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한국경제의 이해
5-2 추가
고도성장시대의 종말과 2000 년의
한국경제
이충열 교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1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 1948 년 정부 수립이후 한국경제는 4 기간으로 구분


• 1948-1962 년 해방이후 혼란기 : 전쟁 및 전쟁 이후 극빈
저소득국가
• 1962-1996 년 경제개발 5 개년 계획 집행기 ( 고도성장기 ):
저소득국가에서 중소득국가로
• 1997-98 년 금융위기 기간 : 위기 극복 및 새로운 시스템 구축
• 1999 년 이후 21 세기 새로운 한국경제 : 저성장 안정기 :
고소득국가

2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01
해방 금
이후 융
고도성장기 : 경제개발 5 개년 계획 21 세기 경제
저소득 위
국가 기
40,000
Pandemic Crisis

< 그림 1> 1 인당 GDP ( 미달러기준 )


35,000
30,000$ 2017
30,000
Global Financial Crisis
25,000
20,000$ 2006
20,000
Asian Financial Crisis
15,000 10,000$ 1994

10,000 5,000$ 1989

1,000$ 1977
5,000 100$ 1963
65.7$ 1953

0
954 957 960 963 966 969 972 975 978 981 984 987 990 993 996 999 002 005 008 011 014 017 02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3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01

< 그림 2> 경제성장률 ( 원화 기준 , 실질 )

14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0000000000000000000000
55555566666666667777777777888888888899999999990000000000111111111122
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
-6

국내총생산 5 년 이동평균

4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 생산함수 : 투입량과 생산량간의 관계식 : 투입량인 노동 (L), 자본 (K),


기술수준 (Te), 천연자원 (RW), 기타 제도∙관습 (Oth) 등에 따라
생산량 (Y) 가 결정
Y = F(L, K, LA, Rw, Te, Oth)

 최초 노동 (L) 집약적인 산업에서 자본 (K) 집약적 , 기술 (Te)


집약적인 산업으로 전환 : 성공하여 1 인당 소득이 크게 증가함 .
• 자본축적 : 저축을 통한 투자 : 저축이 미덕
• 기술축적 : 공부 및 기술 연마 : 많은 시간 공부

 하지만 정부주도형 경제개발정책이 과연 지속가능한가 ?

5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 정부주도형 경제개발정책이 과연 지속가능한가 ?

 정부의 주요 정책은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 재정정책 => 경제인프라 구축
• 금융정책 => 선별적 산업 및 기업 지원

 재정정책 : 상당 규모의 경제인프라가 구축됨 => 역할이 변화


 금융정책 : 경제가 너무 크고 복잡해지면서 정부가 모든 것을 관리할 수
없게 됨 => 능력의 한계
• 국제규모의 기업이 등장 => 이들이 정부보다 많은 정보를 갖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됨 .

6
5-2 추가 한국경제의 이해

 2022 년 한국의 시스템은 경제개발 5 개년계획 추진 시대와는 다름

 어떻게 다른가 ? => 보다 기업의 자율성이 보장된 시장경제제도에 근접함 .

 그럼 이렇게 보다 시장경제에 근접한 시스템은 어떻게 , 왜 도입되었는가 ?


=> 답은 기존 제도가 지속가능하지 않기 때문임 . 매우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임 . => 엄청난 실패를 거두고 난 후에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임
=> 금융위기의 발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