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TRƯỜNG ĐH NGOẠI NGỮ

KHOA NHẬT –HÀN-THÁI

MÔN HỌC: THỰC HÀNH DỊCH VIẾT HÀN – VIỆT

TUẦN 1: 31/9 ~ 5/9 CHỦ ĐỀ: KINH TẾ

GIÁO VIÊN: TS. TRẦN THỊ LAN ANH

PHẦN 1:

NỘI DUNG BÀI GIẢNG: HÀN QUỐC- DÂN CHỦ HÓA VÀ CÔNG NGHIỆP HÓA

1955 년의 인구 조사 결과에 의하면 서울의 인구는 150 만 명을 약간 넘는


수준이었으나, 2007 년을 기점으로 서울의 인구는 1 천만 명을 돌파하게 되었다. 60 년이 안
되는 기간 동안 850 만 명이 넘는 인구가 서울로 유입된 것이다. 현재 서울의 인구는 전체 대한
민국 인구의 25%, 국민 4 명 중 1 명이 서울에 살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또한 서울 주변의
수도권 인구까지 따져 보면 전국 인구의 반 정도가 수도권에 살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한국의 수도권 인구는 과잉 집중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구 집중은


한국의 급속한 경제 발전과 ㉠궤를 같이 하며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특히 1960 년대부터
산업화와 함께 농촌 지역에서 살고 있던 젊은이들이 도시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a)’이촌향도(離
村向都)’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제조업의 성장으로 도시에 일자리가 늘어나자, 발전이
더딘 농촌에서 살 바에야 고생스럽더라도 도시로 가겠다는 생각을 가진 젊은이들이 몰려들게
된 것이다. 특히 수도인 서울에는 공장과 각종 기반 시설이 크게 성장하여 인구 집중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도시의 상황과는 반대로 농촌에는 노인들만 남게 되어 노동 인구가 줄어들고
농업이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한편 기존 도시의 크기와 시설로는 새롭게 유입된 인구를 모두 수용하기 힘들게 되었다.


이에 주택, 건물, 교통 등 모든 측면에서 도시 개발이 시작되었다. 우선, 인구의 과잉 집중으로
심각한 주택 부족 현상이 나타나게 되자,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변두리에 주거지를
마련하여 개발하였다. 개발의 여파로 부동산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높아져, 자고 일어나니
부자가 되어 있더라는 말도 ㉣심심치 않게 들리기도 했다.

좁은 땅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고층 건물이 늘어나게 되었다. 1966 년까지 18 개에


불과하던 서울의 10 층 이상 건물이 1970 년에 122 개로 늘어난 것만 보아도 이러한 변화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80 년대 이후에는 도로와 대중교통이 발달하여
서울 주변의 지역에서도 출퇴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성남, 부천, 안양과 같은 위성 도시가
성장하여 서울의 인구가 다소 이동하였으며, 인천, 수원, 과천, 광명 등의 수도권 지역도 함께
성장하였다.

이러한 과잉 인구 집중 현상은 교통 문제, 주택 문제, 환경 문제, 농촌 소외 현상, 지역 별


불균형 발전 등의 다양한 사회 문제를 낳고 있다. 고도 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중대한 과제로 남아 있다.
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1) 한국의 인구 집중 현상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은 어디인가? 다시 한번
읽고 인구 집중 정도를 알 수 있는 내용들을 찾아보자.
2) 도시로 인구가 집중하여 나타난 변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찾아서 이야기해 보자.
3) a)’이촌향도’ 현상의 의미가 무엇인지 찾아서 이야기 해 보자.
4) 밑줄 친 표현들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알고 있는 다른 말로 바꾸어 보자.
㉠궤를 같이 하다
㉡내리막길을 걷다
㉢ 하루가 다르게
㉣ 심심치 않게

 문법 1: -ㄹ 바에야

동사 뒤에 붙어 앞에 나오는 행동을 하는 것보다는 뒤에 나오는 행동을 하는 것이


낫다는 의미를 표현한다.

(1) 가: 한국 사회가 민주화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 같은데요.


나: 그랬죠. 많은 국민들이 자유를 빼앗긴 채 살 바에야 죽음을 택하겠다는 각오로
희생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2) 가: 미영이는 오늘도 또 늦네. 기다리는 것도 이제 지겹다.


나: 여기서 미영이 기다리면서 이렇게 시간을 버릴 바에야 차라리 우리끼리
시작하자.

 문법 2: -ㅁ에도 불구하고

명사나 동사, 형용사, ‘명사+이다’에 붙어 앞의 상태나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결과와는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1) 가: 수출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년에 비해 수익이 줄어든 이유는 뭡니까?


나: 수출량은 많았지만 원자재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기 때문에 수익은 오히려
줄어들었습니다.

(2) 가: 사람들은 품질에는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유명한 상품만 찾는 것 같아요.


나: 비싼 만큼 제값을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겠지요.

 표현의 용법 1:

-를 기점으로 –면서 –게 되다
-ㅁ에도 불구하고

보기 – 경제적인 변화 과정에 대해
가: 한국의 조선업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어요?
나: 조선업은 1972 년을 기점으로 정부가 중공업에 투자를 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어요. 유가가 폭등하는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어요.

다음에 대해 <보기>와 같은 흐름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자.

1) 한국 경쟁의 발전
1962 년: 정부가 경제개발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다
상황: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되다
2) 금융 위기의 극복
2000 년: IMF 구제 금융에서 벗어남을 선언하다
상황: 1997 년 경제 위기의 충격을 받은 지 얼마 지나지 않다

 표현의 용법 2:
-를 계기로 –게 되다
-자, -ㅁ으로써 –게 되다

보기 – 정치적 사건의 전개 과정에 대해


가: 6 월 항쟁은 무엇을 계기로 시작되었고 어떻게 전개되었습니까?

나: 6 월 항쟁은 한 대학생이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전 국민적인 반독재 운동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국민들의 시위가 커지자.
대통령이 국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사건이 끝나게 되었습니다.

다음의 정치적 사건에 대해 <보기>와 같은 흐름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자.

1) 4.19 혁명: 3.15 부정 선거 → 국민들이 대통령을 불신하다→ 전국적으로 시위가


이어지다→ 대통령이 물러나다.
2) 제 2 차 세계대전: 독일의 폴란드 공격→ 영국과 프랑스가 전쟁에 개입하다→
연합군의 승리가 확실해지다→ 독일과 일본이 항복하다
3) 동서독의 통일: 서독 브란트 총리의 동방 정책→ 협력과 교류가 활발해지다→
화해의 분위기가 무르익다→ 통일 조약을 체결하다

 표현의 용법 3:

-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보기 – 정치적 사건의 의의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 보자.


가: 이 항쟁의 의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나: 무엇보다도 국민의 손으로 민주주의를 이루어 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다음 정치적 사건의 의의에 대해 <보기>와 같은 흐름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자.

1) 혁명: 민주주의가 싹트는 계기가 되다


2) 헌법 제정: 국가의 법적인 기초를 닦다
3) 동서독 통일: 냉전 시대 종결의 신호탄이 되다
4) 남북 정상 회담: 양 국가 간의 본격적인 교류와 협력이 시작되다

PHẦN 2: BÀI TẬP CHUẨN BỊ TRƯỚC KHI HỌC (LÀM Ở NHÀ)

 CHUẨN BỊ TỪ VỰNG
1) 다음 어휘의 의미를 알아보고 아래의 생산물과 관련된 것을 써 보자.

농업 수산업 축산업 임업
광업
경공업 중공업 서비스업 상업
제조업 조선업 건설업 금융업
유통업
운수업 관광산업 IT 산업 반도체
산업

가) 목재 ( )
나) 금, 석탄 ( )
다) 소, 돼지 ( )
라) 채소, 쌀 ( )
마) 생선, 해초 ( )
바) 옷감, 가방 ( )
사) 자동차, 배 ( )
아) 백화점, 음식점 ( )

2) 다음 표현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 중 다음의 진술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자

고용 위기를 맞다 경제 위기를 맞다/ 극복하다 무역 협정을


맺다

수출 부진을 겪다 시장을 개방하다 유가가


폭등하다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다 화폐를 개혁하다 화폐 가치가


폭락하다

가) 우리 공장은 제품 값이 싸기로 유명합니다. 그렇지만 요즘 기름 값이 갑자기


올라서 물건 값을 올리지 않을 수 없어요. 게다가 우리 회사는 재료를
외국에서 수입하는데 그것도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요. 가격이 오르다 보니까
요새는 수출도 잘 안 됩니다.

(…………………………………………………………………………………..)

나) 저는 지난 1997 년에 사업에 실패할 뻔했어요. 당시에 한국의 금융 회사들이


부도가 많이 났는데, 그 사건 때문에 회사들이 줄줄이 망했어요. 얼마나
심각했던지 실업자가 늘어나고 거리엔 노숙자가 넘쳐났죠. 지금도 그때만
생각하면 아찔해요.

(……………………………………………………………………………………)

다) 예전에는 외국 농산물 수입을 금지했죠. 그런데 칠레나 미국과 같은 나라하고


농산물의 수입과 수출을 자유롭게 하기로 하고 나선 수입 농산물이 많이
들어왔지요. 그래서 요즘 많이 힘들어요.

(…………………………………………………………………………………….)

라) 지금은 돈을 ‘원’ 단위로 세지만, 예전엔 ‘환’이라는 단위도 있었지, 10 환이면


1 원 정도였는데, 물가가 자꾸 오르니까 사람들이 ‘환’을 안 쓰더라고, 그래서
정부에서 아예 ‘환’을 없애 버렸어.

(……………………………………………………………………………………..)

 DỊCH CÁC ĐOẠN VĂN SAU SANG TIẾNG VIỆT

1) 이승만 대통령 (1~3 대, 1984~1960)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언론인, 정치인이었으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었다. 1945 년 독립 이후 대한민국 정부를 세우는 데에 온
힘을 다했으며, 그 공을 인정받아 1948 년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오랜 기간의 독재로 국민들의 비난을 샀으며, 결국 부정 건거를
계기로 4.19 혁명이 일어나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2) 박정희 대통령 (5~9 대, 1963~1979)
박정희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국가적인 경제 개발 정책을 펼쳐 ‘한강의 기적’이라
불린 만한 놀라운 경제 발전을 이끌어 내었다. 그리하여 한국이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으나 독재 정치로 민주주의의 발전을
더디게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이와 같은 양면적인
평가는 한국 현대사에서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3) 김영삼 대통령 (14 대, 1993~1998)
김영삼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의 독재 정치 시절, 민주화 운동을 주도한 야당의
지도자였다. 민주주의를 내걸고 정부를 꾸려 갔으며, 뿌리 깊은 비리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한국의 독재 정치를 끝낸 인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정권 말기에는 IMF 금융위기를 초래하였다는 이유로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4) 김대중 대통령 (15 대, 1998~2003)
독재 정치 시절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민주화 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재임 기간
동안 북한에 대한 ‘햇볕 정채’으로 남북정성회담을 성사시키고, 경제∙문화∙민간
부문에서 평화적인 교류를 이끌어 내어, 한국인 최초로 노벨로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북 정책을 북한에 대한 ‘퍼주기 식’의 정책이라고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켰다는 점은 큰 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5) 노무현 대통령 (16 대, 2003~2008)
변호사로 활동하던 중 인권 관련 사건을 맡은 것을 계기로 인권 변호사로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정치인으로서의 길을 걸어 16 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재임
기간 김대중 대통령과 뜻을 같이 하여 북한에 대한 평화 정책을 이어 갔으며, 수도권
인구 집중을 해소하기 위해 행정 수도 이전을 추진하였다. 보수주의자들과의 충돌로
인해 개혁적인 정책을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탈권위주의를 몸소 실천했던 그는 역사상 가장 서민적인 대통령으로 국민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6) 지난 시간에는 광복 이후 1948 년 대한민국 정부의 탄생과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때 이승만 대통령이 한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는 것 기억하시죠? 이번
시간에는 1960 년에 있었던 4.19 민주화 혁명에 대해서 좀 강의를 할까 합니다. 자, 이
사건이 일어난 1960 년, 그때는 어떤 시기였나? 당시 여당이었던 자유당이 12 년간
집권을 하면서 권력을 지키기 위해 온갖 불법과 비리를 저지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 국민들의 불만이 점차 높아지고 있었지요. 그런 국민들의 불만은 결국
3.15 부정 선거를 계기로 폭발하였습니다. 이승만 정권이 권력을 유지하고 싶은
욕심에 엄청나게 많은 부정을 저질렀어요. 예를 들면, 이승만에게 투표를 하라면서
돈과 선물을 나눠 주기도 했고요. 지금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긴
하지만, 선거 당일에 투표용지를 바꿔치기해서 결과를 조작하는 일까지
자행했습니다. 아무튼 이 일을 계기로 당시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위가 일어나기 시작
했습니다. 자, 우리가 이 사건을 4.19 혁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날이 갖는 상징성
때문인데요. 이 4 월 19 일 시위에서는 경찰이 시위하는 사람들에게 총을 쏘아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쳤죠. 이날을 기점으로 시위가 전 국민적으로 확산되었고, 국민들의
구호가 “부정 선거 다시 하라”에서 “이승만 정권 물러나라”로 바뀌었을 정도로
분노가 커졌습니다. 상황이 이렇게까지 되니까, 이승만 대통령도 물러날 수밖에
없었겠죠. 결국 이승만 대통령이 라디오 방송을 통해서 하야하겠다는 발표를
함으로써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이 4.19 민주화 혁명으로 대통령이 물러나기는
했지만, 사실 이 때에 민주주의가 완전히 뿌리를 내렸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그
후에도 한국은 20 여 년이 넘게 독재의 그늘 아래 있었으니까요. 그래서 어떤 사람은
4.19 혁명을 ‘미완의 혁명’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비록 그렇다고 하더라도 4.19 는
민주주의를 위한 국민들의 열망을 보여주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