%는 자신을 위해


소비하며, 일반 소비자의 27%를 훨씬 웃돌았음. 또한 자아발전(교육·신기술·취미), 헬스, 외식, 오락,
애완동물에 대한 투자 의향도 일반인보다 뚜렷이 높게 나타남

헬스 분야는 코로나19 기간 홈 헬스가 새로운 트렌드가 됨. 핀둬둬에 따르면, 올해 춘절기간 가정용


요가매트, 스트레칭용 고무밴드, 윗몸일으키기기구, 줄넘기 등 간편한 실내 운동기구의 인기가 급상승했고,
운동복, 마사지건 등의 매출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한편 킵(Keep), 구둥(咕咚), Joyrun(悦跑圈), 러둥리(乐动力) 등 헬스 앱이 인기이며, 2015년 설립된


피트니스 트레이닝 앱 킵(Keep)는 현재 이용자수가 3억 명으로 증가함

- '2020년 중국 헬스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헬스클럽 점포수는 전년 대비 11.1% 감소한


4만 4,305개, 회원수는 7,029만 명으로 집계됨. 연간 소비는 3,000위안(약 52만원) 이내가 83.3%로,
2019년 대비 소비액 1,000위안(약 17만원) 이내 회원수가 35.9% 증가한 반면 소비 1,000위안(약
17만원) 이상 회원수가 14.2% 감소

홀로 즐길 수 있는 미니 KTV(노래방)도 유행하고 있으며 중국문화관광부(中国文化和旅游部)에 따르면


2017년에만 5.4만 개의 미니 KTV가 등록. 유창(友唱) M-bar, 미다(咪哒) miniK, 레이스(雷石) WOW,
링다(聆嗒) miniK 등의 브랜드가 융자를 받아 대량 설비를 구입하여 전국 보급에 나섬

싱글 여성 소비 증가와 더불어 화장품, 사치품, 액세서리 등에 대한 소비규모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2020년 중국의 화장품 판매액은 전년 대비 9.5% 증가한 3,400억 위안(약 58조원)이며, 수입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173억 달러임. 사치품 판매액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3,460억 위안(약
59조원)으로, 2025년 중국은 세계 최대 사치품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 아이메이 컨설팅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의 액세서리 소비자는 10.5억 명, 시장규모는 2,000억 위안(약 34조원)으로 매년 20%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

싱글 관광을 보면 서비스 품질을 중시하고 관광소비도 높게 나타남. 퉁청관광(同程旅游)에서 발표한 '1인


관광 보고서 2019'에 따르면 1인 관광객은 일반 관광객보다 소비수준이 60% 높았음. 1인당 국내 관광은
3,644위안(약 62만원), 해외 관광은 8,627위안(약 148만원)으로, 호텔비에 절반 이상을 소비하고 다음으로
교통소비가 높게 나타남

- 호텔 '1인 투숙자' 통계는 80.1%가 남성이고 여성은 20% 미만이며, 투숙비는 국내 1박은 312위안(약 5만),
해외 1박은 665위안(약 11만원)으로 나타남. 1인이 관광지를 찾는 비중은 95허우가 24.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85허우, 80허우, 90허우로 각각 18.3%, 16%, 15.3%, 70허우와 60허우는 10% 미만으로 집계됨

2) 골드 싱글족(黄金单身) : 중국에서 월평균 가처분 소득 8,000위안(약 137만원) 이상인 싱글


China Market Report ● 10
3. 시사점

1인 가구, 싱글 인구의 증가 및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습관 변화 등으로 '1인 식품', '식사대용 식품',


'반조리식품', '소형가전', '애완동물 식품', '신선식품 배달', '화장품', '사치품', '액세서리' 등의 분야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

싱글들은 편리성을 추구하여 인스턴트식품과 반조리식품을 선호하고, 체중관리 및 헬스 목적으로 식사대용


식품도 즐겨 찾고 있음. 또한 홀로 식사하도록 인테리어 한 '1인 식당'도 증가하는 추세임

1인 가구는 보편적으로 면적이 협소한 오피스텔에서 생활하므로 부피가 작은 소형가전을 선호하고, 소비


업그레이드에 따라 미니 초고속 블렌더, 미니 두유제조기 등의 미니가전, 스마트 손세정기, 스마트 살균기,
스마트 휴지통 등의 스마트 소형가전도 새롭게 인기를 끌고 있음

싱글의 사랑을 받는 애완동물 관련 소비도 증가하는 추세로, 애완동물 식품, 스마트기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 수입산 애완동물 식품 뿐 아니라 스마트 음수기, 스마트 급식기, 스마트 고양이 화장실 등의 애완동물
스마트기기도 인기임

대부분의 싱글들은 온라인 쇼핑과 음식배달 서비스를 선호하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신선식품 배달서비스
수요도 증가하였음. 또한 더우인, 콰이서우 등의 라이브 방송 플랫폼을 통해서도 상품을 즐겨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싱글들은 헬스케어를 중요시하여 코로나19로 가정용 헬스용품 수요가 증가하였고, 싱글 여성들이 선호하는
화장품, 명품, 액세서리 등 소비규모도 꾸준한 성장세임. 미니 KTV, 1인 관광 시장도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임

이에 따라 우리기업은 중국의 싱글인구, 1인 가구의 증가에 발맞추어 싱글소비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주목할 필요가 있음

중국의 1인 가구는 기존의 대가족과 소비 패턴이 다를 수밖에 없음. 특히 중국의 이른바 골드 싱글족의
경우는 가성비(價性比.가격대비 성능)보다 가심비(價心比, 가격대비 심리적 만족감)를 추구하여, ‘의(衣)’,
‘식(食)’, ‘주(住)’, ‘락(樂)’에 아낌없이 돈을 쓰는 경향이 있음

한국의 제품과 서비스는 중국의 경쟁업체와 비교시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으므로 자신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는 럭셔리 싱글족을 타겟으로 시장 진출을 고려해야 할 것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의 80%를 차지하는 중간재 수출로는 세계 제2위의 소비시장인 중국을 공략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제부터는 한국제품 및 서비스를 프리미엄 브랜딩하여 적극 진출을 검토해야 할 것임

중국의 골드 싱글족은 입고, 먹고, 바르는 것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도록 한국의 프리미엄 제품과 서비스는 ‘안전하고’, ‘깨끗하고’, ‘몸에 좋으니까’ 당연히 高가격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함

제품과 서비스의 비싼 가격은 중국 골든 싱글족의 소비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한편, 나아가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심리를 채워줄 수 있는 효과도 있으므로 ‘프리미엄’이라는 전략으로 지속적으로
마케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China Market Report ●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