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정책에 대한 제약

Chapter 21
Chapter 21 개요

정책에 대한 제약

21-1 불확실성과 정책
21-2 기대와 정책
21-3 정치와 정책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2


정책에 대한 제약

•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적절한 조합은 경제를 도울 잠재력을


가짐을 보았다 .
• 그러나 이 결론은 정책당국자가 엄격히 제약되어야 한다는
자주 언급되는 요구와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
• 이 장은 거시경제정책에 대한 이러한 제약의 사례를 검토한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3


Figure 21-1 미국인과의 계약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4


21-1 불확실성과 정책
Figure 21-2 통화팽창에 대한 산출의 반응 : 10 개 모형으로부터의 예측

10 개 모델 모두
통화팽창에 대한
반응으로 일정기간
산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지만 , 산출
반응의 크기와 기간에
대한 답의 범위는 넓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5


21-1 불확실성과 정책

• 거시경제정책의 효과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


• 이러한 불확실성에 비추어 볼 때 정책당국자는 더 주의 깊어야
하며 덜 적극적인 정책을 사용해야 한다 .
• 정책은 오래 끄는 경기침체를 피하고 경기활황을 완화하고 ,
인플레이션 압력을 피하는 더 광범위한 목표를 추구해야 한다 .
• 실업이 증가하거나 인플레이션이 높아질수록 정책은 보다
적극적이어야 한다 .
• 정상적 시기에 거시경제정책은 일정한 실업률이나 일정한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려는 미세조정 (fine tuning) 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서 멈추어야 한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6


21-2 기대와 정책

• 거시경제정책은 최적통제이론보다는 정책당국자와 경제 내의


사람들과 기업들 간의 게임 (game) 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 경제학에서 게임은 참여자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7


21-2 기대와 정책

• 9 장에서의 인플레이션과 실업 간의 관계 :

• 중앙은행이 0% 의 인플레이션과 일관성을 가진 통화정책을


공표하였다고 하고 , 기대인플레이션이 0% 라면 식 (21.1) 은
다음이 된다 :

• 중앙은행이 공표된 정책을 그대로 준수하면 인플레이션은 0% 와


일치할 것이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8


21-2 기대와 정책

• 제 8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 미국의 경우 a 는 대체로 0.5 와 같다 .


따라서 식 (21.2) 는 중앙은행이 1% 의 인플레이션율을
수용함으로써 실업률을 자연실업률보다 2%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 최적 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time inconsistency): 다른
참여자가 행동을 한 뒤에 발표한 정책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동기
• 결과적으로 중앙은행이 공표한 정책을 그대로 따를 경우 나타났을
실업률과 동일한 실업률이 나타나겠지만 인플레이션율은 훨씬 더
높아진다 .
• 상황을 개선하려는 중앙은행의 노력은 결국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9


21-2 기대와 정책

• 발표한 정책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음으로써 신뢰성을 확립하는 한


가지 방법은 중앙은행이 법률에 의해 자신의 정책결정 권한을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
•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는 1 단계는 독립적 중앙은행을 확립하여
이자율과 통화공급결정이 현재 선출된 정치인의 영향에서
독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
• 2 단계는 중앙은행이 장기적 시야를 갖도록 , 즉 인플레이션율
상승으로 인한 장기적 비용을 고려하도록 유인하는 것이다 .
• 3 단계는 인플레이션을 아주 싫어하는 ‘보수적’ 중앙은행장을
임명하는 것이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0


21-2 기대와 정책

Figure 21-3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의 독립성

OECD 국가들의
경우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높을수록
인플레이션율이 낮
다.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1


FOCUS 블라인더가 진실을 말한 것이 잘못인가 ?

• 1994 년 , 연준의 부의장 블라인더 (Alan Blinder) 는 실업률이


높을 때 통화정책을 사용해 경제가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는 책임과
능력을 모두 가진다는 자신의 믿음을 나타냈다 .
• 이에 반응하여 채권가격은 하락했다
• 블라인더는 보수적 중앙은행가가 아닌 것으로 인식되었고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이자율 상승을 낳을 것이라는 기대가
생겨났기 때문이었다 .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2


21-2 기대와 정책

Figure 21-4 1900 년 이후의 GDP 대비 미국 국채 비율의 추이

1900 년 이래 부채가 크게
누적되었던 세 경우는 제 1
차 세계대전 , 대공황
그리고 제 2 차 세계대전과
관련된다 . 1980 년
이래의 부채 누적은 그
속성이 달라 보인다 .

자료 : Historic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U.S. Census
Bureau.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3


21-2 기대와 정책

• 정치적 경기변동 (Political business cycle): 선거가


야기하는 경기변동으로 선거 후보다 선거 전에 성장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 .

Table 21-1 민주당 행정부와 공화당 행정부하에서의 성장률 (1948~2012 년 )

자료 :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FRED) 의 GDPCA 시계열 (1948~2012 년 ) 을 이용해 계산 ,


http://research.stlouisfed.org/fred2/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4


21-2 기대와 정책

• 소모전 (wars of attrition): 상대방이 포기할


것이라는 희망은 장기적이고 때로는 상당한 손실을 낳는
지연을 야기한다
• 소모전은 재정정책의 경우 종종 발생하며 , 재정적자 감축은
필요한 시점에 비해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에야 현실화된
다.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5


FOCUS 성장 및 안정성 협약 : 짧게 본 역사
• 유로지역 회원국이 1997 년 체결한 성장 및 안정성 협약 (The Stability
and Growth Pact) 은 과도한 예산적자를 줄이려는 목적을 가졌다 .
• GDP 대비 재정적자의 비율은 실제로 2007 년에 하락하였다 .

Figure 1 1995 년 이후 유로 지역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자료 : European Central Bank.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6


21-2 기대와 정책

• 재정적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미국정부는 매년 균형예산을


달성하도록 하는 헌법 수정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
• 보다 좋은 방법은 재정적자규모나 국가채무 규모를 제한하는
규칙을 설정하는 것이다 .
• 1990 년 통과한 예산강제법 (Budget Enforcement Act)
은 두 규칙을 도입하였다 :
− 지출상한 (spending cap): 재량적 지출에 대한 제약
− PAYGO 규칙 ( 빚을 추가하지 않는 규칙 , pay-as-you-go):
새로운 이전지출 프로그램은 미래에 적자를 증가시키지 않을 것임을
보일 수 있어야만 추가가능

Copyright © 2017 Pearson Educ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1-1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