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경제정책과 전략

이충열 교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1
세계 경제속의 한국경제
[3. 한국의 경제성장
3.1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과
구조 변화 ]

2 / 80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생산함수 및 시장경쟁이론을 사용하여 해방이후 1950년까지 한국경제의
현황을 설명
• 당시 낮은 1인당 소득 및 저성장의 원인을 설명

▪ 생산함수를 사용하여 당시 한국의 노동 (L), 자본 (K), 천연자원 (NR), 기술(TE) 및


관련 제도 의 발전상황 (Others) 등을 살펴보고 GDP 및 GDP 증가율을 살펴봄
• 생산함수: 투입물과 산출물관의 기술적인 관계로 한나라의 생산량은 노동 (L), 자본 (K),
천연자원 (NR), 기술(TE) 및 관련 제도 (Others) 등의 투입물의 규모에 따라 결정:

Y = F(L, K, NR, TE, Others…)

▪ 시장 경쟁이론: 과연 당시 우리나라가 생산할 재화와 용역을 국제시장에서


판매 가능하였는가를 살펴봄.
• 국제시장에서 가격경쟁력 및 품질경쟁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
3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 노동력: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노동력은 충분하였지만 대부분 미숙련


노동자임

그림 3.1 15세 이상 인구 (백만명)


45

40

35

30

25

20

15

10

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4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 노동력: 그러나 비노동력인구(15세 이하, 60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높아서


1인당 소득은 높을 수가 없었음

<그림 3.2> 연령별 인구구성비(%)

100%
90%
5.0 7.8 23.1
80%
70%
60% 66.6
50% 52.7 64.8
40%
30%
20% 42.3 12.2
25.6
10%
0%
1960 1990 2020

0-14 15-59 Above 60


5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 생산성 및 기술: 45년 해방 당시 약 인구의 18% 만이 글을 읽고 쓸 수 있었음.


• 해방당시 한국의 대학생수는 약 8000명 정도(1-4학년 모두 합한 수임)
• 어느 나라건 식민지 지배국은 피지배국 국민들에게는 최소한의 교육만 실시함

<그림 3.3 > 문맹률 추이(%)

6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자본: 잘 알다시피 한국 전쟁으로 인하여 상당히 많은 사회 기반시설
(Infrastructure) 및 사적 자본재가 파손되었음. 또한 해방이후 신생국가
정부는 재원부족으로 인프라투자를 할 수 없었음.
• 끊어진 한강다리는 임시교로 사용되다, 1958년이 되서야 복구되었음(유일한 서울의
한강다리 였음.)

한강철교
한강교

7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현 서울의 광화문 교보문고 자리에서 찍은 사진

과거 중앙청 건물

8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서울의 동대문 지역

9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자본주의의 적응과 시장제도의 정립
• 우리의 역사속에서 자본주의 및 민주주의가 처음 도입된 것은 해방이후
• 이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이 팽배
• 1960년 3.15 국회의원 부정선거와 419 혁명 발생

10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천연자원: 우리나라는 원래부터 천연자원이 없었음
• 아름다운 산이 70%를 차지하나 경제적 가치는 별로 없음.철광석, 석탄 , 전력(수력발전) 등
일부 자원은 모두 북한지역에 위치

11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생산함수를 사용하여 해방이후 1950년까지 한국경제를 분석할 결과, 당시
우리나라는 무엇인가를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음.
• 생산 자체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대외거래 자체가 불가능하였음.

▪ 그러나 1962년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면서 한국은 매우 빠른


경제성장을 이룸.

▪ 그렇다면 어떻게 이렇게 빠른 경제성장이 가능하였는 가는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
• 이 과정에서 정부의 정책과 전략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 가장 먼저 한국 경제성장 과정 및 발전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도록 함

12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첫째, 한국의 1인당 GDP는 지난 70년 동안 매우 빠르게 증가

< 그림 3.4> 1인당 GDP (미달러기준)


40,000

35,000
30,000$ 2017
30,000

25,000 Global Financial Crisis


20,000$ 2006
20,000
Asian Financial Crisis
15,000
10,000$ 1994
10,000 5,000$ 1989

5,000 100$ 1963


1,000$ 1977
65.7$ 1953
0
1975

2001
1953
1955
1957
1959
1961
1963
1965
1967
1969
1971
1973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13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둘째,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장기적으로 보면, 그림과 같이 1950년대 이후 점차
상승한 후, 80년대 후반에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른 후 점차로 하락
<그림 3.5 > 경제성장률(원화 기준, 실질)

14

-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6
국내총생산 5년 이동평균

14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셋째, 한국경제는 단기적으로 약 3∼4년 주기로 작은 경기순환 사이클을
보여주고

<그림 3.6> 세계 경제성장률(각국 통화기준, 실질)


17

12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3

한국 고소득국가 중소득국가 세계
-8

15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넷째, 한국경제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과 1998년 (동아시아 금융위기)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여주었고, 2009년 (글로벌금융위기)에는 0%대의 낮은
성장률을 기록.
<그림 3.7> 경제성장률(원화 기준, 실질)

14

-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6
국내총생산 5년 이동평균

16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다섯째, 한국의 수출과 수입이 매우 빠르게 증가하였음

<그림 3.7> 한국의 수출입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수출 (10억달러) 수입 (10억달러)

17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한국의 수출증가율은 세계 평균에 비하여 크게 높았음

<그림 3.8> 한국과 세계의 수출증가율


60

50

40

30

20

10

0
1971 1975 1979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10

-20
한국 세계

18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한국의 수입증가율은 세계 평균에 비하여 크게 높았음: 원자재 및 자본재를
계속 수입하여야 하는 구조임

<그림 3.9> 한국과 세계의 수입증가율


40

30

20

10

0
1971 1975 1979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10

-20

-30
한국 세계

19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여섯째, 수출입차 즉 무역수지는 경제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1962년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적자를 보였고, 1998년부터는 흑자를 지속하였음.
• 적자였던 기간동한 외국에서 많은 자금을 차입하였음

<그림 3.10> 한국의 무역수지


120000 15

100000
10
80000
5
60000

40000 0

20000
-5
0
1962 1967 1972 1977 1982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10
-20000

-40000 -15
금액 (천만달러, 왼쪽축) GDP 비율 (% 오른쪽 축)
20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일곱째, 한국경제는 성장과정에서 산업구조를 크게 바꾸었음
<그림 3.11> 한국의 산업구조
100%
90%
80%
70%
서비스업
60%
건설업
50%
40%
30%
20% 농업
제조업
10%
0%
196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Agriculure Mining Manufacturing Utility Construciton Service

21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일곱째, 한국경제는 성장과정에서 산업구조를 크게 바꾸었음

<그림 3.12> 산업별 생산(%)


100%
4.6 11.3 8.2
80%
38.8
60% 48.0 62.4

10.3
40%
24.7 27.7
20% 46.1
16.0 1.8
0%
1955 1980 2019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Manufacturing Services Others
22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일곱째, 한국경제는 성장과정에서 산업구조를 크게 바꾸었음: 고용구조도 크게
바뀜
• 1965년 인구의 약 60%가 농부였으나 2019년에는 5.6%내외

<그림 3.13> 산업별 취업자(%)


100
90
80
70
60
50
40
30 58.6 50.4
20 34
10 18.3 10.9 6.6 5.2 5.6
0
1965 1970 1980 1990 2000 2010 2015 2019
Agriculture Manufacturing & mining Construction Services

23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제조업의 업종별 생산 비율도 크게 변화하였음.: 산업구도 고도화

▪ 1960년대: 만들기 쉽고 노동력을 많이 사용하는 업종이 제조업을 대표


•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의 비중이 36.5%, 섬유 및 가죽제품 제조업이 25.2%를 차지: 이 두
산업이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산업의 61.7%에 해당, 기계, 금속, 전자 등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3.0%에 불과

▪ 1980년대 및 2018년 노동집약적인 업종에서 보다 자본과 기술이 많이 필요한


업종으로 전환
•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 비중은 1980년 10.7%, 2018년 4.4%로 하락
• 섬유 및 가죽제품 제조업 생산은 1980년 10.7%, 2018년 4.4%까지 하락
•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은 1970년 10.6%에서 2018년에는 31.8%까지 상승하였고,
운송장비제조업은 5.3%에서 11.8%로 크게 상승

24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한국제조업의 업종별 생산구조


산업별 고용
1960 1980 2000 2018
제조업 전체 100.0 100.0 100.0 100.0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36.5 10.7 6.1 4.4
섬유 및 가죽제품 제조업 25.2 23.2 7.9 4.1
목재, 종이, 인쇄 및 복제업 9.2 4.8 4.2 2.7
석탄 및 석유제품 및 화학 제조업 9.7 3.4 2.5 2.9
화학제품 제조업 13.0 16.5 12.8 13.6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4.9 6.4 4.0 2.6
1차 금속 및 금속제품 제조업 10.3 13.3 13.5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5 8.1 9.0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 13.0 10.6 24.9 31.8
정밀기기 제조업 1.7 1.4 2.1
운송장비 제조업 5.3 13.1 11.8
기타 제조업 1.5 2.6 1.8 1.5
25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그림 3.14> 제조업 부문별 생산 비율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19
Labor Intensive Industry Petrochemical and Non-metal Industry
Metals, Elctronics and Machinery Others
26
3.1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여덟번째, 물가상승률이 1970년대까지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80년대
들어 급격하게 하락하여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누림.

<그림 3.15> 한국의 물가상승률


35

30

25

20

15

10

0
1967 1971 1975 1979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5
한국 고소득국가 중소득국가 세계

27
감사합니다. Q&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