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배우는 목적

이 장에서 살펴볼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 거시경제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되는 이슈들
 거시경제학의 주요 변수들
 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가?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의 중요한 이슈들

경제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삼는 거시경제학은


당면한 많은 문제들을 다룬다:
 생계비가 꾸준히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경제가 호황인 경우에도 수백만의 사람들이
실직상태에 놓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 경기침체를 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부는 경기침체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갖고 있는가? 정부는 경기침체를 해소하여야
하는가?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의 중요한 이슈들
경제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삼는 거시경제학은
당면한 많은 문제들을 다룬다:
 정부의 재정적자란 무엇인가?
이 재정적자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미국이 막대한 무역적자를 겪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많은 국가들이 빈곤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이 빈곤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성장정책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미국의 1인당 실질 GDP
단위: US$ (기준년도: 2010년)
40,000 9/11/2001

제1차
30,000
유가파동
장기 상승추세…
20,000
세계
대공황 제2차
10,000
유가파동

제2차
0 세계대전
190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미국의 1인당 실질 GDP
(기준년도: 2010년)
단위 : US$

60000

50000

40000 2차 유가파동
글로벌 금융위기
30000

20000 플라자 합의
1차 유가파동
10000

자료: WORLD BANK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우리나라의 1인당 실질 GDP
단위:US$

35,00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자료: 한국은행
경기순환(경기변동) 과정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과거 미국의 물가상승률
(1900년-2000년)
%
25

20

15

10

-5

-10

-15
190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최근 미국의 물가상승률
(1956년-2017년)

%
16

14

12

10

-2
자료: OECD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우리나라의 GDP 디플레이터 추이
% (기준연도 2010)
120
110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자료: 한국은행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
%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자료: 통계청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미국의 실업률 추이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우리나라의 실업률 추이

160

140

120

100

80

60

40

20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우리나라의 실업률 및 청년실업률 추이
%
14.0

12.0

10.0

8.0

6.0

4.0

2.0

0.0

실업률(%) 청년실업률(%)
자료: 통계청
실업률 국제비교

주요국의 실업률(2017 기준)

OECD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그리스 스페인 호주
평균
실업률 3.7 2.8 4.3 9.4 3.7 21.5 17.2 5.6 5.8
청년실업률 10.3 4.7 9.2 22.3 6.8 43.6 38.7 12.6 11.9
자료: OECD Data (% of labor force, 2017)
주) 청년실업률은 15-24세 OECD측정 기준임.
우리나라 실업률의 특성

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님
 실업발생 가능성이 높은 농림어업 부문 취업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봉사자의 비중이 높다
 취업준비자 등 비경제활동인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16
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가?
1. 거시경제는 사회의 후생에 영향을 미친다.

실업률이 1% 증가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일들이


발생한다:
 자살 920명
 살인 650명
 정신병원 수감자 4000명
 교도소 수감자 3300명
 사망자 37,000명
 가정폭력과 부랑아의 증가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가?
2. 거시경제는 당신의 후생에 영향을 미친다.
5
거의 모든 연도에, 실업률이 상승5
4 할 때 임금상승률은 하락하였다.
3

전년 동월 대비 % 증감률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3
1
2

1 -1

0
-3
-1
-5
-2

-3 -7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1 The Science
unemployment
CHAPTER rate ofinflation-adjusted
Macroeconomics mean wage (right scale)
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가?
3. 거시경제는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선거 년도의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연도 실업률 물가상승률 선거결과
1976 7.7% 5.8% 카터 (민주당)
1980 7.1% 13.5% 레이건 (공화당)
1984 7.5% 4.3% 레이건 (공화당)
1988 5.5% 4.1% 부시 I (공화당)
1992 7.5% 3.0% 클린턴 (민주당)
1996 5.4% 3.3% 클린턴 (민주당)
2000 4.0% 3.4% 부시 II (공화당)
2004 5.5% 3.3% 부시 II (공화당)
CHAPTER 1 The Science of Macroeconomic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